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914A - 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 Google Patents

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914A
KR20200005914A KR1020180079507A KR20180079507A KR20200005914A KR 20200005914 A KR20200005914 A KR 20200005914A KR 1020180079507 A KR1020180079507 A KR 1020180079507A KR 20180079507 A KR20180079507 A KR 20180079507A KR 20200005914 A KR20200005914 A KR 20200005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security
black box
securit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1965B1 (en
Inventor
김순진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유원솔루텍 주식회사
엠피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솔루텍 주식회사, 엠피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원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965B1/en
Publication of KR2020000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9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ck box for a vehicle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black box for a vehicle installed in a vehicle entering a security area. The black box for a vehicle having a security function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a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or a security mode cancel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a control unit to switch a photographing mode to a security mode or a general mode depending on the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or the security mode cancelation signal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unit; an i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ncluding a camera sensor for photographing an image; a storage unit including a temporary storage unit to temporarily store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nsor, and a permanent storage unit to permanently store an image requiring permanent storage among imag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a vehicle driving state sensing unit to sense one dynamic force among acceleration, vibration, and impact of a vehicle from the sensor to measure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f an external impact is determined to have been applied based on accele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vehicle driving state sensing unit, some images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re stored in the permanent storage unit.

Description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본 발명은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 지역으로 진입한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랙박스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lack box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black box installed in a vehicle entering the security area.

블랙박스(black box)는 본래 항공기용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해당 항공기의 고도, 항로, 속도, 엔진 상황 등의 상태 및 교신 내용 등을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항공기 사고 발생 시, 블랙박스를 회수하여 분석하면 해당 항공기의 사고 경위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오늘날에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블랙박스가 설치되곤 한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EDR(Event Data Recorder)'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주로 카메라 형식의 제품이 많다. 차량 내부의 룸미러 근처나 대시 보드 위에 주로 설치하며,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교통사고 발생 시 시시비비를 가리는 데 주로 사용한다.The black box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an aircraft, and serves to record the state and communication contents of the aircraft's altitude, route, speed, engine status, and the like. In the event of an aircraft accident, a black box can be collected and analyzed to help determine the exact situation of the aircraft. Today, black boxes are installed in vehicles as well as aircraft. Car black boxes are also called 'EDR (Event Data Recorder)', and many camera type products. It is mainly installed near the room mirror inside the vehicle or on the dashboard. It records the video in front of the vehicle and records it as a video, and is mainly used to cover sisbibi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제품에 따라서는 2대 이상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전면뿐 아니라 후면, 측면도 동시에 촬영하는 경우도 있으며,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택시나 버스 같은 차량의 경우에는 음성을 녹음하면서 차량 내부까지 촬영하는 블랙박스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충돌에 관계없이 주행 중에 상시 촬영을 하는 제품, 차량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감지하여 충돌 순간만을 촬영하는 제품, 혹은 주차 시에만 작동하는 제품 등이 있으며 위와 같은 기능 중 여러 가지를 동시에 갖추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 외에도 내비게이션이나 하이패스 기능을 함께 가진 일체형 블랙박스도 있다.Depending on the product, two or more cameras may be installed to photograph not only the front, but also the rear and the side at the same time.In the case of a vehicle such as a taxi or a bus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a black box that records the inside of the vehicle while recording voice do. In addition, there are products that always shoot during driving regardless of a collision, a product that detects a sudden movement of a vehicle and shoots only a moment of collision, or a product that works only when parking. There are many. There's also an all-in-one black box with navigation and high-pass features.

차량용 블랙박스는 운전자가 별도로 장착하는 경우 외에 자동차 제조사에서 최초부터 블랙박스를 장착하기도 한다. 이때는 페달(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이나 스티어링 휠(핸들)의 조작 여부, 차량의 속도, 안전벨트의 상태 등이 기록되므로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사고 경위 조사가 가능하다. 차량용 블랙박스의 보급률이 높은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러한 형식의 블랙박스가 많이 쓰인다.In addition to a separate black box for a vehicle, a car black box may be mounted from the beginning by a car manufacturer. At this time, whether the pedal (accelerator, brake) or steering wheel (handle) is operated,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state of the seat belt, etc. are recorded, so that the accident situation can be investigated more systematically and accurately. This type of black box is widely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where car black boxes have a high penetration rate.

