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025A - 정보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025A
KR20200006025A KR1020190161672A KR20190161672A KR20200006025A KR 20200006025 A KR20200006025 A KR 20200006025A KR 1020190161672 A KR1020190161672 A KR 1020190161672A KR 20190161672 A KR20190161672 A KR 20190161672A KR 20200006025 A KR20200006025 A KR 20200006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information output
driving expression
expre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수
김한별
김준영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9016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6025A/ko
Publication of KR2020000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4Pivoting armatures
    • H01L41/09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6Structural details of the arm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전원과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코일부와 이격되고 상기 코일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채 회전 운동하도록, 상기 코일부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일 방향으로 편심된 자기축 방향을 갖는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구동 표현부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출력 장치{Informa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출력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정보 출력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다양한 회로 등이 내장되어 제조의 의성이 감소하고 제어상의 불편성이 있다.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시 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안정적 구동에 곤란이 있어 정보 출력 장치의 향상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전원과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코일부와 이격되고 상기 코일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채 회전 운동하도록, 상기 코일부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일 방향으로 편심된 자기축 방향을 갖는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구동 표현부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표현부의 내부에 서로 극성이 상이한 제1 자력부 및 제2 자력부를 구비하는 자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표현부는 상기 자력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상기 구동 표현부와 편심된 자기축 방향을 갖도록 상기 구동 표현부의 길이 방향과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상기 구동 표현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이 되는 지점에 이르도록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표현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운동은 회전 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표현부는 본체 영역 및 상기 본체 영역의 측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표현부는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운동이 제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구동 표현부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구동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은 서로 일 방향 또는 이와 다른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 표현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동 표현부의 상부에서 본 투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구동 표현부와 코일부의 상호 위치를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변형예의 구동 표현부와 코일부의 상호 위치를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동 표현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동 표현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구동 표현부의 상부에서 본 투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1의 구동 표현부의 돌출부 및 베이스부의 구동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 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도 1은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을 도시한다. 즉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1000)은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일 수 있다.
도 1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10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장치(1000)은 구동 표현부(1100), 코일부(1200) 및 베이스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1100)는 코일부(12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1100)는 자성을 갖는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구동 표현부(1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 표현부(1100)는 자력부(1170) 및 자성체(118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117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1170)는 제1 자력부(1171) 및 제2 자력부(1172)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자력부(1171) 및 제2 자력부(1172)는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자력부(1171)는 N극이고, 제2 자력부(1172)는 S극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자력부(1171)는 S극이고, 제2 자력부(1172)는 N극일 수 있다.
자성체(1180)는 자기장에서 자화하는 성질을 갖고, 예를들면 자력부(1170)와 인접하여 자력부(1170)에 의하여 자화하여 자력부(1170)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체(118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철을 함유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니켈 또는 코발트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자성체(1180)는 자력부(117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1170)와 자성체(1180)는 서로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력부(1170)의 중심축과 자성체(1180)의 중심축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력부(1170)는 구동 표현부(11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자성체(1180)는 중앙 영역에서 구동 표현부(1100)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체(1180)의 일 측면은 구동 표현부(1100)의 일 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성체(1180)가 구동 표현부(1100)의 내부에 배치된 형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1170)의 중심축은 구동 표현부(1100)의 중심축과 나란할 수 있고, 자성체(1180)의 중심축은 구동 표현부(1100)의 중심축과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이러한 자력부(1170)와 자성체(1180)간의 중심축의 어긋남, 즉 편심으로 인하여 코일부(1200)에 자력부(1170) 및 자성체(1180)이 합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축 방향, 또는 구동 표현부(1100)의 자기축 방향은 구동 표현부(1100)의 중심축과 나란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용이하게 구동 표현부(1100)의 토크를 발생할 수 있고, 구동 표현부(1100)의 원활한 운동을 제어하여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정밀한 표현력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1100)는 회전 운동, 예를들면 소정의 각도를 갖고 각운동을 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1100)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적어도 구동 표현부(1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승 및 하강의 운동을 통하여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1100)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촉각 또는 시각적으로 구동 표현부(1100)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1100)는 주된 본체 영역(1110)의 측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11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동 표현부(1100)는 주된 본체 영역(111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돌출된 형태의 2개의 돌출부(11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1150)는 적어도 곡면 영역을 갖는 측면부(1150A) 및 고정부(1150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50B)는 적어도 일 영역에 평탄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표현부(1100)의 주된 본체 영역(1110)은 길게 연장된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구동 표현부(1100)의 단부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구동 표현부(1100)의 영역 중 구동 표현부(1100)가 돌출된 상태로서 사용자를 향하는 단부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구동 표현부(1100)의 하면(1120), 즉 구동 표현부(1100)가 돌출된 상태로서 사용자를 향하는 단부의 반대 방향의 면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면(1120)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서 자력부(1170)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력부(1170)를 구동 표현부(1100)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1100)의 돌출부(1150)는 구동 표현부(1100)의 주된 본체 영역(1110)의 측면의 영역 중 단부, 즉 구동 표현부(1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 표현부(1100)는 후술할 베이스부(1300)의 제1 수용부(131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1200)는 구동 표현부(110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부(1200)는 후술할 베이스부(1300)의 제2 수용부(132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120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120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120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120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1200)는 복수회로 전선이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권선된 횟수 등을 다양하게 제어 수 있다.
