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260A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260A
KR20200005260A KR1020180078769A KR20180078769A KR20200005260A KR 20200005260 A KR20200005260 A KR 20200005260A KR 1020180078769 A KR1020180078769 A KR 1020180078769A KR 20180078769 A KR20180078769 A KR 20180078769A KR 20200005260 A KR20200005260 A KR 20200005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xhaust gas
engine
fine dus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일승
Original Assignee
양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일승 filed Critical 양일승
Priority to KR102018007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5260A/ko
Publication of KR2020000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4Cleaning of, preventing corrosion or erosion in, or preventing unwanted deposits in, combustion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종과 주행거리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 농도와 편차 등을 체크하여 축적한 후 외부 데이터(예; 공공/학술 데이터 + 소셜 데이터)와 결합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법(Data mining,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차량 엔진의 청소 주기를 알려주는 것이고, 이에 따라 차량의 연소 촉진, 매연 감소, NOx 감소 등의 작용을 강화하고, 서로 다른 주행 조건을 가지는 차량으로부터 배기가스 배출시 발생하는 육안 확인이 가능한 10㎛ 이하의 미세먼지(PM-10)는 물론, 육안 확인이 어려운 2.5㎛ 이하의 미세먼지(PM-2.5)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Car engine managing method for reducing fine dust}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저감되도록 관리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은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압축 착화시켜 연소되도록 하고, 이에 따른 폭발력을 피스톤의 직선왕복 운동력으로, 그리고 이러한 직선왕복 운동력을 회전 운동력으로 바꾸어 구동력을 얻는 내연기관으로서 다른 종류의 엔진과 마찬가지로 흡기 장치 및 배기 장치가 그 흡,배기구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종류의 엔진과는 달리 과급기를 갖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는 일정량 이상의 잉여 공기를 필요로 하는 디젤 엔진의 특성을 뒷받침할만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특히, 차량의 발진 및 급가속시, 터보랙 구간, 엔진 과부하시 등과 같이 연료의 분사량이 증가될 때 다량의 매연을 배출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디젤 차량 사용자의 불만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인젝션 펌프 방식을 완전히 벗어 버리고 최첨단 전자 제어를 적용한 엔진으로 전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친환경 규제에 맞춘 엔진이라는 점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커먼레일 즉, CRDI(Common Rail Direct Injection) 디젤 엔진을 자동차 회사마다 급을 다르게 하여 활발하게 연구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커먼 레일 디젤 엔진은 매연 저감에 기여하며 전자화를 통해 연료 분사 시기를 제어함으로써 엔진 운전 영역에서 기존의 기계식 연료 분사 장치보다 높은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에 따라 최적의 분사 시기의 분사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동일한 출력 성능 아래에서 상관 관계가 있는 NOx(질소산화물)와 PM(입자상 물질, 흑연)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먼 레일 디젤 엔진은 연소시에 흡기밸브 측 및 흡기 매니폴드 안쪽에서 발생되는 블로바이가스, 오일입자, EGR 배기가스 등이 섞여 고형화된 카본 입자가 누적되는데, 이 카본 및 슬러지의 양이 증가하여 흡기매니폴드 내측의 공기 유동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실린더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량의 감소를 유발하게 되면서 인젝터에서 분사되는 연료량에 비해 적은 공기량이 유입되는 단점이 있으며, 결국 실린더내에서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게 되면서 연비가 떨어지고 차량의 매연 발생 현상이 나타나며, 엔진 출력이 저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종래에는 일반 정비 업체를 통해 주기적으로 카본 및 슬러지를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하였으나, 청소 방법이 까다롭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르게 되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카본 및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전용 클리닝 장비를 갖춘 전문 정비업체 등이 등장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으나, 주기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비용이 추가적으로 많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연소 촉진, 매연 감소, NOx 감소 등의 작용이 강화된 연료 첨가제를 연료 계통에 투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기 연료 첨가제를 투입하더라도 배기가스 배출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3349호(공개일 2007.03.26)
등록특허공보 제10-0979340호(공고일 2010.08.31)
등록특허공보 제10-1235566호(공고일 2013.02.21)
등록특허공보 제10-1650048호(공고일 2016.08.22)
등록특허공보 제10-1731372호(공고일 2017.05.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종과 주행거리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 농도와 편차 등을 체크하여 축적한 후 외부 데이터(예; 공공/학술 데이터 + 소셜 데이터)와 결합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법(Data mining,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차량 엔진의 청소 주기를 알려주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시 발생하는 육안 확인이 가능한 10㎛ 이하의 미세먼지(PM-10)는 물론, 육안 확인이 어려운 2.5㎛ 이하의 미세먼지(PM-2.5)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인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은, (a) 차량 정보를 관리서버에 등록시키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상기 관리서버에 차량 정보가 등록된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배기가스 측정장치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정시,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주기적으로 등록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무선통신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등록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배기가스 배출 농도의 편차를 연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오염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로부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배기가스 배출 오염 상태를 빅데이터 분석기법(Data mining,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Retreatment)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른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를 차주에게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관리서버에 등록되는 차량 정보는 차주 단말 또는 정비서버를 통해 입력되는 차종, 연식, 주행 거리, 배기량, 사용 연료 정보인 것이다.
