KR20130109771A -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771A
KR20130109771A KR1020120031785A KR20120031785A KR20130109771A KR 20130109771 A KR20130109771 A KR 20130109771A KR 1020120031785 A KR1020120031785 A KR 1020120031785A KR 20120031785 A KR20120031785 A KR 20120031785A KR 20130109771 A KR20130109771 A KR 2013010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hade
source protection
protection shad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579B1 (ko
Inventor
김학용
이슬기
Original Assignee
김학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용 filed Critical 김학용
Priority to KR102012003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57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26Manufacturing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5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보호 갓은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을 이용하여 소정 두께를 갖도록 황토로 빗어 그늘에서 건조 성형하되, 상기 광원 보호 갓의 상부에는 소켓 결합공을 형성시켜 교류전압 공급선이 연결된 너트형 소켓과 조명기구를 실내의 천정에 메달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선 연결구를 고정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광원 보호 갓을 황토 등을 이용하여 빗은 다음 자연 건조시켜 제작하되, 황토를 반죽할 때 필요에 따라 목초액 또는 향료 등을 적정 량씩 첨가시켜 줌으로써 조명기구를 통한 실내 조명을 실시할 때 광원 보호 갓의 주성분인 황토가 실내의 습도조절 기능과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단, 신진대사 촉진을 통한 생기력 회복, 해독력, 유해 냄새의 흡수력 및 각종 균에 대한 항균력을 발휘하게 됨은 물론 목초액에 의한 냄새나 악취 등의 탈취 제거기능과 아토피피부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질환 치료기능 및 방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향료에서 발생되는 향기에 의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인체에 유익한 환경 속에서 조명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Functional LE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량이 적고 전력소모가 적은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LED 조명 모듈을 이용하여 각종 조명기구(예를 들어 이,미용실 조명기구나 화장실 조명기구 등과 같은 실내 조명기구)를 제작할 때 광원 보호 갓을 금속이나 합성수지재가 아닌 습도조절 기능과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단, 신진대사 촉진을 통한 생기력 회복, 해독력, 유해 냄새의 흡수력 및 각종 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는 황토로 빗어 제작하되, 황토를 반죽할 때 냄새나 악취 등의 탈취 제거기능과 아토피피부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질환 치료기능 등의 효능이 있는 목초액을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향료 등을 첨가시켜 주어 조명기구의 작동시 황토 및 목초액 또는 향료 등에서 발생되는 각종 작용에 의해 실내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 및 해충의 살균 및 방충을 포함하여 냄새 등의 제거기능이 겸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긴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각종 조명기구가 많이 개발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명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는 빠른 응답속도, 저 전력 소모, 긴 수명 등의 장점을 가진 반도체의 P-N 접합 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양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해 발광시키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종래의 조명용 백열전구 및 할로겐 전구보다 소비전력이 1/10 정도 소요되어 전기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교통신호등이나 보안등 또는 가로등, 투광등, 경관조명등, 공장등 및 하우스나 축사용 조명등 등과 같이 전력이 많이 소요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이들 조명등기구에 많이 사용되는 나트륨등이나 수은등을 발광다이오드로 교체하게 되면 소비전력 절감효과는 매우 크다.
그런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은 LED의 특성상 조사되는 광이 직진성을 갖게 되므로 조사구역이 협소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각종 조명기구는 한정된 균조도 및 배광영역이 연출되므로, 상기와 같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 또는 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LED 조명 모듈 등은 각각 직진성을 갖는 빛을 소정 각도로 분산시켜 조사하기 위한 렌즈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렌즈는 기본적으로 정해진 각도별로 각각 별개로 성형하여 해당 조명기구의 목적이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원하는 빛 조사각도를 갖는 렌즈를 LED들의 전면부에 설치하여 원하는 균조도 및 배광영역을 얻고 있다.
또한, 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LED 조명 모듈의 일부에는 소켓을 설치하여 일반 백열전구와 같이 각종 조명기구의 광원 보호 갓에 설치된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LED 조명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래 대부분의 조명기구 광원 보호 갓은 그 사용 목적에 대응하여 철판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또는 경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글라스 등을 이용하여 성형한 형태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조명기구에 설치되는 광원 보호 갓은 광원의 위쪽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글라스나 합성수지, 종이 및 직물 등으로 만들어져 일부 빛이 투과되는 반투명체와,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불투명의 반사 갓이 있다.