코일부(12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을 통하여 구동 표현부(1100)와 상호간에 척력 또는 인력이 발생하여 구동 표현부(1100)가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일부(1200)는 구동 표현부(11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코일부(1200)의 일 방향의 측면을 향하도록 구동 표현부(110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300)는 상기 구동 표현부(1100) 및 코일부(120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300)는 코일부(1200)에 대응하는 제1 영역(CA) 및 구동 표현부(1100)에 대응하는 제2 영역(MA)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2 영역(MA)은 제1 영역(CA)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1300)의 제1 영역(CA)과 제2 영역(MA)은 서로 중첩됨이 없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베이스부(1300)는 제1 수용부(1310) 및 제2 수용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310)는 구동 표현부(11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310)는 베이스부(1300)의 소정의 폭 및 소정의 길이만큼 제거된 형태의 공간일 수 있다. 제1 수용부(1310)는 적어도 베이스부(1300)의 일면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수용부(1310)에 수용된 구동 표현부(1100)는 제1 수용부(1310)에 수용된 채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1310)는 베이스부(1300)의 최상면 및 이와 연결된 일 측면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수용부(1310)의 길이는 적어도 구동 표현부(1100)의 길이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1100)가 제1 방향으로의 운동, 예를들면 상승과 그 반대 방향인 하강 운동뿐 아니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운동 예를들면 90도 회전 운동하여 구동 표현부(1100)가 눕혀진 상태에서도 구동 표현부(1100)는 제1 수용부(1310)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320)는 코일부(12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용부(1320)는 코일부(1200)를 수용하고, 제2 수용부(1320)는 제1 수용부(1310)와 구별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수용부(1310)와 제2 수용부(1320)는 이격되고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간적으로 코일부(120와 구동 표현부(1100)가 분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일부(1200)는 제2 수용부(1320)에 수용되고 베이스부(130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코일부(1200)의 영역 중 외부의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된 영역을 제외하고 베이스부(130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베이스부(1300)는 구동홈(1350) 및 걸림턱(13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홈(1350)은 제1 수용부(13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홈(1350)에는 구동 표현부(1100)의 돌출부(1150)가 대응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표현부(1100)가 제1 수용부(1310)에 배치 시, 구동 표현부(1100)의 돌출부(1150)가 구동홈(135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는 구동홈(1350)이 베이스부(1300)의 측면으로 관통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예로서 구동홈(1350)은 제1 수용부(1310)와 연결되고 베이스부(1300)의 측면으로 관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구동홈(1350)이 관통된 형태가 아닌 그루브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구동홈(1350)은 제1 영역(1350A) 및 제2 영역(13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350A)은 제2 영역(1350B)보다 제2 수용부(132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1350A)은 구동 표현부(1100), 예를들면 구동 표현부(1100)의 돌출부(1150)가 코일부(1200)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15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영역(1350A)은 구동 표현부(1100)의 돌출부(1150)의 측면부(1150A)와 유사한 형태의 가장자리 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영역(1350A)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350A)은 구동 표현부(1100)가 제1 방향, 즉 코일부(1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하고, 다시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운동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350A)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영역(1350B)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350B)은 제1 영역(1350A)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상기 제1 방향은 구동 표현부(1100)가 코일부(1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의 방향으로서 도 1, 도 2 및 도 4의 Z축 방향이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고, 예를들면 도 1, 도 2 및 도 4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후술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영역(1350B)은 상기 구동 표현부(1100)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돌출부(115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표현부(1100)가 회전 운동 시, 돌출부(1150)가 제1 영역(1350A)에서 상승 후 소정의 각만큼 회전 운동하여 제2 영역(135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1350B)은 돌출부(1150)가 회전 운동하여 배치된 상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1350B)은 구동 표현부(110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되돌아간 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하강, 예를들면 회전 운동하여 하강 시 운동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1350B)은 상기 제1 영역(1350A)을 회전한 상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 표현부(1100)가 제2 영역(1350B)에 배치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베이스부(1300)는 