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851Y1 - 전등용 갓 - Google Patents

전등용 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851Y1
KR200211851Y1 KR2020000024901U KR20000024901U KR200211851Y1 KR 200211851 Y1 KR200211851 Y1 KR 200211851Y1 KR 2020000024901 U KR2020000024901 U KR 2020000024901U KR 20000024901 U KR20000024901 U KR 20000024901U KR 200211851 Y1 KR200211851 Y1 KR 200211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hade
shade body
emitted
fa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중
Original Assignee
장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중 filed Critical 장영중
Priority to KR2020000024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8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851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또 은은한 불빛으로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안출된 전등용 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등갓 몸체(10)를 구비하되 전등갓 몸체는 황토, 세라믹, 옥석 또는 이들을 배합한 원적외선 발생체로 구성하고, 전등갓 몸체(10)의 중앙 내주연에는 요입부(11)을 형성하는 한편, 그 하단에는 다수의 투과공(12)을 환설하여된 구조이다.
요입부(11)는 전구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곧바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열은 상기 요입부 내에서 축적되어 전등갓 몸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가열시킴에 따라 전등갓 몸체에서는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게 된다.
전등의 불빛의 대부분은 전등갓 몸체의 직하방 및 투과공만으로 투사되고 천정에는 직상방의 극히 일부분외에는 투사가 되지 않으므로 지엽적으로 밝게 투사되는 직하방부분, 그리고 그 주위에 투사되는 희미한 불빛이 조화를 이루어 실내의 조도가 적당히 조절되면서 은은하고 아늑한 느낌을 연출하게 된다.

Description

전등용 갓 {Electric Light Hat}
본 고안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또 은은한 불빛으로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안출된 전등용 갓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등용 갓은 전구의 보호기능과 함께 빛을 반사시켜 광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실내 분위기를 고려하여 장식 및 불빛의 다양한 조화가 수반되고 있다. 전구의 보호 및 빛의 반사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전등용 갓은 통상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식을 목적으로 하는 전등갓은 외관을 다양하게 형상화 하거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종이재 또는 섬유재로 제작하여 다양한 색상과 더불어 조도와 빛의 색상을 조화시키고 있다. 이와같은 일반적인 전등갓은 소기의 목적달성에는 크게 어려움이 없으나 기능상 다양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전등갓은 전등이 발산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바, 본 고안은 이를 개선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조화있게 연출하면서 전등갓으로부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은 황토 또는 세라믹 내지는 옥석 등을 직접 가공하거나 이들의 분말을 혼합하여 성형한다. 황토나 세라믹 또는 옥석 등은 상온에서도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있으나 가열시에는 일층 효과적으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는 현재 아파트 등에서 시공하는 황토방 내지는 세라믹 또는 옥석 분말을 피부미용에 적용한 화장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의료기구 및 찜질방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 이들이 방출하는 원적외선은 피부 활성화를 도모하여 혈행을 원할히 하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원적외선발생체를 전등용 갓으로 구성하여 사용시 다량의 원적외선이 실내에 방출되도록 하는 한편, 전등빛이 은은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몸체 저부에는 빛 투과공을 등간격으로 환설하고 전등갓 몸체를 효과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몸체 내측에 요입부를 구성하여 열이 축적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등갓 몸체 11 : 요입부
12 : 투과공
전등갓 몸체(10)를 구비하되 전등갓 몸체(10)는 황토, 세라믹, 옥석 또는 이들의 분말을 배합 성형한 원적외선 발생체로 구성하고, 전등갓 몸체(10)의 중앙 내주연에는 요입부(11)을 형성하는 한편, 그 하단에는 다수의 투과공(12)을 환설하여된 구조이다. 도면 부호중 (20)은 전구, (30)은 천정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전등갓 몸체(2)는 세라믹이나 옥석을 그대로 가공할 수 있으나 분말화 하여 성형하거나 또는 분말화된 것을 상호 혼합하여 성형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도자기를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주로 제작하며 황토, 세라믹, 옥석 등을 혼합 구성할 경우 황토60%, 고령토15%, 벤토나이트5%, 세락믹10%, 옥석10%로 배합하는 것이 실험결과 가장 이상적이었다.
본 고안은 도면에서 천정등용 갓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전기 스텐드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등갓 몸체(10)는 외관상 그 중앙부가 배가부른 형상을 이루면서 마치 항아리 형태로 구성되는바, 이는 그 내주연을 오목하게 성형하여 요입부(11)를 구성함에 기인한다. 이와같은 요입부(11)는 전구(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곧바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전등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요입부(11)내에서 오랫동안 잔류하면서 열을 축적하여 복사열을 발생시킨다. 이와같은 열의 잔류는 전등갓 몸체(10)를 더욱 효과적으로 가열시켜줌에 따라 원적외선 발생체로 이루어진 전등갓 몸체(10)에서는 다량의 원적외선이 효과적으로 방출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전등갓 몸체(10)는 개방된 직하방 부분 및 하단에 등간격으로 환설된 투과공(12)외에는 거의 밀폐되어 있어 전구(20)의 불빛은 대부분 전등갓 몸체(10)의 개방된 직하방 및 투과공(12)만으로 투사되므로 천장(30)에는 불빛이 거의 투사되지 않는다. 즉, 전구(20)의 불빛은 바닥을 향하여 직하방으로 그리고 그 주위에 투과공(12)을 통한 은은한 불빛이 투사되는바, 이경우 밝고 지엽적으로 투사되는 직하방부분, 이와함께 그 주위에 투과공(12)을 통하여 투사되는 희미한 불빛이 조화를 이루어 실내의 조도가 적당히 조절되면서 은은하고 아늑한 느낌을 연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등갓 몸체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일상생활 중에 원적외선의 접촉이 가능하므로 특별히 원적외선을 접촉하고자 찜질방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며 특히 원적외선을 장기적으로 그리고 극히 용이하게 접할 수 있어 인체의 신진대사를 돕는 등 질환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전등갓을 장식적 기능 그리고 아늑한 실내분위기의 연출과 함께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의 방출을 함께 제공하여 그 기능을 다양화 하고 있다.