그런데, 종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그 어떤 조명기구의 광원 보호 갓이라도 모두 광원의 빛을 반사시켜 주는 주된 기능과, 외형상 미려하게 성형한 경우 인테리어 기능 등만 구비되어 있을 뿐이었다.
또한, 이,미용실이나 화장실 등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각종 약품이나 대,소변에 의한 각종 냄새가 베여있기 마련이고, 습기 등이 많아 진드기 등과 같은 각종 해충들을 포함하여 각종 곰팡이 등이 서식하기 좋은 조건을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 대부분의 이,미용실이나 화장실 등에서는 조명기구의 설치와 무관하게 별도의 공기 청정기나 냄세 제거제를 포함하여 각종 해충 살균제 등을 비치해 두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에도 악취 제거 및 살균겸용 조명기구가 개발되어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6-0086345호로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조명기구에 광촉매를 이용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살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시킨 것 즉, 광촉매(산화티탄: Tio2)의 램프와 자외선 램프를 각각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냄새 제거와 조명을 겸하고, 또 자외선 파장을 발산하여 살균의 기능을 발휘, 복합 기능을 갖추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악취 제거 및 살균겸용 조명기구에 설치된 광촉매 램프와 자외선 램프는 일반 조명등(예를 들어 형광등)과 전혀 다른 파장을 갖는 빛을 발생하게 되므로 사람이 기거하는 실내를 조명하는 데는 많은 무리가 따를 뿐만 아니라 상기 광촉매 램프와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이 인체에 직접 조사될 경우 오히려 인체에 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86345호(2006년 07월 31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열량이 적고 전력소모가 적은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LED 조명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용실 조명기구나 화장실 조명기구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조명기구를 제작할 때 광원 보호 갓은 황토로 빗어 제작하되, 황토를 반죽할 때 목초액 또는 향료 등을 소정 량 첨가시켜 줌으로써 조명기구를 통한 실내 조명을 실시할 때 광원 보호 갓의 주성분인 황토가 실내의 습도조절 기능과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단, 신진대사 촉진을 통한 생기력 회복, 해독력, 유해 냄새의 흡수력 및 각종 균에 대한 항균력을 발휘하게 됨은 물론 목초액에 의한 냄새나 악취 등의 탈취 제거기능과 아토피피부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질환 치료기능 및 방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향료로 인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인체에 유익한 조명을 실시할 수 있는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너트형 소켓이 구비된 광원 보호 갓의 내부에, 수개의 발광다이오드와 방열기능이 구비된 함체 내에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가 구비됨은 물론 함체의 상면에는 볼트형 소켓이 구비된 LED 조명 모듈을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보호 갓은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을 이용하여 소정 두께를 갖도록 황토로 빗어 그늘에서 건조 성형하되, 상기 광원 보호 갓의 상부에는 소켓 결합공을 형성시켜 교류전압 공급선이 연결된 너트형 소켓과 조명기구를 실내의 천정에 메달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선 연결구를 고정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너트형 소켓 및 고정선 연결구를 광원 보호 갓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수단은, 상기 너트형 소켓의 절연형 몸체 저부에 형성시킨 숫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와; 상기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를 포함하여 고정선 연결구의 저단부를 광원 보호 갓의 상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수개의 볼트 및 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원 보호 갓의 내면에는 황토로 성형된 갓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는 수개의 탄성 링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원 보호 갓의 내면에 내구성 증대를 통한 광원 보호 갓의 균열 및 파손 방지 겸, LED 조명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을 정해진 각도 범위로 반사시켜 주는 반사 갓을 일체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사 갓의 상면에는 광원 보호 갓의 상면에 형성된 소켓 결합공의 내측에 끼워져 소켓 결합공의 손상을 방지하는 소켓 결합공 보호편을 일체로 더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광원 보호 갓은 황토 80∼90중량%에 목초액 10∼20중량%을 혼합하는 형태로 반죽한 다음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하거나, 또는 황토 70∼85중량%에 목초액 20∼29중량% 및 향료 1∼5중량%을 혼합하는 형태로 반죽한 다음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에 의하면,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LED 조명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용실 조명기구나 화장실 조명기구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조명기구를 제작할 때 광원 보호 갓을 황토 등을 이용하여 빗은 다음 자연 건조시켜 제작하되, 황토를 