걸림턱(136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360)은 상면(1360A) 및 측면(1360B)을 포함하고, 걸림턱(1360)의 상면(1360A) 및 측면(1360B)은 연결되고 구동 표현부(1100)의 운동에 따라 돌출부(1150)의 고정부(1150B)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구동 표현부(1100)의 돌출부(1150)의 고정부(1150B)는 별도의 외부의 힘의 전달이 없을 경우 걸림턱(1360)의 측면(1360B)에 의하여 운동, 예를들면 회전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구동 표현부(1100)가 운동하여 돌출부(1150)가 구동홈(1350)의 제2 영역(1350B)에 대응 시 돌출부(1150)의 고정부(1150B)는 걸림턱(1360)의 상면(1360A)에 의하여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순서대로 참조하면서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1과 비교할 때 정보 출력 장치(1000)의 구동 표현부(1100)는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구동 표현부(110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승 운동한 상태로서 구동 표현부(1100)는 도 1과 비교할 때 코일부(1200)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표현부(1100)의 운동은 코일부(12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고, 구동 표현부(1100)에 포함된 자력부(1170) 의 극성에 따라 코일부(1200) 주변에 발생한 자기장으로부터 척력을 받아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표현부(1100)의 돌출부(1150)가 베이스부(1300)의 구동홈(1350)에 연결된 채 구동 표현부(1100)가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150)가 구동홈(1350)의 제1 영역(1350A)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승하여 제2 영역(1350B)의 제1 방향으로의 가장자리에 의하여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지점, 즉 돌출부(1150)가 최고점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구동 표현부(1100)도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최고점에 도달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의 상태에서 구동 표현부(1100)가 도 5a의 MD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110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지 않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운동 후 구동 표현부(1100)는 베이스부(1600)의 최상면을 넘어서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 표현부(1100)의 전체 영역이 베이스부(1600)의 제1 수용부(1310)에 수용되어 제1 수용부(1310)를 넘어서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 5a의 상태에서 코일부(1200)를 통한 자기장에 의하여 구동 표현부(1100)에 제1 방향으로의 힘이 전달되면, 즉 척력이 작용하면 돌출부(1150)의 측면부(1150A)의 곡면과 구동홈(1350)의 제2 영역(1350B)의 곡면을 통하여 또는 제1 영역(1350A) 및 제2 영역(1350B)의 곡면을 통하여 돌출부(1150)가 제2 영역(1350B)으로 배치되면서 구동 표현부(1100)가 용이하게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구동 표현부(1100)내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자기축 방향이 구동 표현부(1100)의 중심축과 나란하지 않고 어긋나도록 하여, 예를들면 자력부(1170)와 자성체(1180)는 서로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자력부(1170)의 중심축과 자성체(1180)의 중심축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1100)에 토크를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고, 구동 표현부(1100)의 원활한 운동을 제어하여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정밀한 표현력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도 5b의 상태는 사용자가 구동 표현부(1100)의 오프(off0)상태로서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상태인 도 1 또는 도 5a를 구동 표현부(1100)의 온(on)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도 5b의 상태는 구동 표현부(1100)에 별도의 힘을 인가하지 않아도 유지될 수 있다. 즉, 구동 표현부(1100)의 돌출부(1150)는 걸림턱(136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150)의 고정부(1150B)는 걸림턱(1360)의 상면(1360A)에 배치될 수 있고, 고정부(1150B) 및 걸림턱(1360)의 상면(1360A)이 모두 평탄면을 가져 돌출부(1150)가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구동 표현부(1100)를 구동하는 전력을 감소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정보 출력 장치(1000)의 구동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표현부(1100)에 제1 방향으로의 힘, 예를들면 척력이 작용하여도 도 5b의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5c를 참조하면, 도 5b의 상태에서 구동 표현부(1100)가 도 5b의 MD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전술한 MD1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1100)는 전술한 도 5a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표현부(1100)의 도 5b에 도시한 MD2 방향으로의 회전하여 도 5c 상태로의 운동은 구동 표현부(1100)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 즉 구동 표현부(1100)를 하강시키려는 힘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구동 표현부(1100)의 도 5b에서 도 5c의 상태로의 운동은 코일부(12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표현부(1100)에 포함된 자력부(1170) 의 극성에 따라 코일부(1200) 주변에 발생한 자기장으로부터 인력을 받아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도 5b의 상태에서 코일부(1200)를 통한 자기장에 의하여 구동 표현부(1100)에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힘, 즉 구동 표현부(1100)를 코일부(1200)와 가깝게 하려는 힘으로서, 예를들면 인력이 작용하면 돌출부(1150)의 측면부(1150A)의 곡면과 구동홈(1350)의 제2 영역(1350B)의 곡면을 통하여 또는 제1 영역(1350A) 및 제2 영역(1350B)의 곡면을 통하여 돌출부(1150)가 제1 영역(1350A)으로 배치되면서 구동 표현부(1100)가 MD2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5D를 참조하면, 도 5C 상태에서 도 5의 ND 방향으로 구동 표현부(1100)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구동 표현부(1100)는 도 5C의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운동, 예를들면 코일부(1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강하여 