그러나 차량용 블랙박스를 소지한 차량이 군사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시설에 출입하는 경우, 기밀정보나 군사 보안 유지가 필요한 구역에서 카메라가 내장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소지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However, when a vehicle with a vehicle black box enters a military security facility or an industrial security facility, there is a need to prevent a vehicle black box with a built-in camera in areas requiring confidential information or military security.

이에, 매번 출입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전원을 확인하거나 회수 또는 반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heck, recover or return the power of the black box for the vehicle that enters and exits each time.

한국등록특허 제10-1515582호(발명의 명칭: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장치 및 그 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15582 (Invention name: Facility securit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234347호(발명의 명칭: 워터마킹 기술에 기초한 보안이 강화된 차량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34347 (Name of the invention: Method of providing security-enhanced vehicle black box service based on watermarking technology)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보안 지역으로 진입한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black box installed in a vehicle entering the security area.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보안 지역에서 블랙박스에 내장된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및 저장을 제한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limiting image capturing and storage of a camera built in a black box in a secure area.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충격 발생 위치에 따라 영상의 저장 방안을 차별화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differentiating the storage method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imp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특정 이벤트 신호에 따라 영상 촬영 및 저장된 영상을 삭제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deleting a captured image and a stored image according to a specific event signal.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는 외부로부터 보안모드 설정 신호 또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보안모드 설정 신호 또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에 따라 촬영 모드를 보안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상기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 및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영구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을 영구 저장하는 영구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센서로부터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적인 힘을 감지하여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 및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에서 측정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한다.To this end, a vehicle black box with a securit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or a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from the outside;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a shooting mode to a security mode or a normal mode according to a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or a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image information generator including a camera sensor to capture an image; A storage unit including a temporary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nsor and a permanent storage unit for permanently storing an image requiring permanent storage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 vehicle driving state sens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y detecting a dynamic force of at least one of acceleration, vibration, and impact of the vehicle from a senso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vehicle driving state sensing unit, some of the imag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re stored in the permanent storage uni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이 요구되는 보안지역에서는 보안모드로 설정하여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되는 영상 중 필요한 영상만을 저장함으로써 보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보안을 위해서는 강제로 전원을 차단하거나, 메모리를 강제가 제거하는 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차량용 블랙박스를 보안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기존 대비하여 간편하게 보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security function by setting only the security mode in a security area where security is required and storing only necessary images among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sensor. In addition, the existing security forcibly cut off the power or remove the memory forcibly,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security function simply compared to the existing by setting the software program in the vehicle black box security mode.

이외에도 본 발명은 간편하게 기존 차량용 블랙박스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만 설치하면 되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보안지역에서 카메라 센서의 동작의 강제로 차단하거나, 최소한의 영상만을 저장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여, 보안 등급에 따라 차별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y implement a func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only a software program is installed in the existing vehicle black box.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forced to block the operation of the camera sensor in the security area, or to select to store only the minimum image, it can be op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rough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에 의하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영상 정보 생성부(110),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 속도 산출부(130), 동작 모드 판단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black box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generator 110, a vehicle driving state detector 120, a speed calculator 130, an operation mode determiner 140, a controller 150, and a storage 160. ) And the communication unit 170.

영상 정보 생성부(110)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해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 내부에 탑재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차량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The image information generator 110 captures an image of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from the camera sensor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accordingly. Here, the camera sensor may be mounted in the vehicle black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some embodiments, may be located inside the vehicle.

실시예에 따라서, 영상 정보 생성부(110)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카메라 센서,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카메라 센서, 그리고 차량의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을 각각 촬영하는 측방카메라 센서로부터 차량 모든 방향에 대한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카메라 센서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10 may include a front camera sensor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a rear camera sensor photographing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 side camera sensor photograph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Image capturing may be performed in all directions, and imag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ccordingly, and types, numbers, and positions of camera sensors are not limited.

카메라 센서는 기능이나 용도에 따라 전방카메라 센서가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전방카메라 센서와 더불어 케이블로 연결된 후방카메라 센서가 설치되거나 또는 전방카메라 센서와 후방카메라 센서와 더불어 케이블로 연결된 측방카메라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sensor may include a fixed front camera sensor or a rear camera sensor cabled together with the front camera sensor, or both a side camera sensor cabled together with the front camera sensor and the rear camera sensor according to a function or a purpose. Can be.