반죽할 때 필요에 따라 목초액 또는 향료 등을 적정 량씩 첨가시켜 줌으로써 조명기구를 통한 실내 조명을 실시할 때 광원 보호 갓의 주성분인 황토가 실내의 습도조절 기능과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단, 신진대사 촉진을 통한 생기력 회복, 해독력, 유해 냄새의 흡수력 및 각종 균에 대한 항균력을 발휘하게 됨은 물론 목초액에 의한 냄새나 악취 등의 탈취 제거기능과 아토피피부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질환 치료기능 및 방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향료에서 발생되는 향기에 의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인체에 유익한 환경 속에서 조명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종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종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적용된 조명기구 중 황토를 주성분으로 광원 보호 갓을 성형하는 형태를 보인 형틀의 종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조명기구의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적용된 조명기구 중 황토를 주성분으로 광원 보호 갓을 성형하는 형태를 보인 형틀의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에 너트형 소켓(2)이 구비된 광원 보호 갓(1)의 내부에, 수개의 발광다이오드(31)와 방열기능이 구비된 함체(32) 내에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가 구비됨은 물론 함체(32)의 상면에는 볼트형 소켓(33)이 구비된 LED 조명 모듈(3)을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보호 갓(1)은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8)을 이용하여 소정 두께를 갖도록 황토로 빗어 그늘에서 건조 성형하되, 상기 광원 보호 갓(1)의 상부에는 소켓 결합공(11)을 형성시켜 교류전압 공급선이 연결된 너트형 소켓(2)과 조명기구를 실내의 천정에 메달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선 연결구(41)를 고정수단(5)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너트형 소켓(2) 및 고정선 연결구(41)를 광원 보호 갓(1)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수단(5)은,
상기 너트형 소켓(2)의 절연형 몸체(21) 저부에 형성시킨 숫 나사산(22)에 나사 결합되는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51)(52)와;
상기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51)(52)를 포함하여 고정선 연결구(41)의 저단부를 광원 보호 갓(1)의 상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수개의 볼트(53) 및 너트(5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원 보호 갓(1)의 내면에는 황토로 성형된 갓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는 수개의 탄성 링(6)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원 보호 갓(1)의 내면에는 내구성 증대를 통한 광원 보호 갓(1)의 균열 및 파손 방지 겸, LED 조명 모듈(3)에서 조사되는 빛을 정해진 각도 범위로 반사시켜 주는 반사 갓(7)을 일체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사 갓(7)의 상면에는 광원 보호 갓(1)의 상면에 형성된 소켓 결합공(11)의 내측에 끼워져 소켓 결합공(11)의 손상을 방지하는 소켓 결합공 보호편(71)을 일체로 더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광원 보호 갓(1)은 황토 80∼90중량%에 목초액 10∼20중량%을 혼합하는 형태로 반죽한 다음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8)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하거나,
또는 황토 70∼85중량%에 목초액 20∼29중량% 및 향료 1∼5중량%을 혼합하는 형태로 반죽한 다음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8)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2, 511, 521은 광원 보호 갓(1)의 상부와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51)(52)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상부에 너트형 소켓(2)이 구비된 광원 보호 갓(1)의 내부에 LED 조명 모듈(3)을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공지된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보호 갓(1)을 종래와 같이 금속 또는 경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글라스 등으로 성형하지 않고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 및 프레스를 이용하여 소정 두께를 갖도록 황토로 빗어 그늘에서 건조 성형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광원 보호 갓(1)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형틀(8)은 도 6과 같이 광원 보호 갓(1)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외부 형상을 갖는 내측 형틀(81)과, 광원 보호 갓(1)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내부 형상을 갖는 외측 형틀(82)로 분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외측 형틀(82)은 프레스에 연결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형틀(8)을 이용하여 광원 보호 갓(1)을 성형할 때에는, 먼저 외측 형틀(82)의 외면에 반죽된 황토 원료를 소정 두께로 도포한 다음 프레스를 이용하여 외측 형틀(82)을 소정 압력(예를 들어 50-80㎏)으로 압축하여 원하는 형상 및 두께(사용시 쉽게 깨지지 않을 정도의 두께; 예를 들어 1-2㎝) 성형한 후, 외측 형틀(82)을 들어올리고 내측 형틀(81)에서 광원 보호 갓(1)을 분리한 다음 그늘에서 정해진 시간 이상 자연건조시키면 된다.