도 1과 동일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도 5C에서 도 5D로의 운동은 도 5C에서 구동 표현부(1100)에 작용하는 힘, 즉 구동 표현부(1100)를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힘, 예를들면 하강시키려는 힘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코일부(1200)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구동 표현부(1100)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5C상태에서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아도 중력에 의하여 구동 표현부(1100)가 하강하면서 도 5D의 상태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구동 표현부(1100)에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소정의 힘이 전달되지 않는 한 구동 표현부(1100)의 운동은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1300)의 걸림턱(1360)의 측면(1360B)에 의하여 구동 표현부(11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은 제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걸림턱(1360)의 측면(1360B)은 평탄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유닛의 구동 표현부는 적어도 제1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사용자가 표현부의 돌출 시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는, 표현부의 돌출 시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이를 감지함에 따른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의 일면, 예를들면 상면에 색상을 형성하거나 표현부의 일면에서 광을 발생하도록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구비할 경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구동 표현부는 코일부에 의한 자기장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1 방향으로 운동, 예를들면 상승할 수 있고, 구동 표현부의 돌출부와 구동홈에 의하여 제2 방향으로 운동, 예를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의 고정부가 구동홈의 걸림턱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회전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의 돌출이 낮아진 상태, 예를들면 오프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구동 표현부에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구동 표현부의 돌출부와 구동홈에 의하여 회전 운동, 예를들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계속적인 힘이 가해지거나 힘이 제거되더라도 구동 표현부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운동, 예를들면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의 고정부가 구동홈의 걸림턱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더 이상의 회전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표현부의 돌출 상태가 유지, 예를들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의 온(On) 및 오프(Off0)상태를 용이하게 전환 및 유지할 수 있고, 구동 표현부의 운동을 위한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장치의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 표현부(1100)에 구비된 자성체는 자력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와 자성체는 서로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력부의 중심축과 자성체의 중심축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 내의 자기장의 자기축 방향은 구동 표현부의 중심축과 나란하지 않을 수 이고,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에 토크를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고, 구동 표현부의 원활한 운동을 제어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정밀한 표현력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의 중심축은 구동 표현부의 중심축과 나란할 수 있고, 자성체의 중심축은 구동 표현부의 중심축과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구동 표현부와 코일부의 상호 위치를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코일부(1200)의 중심축 방향(C1)과 구동 표현부(1100)의 자력부(1170)의 자기축 방향(C2)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어긋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1100)에 대한 토크 발생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변형예의 구동 표현부와 코일부의 상호 위치를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코일부(1200')의 중심축 방향(C1)과 구동 표현부(1100')의 자력부(1170')의 자기축 방향(C2)은 서로 중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1100')를 수용하는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도 8의 구동 표현부의 돌출부 및 베이스부의 구동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20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을 도시한다. 즉 도 8의 정보 출력 장치(2000)는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을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도 8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20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20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장치(2000)은 구동 표현부(2100), 코일부(2200) 및 베이스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2100)는 후술할 코일부(22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2100)는 자성을 갖는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2100)는 자력부(2170) 및 자성체(218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217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2170)는 제1 자력부(2171) 및 제2 자력부(2172)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자력부(2171) 및 제2 자력부(2172)는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자력부(2171)는 N극이고, 제2 자력부(2172)는 S극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자력부(2171)는 S극이고, 제2 자력부(2172)는 N극일 수 있다.
