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398A -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 Google Patents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398A
KR20200006398A KR1020180080085A KR20180080085A KR20200006398A KR 20200006398 A KR20200006398 A KR 20200006398A KR 1020180080085 A KR1020180080085 A KR 1020180080085A KR 20180080085 A KR20180080085 A KR 20180080085A KR 20200006398 A KR20200006398 A KR 20200006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ertilizer
opening
side plat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867B1 (ko
Inventor
김창곤
Original Assignee
김창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곤 filed Critical 김창곤
Priority to KR102018008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8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7/00Fertilisers or seeders with centrifugal wheels
    • A01C17/006Regulating o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7/00Fertilisers or seeders with centrifugal wheels
    • A01C17/001Centrifugal throwing devices with a vertical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료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장치(2)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로 배출된 비료를 타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판(3)과, 상기 회전판에 의해 살포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장치(4)를 포함하는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장치(4)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상판(11)과 하판(12)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13)과, 상기 측판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마주보고 돌출되는 가이드레일(15)과,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배출량조절판(16)을 포함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배출량조절판(16)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FERTILIZER SPREADER EQUIPPE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비료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장치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로 배출된 비료를 타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의해 살포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장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마주보고 돌출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배출량조절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배출량조절판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0114958호에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바닥에 유출구를 갖는 원통이 테두리 일부에 조정레버가 형성된 원통고정구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이것이 회전축에 관통되어 살포팬의 상부에서 유출량 조정판에 밀착 지지되도록 결합하되, 조정레버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원통이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며, 상기 원통을 관통하는 회전축에는 제2의 교반스크류를 착설하고, 비료차단판의 상부판에는 호형홈을 형성하여 조정레버의 단부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공개 1998-059151호에 의한 살포 방향 조절장치는 비료탱크의 바닥판에 형성한 비료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된 비료를 고속회전하는 살포팬으로 가격하여 넓은 범위로 살포되도록 한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비료탱크의 바닥판에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와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를 형성하고, 바닥판의 하부에는 바닥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비료유출구를 갖는 살포량조정판을 부착하고 상기 살포량 조정판의 일측으로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암을 형성하여 본체프레임에 부착된 살포량조절레버에 연결시키고, 살포량조정판의 하부에는 바닥판의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2개의 비료유출구와 그 사이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비료유출구가 형성된 방향조정판을 부착하고 방향조정판의 일측에는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암을 형성하며, 비료차단판의 상부에는 방향조정판의 암이 그리는 원호상 3점에 방향선택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방향조정판의 암을 고정하도록 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살포방향조절장치의 각 구성 원리는 고속 회전하는 살포팬 위에 위치한 비료유출구의 위치에 따라 비료차단판과 살포팬 그리고 타격 위치의 작용에 따라 후방으로 향하는 비료의 살포방향이 달라지는 원리에 따른 것으로 전자는 원통에 형성된 비료 유출구의 위치를 달리하고, 후자는 비료 탱크 바닥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살포량조정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 및 방향조정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비료유출위치를 달리하여 살포 방향이 달라지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비료 살포기에 있어서 비료 살포방향 조절을 위해 원통판 또는 방향조정판이 추가되는 구성이고, 그에 따라 비료살포기의 구성이 복잡해져 비용 상승 요인이 되었고, 제조비용이 높아짐에 따라 농민들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비료가 살포되는 개구부를 개폐함으로써 토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비료살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투입되는 비료를 타격하여 살포하는 회전판을 감싸는 하우징을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비료살포기의 구조를 단순한 구조로 개선하였으며, 그로 인한 재료비, 제작설치비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장치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로 배출된 비료를 타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의해 살포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장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13)과, 상기 측판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마주보고 돌출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배출량조절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배출량조절판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판과 하판과 측판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모서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자 형상과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서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끝단에서 양쪽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편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을 만곡시켜 고정돌기를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시키고, 상기 상판과 하판의 외측으로 고정편이 돌출되면 고정편을 삽입공과 직교되도록 비틀어 연결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측판이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를 안내하는 토출구와, 토출되는 비료를 지면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의 상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회동패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측판이 제1측판과 제2측판으로 분리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각각 개폐하는 제1배출량조절판과 제2배출량조절판이 구비됨으로써, 비료가 상기 하우징의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살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연장관이나 방향조절판을 사용하지 않고, 비료가 살포되는 개구부를 개폐함으로써 토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비료살포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판(11)과 하판(12)과 측판(13)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판과 하판에 삽입공을 형성하고, 측판(13)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자 형상과 '┻'자 형상의 고정돌기(18)를 형성하여, 상기 상판과 하판의 외측으로 고정편(182)이 돌출되면 고정편(182)과 삽입공(17)과 직교되도록 비틀어 연결부(181)를 변형시킴으로써 투입되는 비료를 타격하여 살포하는 회전판을 감싸는 하우징을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비료살포기의 구조를 단순한 구조로 개선하였으며, 그로 인한 재료비, 제작설치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조절장치의 외형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측판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과 하판 및 측판이 