또한, 영상 정보 생성부(110)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램(RAM), 이이피롬 (EEPROM), SD메모리, NAND 메모리, SSD, 하드디스크 및 플래시메모리를 포함하는 재기록이 가능한(rewritable)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 모듈은 촬영된 영상 정보를 설정된 해상도 및 크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고, 해당 차량의 촬영위치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10 may rewritabl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from a camera sensor including RAM, EEPROM, SD memory, NAND memory, SSD, hard disk, and flash memory. A memory module may be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storage media, and the memory module may convert and store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into a set resolution and size, and include data including the shoo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vehicle. You can also save it.

실시예에 따라서, 메모리 모듈은 제어부(150)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일정 시간동안의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이벤트 발생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mory module may include an event generation storage module for separately storing a captured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from the controller 150.

또한, 영상 정보 생성부(110)는 레이더(RADAR), 라이더(LIDAR) 및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기기의 종류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image information generator 110 may generate image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a radar, a rider, and a camera sensor, and is not limited to the type and number of devices.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중 어느 하나의 동적인 힘을 감지하여 차량의 가속도의 정보를 측정한다.The vehicle driving state sensor 120 detects a dynamic force of any one of acceleration, vibration, and impact of the vehicle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measures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예를 들면,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차량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가속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차량용 블랙박스(100) 내부에 탑재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량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으나, 가속도 센서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차량을 기준으로 X, Y, Z축의 가속도를 모두 산출할 수 있는 3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vehicle driving state detector 120 may measure accel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slo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Here,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mounted in the intelligent vehicle black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ay be located inside the vehicle, but the type, number and loc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are not limited. Do not.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at can calculate the acceleration of all of the X, Y, Z axis with respect to the vehicle.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X, Y, Z축에 가속도를 모두 산출함으로써, 차량의 종방향 가속도 및 횡방향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 이외에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9축 센서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vehicle driving state detecting unit 120 may detect the longitudinal acceleration and the lateral acceleration of the vehicle by calculating the acceleration on the X, Y, and Z axes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In addition to the acceleration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on a 9-axis sensor including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속도 산출부(130)는 측정된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한다. 속도 산출부(130)는 측정된 속도의 변화에 의거하여 차량의 가속도의 변화율을 연산하고, 연산된 변화율에 근거하여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며, 속도를 나타내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speed calculator 130 calculates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measured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speed calculator 130 may calculate a rate of chang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measured change in speed, determine a state of moveme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alculated change rate, and calculat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dicating the speed. .

예를 들면, 속도 산출부(130)는 차량의 기울기 정보가 포함된 가속도 정보를 적분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eed calculator 130 may calculate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by integrating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ilt information of the vehicle.

속도 산출부(130)는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샘플링하여 가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차량의 가속도 변화율의 표준편차(A) 및 현재 가속도 정보와 바로 이전 가속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The speed calculator 130 may measure the measured acceleration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measure the standard deviation A of the acceleration change rate of the vehicle indicating the acceleration change, the current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immediately previous acceleration information.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속도 산출부(130)는 측정된 이전 가속도 정보 대비 현재 가속도 정보의 편차가 크면 가속, 작으면 감속, 같으면 등속으로 차량의 속도를 판단함으로써, 차량의 속도의 가속, 감속 및 등속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peed calculator 130 may accelerate or decelerate the vehicle by determin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t a constant speed if the deviation of the current accelera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measured previous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constant speed state.

여기서, 속도 산출부(130)는 측정된 가속도 변화율의 표준편차(A)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 문턱치보다 작은 지를 체크하고, 미리 설정된 가속도 문턱치보다 작으면, 차량의 속도를 정지모드, 즉 차량의 속도 및 진행방향의 가속도를 모두 "0"으로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speed calculator 130 checks whether the measured standard deviation A of the acceleration change rate is smaller than the preset acceleration threshold, and if the speed is smaller than the preset acceleration threshold,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in the stop mode, that is, the speed and speed of the vehicle. All accelerations in the advancing direction can be set to "0".