또한, 상기 (b)단계는, (b-1) 배기가스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1차 측정한 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b-2) 상기 (b-1)단계로부터 1차 배기가스 배출 농도가 측정된 이후에 엔진클리닝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카본(carbon) 및 슬러지를 제거한 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단계로부터 카본 및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배기가스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2차 측정한 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빅데이터 분석기법(Data mining, 회귀분석)은, (d-1) 상기 (c)단계로부터 체크된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오염 상태가 설정된 기준값 이내 또는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d-1)단계의 판단결과 기준값 이내이면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Retreatment)가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 및, (d-3) 상기 (d-1)단계의 판단결과 기준값을 초과하면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점 시기가 도달한 것으로 분석하고 이를 차주에게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d-3)에서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 통보는 SNS 메세지 또는 이메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차주 단말에 통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측정장치와 상기 엔진 클리닝 장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정비서버와 온라인 접속되는 통신모듈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종과 주행거리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 농도와 편차 등을 체크하여 축적한 후 외부 데이터(예; 공공/학술 데이터 + 소셜 데이터)와 결합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법(Data mining,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차량 엔진의 청소 주기를 알려주는 것으로, 이를 통해 차량의 연소 촉진, 매연 감소, NOx 감소 등의 작용을 강화하고, 서로 다른 주행 조건을 가지는 차량으로부터 배기가스 배출시 발생하는 미세먼지(PM-2.5, PM-10)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시스템을 보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흐름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측정하고 엔진 클리닝 절차를 보인 상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를 분석한 후 이를 차주에 통보하는 절차를 보인 상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시스템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흐름을 보인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100)에 온라인 접속된 차주 단말(500)과 정비 서버(600)를 통해 등록하는 차량 정보와 정비 이력 정보를 외부 데이터(예; 공공/학술 데이터 + 소셜 데이터)와 결합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법(Data mining,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를 관리하는 것으로, 상기 관리서버(100) 또는 상기 정비 서버(600)에는 배기가스 측정장치(200)와 차량 클리닝 장치(300)가 통신모듈(700)을 통해 무선통신망(400)으로 온라인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100)에는 차량 정보와 차주 정보는 물론, 차량의 정비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01)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101)에 의해 수집되는 차량 정보와 정비 이력 정보에 따라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농도 편차를 연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오염 상태를 체크하는 한편,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102)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102)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통해 차주 단말에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를 통보하고 관리하는 관리 프로세서(103),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101)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들과, 상기 데이터 분석부(102)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 그리고 상기 관리 프로세서(103)의 관리 이력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104)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가스 측정장치(200)와 상기 엔진 클리닝 장치(300)는 상기 통신모듈(700)을 통해 측정된 배기가스 배출량을 상기 관리서버(100) 또는 상기 정비서버(600)에 전송시 그 전송 데이터에는 식별코드가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엔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구현되는 엔진 관리 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우선 (a)단계로서 차주는 단말(500)을 이용하여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관리서버(100)에 온라인 접속한 후, 상기 관리서버(100)에 차주의 차량 정보(예; 차종, 연식, 주행거리, 배기량, 사용연료 등)를 등록시킨다.
그러면, 상기 관리서버(100)에 포함되는 데이터수집부(101)가 상기 차량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104)에 등록시켜 관리하게 된다.