고정돌기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판의 결합에 따른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배출량조절판과 가이드레일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배출량조절판이 슬라이딩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에 회동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패널의 기울어진 각도가 달라지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조절장치의 외형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측판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과 하판 및 측판이 고정돌기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측판의 결합에 따른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배출량조절판과 가이드레일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배출량조절판이 슬라이딩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에 회동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패널의 기울어진 각도가 달라지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100)는 비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장치(2)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로 배출된 비료를 타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판(3)과, 상기 회전판에 의해 살포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장치(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토출량 조절장치(4)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상판(11)과 하판(12)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13)과, 상기 측판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마주보고 돌출되는 가이드레일(15)과,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배출량조절판(16)을 포함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배출량조절판(16)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상판(11)과 하판(12)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13)을 포함하여 함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11)과 하판(12)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측판(13)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둥글게 만곡되어 배치되며, 상기 측판(13)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판(3)이 배치되는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14)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측판(13)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배출량조절판(16)과, 배출량조절판을 측판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5)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5)은 상기 측판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판(11)의 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상기 하판(12)의 윗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량조절판(16)은 내주면이 상기 측판(13)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돌출된 가이드레일(15)에 안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상기 배출량조절판(16)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상판(11)과 하판(12)과 측판(13)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모서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공(17)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13)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자 형상과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서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181)와 연결부의 끝단에서 양쪽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편(182)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18)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13)을 만곡시켜 고정돌기(18)를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삽입공(17)에 삽입시키고, 상기 상판과 하판의 외측으로 고정편(182)이 돌출되면 고정편(182)과 삽입공(17)과 직교되도록 비틀어 연결부(181)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의 사이에서 측판(13)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판(13)이 상판(11)과 하판(12)의 사이에서 상판과 하판의 모서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기립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모서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한 삽입공(1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7)은 측판(13)을 고정하기 위해 상판(11)과 하판에 동일한 위치로 나란하게 측판고정용삽입공(17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판(13)의 상단에는 '┳'자 형상으로, 하단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서리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181)와, 연결부의 끝단에서 양쪽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편(182)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판을(13)을 둥글게 만곡시켜 상기 고정돌기(18)를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삽입공(17)에 삽입시키고, 상기 상판과 하판의 외측으로 고정편(182)이 돌출되면 고정편(182)과 삽입공(17)과 직교되도록 비틀어 연결부(181)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편(182)의 하부 모서리가 상기 상판과 하판을 압지함으로써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편(182)은 상판과 하판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편의 전부를 변형시키거나, 필요에 따라 상판과 하판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편의 일부만을 변형시켜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3)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판(11)과 하판(12)의 사이에서 마주보고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5)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측판고정용삽입공(171)의 외측으로 나란하게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용삽입공(17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5)의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고정돌기(18)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용삽입공(172)에 끼운 후 고정편과 가이드레일삽입공이 직교되도록 고정편을 비틀어 연결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15)을 고정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4)의 외측에 개구부(14)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를 안내하는 토출구(19)와, 토출되는 비료를 지면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의 상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회동패널(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비료를 안내하는 토출구(19)가 구비되되, 상기 토출구(19)는 상판(11)과 하판(12)의 일측 모서리에서 연장되어 양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상판(11)에서는 '┌┐'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하판에서는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양쪽 단부가 서로 밀착되어 체결됨으로써 장방형의 사각통의 형상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19)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를 지면으로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토출구의 상측 모서리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회동패널(20)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동패널(2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회동패널(20)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회전축의 외측에 토출구의 일측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회동패널의 일측에는 원호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안내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과 안내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회동패널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3)이 제1측판(13a)과 제2측판(13b)으로 분리되어 대칭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개구부(14a)와 제2개구부(14b)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14a,14b)를 각각 개폐하는 제1배출량조절판(16a)과 제2배출량조절판(16b)이 구비됨으로써, 비료가 상기 하우징(10)의 양쪽 측방향으로 동시에 살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판(13)이 상판(11)과 하판(12)의 사이에서 