또한, 속도 산출부(130)는 미리 설정된 가속도 문턱치보다 작지 않으면, 현재 가속도 정보와, 바로 이전의 가속도 정보와의 절대치(J)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 차이값의 문턱치(JTH)보다 큰 지를 체크하고, 미리 설정된 가속도 차이값의 문턱치(JTH)보다 크면, 차량의 가속도 변화율로부터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ed calculator 130 checks whether the absolute value J between the current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immediately previous accelera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JTH of the preset acceleration difference value, if it is not smaller than the preset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If it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JTH of the preset acceleration difference value,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calculated from the acceleration change rate of the vehicle.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가속도 차이값의 문턱치(JTH)란, 차량의 서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속도 산출부(130)는 기존에 서행으로 지정된 일정 속도와 차량의 현재 가속도 정보 및 바로 이전의 가속도 정보의 가속도 절대치(J)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서행 이상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threshold JTH of the preset acceleration difference value may mean a set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slow. Therefore, the speed calculator 130 may calculate speed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slow speed or more by comparing a predetermined speed designated as a slow speed with an absolute acceleration J of the current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acceleration information.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속도 산출부(130)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의 제1 가속도 센서와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 종가속도와 제2 종가속도의 차이 값과, 제1 가속도 센서와 제2 가속도 센서 사이의 거리 값으로부터 차량의 회전각도를 유추할 수 있으며, 유추된 차량의 회전각도와 측정된 가속도의 변화에 따른 가속도 변화율을 기초하여 정확도가 높은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speed calculator 130 may include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ongitudinal acceleration and the second longitudinal acceleration measured from the first acceleration sensor and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of the vehicle driving state detection unit 120,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vehicle can be inferred from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first acceleration sensor and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and the speed information with high accuracy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inferred vehicle and the acceleration change rate according to the measured acceleration change. It may be.

동작 모드 판단부(140)는 산출된 속도 정보와 생성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 동작 모드 판단부(140)는 산출된 속도 정보와 생성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긴급제동, 차선이탈, 전방추돌 및 선행 차량 출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calculated speed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140 may determine at least one operation mode among the emergency braking, lane departure, forward collision, and preceding vehicle departure using the calculated speed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저장부(160)는 임시 저장부와 영구 저장부로 구분되며, 임시 저장부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며, 영구 저장부는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영구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을 저장한다. 영구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은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에서 측정한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이 설정된 문턱치 이상인 경우, 해당 시점 전후로 설정된 시간 기간의 영상을 저장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보안모드에서 영상을 저장하는 보안모드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안모드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보안모드로 진입하며, 진입한 보안모드에서 촬영된 영상은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다.The storage unit 160 is divided into a temporary storage unit and a permanent storage unit, the temporary storage unit stores the image taken from the camera sensor for a set time, the permanent storage unit stores the image that requires permanent storage of the imag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do. The image requiring permanent storage stores an image of a time period set before and after a corresponding time point when the acceleration, vibration, and impact of the vehicle measured by the vehicle driving state detecting unit 120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threshol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urity mod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in the security mo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is received,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security mode, and the image captured in the entered security mode is stored in the security mode storage unit.

통신부(17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보안모드 설정 신호 및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한다. 보안모드 설정 신호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모드를 보안모드로 설정 요청하는 신호이며, 보안모드 해제 신호는 설정된 보안모드를 해제하는 신호이다. 보안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and particularly, receives a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and a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is a signal for requesting to set the mode of the vehicle black box to the security mode, and the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is a signal for canceling the set security mode. The security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보안모드 설정 신호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100)의 모드를 보안모드로 설정하며, 보안모드 해제 신호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100)의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한다.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lack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ntroller sets the mode of the vehicle black box 100 to the security mode according to the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sets the mode of the vehicle black box 100 to the general mode according to the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표시부와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거나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모드가 보안모드 상태인지 보안모드 해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며, 운전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는 보안모드 상태에서는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부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The display unit indicates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black box or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sensor.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indicates whether the mode of the vehicle black box is in a security mode or a security mode release state, and displays information for receiving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driver. The display unit may not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sensor in the security mod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and may display necessary information u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전원부는 외부의 별도의 구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내장될 수 있다. 전원부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원부는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보안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센서로 제공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separate component or may be built in.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vehicle black box, an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may block the power supply provided to the camera sensor in the security mode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l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in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performed in the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S200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구동을 수행한다. 즉, 차량용 블랙박스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일시 저장하며, 필요한 경우 영구 저장부에 필요한 영상을 영구 저장한다.In operation S200, the vehicle black box performs driving. That is, the vehicle black box temporarily stores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and, if necessary, permanently stores the image necessary for the permanent storage unit.

S205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안모드 설정 신호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즉, 차량용 블랙박스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보안모드 설정 신호를 수신하거나, 별도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S205, the vehicle black box checks whether the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is received. The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may be received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or through local area communication. That is, the vehicle black box may receive the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or may set the security mode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signal. In addition, the vehicle black box may set a security mode in various ways.