이때, 황토로 성형한 상기 광원 보호 갓(1)을 소정 온도를 갖는 로 등을 이용하여 열 가열을 통해 소성하지 않고 자연건조시키는 이유는, 황토 내에 서식하는 각종 이로운 세균이나 미생물 등이 고온에 의해 죽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즉, 건조 후에도 광원 보호 갓(1)의 내부에서 인체에 이로운 각종 세균이나 미생물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광원 보호 갓(1)은 그 상부에 소켓 결합공(11)을 형성시켜 교류전압 공급선이 연결된 너트형 소켓(2)과 조명기구를 실내의 천정에 고정선(4) 등을 이용하여 메달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선 연결구(41)를 고정수단(5)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너트형 소켓(2) 및 고정선 연결구(41)를 광원 보호 갓(1)에 고정시켜 주기 위해 상기 너트형 소켓(2)의 절연형 몸체(21) 저부에 숫 나사산(22)을 형성시켜 준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너트형 소켓(2) 및 고정선 연결구(41)를 광원 보호 갓(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수단(5)은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51)(52)와 수개의 볼트(53) 및 너트(54)로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51)(52)는 상기 광원 보호 갓(1)의 소켓 결합공(11)의 상,하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너트형 소켓(2)의 절연형 몸체(21) 저부에 형성된 숫 나사산(22)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사 결합되어 상기 너트형 소켓(2) 자체가 광원 보호 갓(1)에 1차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한 수개의 볼트(53)와 너트(54) 중 볼트(53)들은 상기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51)(52)를 포함하여 고정선 연결구(41)의 저단부 및 광원 보호 갓(1)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후 수개의 너트(54)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상기 너트형 소켓(2)과 고정선 연결구(41)가 상기 광원 보호 갓(1)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광원 보호 갓(1)을 단순히 황토로 성형하여 소성도 시키지 않고 자연건조만 시킬 경우, 외부에서 작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균열 및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광원 보호 갓(1)의 내면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수개의 탄성 링(6)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하여, 황토로 성형된 광원 보호 갓(1)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한 수개의 탄성 링(6)이 탄력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광원 보호 갓(1) 자체가 균열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광원 보호 갓(1)을 성형할 때 내측 형틀(81)에 금속판재 등으로 성형한 반사 갓(7)을 먼저 설치하고 황토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 보호 갓(1)을 성형하여 상기 광원 보호 갓(1)의 내측에 반사 갓(7)이 일체로 인서트 설치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상기 반사 갓(7)이 황토로 된 광원 보호 갓(1) 자체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충격 등으로 인한 광원 보호 갓(1)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 조명 모듈(3)에서 조사되는 빛을 정해진 각도 범위로 반사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반사 갓(7)의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소켓 결합공 보호편(71)을 일체로 더 절곡 성형시켜 주어 광원 보호 갓(1)의 상면에 형성된 소켓 결합공(11) 주변이 외부의 충격 또는 너트형 소켓(2)과의 충격 등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광원 보호 갓(1)의 내측에 반사 갓(7)을 일체로 인서트 설치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실 예에서와 같이 황토로 성형하는 광원 보호 갓(1)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하여도 전체 강도는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중량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원 보호 갓(1)을 황토를 이용하여 소정형상으로 성형할 때, 분말 상태의 황토를 물로 반죽하지 않고, 황토 80∼90중량%에 목초액 10∼20중량%을 혼합하는 형태로 반죽한 다음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하거나, 또는 황토 70∼85중량%에 목초액 20∼29중량% 및 향료 1∼5중량%을 혼합하는 형태로 반죽한 다음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하였다.