자성체(2180)는 자기장에서 자화하는 성질을 갖고, 예를들면 자력부(2170)와 인접하여 자력부(2170)에 의하여 자화하여 자력부(2170)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체(218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철을 함유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니켈 또는 코발트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구동 표현부(2100)는 주된 본체 영역(2110)의 측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21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표현부(2100)는 주된 본체 영역(211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돌출된 형태의 2개의 돌출부(2150)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부(2150)와 본체 영역(2110)의 사이에는 돌출 연결부(2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연결부(2190)는 본체 영역(2110)의 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로서 돌출부(2150)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돌출 연결부(2190)는 후술할 베이스부(2300)의 걸림턱(2360)에 의하여 걸리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 연결부(2190)는 구동 표현부(2100)의 본체 영역(2110)과 돌출부(2150)의 사이에 돌출부(2150)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돌출부(2150)가 후술할 구동홈(2350) 및 걸림턱(2360)에 의한 회전 운동 및 제한 시에 국부적으로 받는 힘을 분산하여 돌출부(2150)가 하중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고, 돌출부(215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2150)는 적어도 곡면 영역을 갖는 측면부(2150A) 및 고정부(2150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50B)는 적어도 일 영역에 평탄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표현부(2100)의 주된 본체 영역(2110)은 일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구동 표현부(2100)의 단부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 표현부(2100)의 돌출부(2150)는 구동 표현부(2100)의 주된 본체 영역(2110)의 측면의 영역 중 단부, 즉 구동 표현부(2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 표현부(2100)는 후술할 베이스부(2300)의 제1 수용부(231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2200)는 구동 표현부(210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부(2200)는 후술할 베이스부(2300)의 제2 수용부(232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220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220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220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220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2200)는 복수회로 전선이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권선된 횟수 등을 다양하게 제어 수 있다.
코일부(22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을 통하여 구동 표현부(2100)는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일부(2200)는 구동 표현부(21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코일부(2200)의 일 방향의 측면을 향하도록 구동 표현부(210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2300)는 상기 구동 표현부(2100) 및 코일부(220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2300)는 코일부(2200)에 대응하는 제1 영역(CA) 및 구동 표현부(2100)에 대응하는 제2 영역(MA)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2 영역(MA)은 제1 영역(CA)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2300)의 제1 영역(CA)과 제2 영역(MA)은 서로 중첩됨이 없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베이스부(2300)는 제1 수용부(2310) 및 제2 수용부(2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310)는 구동 표현부(21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310)는 베이스부(2300)의 소정의 폭 및 소정의 길이만큼 제거된 형태의 공간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310)는 적어도 베이스부(2300)의 일면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수용부(2310)에 수용된 구동 표현부(2100)는 제1 수용부(2310)에 수용된 채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2310)는 베이스부(2300)의 최상면 및 이와 연결된 일 측면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310)의 길이는 적어도 구동 표현부(2100)의 길이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2100)가 제1 방향으로의 운동, 예를들면 상승과 그 반대 방향인 하강 운동뿐 아니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운동 예를들면 90도 회전 운동하여 구동 표현부(2100)가 눕혀진 상태에서도 구동 표현부(2100)는 제1 수용부(2310)에 수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2310)는 베이스부(2300)의 일 측면 또는 이와 마주보는 측면에 개방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양측면에 개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제2 수용부(2320)는 코일부(22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용부(2320)는 코일부(2200)를 수용하고, 제2 수용부(2320)는 제1 수용부(2310)와 구별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수용부(2310)와 제2 수용부(2320)는 이격되고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간적으로 코일부(220와 구동 표현부(2100)가 분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일부(2200)는 제2 수용부(2320)에 수용되고 베이스부(230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코일부(2200)의 영역 중 외부의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된 영역을 제외하고 베이스부(230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베이스부(2300)는 구동홈(2350) 및 걸림턱(23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홈(2350)은 제1 수용부(23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홈(2350)에는 구동 표현부(2100)의 돌출부(2150)가 대응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표현부(2100)가 제1 수용부(2310)에 배치 시, 구동 표현부(2100)의 돌출부(2150)가 구동홈(235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구동홈(2350)이 베이스부(2300)의 측면으로 관통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예로서 구동홈(2350)은 제1 수용부(2310)와 연결되고 베이스부(2300)의 측면으로 관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구동홈(2350)이 관통된 형태가 아닌 그루브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구동홈(2350)은 제1 영역(2350A) 및 제2 영역(23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350A)은 제2 영역(2350B)보다 제2 수용부(232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2350A)은 구동 표현부(2100), 예를들면 구동 표현부(2100)의 돌출부(2150)가 코일부(2200)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215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영역(2350A)은 구동 표현부(2100)의 돌출부(2150)의 측면부(2150A)와 유사한 형태의 가장자리 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영역(2350A)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350A)은 구동 표현부(2100)가 제1 방향, 즉 코일부(2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하고, 