S210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표시부를 통해 보안모드 상태임을 Display, LED,..등으로 표시하며, 필요한 경우 보안모드임을 음성 출력(또는 외부장치로 보안 상태임을 전송할 수 있게 구현)한다.In step S210, the vehicle black box displays the security mode state through the display unit as Display, LED, ..., and if necessary, the security mode outputs the voice (or transmits the security state to an external device).

S215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로 진입한다. 이하에서는 보안모드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In step S215 the vehicle black box enters the security mode.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lack box in the security mode will be described.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에서 보안상태에 따라 2가지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차량용 블랙박스는 카메라 센서의 동작을 차단한다. 즉, 차량용 블랙박스는 영상 촬영을 차단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메라 센서의 영상 촬영을 차단한다.The vehicle black box may be driven in two forms depending on the security state in the security mode. First, the car black box blocks the operation of the camera sensor. That is, the vehicle black box blocks the image shooting. In detail, the image of the camera sensor is blocked by using a program stored in the vehicle black box.

두 번째는 최소한의 영상만을 저장하는 방안이다. 보안모드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의 전원이 강제로 차단되었는지 또는 외부 저장장치에 변화가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전원이 강제로 차단, 또는 외부 저장장치에 변화가 있었다면 이를 외부의 서버 또는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통보한다. The second method is to store only minimal images. In the security mode, check whether the power of the car black box is forcibly cut off or if there is a change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If the power is forcibly cut off or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changed, it is transferred to an external server or a user terminal. Notify me.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는 전원이 켜지면, 초기 부팅 모드에서 특정 영역 메모리 값 또는 보안모드 프로그램 동작상태에서 전원 오프 이전 동작 상태가 보안모드 상태 값인지 여부를 우선 확인한다. 보안모드 상태값이 아니라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일반모드로 진입한 후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보안모드 상태값이라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임의로 전원을 제거, 또는 외부 저장장치 변화가 있었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블랙박스 보안알림동작 상태로 진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모드에서 강제로 전원을 차단하였거나 외부 저장장치의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음성 경보 메시지, 진동 또는 영상을 출력하거나, 외부의 서버 또는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통보한다.To this end, the vehicle black box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rst checks whether the power-on operation state before the power-off is a specific mode memory value or a security mode program operation state in the initial booting mode. If the security mode state value is not, the vehicle black box enters the normal mode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f the security mode state value, the vehicle black box is determined to have arbitrarily removed the power or the external storage device has entered the black box security notification operation stat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voice alarm message, a vibration, or a video is output or the external server or a set user terminal is notified that the power is forcibly shut down or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changed in the security mode.

앞서 설명한 두 가지 보안모드 구동 방식 중에서 두 번째 구동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는 전원이 켜지면, 초기 부팅 모드에서 특정 영역 메모리 값 또는 보안모드 프로그램 동작상태에서 전원 오프 이전 동작 상태가 보안모드 상태에서의 시작인지 여부를 우선 확인한다. 보안모드 상태값이라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임의로 전원을 제거한 또는 외부 저장장치에 변화가 있었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강제로 삭제(폐기)한다.Referring to the second driving method in detail among the two security mode driving method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black box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owered on, before the power-off in a specific area memory value or the security mode program operation state in the initial boot mode First check whether the operation status is the start in the security mode state. If the security mode state value, the vehicle black box is determined to have removed the power arbitrarily or changes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forcibly delete (discard) the image stored in the security mode storage unit.