다음의 (b)단계로서, 차주가 정비소에 마련되는 배기가스 측정장치(200)를 통해 차량의 배기가스(예; NOx, SO2, HC, CO, CO2, O2 등) 배출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결과는 무선통신망(500)에 접속되는 차주 단말(500) 또는 정비서버(60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서버(100)의 데이터수집부(101)가 이를 수집한 후 데이터베이스(104)에 등록 저장시킨다.
즉, (b-1)단계로서, 상기 배기가스 측정장치(200)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기가스(예; NOx, SO2, HC, CO, CO2, O2 등) 배출 농도에 대한 1차 측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1차 측정정보는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100)에 제공되어 데이터수집부(101)에서 수집한 후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하게 된다.
그러면, 다음의 (b-2)단계로서, 1차 배기가스 배출 농도가 측정된 이후에 엔진클리닝장치(300)를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카본(carbon) 및 슬러지를 제거한 후 이를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상기 데이터수집부(101)에 전송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9104)에 저장한다.
다음의 (b-3)단게로서, 상기 카본 및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b-1)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측정장치(200)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2차 측정한 후 이를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데이터수집부(101)에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104)에 등록시키는 것이다.
다음의 (c)단계로서, 상기 관리서버(100)에 포함되는 데이터 분석부(102)는 상기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04)에 주기적으로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등록시, 상기 배기가스 배출 농도의 편차를 연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오염 상태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04)에 등록시킨다.
다음의 (d)단계로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102)는 상기 배기가스 배출 오염 상태를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Retreatment)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른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를 차주에게 통보하는 것이다.
즉, 상기 데이터 분석부(102)에서 이루어지는 빅데이터 분석기법은, 우선 (d-1)단계로서 상기 체크된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오염 상태가 설정된 기준값 이내 또는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다음의 (d-2)단계로서, 상기 판단결과 기준값 이내이면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Retreatment)가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지만, (d-3)단계로서 상기 판단결과 기준값을 초과하면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점 시기가 도달한 것으로 분석하고 이를 상기 관리 서버(100)에 구성되는 관리 프로세서(103)가 차주 단말(500)에 SNS 메세지 또는 이메일로 통보하게 된다.
그러면, 차주는 상기와 같은 SNS 메세지 또는 이메일을 확인한 이후에 정비소에 방문하여, 엔진 클리닝 장치(300)를 통해 엔진 클리닝 작업을 진행하게 됨으로써, 차량 운행에 따른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차량 정보와 그 정비 이력을 관리서버(100)에서 주기적으로 수집한 후 외부 데이터(예; 공공/학술 데이터 + 소셜 데이터)와 결합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법(Data mining,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를 도출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차주는 상기와 같은 엔진 클리닝 점검 시기에 맞춰 엔진을 클리닝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시 발생하는 육안 확인이 가능한 10㎛ 이하의 미세먼지(PM-10)는 물론, 육안 확인이 어려운 2.5㎛ 이하의 미세먼지(PM-2.5)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관리서버 101; 데이터 수집부
102; 데이터 분석부 103; 관리 프로세서
104; 데이터 베이스 200; 배기가스 측정장치
300; 엔진 클리닝 장치 400; 무선통신망
500; 차주 단말 600; 정비 서버
700; 통신모듈

Claims (6)

  1. (a) 차량 정보를 관리서버에 등록시키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상기 관리서버에 차량 정보가 등록된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배기가스 측정장치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정시,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주기적으로 등록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무선통신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등록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배기가스 배출 농도의 편차를 연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오염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로부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배기가스 배출 오염 상태를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Retreatment)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른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를 차주에게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관리서버에 등록되는 차량 정보는 차주 단말 또는 정비서버를 통해 입력되는 차종, 연식, 주행 거리, 배기량, 사용 연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배기가스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1차 측정한 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b-2) 상기 (b-1)단계로부터 1차 배기가스 배출 농도가 측정된 이후에 엔진클리닝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카본(carbon) 및 슬러지를 제거한 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단계로부터 카본 및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배기가스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농도를 2차 측정한 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빅데이터 분석기법은,