이때, 황토는 한 스푼에 약 2억 마리의 미생물이 들어 있어 '살아 있는 생명체'라고도 불리기도 하는데, 이러한 황토는 항균성, 항취성, 흡습성이 뛰어나며, 노화방지,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좋고, 독소를 제거하여 곪은 상처나 무좀, 습진 등의 질환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자기 몸체의 100배 이상의 산소 공급 능력이 있어 생리활성화 및 세균 박멸에 탁월한 효과를 천연적으로 지니고 있고 음이온을 방출하며, 이러한 황토의 효능을 나타나게 하는 것은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인데, 이와 같은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으며, 체내 노폐물을 분해하고, 자정능력이 있어 피부미용에 좋으며, 혈액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즉, 황토는 습도조절 기능과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단, 신진대시 촉진을 통한 생기력 회복, 해독력, 유해 냄새의 흡수력 및 각종 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황토를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의 광원 보호 갓(1)을 성형하게 되면, 통상시에도 상기와 같은 효능(즉, 실내의 습도조절 기능과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단, 신진대사 촉진을 통한 생기력 회복, 해독력, 유해 냄새의 흡수력 및 각종 균에 대한 항균기능 등)을 얻을 수 있는데, 특히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의 구동시 발광다이오드들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황토를 주성분으로 성형된 광원 보호 갓(1)에서 원적외선이 특히 많이 방사되어 더욱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초액은 나무로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액화시켜 채취한 pH 3 정도의 산성 액체로, 이를 6개월 이상 숙성시켜 독성과 유해물질을 제거한 것으로, 옅은 붉은색이 나며, 냄새가 강하고, 채취한 목초액을 6개월 이상 숙성·분리시키면 수용성과 유용성으로 분리되는데, 수용성의 액체는 목초액으로 사용하고, 유용성 액체는 공업용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목초액은 타르, 메탄올, 크레졸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살균성이 강하므로 방충효과가 있으며, 농업에서는 농약 대신에 이용하며, 축산업에서는 분뇨 냄새나 악취를 제거할 때 또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기도 하고, 정장제(整腸劑)·정로환(正露丸) 등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되며, 무좀·아토피피부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밖에 원예·버섯재배·건강음료·탈취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고, 민간에서는 벌레나 뱀에게 물렸을 때, 화상·당뇨병·빈혈에 이용하며, 또 세포 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이 뛰어나 간질환·당뇨병·알레르기질환·숙취제거·피로회복 등에 효과가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광원 보호 갓(1)을 성형하기 위한 황토를 반죽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은 비율로 목초액을 첨가시켜 주게 되면, 조명기구를 통한 실내 조명을 실시할 때 광원 보호 갓(1)의 주성분인 황토가 실내의 습도조절 기능과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단, 신진대사 촉진을 통한 생기력 회복, 해독력, 유해 냄새의 흡수력 및 각종 균에 대한 항균력을 발휘하게 됨은 물론 목초액에 의한 냄새나 악취 등의 탈취 제거기능과 아토피피부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질환 치료기능 및 방충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황토를 반죽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은 비율로 목초액과 향료를 첨가시켜 주게 되면, 황토 및 목초액에 의해 효과 이외에도 향료에서 발생되는 향기를 통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인체에 유익한 환경 속에서 조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를 냄새가 많이 나고 습도가 높은 곳인 이,미용실이나 화장실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광원 보호 갓(1)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 중 주성분인 황토가 실내의 습도조절 기능과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단, 신진대사 촉진을 통한 생기력 회복, 해독력, 유해 냄새의 흡수력 및 각종 균에 대한 항균력을 발휘하게 됨은 물론 목초액에 의한 냄새나 악취 등의 탈취 제거기능과 아토피피부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질환 치료기능 및 방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향료에서 발생되는 향기에 의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인체에 유익한 환경 속에서 조명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광원 보호용 갓 11 : 소켓 결합공
12, 511, 521 : 볼트 통과공
2 : 너트형 소켓 21 : 절연형 몸체
22 : 숫 나사산
3 : LED 조명 모듈 31 : 발광다이오드
32 : 함체 33 : 볼트형 소켓
4 : 고정선 41 : 고정선 연결구
5 : 고정수단 51, 52 :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
53 : 볼트 54 : 너트
6 : 탄성 링
7 : 반사 갓 71 : 소켓 결합공 보호편
8 : 형틀 81 : 내측 형틀
82 : 외측 형틀

Claims (6)

  1. 상부에 너트형 소켓이 구비된 광원 보호 갓의 내부에, LED 조명 모듈을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보호 갓은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을 이용하여 소정 두께를 갖도록 황토로 빗어 그늘에서 건조 성형하되, 상기 광원 보호 갓의 상부에는 소켓 결합공을 형성시켜 너트형 소켓과 조명기구를 천정에 메달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선 연결구를 고정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광원 보호 갓의 내,외측에서 너트형 소켓의 절연형 몸체 저부에 형성시킨 숫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와;