이외에도 보안모드 설정 신호는 보안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따라서 보안보드 설정 신호를 수신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지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는 전원이 켜지면, 초기 부팅 모드에서 특정 영역 메모리 값 또는 보안모드 프로그램 동작상태에서 전원 오프 이전 동작 상태가 보안모드 상태 값인지 여부를 우선 확인한다. 보안모드 상태값이라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임의로 전원을 제거한 것으로 판단하며, 따라서 현재 위치가 보안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위치가 보안지역이면 저장된 영상을 폐기하지 않으며, 보안지역이 아니라면 저장된 영상을 폐기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지역에 촬영한 영상을 보안지역 이외 지역으로의 반출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ecurity area, and thus the vehicle black box receiving the security board setting signal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security area. In the vehicle black box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vehicle black box first checks whether a specific region memory value or a security mode program operation state before the power-off is a security mode state value in the initial booting mode. If the security mode state value, the vehicle black box is determined to remove the power arbitrarily, and thus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a security area. If the current location is a secure area, the stored image is not discarded. If not, the stored image is discarded. By doing so, the vehicle black box can prevent the images taken in the security area to be carried out to the area outside the security area to the minimum.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지역에서 별도의 영상 촬영을 하지 않지만, 차량 이동이 많은 지역의 경우, 의도하지 않은 차량 추돌/충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영상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보안모드에서는 영상을 기존 영구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대신, 보안모드에서 별도로 관리되는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한다. 물론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별도의 보안모드 해제키를 갖는 정보 또는 장치에서 해제하여 확인하도록 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 확인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특히,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보안모드 해제키 없이 강제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저장된 영상은 강제로 폐기된다.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image is not taken in the security area, but in the case of a lot of vehicle movement, an unintended collision or collision of the vehicle may occur, so the minimum image is stored. To this end, in the security mode, instead of storing the image in the existing permanent storage area, the image is stored in the security mode storage unit managed separately in the security mode. Of course, the image stored in the security mode storage unit can be confirmed by releasing information or a device having a separate security mode release key. Of course, you can limit the number of checks if necessary. In particular, when the user wants to confirm the image stored in the security mode storage without the security mode release key, the stored image is forcibly discarded.

이외에도 보안모드가 해제되면,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강제로 폐기된다. 따라서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보안영역에서만 확인이 가능하다. 추가로, 보안모드가 해제되면,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외부 충격에 의해 저장된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은 강제로 폐기할 수 있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해 저장된 영상(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보안모드가 해제되면 강제로 폐기되거나, 필요한 경우 보안모드가 해제되더라도 폐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보안모드가 해제되면 강제로 폐기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urity mode is released, the image stored in the security mode storage unit is forcibly discarded. Therefore, the image stored in the security mode storage can be checked only in the security area. In addition, when the security mode is released, the remaining images other than the image stored by the external shock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security mode storage may be forcibly discarded. That is, the image stored by the external shock (the image stored in the security mode storage unit) may be forcibly discarded when the security mode is released or, if necessary, may not be discarded even if the security mode is released. In contrast, imag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re forcibly discarded when the security mode is released.

또한, 필요한 경우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워터마크를 추가하여 영상 이력정보를 확인하거나, 보안 영상으로 저장하여 패스워드화된 특정 앱에서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image stored in the security mode storage unit may add a watermark to check image history information, or store the image as a secure image so that it can be viewed only in a specific password-coded app.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저전압이 되면, 자동으로 블랙박스의 전원이 오프되었으나, 본 발명은 보안모드에서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저전압임을 외부로 출력한 이후 블랙박스의 전원을 오프한다.In addition, in general, when the battery voltage of the vehicle is a low voltage, the power of the black box is automatically turned of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at the battery voltage of the vehicle is low voltage in the security mode to the outside after turning off the black box.

S220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안모드 해제 신호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즉, 차량용 블랙박스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하거나, 별도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In step S220, the vehicle black box checks whether the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is received. The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may be received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or through local area communication. That is, the vehicle black box may receive the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or may release the security mode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signal. In addition, the vehicle black box may release the security mode in various ways.

S225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표시부를 통해 보안모드 해제 상태임을 표시하며, 필요한 경우 보안모드 해제 상태임을 음성 출력한다.In operation S225, the vehicle black box indicates that the security mode is releas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outputs a voice that the security mode is released if necessary.

S230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일반모드로 진입한다. 일반모드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랙박스의 동작을 수행한다.In step S230 the vehicle black box enters the normal mode. In the normal mode, the vehicle black box performs the operation of a commonly used black box.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중 어느 하나의 동적인 힘을 감지하여 차량의 가속도의 정보를 측정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로 충격이 감지된 경우, 어느 방향에서 충격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가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후방에서 충격(추돌)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가속도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전방에서 충격(충돌)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방향으로 가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좌측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우측 방향으로 가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우측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riving state detecting unit 120 detects a dynamic force of any one of acceleration, vibration, and impact of the vehicle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to measure information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an impact is detected to the outside by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it may be determined in which direction the impact is detected. That is, when the acceleration increases,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impact (collision) is applied from the rear, and when the acceleration decreases,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impact (collision) is applied from the front. In addition, when the acceleration increases in the left direc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impact is applied in the left direction, and when the acceleration increases in the right direc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impact is applied in the right direction.

