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488B1 -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 Google Patents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488B1
KR102466488B1 KR1020200096384A KR20200096384A KR102466488B1 KR 102466488 B1 KR102466488 B1 KR 102466488B1 KR 1020200096384 A KR1020200096384 A KR 1020200096384A KR 20200096384 A KR20200096384 A KR 20200096384A KR 102466488 B1 KR102466488 B1 KR 10246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ression
unit
area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832A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200096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488B1/ko
Priority to PCT/KR2021/007764 priority patent/WO2022025433A1/ko
Publication of KR2022001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감지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돌출 운동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표현부, 상기 표현부의 운동을 제어하는 운동 제어부, 상기 표현부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상기 운동 제어부를 제어하는 정보 제어부, 상기 표현 영역 상의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표현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동작 조절부를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Protruding based smart table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출력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정보 출력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다양한 회로 등이 내장되어 제조의 의성이 감소하고 제어상의 불편성이 있다.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입력 내용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시 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안정적 구동에 곤란이 있어 정보 출력 장치의 향상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출력 정보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감지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돌출 운동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표현부, 상기 표현부의 운동을 제어하는 운동 제어부, 상기 표현부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상기 운동 제어부를 제어하는 정보 제어부, 상기 표현 영역 상의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표현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동작 조절부를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감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현부는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감지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표현 영역 상의 사용자의 조작 영역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 영역을 파악하여 표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제어부, 상기 정보 생성 제어부가 생성한 정보에 따라 운동력을 제어하는 운동 제어부 및 상기 운동 제어부가 제공하는 운동력에 의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돌출 운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표현 정보를 표현하는 복수 개의 표현부를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은 표현부에 대한 정밀한 제어를 통하여 정보 표현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은 사용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감지한 후에 출력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동작 조절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다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일 영역을 확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동작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스마트 태블릿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1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다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1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다른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2는 도 20의 운동 표현부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의 운동 표현부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또 다른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또 다른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에 포함된 지지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또 다른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또 다른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100, 이하 "스마트 태블릿"이라고 함)은 사용자가 감지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서, 표현부(110), 운동 제어부(120), 정보 제어부(130), 감지부(150) 및 동작 조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110)는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돌출 운동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 태블릿(100)은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정보가 표현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고, 이러한 표현 영역에 복수의 표현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표현부(110)는 사용자가 촉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돌출 운동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시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운동 제어부(120)는 상기 표현부(110)가 돌출되도록 상기 표현부(110)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운동 제어부(120)는 상기 표현부(110)가 돌출되는 일 방향(예를들면 상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운동 제어부(120)는 상기 표현부(110)가 돌출되는 일 방향(예를들면 상향)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운동 제어부(120)는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운동 제어부(120)와 연결된 표현부(110)가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제어부(12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제공 영역 및 이러한 구동 제공 영역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 운동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 영역은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선형 또는 각 운동하고, 이러한 운동에 의하여 표현부(110)가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운동 제어부(120)는 표현부(110)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표현부(110)가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복수 개의 표현부(110)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정보 제어부(130)는 상기 표현부(110)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상기 운동 제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정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점자 형태의 정보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정보 제어부(130)는 점자 이외에 사용자가 촉각 또는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표현부(110)가 돌출되도록 운동 제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보 제어부(130)가 생성한 정보 영역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표현부(110)가 돌출되도록 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돌출된 표현부(110)를 감지, 예를들면 촉각적으로 감지하여 정보 영역이 제공하는 정보, 구체적 예로서 점자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제어부(130)는 스마트 태블릿(100)에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의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 제어부(120)를 제어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외부의 디바이스 등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여 정보를 전달받아 운동 제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상기 표현 영역 상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손이 표현 영역 상에 존재하는 지 감지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마트 태블릿(100)의 표현 영역 상의 복수의 표현부(110)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놓여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스마트 태블릿(100)에 대하여 표현부(110)의 돌출 형태를 감지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하거나 점자 형태의 정보를 감지할 경우에 손가락을 복수의 표현부(110)에 대하여 접촉하면서 이동하면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이 때에 정보의 표현이 중지되거나 정보의 표현을 위하여 휴지기인 경우에도 사용자는 손가락을 표현부(110)에 대응시킨 채 그대로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대고 있어 표현부(110)가 돌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감지부(15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에 대응된 위치의 표현부(110)의 돌출이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표현부(110)를 통한 정보의 표현을 중지하거나 사용자에게 손을 움직일 것을 알리거나 표현부(110)의 돌출 영역을 이동하는 등의 제어를 하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감지부(150)는 광학 부재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들면 레이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감지부(150)는 일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 개의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방향(예를들면 X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레이저 센서 중 어느 레이저 센서가 감지했는지 여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일 방향(예를들면 X 방향)을 따라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고, 각 레이저 센서의 사용자의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거리 감지를 통하여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Y 방향)을 따라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있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나아가 손가락에 대응하여 막혀있는 표현부(110)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감지부(150)는 다양한 형태의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감지부(150)는 광학 센서 이외의 다른 방법을 이용한 위치 감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 조절부(170)는 상기 감지부(150)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표현부(11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동작 조절부(170)는 감지부(150)가 감지한 결과 물체, 예를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표현부(110)에 올려져 있어 표현부(110)의 동작에 제한이 있는 경우 표현부(110)의 동작을 조절, 예를들면 동작의 개시를 정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올려져 있는 표현부(110)의 영역이 상기 정보 제어부(130)가 생성한 정보 영역에 대응되는 경우에 표현부(11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동작 조절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조절부(170')는 동작 중지 제어부(172'), 동작 변경 제어부(174') 또는 고지 제어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동작 조절부(170')는 동작 중지 제어부(172'), 동작 변경 제어부(174') 및 고지 제어부(175')를 모두 도시하고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동작 조절부(170')는 동작 중지 제어부(172'), 동작 변경 제어부(174') 및 고지 제어부(17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중지 제어부(172')는 표현부(110)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정보 제어부(130)가 생성한 정보 영역에 포함된 표현부(110)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손이 위치할 경우 정보 영역에 대응된 표현부(110)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동작 변경 제어부(174')는 표현부(110)의 동작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정보 제어부(130)가 생성한 정보 영역에 포함된 표현부(110)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할 경우 정보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현부(110)가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정보 영역의 형태는 그대로 둔 채 위치만 변경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지 않은 표현부(110)들에 대응되도록 정보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막고 있어 돌출과 같은 동작이 제한되는 표현부(110)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쉬프트한 위치에 정보 영역을 표현하도록 표현부(110)들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정보 영역의 형태는 변경되지 않고 위치만 변경되어 표현부(110)가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정보 영역을 통한 정보를 그대로 획득할 수 있다.