    상기 내측 및 외측용 원판형 너트를 포함하여 고정선 연결구를 광원 보호 갓의 상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수개의 볼트 및 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보호 갓의 내면에는 황토로 성형된 광원 보호 갓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는 수개의 탄성 링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보호 갓의 내면에 내구성 증대를 통한 광원 보호 갓의 균열 및 파손 방지 겸, LED 조명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을 정해진 각도 범위로 반사시켜 주는 반사 갓을 일체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사 갓의 상면에는 광원 보호 갓 상면의 소켓 결합공 내측에 끼워지는 소켓 결합공 보호편을 일체로 더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보호 갓은,
    황토 80∼90중량%에 목초액 10∼20중량%을 혼합하는 형태로 반죽한 다음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하거나,
    또는 황토 70∼85중량%에 목초액 20∼29중량% 및 향료 1∼5중량%을 혼합하는 형태로 반죽한 다음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KR1020120031785A 2012-03-28 2012-03-28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KR10134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785A KR101347579B1 (ko) 2012-03-28 2012-03-28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785A KR101347579B1 (ko) 2012-03-28 2012-03-28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771A true KR20130109771A (ko) 2013-10-08
KR101347579B1 KR101347579B1 (ko) 2014-01-03

Family

ID=4963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785A KR101347579B1 (ko) 2012-03-28 2012-03-28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5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516A (ko) 2019-12-09 2020-01-20 주식회사 알토 기능성 led 조명 장치
KR20230130830A (ko) 2022-03-04 2023-09-12 주식회사 알토 기능성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827B1 (ko) 2020-10-19 2023-02-15 와이에이치컴퍼니코리아 주식회사 스마트 발광 및 발열 장치
KR102499834B1 (ko) 2020-10-19 2023-02-15 와이에이치컴퍼니코리아 주식회사 원적외선 및 자외선 발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851Y1 (ko) 2000-09-01 2001-01-15 장영중 전등용 갓
KR20090007129U (ko) * 2008-01-10 2009-07-15 주식회사 알토 개선된 결합 및 분리구조를 갖는 천정매다는 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516A (ko) 2019-12-09 2020-01-20 주식회사 알토 기능성 led 조명 장치
KR20230130830A (ko) 2022-03-04 2023-09-12 주식회사 알토 기능성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579B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085B1 (ko) 환경 미생물 부하의 감소를 위한 led 램프 구조물
KR101059950B1 (ko) 반려동물 케어 램프
KR101347579B1 (ko)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KR101346576B1 (ko) 살균 엘이디 조명등
US20100276410A1 (en) Led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animal habitat
CN202419518U (zh) 一种健康杀菌灯具
JP2011254714A (ja) 殺虫装置
KR200480765Y1 (ko) 적외선 침대
JP6433734B2 (ja) 低誘引性照明装置
CN216135062U (zh) 飞虫捕捉装置
KR101840233B1 (ko) 가축사육용 복합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육방법
KR200471033Y1 (ko) 음이온 방출 하우징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20120021832A (ko) 전구형 엘이디 램프
RU2453762C1 (ru) Светильник для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освещения помещений и/или клеток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птицы и способ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освещения помещений и/или клеток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птицы
KR20110010387U (ko) 자외선 엘이디와 광촉매 필터가 내장된 애완 동물 집
KR101059951B1 (ko) 식물 재배용 램프
CN211040529U (zh) 一种用于爬行类动物生长的灯具
CA3177206A1 (en) Black light device for improving vitamin d3 formation in animals and inactivating bacteria and viruses
KR101409449B1 (ko) 공기정화용 가시광선 등기구
JP2017121207A (ja) 防虫灯
KR101137006B1 (ko) 형광등 타입의 식물재배용 농업조명장치
KR200210619Y1 (ko) 직,간접의 조명등기구에 적용이 용이한 공기살균기
KR200359250Y1 (ko) 살균 및 간접 조명이 가능한 조명기구
KR20200074440A (ko) 비타민d의 합성과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인공햇빛 '하루 한번 하늘 보기'
CN217209732U (zh) 一种消毒器led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