본 발명은 충격이 가해진 방향에 따라 해당 부분을 촬영한 영상만을 저장한다. 즉, 전방에서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며, 다른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은 저장하지 않는다. 또한, 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며, 다른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은 저장하지 않는다. 물론 저장되는 영상은 일시 저장된 영상 중 충격이 가해진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동안의 영상을 저장한다.The present invention stores only the image of the portion taken in accordance with the impact direction.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pact is applied from the front,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photographing the front is stored, and the image taken from the other direction is not stor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rear sid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photographing the rear side is stored, and the image shot from the other direction is not stored. Of course, the stored image stores the image for a set time based o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impact is applied among the temporarily stored images.

이외에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외부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촬영하는 영상과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방향을 촬영하는 영상의 저장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일예로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촬영하는 영상의 저장 시간이 5초라고 한다면,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방향을 촬영하는 영상의 저장 시간은 3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판단하고, 해당 방향을 촬영한 영상만을 저장하거나, 해당 방향 이외의 방향을 촬영한 영상을 상대적으로 짧게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안 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최소한의 영상만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length of the image photograph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shock is applied and the image photograph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is not applied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For example, if the storage time of the image photographing the direction to which the impact is applied is 5 seconds, the storage time of the image photographing the direction to which the impact is not applied may be 3 second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is applied by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and store only an image photographing the direction, or store the image photographing a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on relatively short. In this wa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a secure area, only minimal images can be stored.

추가하면, 외부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촬영한 영상이라고 판단될 경우이거나, 측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고 판단되면 촬영된 영상에서의 물체 움직임을 판독하게 하여 외부에서 블랙박스 차량에 충격이 가해졌다는 움직임이 있었다고 판독될 경우에만 임시 저장된 영상을 영구 저장하게 하여 임의로 보안지역 내 시설 등이 촬영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taken in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impact,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pact is greater than the measured value, the movement of the impact was applied to the black box vehicle by reading the object movement in the captured image Temporarily stored images can be permanently stored only if they are read, and the number of facilities in the secure area can be reduced.

이외에도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운전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안지역으로 이동시에 운전자 혹은 탑승자의 얼굴, ID 카드 등 출입에 필요한 것을 촬영 등록하게 하여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상태에서 보안지역 출입문에서 보안모드 설정 신호를 수신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과 탑승(사진) 정보를 출입관제소(서버)로 전송하고, 출입관제소(서버)에서는 기 등록된 인원인지를 확인하여 출입허가 신호를 차량용 블랙박스와 출입통제 관리장치로 전송한다. 출입통제관은 출입통제 관리장치 혹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출입허가알림을 확인하고 출입문을 개방한다. 미리 설정된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아닌 경우에는 확인필요 정보를 전송하여 이를 수신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외부 출입통제관은 외부통제 관리장치로 미리 설정된 운전자가 아님을 통보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안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운전자 혹은 탑승자들의 출입을 보다 원활하게 해 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stall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driver in the vehicle, by using it to register the necessary to access the driver's or occupant's face, ID card, etc. when moving to the security area in the state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The vehicle black box that receives the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at the door of the security area transmits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and the boarding (picture) information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server), and checks whether it is a registered person at the access control center (server). Transmit access signal to vehicle black box and access control device. The access control officer confirms the access permission notific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or the vehicle black box and opens the door. If the driver or the occupant is not a predetermined driver, the vehicle black box that receives the confirmation necessary information is output and a warning sound is output, or the external access controller notifies the external control manager that the driver is not a preset driver. In this way, the security area is more smoothly entering and exiting the driver or passenger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100: 차량용 블랙박스 110: 영상 정보 생성부
120: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 130: 속도 산출부
140: 동작모드 판단부 150: 제어부
160: 저장부 170: 통신부
100: vehicle black box 110: imag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vehicle driving state detection unit 130: speed calculation unit
140: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150: control unit
160: storage unit 170: communication unit

Claims (6)