고지 제어부(175')는 사용자에게 정보 영역에 대한 물체의 존재등으로 제한됨을 고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정보 제어부(130)가 생성한 정보 영역에 포함된 표현부(110)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할 경우 소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 영역을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보 영역의 위치에 있으니 손가락의 위치를 변경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음성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지 제어부(175')는 청각 신호 발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지 제어부(175')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여 진동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태블릿(100)은 표현 영역(DA) 및 감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표현 영역(DA)은 복수의 표현부(미도시)가 배열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표현부(미도시) 및 이와 교차하는 일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표현부(미도시)가 배열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현 영역(DA)에 배열된 표현부들의 돌출 형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정보 제어부가 생성한 정보 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표현 영역(DA)의 표현부들이 돌출되고, 사용자가 손가락(FG)을 통하여 촉각적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마트 태블릿(100)은 커버부(102)를 포함하고, 커버부(102)의 일 면에 표현 영역(DA)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2)에는 복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미도시)을 통하여 복수의 표현부들이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
감지부(150)는 커버부(102)의 일면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감지부(150)는 커버부(102)로부터 분리되고 커버부(102)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감지부(150)는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151-1, 15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151-1, 151-2)는 각각 광학 부재로서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확인 부재(151-1, 151-2)는 일 방향으로의 표현 영역(DA)의 폭에 전체에 대응되도록 적절한 개수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마트 태블릿(100)에 대하여 사용자의 사용 시 기준으로 커버부(102)의 상부에 감지부(150)가 배치되고,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151-1, 151-2)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151-1, 151-2)의 각각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손가락(FG)이 표현 영역(DA)의 가로 방향으로 어디에 위치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FG)에 대응된 위치 확인 부재(151-xn)을 통하여 세로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가락(FG)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면 위치 확인 부재(151-xn)은 손가락(FG)까지의 거리(l)를 파악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여 레이저 입사 및 반사를 통하여 손가락(FG)까지의 거리(l)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표시 영역(DA) 내에 손가락(FG)이 위치한 경우 손가락(FG)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손가락(FG)이 대응되어 동작이 제한되는 표현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다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태블릿(100)에 대하여 사용자의 사용 시 기준으로 커버부(102)의 측면, 예를들면 좌측에 감지부(150)가 배치되고,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감지부(150)의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 각각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손가락(FG)이 표현 영역(DA)의 세로 방향으로 어디에 위치한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FG)에 대응된 위치 확인 부재를 통하여 가로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가락(FG)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일 영역을 확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은 스마트 태블릿(100)의 표현 영역(DA)의 일 영역을 도시한 예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커버부(102)에는 복수의 홀(102a)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홀(102a)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유닛(IU1-IU9)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닛(IU1-IU9)은 각각 돌출되도록 운동하는 표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태블릿(100)의 표시 영역에 복수 개의 유닛(IU)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홀을 통하여 복수 개의 유닛(IU)의 표현부가 돌출되기 전을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마트 태블릿(100)에는 사용자의 사용 시 기준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 복수 개의 유닛(IU)이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태블릿(100)을 사용 시 복수의 유닛(IU)의 표현부의 돌출 상태를 감지, 예를들면 손가락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유닛(IU)의 표현부의 돌출을 통하여 정보를 표현하기 전에 사용자의 손가락(FG)이 하나 이상의 유닛(IU)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다른 신체 영역 또는 기타 다양한 물체의 일 영역이 유닛(IU)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유닛(IU)의 표현부가 돌출되는 홀을 막고 있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비 정보 영역(PIAR)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비 정보 영역(PIAR)은 전체의 유닛(IU)들 중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선택된 복수의 유닛(IU)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비 정보 영역(PIAR)은 아직 유닛(IU)이 동작 전이고, 예를들면 유닛(IU)의 표현부가 돌출되지 전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손가락(FG)이 예비 정보 영역(PIAR)의 일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손가락(FG)이 예비 정보 영역(PIAR)에 대응된 하나 이상의 유닛(IU)에 대응되고, 구체적 예로서 하나 이상의 유닛(IU)의 표현부가 돌출되는 홀을 막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유 전술한 감지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FG)의 정확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복수의 유닛(IU) 중 손가락(FG)에 대응되어 덮여 있는 유닛(IU)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비 정보 영역(PIAR) 대신 정보 영역(IAR)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 영역(IAR)은 예비 정보 영역(PIAR)과 형태가 동일하고, 형성되는 위치만 상이하다.
예를들면 정보 영역(IAR)에 포함된 대응 돌출 유닛(IU')은 돌출되어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대응 돌출 유닛(IU')은 적어도 하나 이상 예비 정보 영역(PIAR)에 포함된 유닛(IU)과는 상이하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예비 정보 영역(PIAR)에 사용자의 손가락(FG)등과 같이 물체가 대응되는 경우에는 유닛(IU)을 그대로 돌출하도록 운동을 개시하지 않고 유닛(IU)의 운동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비 정보 영역(PIAR)의 위치를 일 방향 또는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 거리만큼 쉬프트하여 정보 영역(IAR)을 형성한 후에 정보 영역(IAR)에 포함된 대응 돌출 유닛(IU')이 돌출 운동을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정 거리"는 적어도 사용자의 손가락(FG)등의 물체로 제한받지 않는 위치로서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예비 정보 영역(PIAR)의 위치에서 정보 영역(IAR)로 쉬프트 하는 경우에 기준점을 이용할 수 있다. 예비 정보 영역(PIAR)에 대응된 복수의 유닛(IU) 중 최단부, 예를들면 사용자 기준으로 최 좌측 하단의 유닛(IU)을 기준점으로 정할 수 있고, 이러한 기준점을 "설정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에 예비 정보 영역(PIAR)에 대응된 모양대로 대응 돌출 유닛(IU')을 동작하도록 하여 정보 영역(IAR)을 표현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동작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8의 예비 정보 영역(PIAR)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태로 정보 영역(IAR)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도 8의 사용자의 손가락(FG)의 제거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도 8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FG)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운동 제한 등의 내용을 고지할 수 있고, 이러한 고지는 음성 정보를 통하여 "손가락을 잠깐 들어 주세요"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내용으로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에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스마트 태블릿(100)의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지가 있으면 사용자는 손가락(FG)을 들어올리거나 적어도 예비 정보 영역(PIAR)으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으로 예비 정보 영역(PIAR)의 유닛(IU)상에 물체의 장애가 없는 경우에 정보 영역(IAR)으로서 유닛(IU)이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태블릿은 적어도 복수 개의 표현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부의 선택적 돌출 시 돌출된 것에 대한 촉각적 감지를 통하여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시각적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스마트 태블릿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마트 태블릿은 표현부의 선택적 돌출 시 돌출된 것에 대한 시각적 감지를 통하여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스마트 태블릿을 사용자가 사용 시, 예를들면 시각적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사용 시 거의 손가락은 스마트 태블릿 상에 올려놓고 있고, 예를들면 표현부가 돌출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표현 영역 상에서 매우 빠르게 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태블릿은 일회 또는 복수 회, 나아가 시계열적으로 표현부를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데, 예를들면 돌출될 표현부들을 포함하는 예비 정보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예비 정보 영역 상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있는지 감지할 수 있고, 손가락이 없으면 예비 정보 영역에서 표현부들이 돌출되어 정보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만일 손가락이 예비 정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면, 감지부를 통하여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는 예를들면 광학 부재를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복수 개의 레이저 센서가 일 방향으로 나열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레이저 센서가 스마트 태블릿의 일 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복수의 표현부 중 어느 표현부에 대응되도록 놓여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소리, 예를들면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고지하거나 진동을 통하여 고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들거나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예비 정보 영역에서 제거되면 예비 정보 영역에서 표현부들이 그대로 돌출되어 정보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지 않은 표현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손가락이 위치하지 않은 표현부를 포함한 정보 영역을 형성하여 정보 영역에 대응된 표현부가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비 정보 영역의 위치로부터 일 방향 또는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예비 정보 영역을 쉬프트하여 정보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쉬프트의 편의성을 위하여 예비 정보 영역의 기준점이 되는 표현부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태블릿은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고, 이러한 복수의 유닛의 동작을 빠르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밀한 제어 시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물체가 미리 유닛에 대응되어 표현부가 돌출되는 것을 막고 있는 경우에 무리하게 손가락에 대한 저항을 하며 돌출을 시도하여 전력량이 증가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200, 이하 "스마트 태블릿"이라고 함)은 사용자가 감지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서, 감지부(250), 정보 생성 제어부(270), 표현부(210) 및 운동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210)는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돌출 운동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 태블릿(200)은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정보가 표현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고, 이러한 표현 영역에 복수의 표현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표현부(210)는 사용자가 촉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돌출 운동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시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250)는 상기 표현 영역 상의 사용자의 조작 영역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손이 표현 영역 상에 존재하는 지 감지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마트 태블릿(200)의 표현 영역 상의 복수의 표현부(210)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놓여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감지부(250)는 사용자가 스마트 태블릿(200)의 표현 영역 상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동하는 경우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고, 손가락이 표현 영역 상에서 이동한 경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가 스마트 태블릿(200)의 표현 영역 상에서 글자를 쓰거나 모양을 손가락으로 그린 경우에 감지부(25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경로를 감지하고 손가락으로 쓴 글씨 또는 모양 등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50)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감지부(250)는 광학 부재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들면 레이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감지부(250)는 일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 개의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방향(예를들면 X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레이저 센서 중 어느 레이저 센서가 감지했는지 여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일 방향(예를들면 X 방향)을 따라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고, 각 레이저 센서의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거리 감지를 통하여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Y 방향)을 따라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있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나아가 손가락의 이동 시 손가락의 이동 경로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정보 생성 제어부(270)는 상기 감지부(250)가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 영역을 파악하여 표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감지부(250)가 감지한 사용자의 조작 영역이 표현 영역 상의 이동 경로를 포함할 경우 정보 생성 제어부(270)는 이러한 이동 경로를 표현 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생성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이동하면서 쓴 글씨 또는 도형 등을 표현 정보로 생성할 수 있고, 이 때, 해당 표현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 영역을 생성하고, 정보 영역에 대응된 표현부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운동 제어부(220)는 상기 정보 생성 제어부(270)가 생성한 정보에 따라 운동력을 제어하고, 이러한 운동력을 표현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정보 생성 제어부(270)가 생성한 정보 영역에 대응된 표현부(210)는 운동 제어부(220)에 의하여 제어된 운동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표현부(210) 중 운동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운동력을 