다시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운동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350A)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영역(2350B)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2350B)은 제1 영역(2350A)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상기 제1 방향은 구동 표현부(2100)가 코일부(2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의 방향으로서 도 8 및 도 9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고, 예를들면 도 8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2350B)은 상기 구동 표현부(2100)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돌출부(215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표현부(2100)가 회전 운동 시, 돌출부(2150)가 제1 영역(2350A)에서 상승 후 소정의 각만큼 회전 운동하여 제2 영역(235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2350B)은 돌출부(2150)가 회전 운동하여 배치된 상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2350B)은 구동 표현부(210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되돌아간 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하강, 예를들면 회전 운동하여 하강 시 운동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2350B)은 상기 제1 영역(2350A)을 회전한 상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 표현부(2100)가 제2 영역(2350B)에 배치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베이스부(2300)는 걸림턱(23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동 표현부(2100)의 돌출부(2150)의 고정부(2150B)는 걸림턱(2360)의 상면(2360A)에 배치되어 구동 표현부(2100)가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걸림턱(2360)의 상면(2360A)은 평탄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홈(2350)과 중첩되는 경계선(2370)을 기준으로 베이스부(2300)는 분리 영역(2380)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분리 영역(2380)의 가장자리가 경계선(2370)에 대응되어 분리 영역(2380)을 베이스부(2300)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할 경우 구동홈(2350)은 개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분리 영역(2380)을 베이스부(2300)의 나머지 부분에 배치 또는 결합 전에 구동 표현부(2100)를 제1 수용부(2310)에 배치하고 분리 영역(2380)을 나중에 배치 또는 결합하여 구동 표현부(2100)를 베이스부(2300)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2000)의 동작에 대한 것은 전술한 도 5a 내지 도 5d와 유사하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8은 구동 표현부(2100)는 온(on)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구동 표현부(2100)에는 코일부(2200)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 즉 도 8의 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강하는 방향이 힘이 작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표현부(2100)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한 후에 상기 힘이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즉, 구동 표현부(2100)의 돌출부(2150)는 구동홈(235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돌출부(2150)의 고정부(2150B)는 베이스부(2300)의 걸림턱(2360)의 측면(2360B)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코일부(2200)를 통한 자기장 발생으로 구동 표현부(2100)에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구동 표현부(2100)는 제1 방향으로 운동, 즉 상승 운동한 상태로서 구동 표현부(2100)는 도 8과 비교할 때 코일부(2200)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표현부(2100)의 운동은 코일부(22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고, 구동 표현부(2100)에 포함된 자성 재료, 예를들면 영구 자석의 극성에 따라 코일부(2200) 주변에 발생한 자기장으로부터 척력을 받아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표현부(2100)의 돌출부(2150)가 베이스부(2300)의 구동홈(2350)에 연결된 채 구동 표현부(2100)가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150)가 구동홈(2350)의 제1 영역(2350A)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승하여 제2 영역(2350B)의 제1 방향으로의 가장자리에 의하여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지점, 즉 돌출부(2150)가 최고점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구동 표현부(2100)도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최고점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계속적으로 구동 표현부(2100)에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구동 표현부(2100)가 회전 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210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지 않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표현부(2100)가 도 8의 X축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 표현부(2100)의 길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1 수용부(2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운동은 코일부(2200)를 통한 자기장에 의하여 구동 표현부(2100)에 제1 방향으로의 계속적으로 힘이 전달되면, 즉 척력이 작용하면 돌출부(2150)의 측면부(2150A)의 곡면과 구동홈(2350)의 제2 영역(2350B)의 곡면을 통하여 또는 제1 영역(2350A) 및 제2 영역(2350B)의 곡면을 통하여 돌출부(2150)가 제2 영역(2350B)으로 배치되면서 구동 표현부(2100)가 용이하게 회전하면서 진행될 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표현부(2100)가 회전 하여도 베이스부(2600)의 최상면을 넘어서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 표현부(2100)의 전체 영역이 베이스부(2600)의 제1 수용부(2310)에 수용되어 제1 수용부(2310)를 넘어서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 운동 후 구동 표현부(2100)에 별도의 힘을 인가하지 않아도 구동 표현부(2100)의 돌출부(2150)가 걸림턱(236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150)의 고정부(2150B)가 걸림턱(2360)의 상면(2360A)에 배치될 수 있고, 고정부(2150B) 및 걸림턱(2360)의 상면(2360A)이 평탄면을 가져 돌출부(2150)가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구동 표현부(2100)를 구동하는 전력을 감소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정보 출력 장치(2000)의 구동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다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 즉 구동 표현부(2100)를 표현부(2100)방향으로 당기는 인력이 작용하면 구동 표현부(2100)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표현부(2100)에 코일부(2200)와 가까워지도록 하는 인력이 작용하면 돌출부(2150)의 측면부(2150A)의 곡면과 구동홈(2350)의 제2 영역(2350B)의 곡면을 통하여 또는 제1 영역(2350A) 및 제2 영역(2350B)의 곡면을 통하여 돌출부(2150)가 제1 영역(2350A)으로 배치되면서 구동 표현부(2100)가 용이하게 회전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인력이 계속 작용하면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힘이 제거되더라도 구동 표현부(2100)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운동, 예를들면 코일부(2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강하여 다시 도 8과 동일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구동 표현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3000)는 적어도 하나 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도 10은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을 도시한다. 즉 도 10의 정보 출력 장치(3000)는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일 수 있다.