외부로부터 보안모드 설정 신호 또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보안모드 설정 신호 또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에 따라 촬영 모드를 보안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상기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 및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영구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을 영구 저장하는 영구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센서로부터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적인 힘을 감지하여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 및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에서 측정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or a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from the outside;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a shooting mode to a security mode or a normal mode according to a security mode setting signal or a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image information generator including a camera sensor to capture an image;
A storage unit including a temporary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nsor and a permanent storage unit for permanently storing an image requiring permanent storage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 vehicle driving state sens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y detecting a dynamic force of at least one of acceleration, vibration, and impact of the vehicle from a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vehicle driving state detection unit, a vehicle black box having a security function for storing some of the imag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 the permanent storage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드는 보안상태에 따라 상기 카메라 센서 자체를 오프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거나,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의 재생 길이를 변화시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urity mode, a playback length of an image of which the camera sensor itself is turned off or the photographed image is not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or the image is required to be stored in the permanent storage unit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ccording to a security state is used. Vehicle black box with a security feature,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stora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안모드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보안모드에서 상기 임시 저장부와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을 폐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security mode release signal is received, the vehicle black box with a securit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carding the image meeting the set condition among the imag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and the permanent storage in the security mo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온되면, 초기 부팅 모드에서 전원 오프 이전의 동작 모드가 보안모드였는지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vehicle black box with a securit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 boot mode checks whether the operation mode before the power off was the security mo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하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방향을 촬영한 영상은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based on the measured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image photograph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is applied is stored in the permanent storage, and the image photograph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is not applied is not stored in the permanent storage. Car black box with security features, characterized in that no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촬영한 영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설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고 판단되면, 임시 저장된 영상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판독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다고 판독되는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 임시 저장된 영상을 영구 저장부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taken in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impact or when the impact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if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read from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is stored temporarily when there is a movement that is read from the external impact Car black box with a securit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s stored in the permanent storage.
KR1020180079507A 2018-07-09 2018-07-09 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KR1021019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07A KR102101965B1 (en) 2018-07-09 2018-07-09 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07A KR102101965B1 (en) 2018-07-09 2018-07-09 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14A true KR20200005914A (en) 2020-01-17
KR102101965B1 KR102101965B1 (en) 2020-04-17

Family

ID=6937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507A KR102101965B1 (en) 2018-07-09 2018-07-09 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96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2858A (en) * 2010-04-26 2011-11-17 Denso Corp Drive recorder
KR101234347B1 (en) 2012-06-04 2013-02-15 주식회사 아이서티 Black box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vehicles enhanced security based on watermarking technique
KR101462900B1 (en) * 2013-11-12 2014-11-19 (주)에스디시스템 Recording Limiting Apparatus For Accident Recording Apparatus
KR101515582B1 (en) 2014-04-03 2015-04-28 이계정 Apparatus of security for managing faciliti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2858A (en) * 2010-04-26 2011-11-17 Denso Corp Drive recorder
KR101234347B1 (en) 2012-06-04 2013-02-15 주식회사 아이서티 Black box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vehicles enhanced security based on watermarking technique
KR101462900B1 (en) * 2013-11-12 2014-11-19 (주)에스디시스템 Recording Limiting Apparatus For Accident Recording Apparatus
KR101515582B1 (en) 2014-04-03 2015-04-28 이계정 Apparatus of security for managing faciliti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965B1 (en)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80109A (en) Vehicle vicinity monitoring system
JP2006235732A (en) Drive recorder
KR100775610B1 (en) Black box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agement using the same
WO2020136943A1 (en) Vehicle recording control device, vehicle recording device, vehicl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50121529A (en) Method for Recording Event Video by Impact Detecting in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JP5627369B2 (en) In-vehicle operation recording device
KR100820310B1 (en) Preventing apparatus and the same method of rear-end collision of a car
CN111615825B (en) Record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and storage medium
KR20140099615A (en) Digital tachograph with black-box and lane departure warning
KR101580567B1 (en) Apparatus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KR100794631B1 (en) Integrated navigation type automatic recording system for traffic accident
JP5743580B2 (en) Drive recorder device
KR100875302B1 (en) Vehicle black box device for storing accident data and its processing method
KR102101965B1 (en) 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US11917285B2 (en) Recording control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program
CN116057588A (en) Record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1016362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and recording image data
KR100794625B1 (en) Integrated room mirror type automatic recording system for traffic accident
JP6562964B2 (en) OBE
WO2019193830A1 (en) Warning process device, warning process method, and program
JP2021117853A (en) Drive recorder, data recording system, data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KR102101964B1 (en) Power control device for vehicle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KR20150106154A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20004223A (en) On-vehicle video recor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67632B1 (en) Vehicle rear detecti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