제공받은 표현부(210)는 돌출되는 운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되는 운동을 하는 표현부(210)는 상기 정보 생성 제어부(270)가 생성한 정보 영역에 위치한 것들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표현 영역 상에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린 경우에, 사용자가 쓴 글씨 또는 그림에 대응된 형태를 표현부(210)가 돌출되는 형태로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촉각적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보 영역에 이미 놓여있는 경우에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정보 영역 형성 전에 예비 정보 영역을 형성 후 사용자에게 고지하여 손가락을 치운 후에 정보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예비 정보 영역을 형성 후 표현부의 운동 전에 예비 정보 영역을 일 방향 또는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쉬프트 시켜 손가락의 방해없이 정보 영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운동 제어부(220)는 상기 표현부(210)가 돌출되는 일 방향(예를들면 상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운동 제어부(220)는 상기 표현부(210)가 돌출되는 일 방향(예를들면 상향)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운동 제어부(220)는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운동 제어부(220)와 연결된 표현부(210)가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제어부(22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제공 영역 및 이러한 구동 제공 영역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 운동 영역을 포함할 수 잇고, 이러한 운동 영역은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선형 또는 각 운동하고, 이러한 운동에 의하여 표현부(210)가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운동 제어부(220)는 표현부(210)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표현부(210)가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복수 개의 표현부(210)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의 스마트 태블릿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200')은 사용자가 감지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서, 감지부(250'), 정보 생성 제어부(270'), 표현부(210'), 운동 제어부(220') 및 동작 분석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210')는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돌출 운동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 태블릿(200')은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정보가 표현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고, 이러한 표현 영역에 복수의 표현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표현부(210')는 사용자가 촉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돌출 운동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시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250')는 상기 표현 영역 상의 사용자의 조작 영역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손이 표현 영역 상에 존재하는 지 감지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마트 태블릿(200')의 표현 영역 상의 복수의 표현부(210')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놓여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감지부(250')는 사용자가 스마트 태블릿(200')의 표현 영역 상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동하는 경우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고, 손가락이 표현 영역 상에서 이동한 경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가 스마트 태블릿(200')의 표현 영역 상에서 글자를 쓰거나 모양을 손가락으로 그린 경우에 감지부(25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경로를 감지하고 손가락으로 쓴 글씨 또는 모양 등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50')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감지부(250')는 광학 부재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들면 레이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감지부(250')는 일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 개의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방향(예를들면 X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레이저 센서 중 어느 레이저 센서가 감지했는지 여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일 방향(예를들면 X 방향)을 따라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고, 각 레이저 센서의 사용자의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거리 감지를 통하여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Y 방향)을 따라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있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나아가 손가락의 이동 시 손가락의 이동 경로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동작 분석 제어부(260')는 감지부(250')가 감지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이 손가락을 통하여 표현 영역 상에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한 경우 시계열적인 손가락의 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통하여 진행한 동작의 결과를 분석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의 결과로서 손가락의 시간 순서에 따른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정보 생성 제어부(270')는 상기 감지부(250)가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 영역을 파악하여 표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동작 분석 제어부(260')가 분석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정보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생성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이동하면서 쓴 글씨 또는 도형 등을 표현 정보로 생성할 수 있고, 이 때, 해당 표현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 영역을 생성하고, 정보 영역에 대응된 표현부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운동 제어부(220')는 상기 정보 생성 제어부(270')가 생성한 정보에 따라 운동력을 제어하고, 이러한 운동력을 표현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정보 생성 제어부(270')가 생성한 정보 영역에 대응된 표현부(210')는 운동 제어부(220')에 의하여 제어된 운동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표현부(210') 중 운동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운동력을 제공받은 표현부(210')는 돌출되는 운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되는 운동을 하는 표현부(210')는 상기 정보 생성 제어부(270')가 생성한 정보 영역에 위치한 것들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표현 영역 상에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린 경우에, 사용자가 쓴 글씨 또는 그림에 대응된 형태를 표현부(210')가 돌출되는 형태로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촉각적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보 영역에 이미 놓여있는 경우에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정보 영역 형성 전에 예비 정보 영역을 형성 후 사용자에게 고지하여 손가락을 치운 후에 정보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예비 정보 영역을 형성 후 표현부의 운동 전에 예비 정보 영역을 일 방향 또는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쉬프트 시켜 손가락의 방해없이 정보 영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운동 제어부(220')는 상기 표현부(210')가 돌출되는 일 방향(예를들면 상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운동 제어부(220')는 상기 표현부(210')가 돌출되는 일 방향(예를들면 상향)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운동 제어부(220')는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운동 제어부(220')와 연결된 표현부(210')가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제어부(22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제공 영역 및 이러한 구동 제공 영역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 운동 영역을 포함할 수 잇고, 이러한 운동 영역은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선형 또는 각 운동하고, 이러한 운동에 의하여 표현부(210')가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운동 제어부(220')는 표현부(210')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표현부(210')가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복수 개의 표현부(210')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11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마트 태블릿(200)은 표현 영역(DA) 및 감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표현 영역(DA)은 복수의 표현부(미도시)가 배열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표현부(미도시) 및 이와 교차하는 일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표현부(미도시)가 배열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현 영역(DA)에 배열된 표현부들의 돌출 형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정보 제어부가 생성한 정보 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표현 영역(DA)의 표현부들이 돌출되고, 사용자가 손가락(FG)을 통하여 촉각적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마트 태블릿(200)은 커버부(202)를 포함하고, 커버부(202)의 일 면에 표현 영역(DA)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2)에는 복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미도시)을 통하여 복수의 표현부들이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
감지부(250)는 커버부(202)의 일면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감지부(250)는 커버부(202)로부터 분리되고 커버부(202)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감지부(250)는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251-1, 25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251-1, 251-2)는 각각 광학 부재로서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확인 부재(251-1, 251-2)는 일 방향으로의 표현 영역(DA)의 폭에 전체에 대응되도록 적절한 개수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마트 태블릿(200)에 대하여 사용자의 사용 시 기준으로 커버부(202)의 상부에 감지부(250)가 배치되고,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251-1, 251-2)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251-1, 251-2)의 각각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손가락(FG)이 표현 영역(DA)의 가로 방향으로 어디에 위치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FG)이 표현 영역(DA)상에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이 이동 경로를 형성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FG)의 시간 순서에 따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동 경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1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다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마트 태블릿(200)에 대하여 사용자의 사용 시 기준으로 커버부(202)의 측면, 예를들면 좌측에 감지부(250)가 배치되고,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감지부(250)의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 각각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손가락(FG)이 표현 영역(DA)의 세로 방향으로 어디에 위치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FG)에 대응된 위치 확인 부재를 통하여 가로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가락(FG)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의 도 6의 구조는 본 실시예에도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1의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의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스마트 태블릿(200)의 표시 영역에 복수 개의 유닛(IU)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홀을 통하여 복수 개의 유닛(IU)의 표현부가 돌출되기 전을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마트 태블릿(200)에는 사용자의 사용 시 기준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 복수 개의 유닛(IU)이 배열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FG)의 조작 경로(ML)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들면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의 시각을 기준으로 좌에서 우로 내려가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직선을 긋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하나의 예시로서 사용자는 손가락(FG) 또는 다양한 물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 경로(ML)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정보 영역(IOR)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정보 영역(IOR)에 대응된 대응 돌출 유닛(IU')은 돌출되어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 영역(IOR)의 대응 돌출 유닛(IU')을 감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기가 쓴 글씨 또는 그린 도형 등을 확인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시각적 장애가 있는 경우에 글씨나 도형 또는 그림 등을 그린 후에 바로 정보 영역(IOR)의 대응 돌출 유닛(IU')을 촉각적으로 감지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조작 경로(ML)의 위치에 거의 중첩되도록 정보 영역(IOR)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조작 경로(ML)와 상이한 영역, 예를들면 일 방향 또는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쉬프트 한 위치에 정보 영역(IOR)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조작 경로(ML)에 대응된 형태로서 위치만 다른 곳에 정보 영역(IOR)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조작 경로(ML)와 모양이 동일하고 크기만 확대 또는 축소된 정보 영역(IOR)을 형성하여 스마트 태블릿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태블릿은 적어도 복수 개의 표현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부의 선택적 돌출 시 돌출된 것에 대한 촉각적 감지를 통하여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시각적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스마트 태블릿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마트 태블릿은 표현부의 선택적 돌출 시 돌출된 것에 대한 시각적 감지를 통하여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스마트 태블릿을 사용자가 사용 시, 사용자는 표시 영역에 대하여 손가락을이용하여 다양한 조작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표시 영역 상에 손가락으로 글씨를 쓰는 동작을 하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하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감지부는 이러한 표시 영역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조작 영역을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감지는 손가락의 시계열적 위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손가락의 이동 경로를 알 수 있고, 표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 정보는 정보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 영역에 대응된 표현부를 돌출 운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자기가 손가락으로 표현 영역 상에 글씨 쓰는 동작 또는 도형이나 기타 다양한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은 조작의 결과를 정보 영역의 표현부의 감지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자기의 조작 영역에 대한 용이한 판단을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시각적 장애가 있는 경우에 글씨 쓰는 연습, 그림을 그리는 연습 등을 진행한 후에 자기 스스로 결과를 분석하여 자율적 정보 획득 및 훈련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유닛(IU)이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유닛(IU)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스마트 태블릿 중 하나에 포함된 유닛(IU)일 수 있다.