제1측판(13a)와 제2측판(13b)으로 분리되어 고정설치함으로써,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가 제1개구부(14a)와 제2개구부(14b)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14a,14b)를 각각 개폐하는 제1배출량조절판(16a)과 제2배출량조절판(16b)을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에 의해 충격되는 비료가 하우징(10)의 측방향에 마련된 2개의 개구부(14a,14b)를 통해 동시에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 때 배출되는 비료는 제1배출량조절판(16a)과 제2배출량조절판(16b)에 의해 배출량을 조절하여 살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비료살포기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측판(13)의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비료가 토출되는 개구부(14)의 방향을 임의의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제1개구부(14a)와 제2개구부(14b)로 각각 배치하며, 각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비료의 살포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판(16a,16b)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측방향으로 토출되는 비료를 좌측과 우측의 살포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하여 살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0: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1: 호퍼 2: 개폐장치
3: 회전판 4: 토출량 조절장치
10: 하우징 11: 상판
12: 하판 13: 측판
14: 개구부 15: 가이드레일
16: 배출량조절판 17: 삽입공
171: 측판고정용삽입공 172: 가이드레일용삽입공
18: 고정돌기 181: 연결부
182: 고정편 19: 토출구
20: 회동패널

Claims (4)

  1. 비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장치(2)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로 배출된 비료를 타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판(3)과, 상기 회전판에 의해 살포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장치(4)를 포함하는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장치(4)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상판(11)과 하판(12)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13)과, 상기 측판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마주보고 돌출되는 가이드레일(15)과,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배출량조절판(16)을 포함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배출량조절판(16)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과 하판(12)과 측판(13)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모서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공(17)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13)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자 형상과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서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181)와 연결부의 끝단에서 양쪽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편(182)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18)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13)을 만곡시켜 고정돌기(18)를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삽입공(17)에 삽입시키고, 상기 상판과 하판의 외측으로 고정편(182)이 돌출되면 고정편(182)을 삽입공(17)과 직교되도록 비틀어 연결부(181)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의 사이에서 측판(13)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4)의 외측에 개구부(14)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를 안내하는 토출구(19)와, 토출되는 비료를 지면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의 상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회동패널(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3)이 제1측판(13a)과 제2측판(13b)으로 분리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개구부(14a)와 제2개구부(14b)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14a,14b)를 각각 개폐하는 제1배출량조절판(16a)과 제2배출량조절판(16b)이 구비됨으로써, 비료가 상기 하우징(10)의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살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KR1020180080085A 2018-07-10 2018-07-10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KR10214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85A KR102147867B1 (ko) 2018-07-10 2018-07-10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85A KR102147867B1 (ko) 2018-07-10 2018-07-10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398A true KR20200006398A (ko) 2020-01-20
KR102147867B1 KR102147867B1 (ko) 2020-08-25

Family

ID=6936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085A KR102147867B1 (ko) 2018-07-10 2018-07-10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8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7395A1 (zh) * 2020-08-06 2022-02-10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农业用施肥装置
KR20220070863A (ko) * 2020-11-23 2022-05-31 유한회사 광원기계 트랙터 장착용 입제 살포장치
CN115777308A (zh) * 2022-06-02 2023-03-14 黑龙江省黑土保护利用研究院 一种含有拨草辊的用于水稻种植的苗床天然肥料施肥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531A (ja) * 1994-07-29 1996-02-13 Daiwa Kasei Kogyo Kk クリップ
JPH11262309A (ja) * 1998-03-16 1999-09-28 Takakita Co Ltd 肥料散布機
KR101401679B1 (ko) * 2012-05-21 2014-06-02 나종권 비료 살포 장치
KR20170002136U (ko) * 2015-12-08 2017-06-16 김완수 비료살포기
KR20180000035U (ko) * 2016-06-24 2018-01-04 김완수 사이드 가이더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531A (ja) * 1994-07-29 1996-02-13 Daiwa Kasei Kogyo Kk クリップ
JPH11262309A (ja) * 1998-03-16 1999-09-28 Takakita Co Ltd 肥料散布機
KR101401679B1 (ko) * 2012-05-21 2014-06-02 나종권 비료 살포 장치
KR20170002136U (ko) * 2015-12-08 2017-06-16 김완수 비료살포기
KR20180000035U (ko) * 2016-06-24 2018-01-04 김완수 사이드 가이더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7395A1 (zh) * 2020-08-06 2022-02-10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农业用施肥装置
KR20220070863A (ko) * 2020-11-23 2022-05-31 유한회사 광원기계 트랙터 장착용 입제 살포장치
CN115777308A (zh) * 2022-06-02 2023-03-14 黑龙江省黑土保护利用研究院 一种含有拨草辊的用于水稻种植的苗床天然肥料施肥装置
CN115777308B (zh) * 2022-06-02 2023-05-05 黑龙江省黑土保护利用研究院 一种含有拨草辊的用于水稻种植的苗床天然肥料施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867B1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6398A (ko)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US10295246B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door of a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and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CN201712857U (zh) 用于挥发性材料的散发装置及其壳体和散发片
US4487370A (en) Seed and fertilizer spreader
US20090282856A1 (en) Refrigeration Device Comprising a Dispensing Device
CA2485867A1 (en) Convertible seed port for bird feeder
KR20130129587A (ko) 비료 살포 장치
KR102045418B1 (ko)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US5674124A (en) Air register with pivoting air deflector
KR100988438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의 비료살포기
WO2014101963A1 (en) Laundry treatment appliance stacking apparatus
KR20150085333A (ko) 개량된 종자 투입구조를 갖는 점파식 종자 배출장치
JPH0439342B2 (ko)
KR20100007203U (ko) 비료살포기의 전기식 살포량 조절장치
KR102638400B1 (ko) 공급공기의 균등배분이 용이한 각실제어 공기분배판
JPH035808Y2 (ko)
CN216253892U (zh) 一种可调链勺式大蒜排种器
KR102638394B1 (ko) 공조기용 각실제어 공기분배기
CN211459928U (zh) 用于厨房设备中的底座及具有其的配料机
JP3485030B2 (ja) パチンコ機
CA2871217A1 (en) Fastening device and assembly comprising an apparatus or a body and a top-hat rail
JP2544175Y2 (ja) パチンコ機のスピーカ取付構造
JPS63201480U (ko)
RU2711212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JP200006110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