도 10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30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30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장치(3000)은 구동 표현부(3100), 코일부(3200) 및 베이스부(3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3100)는 코일부(32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3100)는 자성을 갖는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 표현부(3100)는 자력부(3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317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3170)는 제1 자력부(3171) 및 제2 자력부(3172)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자력부(3171) 및 제2 자력부(3172)는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자력부(3171)는 N극이고, 제2 자력부(3172)는 S극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자력부(3171)는 S극이고, 제2 자력부(3172)는 N극일 수 있다.
자력부(3170)의 자기축의 방향(C2)은 구동 표현부(3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3170)의 자기축의 방향(C2)은 구동 표현부(3100)의 중심축과 서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3170)의 중심축은 구동 표현부(3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틸트될 수 있다.
이러한 자력부(3170)의 자기축의 방향(C2)과 구동 표현부(3100)의 중심축의 어긋남으로 인하여 구동 표현부(3100)에 용이하게 토크를 발생할 수 있고, 구동 표현부(3100)의 원활한 운동을 제어하여 정보 출력 장치(3000)의 정밀한 표현력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1을 기준으로 자력부(3170)는 적어도 구동 표현부(3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이 되는 지점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자력부(3170)는 구동 표현부(3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이 되는 지점에 이르도록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3100)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켜 구동 표현부(3100)에 용이하게 토크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400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내지 IU9)을 포함한다.
도 12에는 9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40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40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출력 장치(400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내지 IU9)을 보호하도록 하우징(4202)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4202)은 각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하는 비아홀(4202a)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정보 출력 유닛은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정보 출력 장치의 베이스부를 본 실시예에 적용 시 베이스부는 적어도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한 다른 예로서 베이스부는 복수의 전체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베이스부는 각 정보 출력 유닛에 구비된 코일부와 구동 표현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복수 개 구비하면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유닛의 구동 표현부는 적어도 제1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구동 표현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사용자가 표현부의 돌출 시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는, 표현부의 돌출 시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이를 감지함에 따른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의 일면, 예를들면 상면에 색상을 형성하거나 표현부의 일면에서 광을 발생하도록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구비할 경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구동 표현부는 코일부에 의한 자기장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1 방향으로 운동, 예를들면 상승할 수 있고, 구동 표현부의 돌출부와 구동홈에 의하여 제2 방향으로 운동, 예를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의 고정부가 구동홈의 걸림턱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회전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의 돌출이 낮아진 상태, 예를들면 오프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구동 표현부에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구동 표현부의 돌출부와 구동홈에 의하여 회전 운동, 예를들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계속적인 힘이 가해지거나 힘이 제거되더라도 구동 표현부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운동, 예를들면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의 고정부가 구동홈의 걸림턱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더 이상의 회전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표현부의 돌출 상태가 유지, 예를들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의 온(On) 및 오프(Off)상태를 용이하게 전환 및 유지할 수 있고, 구동 표현부의 운동을 위한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장치의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 표현부 내의 자기장의 자기축 방향은 구동 표현부의 중심축과 나란하지 않을 수 이고,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에 토크를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고, 구동 표현부의 원활한 운동을 제어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정밀한 표현력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표현부에 구비된 자성체는 자력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표현부에 구비된 자력부의 자기축의 방향은 구동 표현부의 중심축과 어긋나거나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500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및 IU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및 IU3)이 모두 오프(off)상태이고, 도 13b는 정보 출력 유닛(IU2)은 온(on)이고, 정보 출력 유닛(IU1 및 IU3)은 오프(off)상태일 수 있다.