유닛(IU)은 표현부(1110), 운동부(1120) 및 구동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1110)는 적어도 일 영역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부(1110)는 선형 운동,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운동부(1120)는 운동력을 표현부(1110)에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구동부(1200)로부터 운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운동력으로 운동부(1120)는 선형 운동,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에 의하여 운동부(1120)와 연결된, 예를들면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하도록 배치된 표현부(1110)가 운동할 수 있다.
구동부(1200)느 운동부(1120)가 운동하도록 운동력을 운동부(1120)에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1200)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류를 이용하거나 자력을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1200)는 전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운동 제어부는 운동부(1120) 및 구동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유닛(IU)의 예시를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일 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유닛(IU)은 표현부(1210), 운동부(1230), 자력부(1240), 코일부(1250) 및 베이스부(126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유닛(IU)은 표현부 인서트(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닛(IU)은 베이스부 인서트(1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1210)는 후술할 운동부(1230)의 운동에 따라 운동을 할 수 있고, 적어도 표현부(1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표현부(1210)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촉각 또는 시각적으로 표현부(1210)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표현부(1210)는 본체 부재(1211), 표현 부재(1213) 및 전달 부재(1215, 12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재(1211)는 표현부(1210)의 하부 영역을 이루고 표현 부재(1213)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부재(1211)는 전달 부재(1215)가 전달 받은 힘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고, 표현 부재(1213)에도 힘을 전달하여 표현 부재(1213)가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1211)은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갖는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곡면의 외주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원기둥의 옆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현 부재(1213)는 본체 부재(1211)와 연결되어 본체 부재(1211)에 의하여 운동하고, 예를들면 본체 부재(1211)와 동시에 운동할 수 있다. 표현 부재(1213)는 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기둥 형태의 영역 및 이에 연결된 돌출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표현 부재(1213)의 돌출된 영역은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표현 부재(1213)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재료로서 절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계열의 유기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세라믹 재료와 같은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1213)는 금속 또는 유리와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1211)와 표현 부재(1213)의 사이에는 연결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체 부재(1211) 및 표현 부재(1213)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하여 이격 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전달 부재(1215, 1216)는 본체 부재(1211)에서 연장된 형태를 갖고 본체 부재(1211)보다 아래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달 부재(1215, 1216)는 본체 부재(1211)보다 운동부(1230)와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달 부재(1215, 1216)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달 부재(1215, 1216)는 제1 전달 부재(1215) 및 제2 전달 부재(1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 부재(1215)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표현부(1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 부재(1211)의 최하면을 지나치도록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본체 부재(1211)의 영역 중 표현 부재(1213)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면을 지나치도록 제1 전달 부재(1215)가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달 부재(1215)는 본체 부재(12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전달 부재(1215)의 측면과 본체 부재(1211)의 측면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달 부재(1215)는 단부에 슬라이드면(1215A)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이러한 슬라이드면(1215A)은 일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달 부재(1215)는 베이스부(1260)의 가이드홈(1263, 1264)에 대응될 수 있고, 슬라이드면(1215A)은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 및 연결 슬라이딩 영역(미도시)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더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
제2 전달 부재(1216)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표현부(1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 부재(1211)의 최하면을 지나치도록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본체 부재(1211)의 영역 중 표현 부재(1213)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면을 지나치도록 제2 전달 부재(1216)가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달 부재(1216)는 본체 부재(12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전달 부재(1216)의 측면과 본체 부재(1211)의 측면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전달 부재(1216)는 단부에 슬라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달 부재(1216)는 베이스부(1260)의 가이드홈(1263, 1264)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전달 부재(1215) 및 제2 전달 부재(1216)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후술할 베이스부(1260)의 제1 가이드홈(1263) 및 제2 가이드홈(1264)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달 부재(1215) 및 제2 전달 부재(1216)는 표현부(1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전달 부재(1215)로부터 제2 전달 부재(1216)의 시계 방향으로의 거리와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체 부재(1211)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시 180도 회전하면 제1 전달 부재(1215)와 제2 전달 부재(1216)는 서로 위치를 바꾸게 되고, 360도 회전하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부(1210)는 3개 또는 4개 이상의 전달 부재(1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즉 표현부(1210)가 3개의 전달 부재를 가질 경우 표현부(1210)의 회전 시 120도 회전하면 서로 인접한 전달 부재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4개의 전달 부재를 가질 경우 표현부(1210)의 회전 시 90도 회전하면 서로 인접한 전달 부재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닛(1IU)는 표현부 인서트(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 인서트(1220)는 표현 부재(1213)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표현 부재(1213)보다 넓은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부 인서트(1220)는 표현 부재(1213), 본체 부재(1211) 및 전달 부재(1215, 1216)보다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표현부(1210)의 이동 시 표현부(1210)의 하강, 즉 표현부(1210)가 베이스부(1260)의 바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이동 시 제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표현부 인서트(1220)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부 인서트(1220)는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1250)는 베이스부(126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일부(1250)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력부(1240)에 대한 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할 수 있다.
운동부(1230)는 적어도 수용 공간(1231)을 갖도록 형성되고, 수용 공간(1231)에는 자력부(1240)가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1240)는 자력을 갖는 재질로서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1240)는 자성 재료로서 예를들면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력부(1240)는 코일부(125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고, 운동부(1230)는 자력부(2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운동부(1230)의 운동의 용이성을 위하여 자력부(1240)와 운동부(1230)는 고정될 수 있다. 운동부(1230)는 표현부(1210)를 운동하도록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운동부(1230)는 표현부(1210)를 지지하면서 운동부(1230)를 밀어 올릴 수 있다.