Claims (1)

  1. 전등갓 몸체(10)를 구비하되 전등갓 몸체(10)는 황토, 세라믹, 옥석 또는 이들의 분말을 배합 성형한 원적외선 발생체로 구성하고, 전등갓 몸체(10)의 중앙 내주연에는 요입부(11)을 형성하는 한편, 그 하단에는 다수의 투과공(12)을 환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갓.
KR2020000024901U 2000-09-01 2000-09-01 전등용 갓 KR200211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01U KR200211851Y1 (ko) 2000-09-01 2000-09-01 전등용 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01U KR200211851Y1 (ko) 2000-09-01 2000-09-01 전등용 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851Y1 true KR200211851Y1 (ko) 2001-01-15

Family

ID=7308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901U KR200211851Y1 (ko) 2000-09-01 2000-09-01 전등용 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85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631A (ko) * 2002-04-04 2002-05-23 나용균 적외선 기능을 갖는 빔 전구
KR100444403B1 (ko) * 2002-01-25 2004-08-16 주식회사 현대유리 옥분말이 함유된 조명등용 갓의 조성
KR100756168B1 (ko) 2006-09-21 2007-09-05 이덕수 토기형 램프 스탠드
KR101347579B1 (ko) 2012-03-28 2014-01-03 김학용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403B1 (ko) * 2002-01-25 2004-08-16 주식회사 현대유리 옥분말이 함유된 조명등용 갓의 조성
KR20020038631A (ko) * 2002-04-04 2002-05-23 나용균 적외선 기능을 갖는 빔 전구
KR100756168B1 (ko) 2006-09-21 2007-09-05 이덕수 토기형 램프 스탠드
KR101347579B1 (ko) 2012-03-28 2014-01-03 김학용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1851Y1 (ko) 전등용 갓
KR101750721B1 (ko) 교체형 기능성 장식틀체가 결합된 조명등
KR200223876Y1 (ko) 장식용 조명등
KR200217376Y1 (ko) 원적외선 방사 체 전등갓과 전등갓의 구조
KR20020063416A (ko) 천정 매입형 조명등기구
JP2006127885A (ja) 照明器具
KR200238057Y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스텐드
KR200402752Y1 (ko) 조명등
KR20000036591A (ko) 원적외선 방사체를 혼합 /코팅한 조명기구용 전등갓의제조법
JP2589001Y2 (ja) 洗面化粧キャビネットの照明装置
JP3116196U (ja) 照明用シェード
KR200282420Y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사하는 조명등(램프)카버
CN208935900U (zh) 木制镂空灯
CN210319527U (zh) 装饰灯
KR101750718B1 (ko) 착탈식 기능성 장식틀체가 결합된 조명등
CN210319569U (zh) 具有组合式壳体的装饰灯
KR200276036Y1 (ko) 황토 조명갓
JPH04123708A (ja) 照明ランプ
KR200280596Y1 (ko) 다단식 조명등
KR200370009Y1 (ko) 장식용 등기구
JP2004241326A (ja) 照明器具
KR200279537Y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사 하는 조명등기구
KR200350603Y1 (ko) 화로형 조명기구
KR200201416Y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실내등
CN107420851B (zh) 一种陶瓷装饰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