    (d-1) 상기 (c)단계로부터 체크된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 오염 상태가 설정된 기준값 이내 또는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d-1)단계의 판단결과 기준값 이내이면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Retreatment)가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 및,
    (d-3) 상기 (d-1)단계의 판단결과 기준값을 초과하면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점 시기가 도달한 것으로 분석하고 이를 차주에게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3)에서 차량 엔진의 클리닝 점검 시기 통보는 SNS 메세지 또는 이메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차주 단말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측정장치와 상기 엔진 클리닝 장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정비서버와 온라인 접속되는 통신모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KR1020180078769A 2018-07-06 2018-07-06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KR20200005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69A KR20200005260A (ko) 2018-07-06 2018-07-06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69A KR20200005260A (ko) 2018-07-06 2018-07-06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260A true KR20200005260A (ko) 2020-01-15

Family

ID=6915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769A KR20200005260A (ko) 2018-07-06 2018-07-06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526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349A (ko) 2004-06-11 2007-03-26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자동차 첨가제 조성물
KR100979340B1 (ko) 2008-01-16 2010-08-31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호코자이 연료 첨가제
KR101235566B1 (ko) 2012-07-05 2013-02-21 (주)씨앤포스 디젤엔진용 인젝터 클리닝 장치
KR101650048B1 (ko) 2015-03-31 2016-08-22 주식회사 엔이세이버 차량 엔진용 클리닝 장치
KR101731372B1 (ko) 2017-03-23 2017-05-11 박성삼 내연기관 실린더 헤드의 흡기밸브와 피스톤 헤드의 카본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349A (ko) 2004-06-11 2007-03-26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자동차 첨가제 조성물
KR100979340B1 (ko) 2008-01-16 2010-08-31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호코자이 연료 첨가제
KR101235566B1 (ko) 2012-07-05 2013-02-21 (주)씨앤포스 디젤엔진용 인젝터 클리닝 장치
KR101650048B1 (ko) 2015-03-31 2016-08-22 주식회사 엔이세이버 차량 엔진용 클리닝 장치
KR101731372B1 (ko) 2017-03-23 2017-05-11 박성삼 내연기관 실린더 헤드의 흡기밸브와 피스톤 헤드의 카본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07864B (zh) 一种基于国六智能车载终端的加油站类型确定方法及系统
CN104074580A (zh) 对大气污染物中由汽车尾气排放产生的污染物的监控系统及方法
US20200355108A1 (en) Vehicle pollutant emissions measurement method using an on-board system
CN104199436A (zh) 一种汽车节能减排和维修的自动诊断系统
CN111598424A (zh) 一种基于重型柴油车远程监控数据的排放计算方法
CN111157049A (zh) 一种柴油车scr后处理器老化性能快速评价系统及方法
Graver et al. Comparison of locomotive emissions measured during dynamometer versus rail yard engine load tests
KR20200005260A (ko)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엔진 관리 방법
CN110222377B (zh) 一种电动车大气污染物减排估算方法
CN111929408A (zh) 一种用于在用机动车排放检测与维护闭环监管系统
Szymlet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passenger car and non-road machinery specific emission in real operating conditions
Li et al. Research on a China 6b heavy-duty diesel vehicle real-world engine out NOx emission deterioration and ambient correction using big data approach
Khalfan et al. Cold start SI passenger car emissions from real world urban congested traffic
Rodríguez et al. Future heavy-duty emission standards
Sappok et al. On-Board Particulate Filter Failure Prevention and Failure Diagnostics Using Radio Frequency Sensing
Khair et al. Portable Emissions Measurement for Retrofit Applications–The Beijing Bus Retrofit Experience
Gis et al. Comparative studies of exhaust emissions from three city buses in real traffic conditions, one with LNG, the other with CI engine and a hybrid bus
Merkisz et al. Observations from PEMS testing of combustion engines of different applications
Woodburn et al. A Technical Overview of Particulate Exhaust Emissions in the Post-RDE Era
Krobot et al. Analysis of the Euro 7 emission standard
Durbin et al. Final report heavy-duty on-road vehicle inspection and maintenance program contract No. 15RD022
CN117056333B (zh) 远程在线评估重型车净化装置的净化效率的方法及装置
Zanfagna et al. High Mileage Emission Deterioration Factors from Euro 6 Positive and Compression Ignition Vehicles
Kwon et al. Exhaus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Excavator With 6.0 Liter Diesel Engine in Real Work Conditions
Karimi et al. Case Study of Real-World Emissions Rates verus EPA Emission Standards for Motor Gr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