운동부(1230)는 복수의 지지 부재(1235, 1236, 1237, 123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운동부(1230)는 제1 지지 부재(1235), 제2 지지 부재(1236), 제3 지지 부재(1238) 및 제4 지지 부재(1238)를 포함할 수 있고, 운동부(1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지지 부재(1235, 1236, 1237, 1238)는 운동부(1230)의 운동 시 표현부(1210)를 지지하면서 표현부(1210)를 운동하도록 할 수 있고, 예를들면 표현부(1210)를 밀어 올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지지 부재(1235, 1236, 1237, 1238)는 표현부(1210)의 전달 부재(1215, 1216)를 지지하면서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1230)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233, 123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233, 1234)는 운동부(1230)의 측면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33) 및 제2 가이드부(1234)는 베이스부(1260)의 제1 가이드홈(1263) 및 제2 가이드홈(1264)에 각각 대응된 채 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운동부(1230)가 회전하거나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베이스부(1260)는 베이스 공간(1261H)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공간(1261H)에는 전술한 운동부(1230) 및 자력부(124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현부(1210)가 운동에 따라 일 영역이 베이스 공간(1261H)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260)는 복수의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260)는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 및 연결 슬라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은 베이스 공간1(261H)으로부터 일정 두께가 제거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가이드홈(1263, 1264)의 각각의 일 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은 제1 가이드홈(1263)의 제1 방향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은 제2 가이드홈(1264)의 상기 제1 방향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은 상기 표현부(1210)의 제1 전달 부재(1215) 및 제2 전달 부재(1216)의 각각이 운동하는 영역, 즉 슬라이딩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표현부(1210)의 상승 운동을 통하여 제1 전달 부재(1215) 및 제2 전달 부재(1216)가 제1 가이드홈(1263) 및 제2 가이드홈(1264)을 넘어서면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으로 자연적으로 이동, 예를들면 슬라이딩하여 표현부(1210)가 일정 높이만큼 하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은 경사면을 갖고, 이러한 경사면은, 제1 전달 부재(1215)의 슬라이드면(1215A) 및 제2 전달 부재(216)의 슬라이드면이 경사진 면을 가질 때, 이러한 경사진 면의 경사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의 각각의 단부에 걸림부(1265A)가 형성되어 제1 전달 부재(1215) 및 제2 전달 부재(1216)가 계속 운동하지 않고 걸림부(1265A)에 걸려 정지할 수 있다. 즉 표현부(210)가 계속적으로 하강하지 않고 운동부(230)에 의한 지지가 없어도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 슬라이딩 영역은 베이스 공간(1261H)으로부터 일정 두께가 제거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의 각각에 연결하도록, 예를들면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의 각각의 걸림부(1265A)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연결 슬라이딩 영역의 일측은 하나의 걸림 슬라이딩 영역(1265)의 걸림부(1265A)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제1 가이드홈(1263)의 제2 방향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260)의 내부의 일 영역에 베이스부 인서트(1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 인서트(1270)는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 인서트(1270)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베이스부 인서트(1270)와 자력부(1240)간의 자기장에 의하여 베이스부 인서트(1270)와 운동부(1230)가 인력이 작용하여, 운동부(1230)가 하강 운동 시 운동부(1230)가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운동부(1230)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 시에 자력부(1240)와 베이스부 인서트(1270)간의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부(1230)가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현부(1210)는 운동부(1230)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각 운동 돌출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다른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유닛(IU)은 운동 표현부(2210), 코일부(2220) 및 베이스부(22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2220)는 베이스부(2230)의 제1 영역(MA)과 구별되는 제2 영역(CA)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수용부(2231)과 이격되고 구별되는 제2 수용부(2232)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2220)에 전류를 인가하여 운동 표현부(2210)에 대한 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할 수 있다.
운동 표현부(2210)는 자성을 갖는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표현부(221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표현부(2210)는 자성 재료로서 예를들면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운동 표현부(2210)는 코일부(2220)의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과의 반응에 의하여, 즉 상호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운동 표현부(2210)가 영구 자석을 포함할 경우 영구 자석의 N극 및 S극은 운동 표현부(22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도 20 기준으로 Z축 방향일 수 있다.
운동 표현부(2210)는 회전 운동, 예를들면 소정의 각도를 갖고 각운동을 할 수 있다.
운동 표현부(2210)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적어도 운동 표현부(2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승 및 하강의 운동을 통하여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 표현부(2210)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촉각 또는 시각적으로 운동 표현부(2210)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운동 표현부(2210)는 주된 본체 영역(2211)의 측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2215)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표현부(2210)는 주된 본체 영역(2211)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돌출된 형태의 2개의 돌출부(2215)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2215)는 적어도 곡면 영역을 갖는 측면부(2215A) 및 고정부(2215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215B)는 적어도 일 영역에 평탄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표현부(2210)의 주된 본체 영역(2211)은 길게 연장된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운동 표현부(2210)의 단부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운동 표현부(2210)의 돌출부(2215)는 운동 표현부(2210)의 주된 본체 영역(2211)의 측면의 영역 중 단부, 즉 운동 표현부(2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2230)는 상기 운동 표현부(221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2230)는 운동 표현부(2210)에 대응하는 제1 영역(MA)에 제1 수용부(223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230)의 구동홈(2235)은 제1 수용부(2231)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홈(2235)에는 운동 표현부(2210)의 돌출부(2215)가 대응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운동 표현부(2210)가 제1 수용부(2231)에 배치 시, 운동 표현부(2210)의 돌출부(2215)가 구동홈(2235)에 대응될 수 있다.
구동홈(2235)은 베이스부(2230)의 측면으로 관통된 형태를 갖거나 그루브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구동홈(2235)은 제1 영역(2235A) 및 제2 영역(223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235A)은 제2 영역(2235B)보다 제2 수용부(2232)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2235A)은 운동 표현부(2210), 예를들면 운동 표현부(2210)의 돌출부(2215)가 하강 시 돌출부(2215)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영역(2235A)은 운동 표현부(2210)의 돌출부(2215)의 측면부(2215A)와 유사한 형태의 가장자리 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영역(2235A)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235A)은 운동 표현부(2210)가 제1 방향, 즉 상승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고, 다시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운동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235A)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영역(2235B)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2235B)은 제1 영역(2235A)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상기 제1 방향은 운동 표현부(2210)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의 방향이다.
상기 제2 영역(2235B)은 상기 운동 표현부(2210)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돌출부(221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 표현부(2210)가 회전 운동 시, 돌출부(2215)가 제1 영역(2235A)에서 상승 후 소정의 각만큼 회전 운동하여 제2 영역(2235B)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2235B)은 돌출부(2215)가 회전 운동하여 배치된 상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2235B)은 운동 표현부(221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되돌아간 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하강, 예를들면 회전 운동하여 하강 시 운동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2235B)은 상기 제1 영역(2235A)을 회전한 상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운동 표현부(2210)가 제2 영역(2235B)에 배치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베이스부(2230)는 걸림턱(2236)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2236)은 상면(2236A) 및 측면(2236B)을 포함하고, 걸림턱(2236)의 상면(2236A) 및 측면(2236B)은 연결되고 운동 표현부(2210)의 운동에 따라 돌출부(2215)의 고정부(2215B)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26에 도시한 상태에서 운동 표현부(2210)의 돌출부(2215)의 고정부(2215B)는 별도의 외부의 힘의 전달이 없을 경우 걸림턱(2236)의 측면(2236B)에 의하여 운동, 예를들면 회전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코일부(2220)를 통하여 발생한 상호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 표현부(2210)는 코일부(2220)에 대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가질 수 있고, 돌출부(2215)와 구동홈(2235)간의 제한 및 가이드를 통하여 운동 표현부(2210)가 용이하게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하여 결과적으로 운동 표현부(2210)가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돌출된 형태를 갖거나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비돌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2는 도 20의 운동 표현부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운동 표현부(2210')는 자력부(2170') 및 자성체(218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217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자력부(2170')는 제1 자력부(2171') 및 제2 자력부(2172')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자력부(2171') 및 제2 자력부(2172')는 각각 S극 및 N극이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자성체(2180')는 자기장에서 자화하는 성질을 갖고, 예를들면 자력부(2170')와 인접하여 자력부(2170')에 의하여 자화하여 자력부(2170')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체(218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철을 함유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니켈 또는 코발트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자성체(2180')는 자력부(217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2170')와 자성체(2180')는 서로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력부(2170')의 중심축과 자성체(2180')의 중심축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2170')의 중심축은 운동 표현부(2210')의 중심축과 나란할 수 있고, 자성체(2180')의 중심축은 운동 표현부(2210')의 중심축과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이러한 틸트된 형태를 통하여 용이하게 운동 표현부(2210')의 토크를 발생할 수 있고, 운동 표현부(2210')의 원활한 운동을 제어하여 유닛(IU')의 정밀한 표현력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운동 표현부(2210')의 단부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3은 도 20의 운동 표현부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운동 표현부(2210")는 자력부(2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217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2170")는 제1 자력부(2171") 및 제2 자력부(2172")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자력부(2171") 및 제2 자력부(2172")는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자력부(2171")는 N극이고, 제2 자력부(2172")는 S극이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자력부(2170")의 자기축의 방향(C2")은 운동 표현부(22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틸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2170")의 자기축의 방향(C2")은 운동 표현부(2210")의 중심축과 서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2170")의 중심축은 운동 표현부(22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틸트될 수 있다.
이러한 자력부(2170")의 자기축의 방향(C2")과 운동 표현부(2210")의 중심축의 어긋남으로 인하여 운동 표현부(2210")에 용이하게 토크를 발생할 수 있고, 운동 표현부(2210")의 원활한 운동을 제어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자력부(2170")는 적어도 운동 표현부(2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이 되는 지점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자력부(2170")는 운동 표현부(2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이 되는 지점에 이르도록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 표현부(2210")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켜 운동 표현부(2210")에 용이하게 토크를 발생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또 다른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유닛(IU)은 베이스부(3130), 운동부(3140), 표현부(3110) 및 코일부(31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3120)는 베이스부(3130)의 제1 수용부(3131)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3170)를 중심에 두고 지지부(3170)를 둘러싸도록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일부(3120)에 전류를 인가하여 운동부(3140)에 대한 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할 수 있다.