도 13에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50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50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4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이 배열될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다른 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배열될 수 있다.
각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및 IU3)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정보 출력 장치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및 IU3)은 구동 표현부(5100), 코일부(5200) 및 베이스부(5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5300)는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및 IU3) 중 적어도 두 개 또는 전체에 대응하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 표현부(5100)는 코일부(52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정보 출력 유닛(IU2)의 구동 표현부(5100)와 같이 회전 운동하여 돌출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 표현부(5100) 내의 자기장의 자기축 방향은 구동 표현부(5100)의 중심축과 나란하지 않을 수 이고,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5100)에 토크를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고, 구동 표현부(5100)의 원활한 운동을 제어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정밀한 표현력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자성체(5180)는 자력부(517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5170)와 자성체(5180)는 서로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력부(5170)의 중심축과 자성체(5180)의 중심축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 13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보 출력 유닛들에서 구동 표현부(5100)내에서의 자기장의 자기축 방향, 구체적 예로서 자력부(5170) 및 자성체(5180)의 자기장의 자기축 방향(M1, M2, M3)은 구동 표현부(5100)의 중심축 방향 또는 구동 표현부(5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되어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정보 출력 유닛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정보 출력 유닛들간의 인력(F12, F23)도 구동 표현부(5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되어 있다.
또한, 도 13b에는 정보 출력 유닛(IU2)의 구동 표현부(5100)가 회전한 상태인데, 구동 표현부(5100)내에서의 자기장의 자기축 방향, 구체적 예로서 자력부(5170) 및 자성체(5180)의 자기장의 자기축 방향(M2)은 구동 표현부(5100)의 중심축 방향 또는 구동 표현부(5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5200)의 중심축 방향과 나란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중심축과 소정의 각을 갖고 틸트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 표현부(5100)의 토크를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코일부(5200)를 통한 구동 시 용이하게 구동 표현부(5100)를 제어하고 운동할 수 있게 하여 정보 출력 장치(5000)의 제어 특성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0, 1000', 2000, 3000, 4000, 5000: 정보 출력 장치
1100, 1100', 2100, 3100, 5100: 구동 표현부
1170, 1170', 2170, 3170, 5170: 자력부
1180, 1180', 2180, 3180, 5180: 자성체
1200, 1200', 2200, 3200, 5200: 코일부
1300, 1300', 2300, 3300, 5300: 베이스부

Claims (1)

  1.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전원과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코일부와 이격되고 상기 코일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채 회전 운동하도록, 상기 코일부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일 방향으로 편심된 자기축 방향을 갖는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형성된 구동 표현부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KR1020190161672A 2019-12-06 2019-12-06 정보 출력 장치 KR20200006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672A KR20200006025A (ko) 2019-12-06 2019-12-06 정보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672A KR20200006025A (ko) 2019-12-06 2019-12-06 정보 출력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931A Division KR102055304B1 (ko) 2017-08-08 2017-09-01 정보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025A true KR20200006025A (ko) 2020-01-17

Family

ID=6937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672A KR20200006025A (ko) 2019-12-06 2019-12-06 정보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60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973B1 (ko) 2021-03-31 2022-01-17 주식회사 대림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경관리 방법
WO2024043633A1 (ko) * 2022-08-24 2024-02-29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973B1 (ko) 2021-03-31 2022-01-17 주식회사 대림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경관리 방법
WO2024043633A1 (ko) * 2022-08-24 2024-02-29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7337A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20180357924A1 (en)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same
KR102150657B1 (ko) 점자 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출력 장치
KR20200006025A (ko) 정보 출력 장치
KR20170052384A (ko) 정보 출력 장치
KR102055304B1 (ko) 정보 출력 장치
CN112292722B (zh) 信息输出装置
US20220230517A1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KR102506630B1 (ko) 돌출형 피드백 기반 스마트 태블릿
KR102180048B1 (ko) 정보 출력 장치
KR20170125761A (ko) 정보 출력 장치
CN110998492B (zh) 信息输出装置
KR102466488B1 (ko)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KR20190133928A (ko) 정보 출력 장치
US20190099782A1 (en) Haptic actuator with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
KR102228634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2429908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1959022B1 (ko) 정보 출력 장치
KR20200133307A (ko) 정보 출력 장치
KR20230096574A (ko) 정보 출력 장치
KR101763398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1763397B1 (ko) 정보 출력 장치
KR20230096573A (ko) 정보 출력 장치
KR101763399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2504327B1 (ko) 정보 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