표현부(3110)는 운동부(3140)의 운동에 따라 운동을 할 수 있고, 적어도 표현부(3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표현부(3110)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촉각 또는 시각적으로 표현부(3110)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표현부(3110)는 표현면(3111) 및 지지면(311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3112)은 표현부(3110)의 영역 중 운동부(3140)를 향하는 면으로서 표현부(3110)의 하부 영역을 이루고 운동부(3140)와 접할 수 있고, 운동부(3140)는 지지면(3112)을 통하여 표현부(31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운동부(3140)의 구동면(3140a)이 지지면(3112)과 접하면서 지지면(3112)을 제1 방향, 즉 도 24를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표현면(3111)는 표현부(3110)의 영역 중 가장 외측, 예를들면 최상면으로서 사용자가 인식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부(3110)의 전체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나, 표현면(3111)만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표현면(3111)의 접촉을 통하여 표현부(3110)의 운동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고, 표현면(3111)에 대한 시각적 감지를 통하여 표현부(3110)의 운동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면(311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17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3170)는 길게 연장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170)의 일단은 길게 연장되어 운동부(3140)를 지지할 수 있고, 운동부(3140)의 운동은 지지부(3170)의 일단에 지지된 채 진행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170)는 베이스부(3130)의 관통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170)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자기장 발생을 효율적으로 진행하여 유닛(IU)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베이스부(3130)는 제1 수용부(3131) 및 제2 수용부(3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3131)와 제2 수용부(3132)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3131)와 제2 수용부(3132)는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3131)와 제2 수용부(3132)는 관통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지지부(3170)는 제1 수용부(3131)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부(3170)의 일 영역이 연장되어 관통홀을 통하여 제2 수용부(3132)에까지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3130)의 제2 수용부(3132)에는 구동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홈(미도시)은 베이스부(3130)의 제2 수용부(3132)의 내면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3130)는 운동부(3140)를 수용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운동부(3140)를 모두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3130)는 제1 수용부(3131)과 제2 수용부(3132)의 사이에 경계부(3133)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부(3133)를 통하여 제1 수용부(3131)와 제2 수용부(3132)는 분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계부(3133)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지지부(3170)의 일 영역이 연장되어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3130)는 입구부(3130a)를 포함하고, 입구부(3130a)는 제2 수용부(3132)에 연결될 수 있다. 입구부(3130a)를 통하여 표현부(3110)는 베이스부(3130)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변하도록 운동할 수 있다.
운동부(3140)는 베이스부(3130)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3140)는 제2 수용부(3132)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3140)는 코일부(3120)를 통하여 발생한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각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운동부(3140)를 통하여 표현부(3110)는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3140)에는, 예를들면 내측 공간에는 자력부(31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력부(315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3150)는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예를들면 N극 또는 S극) 및 제2 영역(예를들면 S극 또는 N극)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운동부(3140)의 회전 중 일 지점에서 표현부(3110)를 향하는 방향, 예를들면 Z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4를 기준으로 자력부(3150)의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표현부(3110)를 향하는 방향, 예를들면 Z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운동부(3140)는 적어도 외측면에 구동면(3140a)을 포함하고, 구동면(3140a)은 표현부(31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표현부(3110)의 상하 운동에 대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3140)의 구동면(3140a)은 외면으로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운동부(3140)의 구동면(3140a)은 원과 유사한 형태의 경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운동부(3140)는 운동 제어부(3149)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제어부(3149)를 통하여 운동부(3140)의 구동의 위치는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운동부(3140)가 운동할 때 운동 제어부(3149)를 중심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3140)의 중심축과 운동 제어부(3149)는 일치하지 않고 편심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3150)는 운동부(3140)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고, 예를들면 운동 제어부(3149)의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3140)에 대한 토크력을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고, 자력부(3150)가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하도록 하여 표현부(3110)에 대한 운동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유닛(IU)의 정밀한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유닛(IU)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운동부(314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구동 부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구동 부재는 구동면(3140a)을 포함하여 운동부(3140)의 운동 시 표현부(3110)를 지지하여 표현부(31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4에 도시된 구동면(3140a)을 포함하는 운동부(3140)의 외측 경계선(예를들며 원)은 상기 2개의 구동 부재의 각각의 경계선일 수 있다.
예를들면 2개의 구동 부재는 각각 디스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운동 제어부(3149)는 운동부(3140)의 적어도 일 측면, 예를들면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운동부(3140)의 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운동 제어부(3149)의 돌출된 형태는 베이스부(3130)가 도 27과 같이 구동홈(3234)를 포함할 경우 구동홈(3234)에 대응될 어 운동부(3140)의 운동 제어부(3149)가 구동홈(3234)에 배치된 채 운동부(3140)가 운동할 수 있다.
운동부(3140)의 내측 영역, 예를들면 2개의 구동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는 제1 운동 영역(3145) 및 제2 운동 영역(3148)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운동 영역(3145) 및 제2 운동 영역(3148)은 각각 운동부(3140)의 운동 시 최저점 및 최고점의 기준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운동 영역(3145) 및 제2 운동 영역(3148)의 사이에는 연결 영역(3147)이 배치될 수 있고, 연결 영역(3147)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4와 같이 제1 운동 영역(3145)이 최하부에 배치될 때 운동부(3140)는 최저점에 놓이고 이에 따라 표현부(3110)도 최저점에 놓인 상태, 구체적으로 표현부(3110)가 베이스부(3130)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가장 작을 때일 수 있고, 예를들면 유닛(IU)의 표현부(3110)가 사용자가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제1 운동 영역(3145)은 지지부(3170)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코일부(3120)를 통한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과 상호 반응하여 운동부(3140)가 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운동부(3140)에 배치된 자력부(3150) 에 자력이 작용하면 연결 영역(3147)이 지지부(3170)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운동부(3140)는 상승, 즉 운동부(3140)의 최상면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표현부(3110)도 약간 상승, 도 25를 참조하면 H1의 높이만큼 상승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제어부(3149)를 중심으로 운동부(3140)가 회전 운동하므로 운동 제어부(3149)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부(3140)가 계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운동 영역(3148)이 지지부(3170)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운동부(3140)는 상승, 즉 운동부(3120)의 최상면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표현부(3110)도 상승할 수 있고 도 26의 상태가 표현부(3110)의 최상승점이 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제어부(3149)를 중심으로 운동부(3140)가 회전 운동하므로 운동 제어부(3149)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에로서 도 24의 상태에서 도 26의 상태로의 이동은 연속적일 수 있다. 도 25의 상태는 하나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4의 상태에서 도 25의 상태로 변하였을 때, 도 25의 상태에서 운동부(3140) 및 표현부(3110)가 멈추지 않고 계속 운동하여 도 26의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운동부(3140)의 회전 운동 시 지지부(3170)는 제1 운동 영역(3145)을 지지하다가 제2 운동 영역(3148)을 지지하기 전에 연결 영역(3147)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운동부(3140)가 자연스럽게 운동하여 이에 따른 표현부(3110)의 운동도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구동면(3140a)과 제1 운동 영역(3145)간의 거리는 구동면(3140a)과 제2 운동 영역(3148)의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면(3140a)과 제1 운동 영역(3145)간의 거리는 구동면(3140a)과 제2 운동 영역(3148)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부(3170)는 연장부(3171) 및 본체부(317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171)는 베이스부(3230)의 관통홀(3230H)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3172)는 연장부(3171)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170)의 본체부(3172)와 연장부(3171)는 서로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3172)가 배치되도록 받침부(3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3180)는 본체부(3172)의 바닥면과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받침부(3180)는 일 영역에 돌출부(3181)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3181)의 일 영역은 베이스부(3130)의 측면에 노출되어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3130)의 제2 수용부(3132)의 내면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그루브 형태 또는 외부로 관통되는 관통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계부(3133)에는 관통홀(3130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또 다른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유닛(IU)은 베이스부(4130), 운동부(4140) 및 표현부(4110) 및 코일부(41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4120)는 베이스부(4130)의 제1 수용부(4131)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4170)의 연장 부재(4171)를 중심에 두고 연장 부재(4171)를 둘러싸도록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일부(4120)에 전류를 인가하여 운동부(4140)에 대한 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할 수 있다.
베이스부(4130)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4135)을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4110)는 운동부(4140)의 운동에 따라 운동을 할 수 있고, 적어도 표현부(4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표현부(4110)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촉각 또는 시각적으로 표현부(4110)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표현부(4110)는 표현면(4111), 지지면(411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4112)은 표현부(4110)의 영역 중 운동부(4140)를 향하는 면으로서 표현부(4110)의 하부 영역을 이루고 운동부(4140)와 접할 수 있고, 운동부(4140)는 지지면(4112)을 통하여 표현부(41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운동부(4140)의 일면이 지지면(4112)과 접하면서 지지면(4112)을 제1 방향, 즉 도 28을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표현면(4111)는 표현부(4110)의 영역 중 가장 외측, 예를들면 최상면으로서 사용자가 인식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부(4110)의 전체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나, 표현면(4111)만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표현면(4111)의 접촉을 통하여 표현부(4110)의 운동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고, 표현면(4111)에 대한 시각적 감지를 통하여 표현부(4110)의 운동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면(411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41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기둥 형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부(4110)의 돌출된 영역은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4170)는 본체 부재(4172)를 포함하고, 연장 부재(4171)는 본체 부재(4172)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4170)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연장 부재(4171)는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4140)에 대한 자기장 발생 시 자기장 크기를 증가할 수 있고, 자기장 발생을 효율적으로 진행하여 유닛(IU)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베이스부(4130)는 제1 수용부(4131), 제2 수용부(4132) 및 가이드홈(4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4131)와 제2 수용부(4132)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4131)와 제2 수용부(4132)는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4131)와 제2 수용부(4132)는 관통홀로 연결될 수도 있다.
가이드홈(4135)은 제2 수용부(413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가이드홈(4135)은 베이스부(4130)의 제2 수용부(4132)의 내면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홈(4135)은 쓰루홀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베이스부(413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그루브 형태일 수도 있다.
가이드홈(4135)은 제1 홈, 이와 이격된 제2 홈 및 제1 홈과 제2 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4137)가 가이드홈(4135)의 서로 마주보고 이격된제1 홈과 제2 홈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4135)의 연결홈은 예를들면 도 28 기준으로 중간부(4137)의 좌측의제1 홈 및 우측의 제2 홈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중간부(4137)의 상면(4138)에 인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이드홈(4135)의 적어도 일 영역은 원호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홈(4135)은 알파벳 "U"자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4130)는 제1 수용부(4131)과 제2 수용부(4132)의 사이에 경계부(4133)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계부(4133)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4170)의 일 영역이 연장되어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부(4130)는 입구부(4130a)를 포함하고, 입구부(4130a)는 제2 수용부(4132)에 연결될 수 있다. 입구부(4130a)를 통하여 표현부(4110)는 베이스부(4130)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변하도록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4130)는 개방 영역(4139)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개방 영역(4139)는 제1 수용부(413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방 영역(4139)을 통하여 지지부(4170)의 배치, 교체 또는 수리의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8을 참조하면 운동부(4140)에는, 예를들면 내측 공간에 자력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력부(미도시)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미도시)는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예를들면 N극 또는 S극) 및 제2 영역(예를들면 S극 또는 N극)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운동부(4140)의 회전 중 일 지점에서 표현부(4110)를 향하는 방향, 예를들면 Z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4140)가 최저점에 있을 때 자력부(미도시)의 중심축은 표현부(4110)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자기장에 의한 운동부(4140)의 구동 시 운동부(4140)에 토크가 발생할 수 있고, 운동부(4140)가 회전 또는 각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운동부(4140)는 운동 제어부(4142)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제어부(4142)를 통하여 운동부(4140)의 구동의 위치는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운동부(4140)가 운동할 때 운동 제어부(4142)가 가이드홈(4135)에 배치된 채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제어부(4142)는 가이드홈(4135)의 형태, 예를들면 알파벳 "U"자 형태와 유사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운동 제어부(4142)는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운동부(4140)의 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갖고, 운동 제어부(4142)가 가이드홈(4135)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에 포함된 지지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예를들면 도 29 및 도 30은 도 28의 지지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설명한 것일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전술한 대로 본 실시예의 지지부(4170)는 본체 부재(4172)를 포함하고, 본체 부재(4172)는 연장 부재(4171)와 연결되고 연장 부재(4171)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변형예로서 도 30을를 참조하면 지지부(4170')는 본체부(4172')를 포함하고, 본체부(4172')는 연장부(4171')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4171')의 일단에는 상단 부재(4171b)가 형성될 수 있고, 상단 부재(4171b')는 연장부(4171')의 바닥 부재(4171a')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단 부재(4171b")는 플라스틱, 세라믹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바닥 부재(4171a')는 자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단 부재(4171b')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또 다른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닛(IU)은 베이스부(미도시), 코일부(미도시), 운동부(5340) 및 표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베이스부와 표현부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지지부(5370)는 연장 부재(5371)를 포함할 수 있고, 연장 부재(5371)는 본체 부재(5372)와 연결될 수 있다.
운동부(5340)의 내측 공간에 자력부(53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력부(535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5350)는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5351: 예를들면 N극 또는 S극) 및 제2 영역(5352: 예를들면 S극 또는 N극)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5351) 및 제2 영역(5352)은 운동부(5340)의 회전 중 일 지점에서 표현부(5310)를 향하는 방향, 예를들면 Z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운동부(5340)는 서로 대향하고 그 사이에 이겨 공간을 갖도록 배치된 2개의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부(5340)의 2개의 구동 부재의 외면은 적어도 운동부(5340)의 운동 시 표현부(5310)를 지지하여 표현부(5310)에 운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운동부(534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구동 부재 사이에는 운동 인접부(5345)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인접부(5345)는 자력부(5350)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인접부(5345)는 연장 부재(5371)의 중심축과 중첩될 수 있다.
운동 인접부(5345)는 운동부(5340)의 회전 또는 각 운동 시 함께 운동하고 지지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운동 인접부(5345)는 지지부(5370)의 연장 부재(5371)의 일단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베이스부(미도시)가 연장 부재(5371)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포함하고 이러한 영역이 운동 인접부(5345)를 지지할 수도 있다.
운동 인접부(5345)는 운동부(5340)의 2개의 구동 부재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운동 인접부(5345)의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에 따라 운동부(5340)의 높이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면, 도 61에 비하여 도 62의 운동 인접부(5345)는 회전 운동, 예를들면 180 도 회전하였고, 이에 따라 운동부(5340)는 회전 운동 및 상승 운동을 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한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포함된 일 유닛의 또 다른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실시예의 유닛(IU)은 베이스부(5530), 운동부(5540) 및 표현부(5510) 및 코일부(55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5520)는 베이스부(5530)의 제1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5570)의 연장 부재(5571)를 중심에 두고 연장 부재(5571)를 둘러싸도록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일부(5520)에 전류를 인가하여 운동부(5540)에 대한 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할 수 있다.
베이스부(5530)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5535)을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5510)는 운동부(5540)의 운동에 따라 운동을 할 수 있고, 적어도 표현부(55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표현부(5510)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촉각 또는 시각적으로 표현부(5510)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표현부(5510)는 표현면(5511), 지지면(551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5512)은 표현부(5510)의 영역 중 운동부(5540)를 향하는 면으로서 표현부(5510)의 하부 영역을 이루고 운동부(5540)와 접할 수 있고, 운동부(5540)는 지지면(5512)을 통하여 표현부(55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면(5512)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운동부(5540)를 통한 유연한 구동력의 전달을 구현할 수 있다.
표현면(5511)는 표현부(5510)의 영역 중 가장 외측, 예를들면 최상면으로서 사용자가 인식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부(5510)의 전체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나, 표현면(5511)만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표현면(5511)의 접촉을 통하여 표현부(5510)의 운동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고, 표현면(5511)에 대한 시각적 감지를 통하여 표현부(5510)의 운동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면(551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55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기둥 형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부(5510)의 돌출된 영역은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5570)는 본체 부재(5572)를 포함하고, 연장 부재(5571)는 본체 부재(5572)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연장 부재(5571)는 본체 부재(5572)로부터 표현부(5510)에 가까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5530)는 예를들면 베이스부(5530)는 제1 수용부(5531), 제2 수용부(5532) 및 가이드홈(55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5531)와 제2 수용부(5532)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5531)와 제2 수용부(5532)는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5531)와 제2 수용부(5532)는 관통홀(5530H)로 연결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5570)는 제1 수용부(5531)에 배치될 수 있고, 추가적 예로서 지지부(5570)의 일 영역, 예를들면 연장 부재(5571)의 일 영역이 길게 연장되어 관통홀(5530H)을 통하여 제2 수용부(5532)에까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홈(5535)은 제2 수용부(553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가이드홈(5535)은 베이스부(5530)의 제2 수용부(5532)의 내면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홈(5535)은 쓰루홀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베이스부(553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그루브 형태일 수도 있다.
베이스부(5530)는 운동부(5540)를 수용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운동부(5540)를 모두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5530)는 제1 수용부(5531)과 제2 수용부(5532)의 사이에 경계부(5533)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부(5533)를 통하여 제1 수용부(5531)와 제2 수용부(5532)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5530)는 입구부(5530a)를 포함하고, 입구부(5530a)는 제2 수용부(5532)에 연결될 수 있다. 입구부(5530a)를 통하여 표현부(5510)는 베이스부(5530)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변하도록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5530)는 개방 영역(5539)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개방 영역(5539)는 제1 수용부(553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방 영역(5539)을 통하여 지지부(5570)의 배치, 교체 또는 수리의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5530)의 제2 수용부(5532)의 일 영역에 연결되는 윈도우(5532H)가 형성될 수도 있다. 윈도우(5532H)를 통하여 표현부(5510)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2 수용부(5532)의 상태, 예를들면 운동부(5540)의 상태 또는 구동을 확인하거나 검사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이러한 윈도우(5532H)의 폭과 높이가 적어도 운동부(5540)의 일 방향의 폭 및 높이와 동일 또는 그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필요 시 윈도우(5532H)를 통하여 운동부(5540)를 용이하게 배출 및 투입할 수 있고, 교체나 수리,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운동부(5540)는 베이스부(5530)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5540)는 제2 수용부(5532)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5540)는 코일부(5520)를 통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각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운동부(5540)를 통하여 표현부(5510)는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운동부(5540)의 내측 공간에 자력부(55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력부(555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5550)는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예를들면 N극 또는 S극) 및 제2 영역(예를들면 S극 또는 N극)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운동부(5540)의 회전 중 일 지점에서 표현부(5510)를 향하는 방향, 예를들면 Z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운동부(5540)는 적어도 외측면이 표현부(5510)의 지지면(5512)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표현부(5510)의 상하 운동에 대한 운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운동부(5540)는 운동 제어부(55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운동부(5540)의 일 영역에 형성된 운동 인접부(5545)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인접부(5545)는 자력부(5550)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5540)는 제1 구동 부재(5543) 및 제2 구동 부재(5544)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사이의 이격 공간(S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5543) 및 제2 구동 부재(5544) 사이의 이격 공간(SA)에는 운동 인접부(5545)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5530)의 제2 수용부(5532)는 제1 그루브(5532c) 및 제2 그루브(553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5532c) 및 제2 그루브(5532d)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5543) 및 제2 구동 부재(5544)는 각각 제1 그루브(5532c) 및 제2 그루브(5532d)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운동부(5540)의 제1 그루브(5532c) 및 제2 그루브(5532d)가 제1 그루브(5532c) 및 제2 그루브(5532d)에 대응되어 배치된 채 운동부(5540)는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고, 또한 상하 운동을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운동부(5540)의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하여 표현부(5510)에 대한 정밀한 운동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5532c) 및 제2 그루브(5532d)의 사이에 돌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돌출 영역에 관통홀(5530H)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570)의 연장 부재(5571)는 관통홀(5530H)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연장 부재(5571)는 관통홀(5530H)로 돌출되어 돌출 영역보다 더 돌출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부재(5571)가 돌출 영역보다 더 돌출되지 않거나 돌출 영역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것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돌출형 피드백 스마트 태블릿
110, 210: 표현부
120, 220: 운동 제어부
130: 정보 제어부
150, 250: 감지부
170: 동작 조절부
270: 정보 생성 제어부 IU: 유닛

Claims (5)

  1. 사용자가 감지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돌출 운동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표현부;
    상기 표현부의 운동을 제어하는 운동 제어부;
    상기 표현부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상기 운동 제어부를 제어하는 정보 제어부;
    상기 표현 영역 상의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표현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동작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는 각각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동작 조절부는 동작 중지 제어부 및 동작 변경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중지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표현부 중 상기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생성된 정보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표현부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한 것이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정보 영역에 대응된 상기 하나 이상의 표현부의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동작 변경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표현부 중 상기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생성된 정보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표현부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한 것이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정보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현부가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부는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4. 사용자가 감지하는 표현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표현 영역 상의 사용자의 조작 영역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 영역을 파악하여 표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제어부;
    상기 정보 생성 제어부가 생성한 정보에 따라 운동력을 제어하는 운동 제어부;
    동작 조절부; 및
    상기 운동 제어부가 제공하는 운동력에 의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돌출 운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표현 정보를 표현하는 복수 개의 표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확인 부재는 각각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조절부는 동작 중지 제어부 및 동작 변경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중지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표현부 중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생성된 정보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표현부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한 것이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정보 영역에 대응된 상기 하나 이상의 표현부의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동작 변경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표현부 중 상기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생성된 정보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표현부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한 것이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정보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현부가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경로를 포함하는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KR1020200096384A 2020-07-31 2020-07-31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KR10246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384A KR102466488B1 (ko) 2020-07-31 2020-07-31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PCT/KR2021/007764 WO2022025433A1 (ko) 2020-07-31 2021-06-21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384A KR102466488B1 (ko) 2020-07-31 2020-07-31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832A KR20220015832A (ko) 2022-02-08
KR102466488B1 true KR102466488B1 (ko) 2022-11-15

Family

ID=8003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384A KR102466488B1 (ko) 2020-07-31 2020-07-31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6488B1 (ko)
WO (1) WO2022025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551A (ko) 2022-02-07 2023-08-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1469A (ja) * 2007-07-26 2009-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点字表示機能付携帯通信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108A (ja) * 2005-03-04 2006-09-14 Fujitsu Ltd 点字出力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KR101221513B1 (ko) * 2010-12-13 2013-01-2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에게 시각 정보를 촉각 정보로 전달하는 그래픽 햅틱전자보드 및 방법
KR20140008823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자 입출력 장치
KR101413277B1 (ko) * 2012-11-08 2014-07-02 이소영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기호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40104305A (ko) * 2013-02-20 2014-08-28 서인수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KR101846526B1 (ko) * 2015-11-18 2018-04-06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점자 단말기
KR101800178B1 (ko) * 2016-04-20 2017-12-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36632B1 (ko) * 2017-11-15 2019-10-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1469A (ja) * 2007-07-26 2009-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点字表示機能付携帯通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832A (ko) 2022-02-08
WO2022025433A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7659B (zh) 电子设备的力反馈表面
KR102240007B1 (ko) 정보 출력 장치
US10691209B2 (en) Stylus with haptic feedback for texture simulation
KR102466488B1 (ko)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EP3382678B1 (en) An electromagnetic actuator
EP3179330A2 (en) Magnetic sensing user interface device methods and apparatus
CN108139415A (zh) 确定移交位置的方法和实验室自动化系统
US201402671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KR101746151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2506630B1 (ko) 돌출형 피드백 기반 스마트 태블릿
CN107765769B (zh) 辅助开阖机构及便携式电子装置
Strasnick et al. shiftio: Reconfigurable tactile elements for dynamic affordances and mobile interaction
JP2012173881A (ja) 操作入力装置
WO2017050673A1 (en) An arrangement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JP2020049567A (ja) エンドエフェクタ装置
KR20190025364A (ko) 정보 출력 장치
JPWO2010029980A1 (ja) ハンドヘルド点字変換装置、点字変換方法及び点字変換プログラム
KR102429908B1 (ko) 정보 출력 장치
US12019805B2 (en) Input feedback based smart pen and protruding feedback based smart tablet
CN112292722A (zh) 信息输出装置
WO2014171409A1 (ja) スイッチ装置
CN114144747A (zh) 基于输入反馈的智能笔及基于凸出型反馈的智能平板电脑
KR20190028682A (ko) 정보 출력 장치
KR101959022B1 (ko) 정보 출력 장치
KR20180138412A (ko) 정보 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