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047A -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047A
KR20200005047A KR1020180078225A KR20180078225A KR20200005047A KR 20200005047 A KR20200005047 A KR 20200005047A KR 1020180078225 A KR1020180078225 A KR 1020180078225A KR 20180078225 A KR20180078225 A KR 20180078225A KR 20200005047 A KR20200005047 A KR 20200005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ing
orthodontic
traction
fix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1870B1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배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8007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870B1/en
Publication of KR20200005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8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3Brackets with two or more recesses for 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fixed to teeth with a band; Ban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comprising: an orthodontic bracket including a base unit having a first coupling hole which is formed to penetrate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is coupled with a wire fixed to the surface of a tooth to receive orthodontic treatment and providing tension, and a protruding coupling unit extending and protruding from a rear side of the base unit and having a second coupling hole which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order to pull the tooth to receive orthodontic treatment at a front side toward a rear side; a pulling fixing unit connected to a pulling fixing means fixed to the inside of an oral cavity and having an engaging and coupling unit formed at an end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protruding coupling unit and detachably coupled thereto to transfer a pulling force in a first pulling direction in which the tooth to receive orthodontic treatment is moved backward; and an elastic b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recessed groove formed along a side portion of the base unit and the pulling fixing unit in order to fix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pulling fixing unit to each other.

Description

치열 교정장치{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Orthodontic appliance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치측의 교정대상 치아를 구강의 후방측으로 견인하기 위한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device for pulling the tooth to be corrected on the anterior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oral cavity.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In general, occlus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eeth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mouth is closed. In addition, malocclusion refers to an inaccurate occlusal relationship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is uneven or 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state is out of the normal position for some reason, thereby causing a functional and aesthetic problem.

여기서,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및 치아우식증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Here, the cause of malocclusion is known to have a large genetic effect, but may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congenital disorders such as tooth shape or size problems, environmental influences, bad habits, incorrect posture, and dental caries.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칫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게 되어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더욱이, 정상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도 크다.On the other hand, when malocclusion occurs, the teeth are not neat and food residues easily remain between the teeth.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manage cleanly with accurate brushing, so oral plaque increases, and it is easy to progress to gum diseases such as dental caries and gum inflammation. In addition, if there are teeth that deviate much from normal teeth or the jaw is abnormal,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amage to the teeth, such as tooth fracture, may occur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이에,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치열 교정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Thus,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to treat the malocclusion. Here, the orthodontic treatment uses a property that moves when the tooth receives an external force.

상세히, 치열 교정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 또는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 나뉠 수도 있다.In detail, orthodontic treatment uses a variety of devices and methods depending on the cause or time of treatment. For example, it may be classified into a device for inhibiting or enhancing the development of the upper and lower jawbone, or a device for slowly moving the tooth to a desired position. It may also be divided into removable devices that can be installed and detached in the oral cavity and fixed devices that are detached at the end of treatment after attachment to the teeth.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 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st widely used is a fixed treatment to attach the device called a bracket to the teeth and to move the teeth using the tension of the wire such as orthodontic wire or rubber band, it can be commonly used in various types of orthodontic treatment.

상세히, 상기 브라켓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치열 교정치료가 이루어진다.In detail, the brackets are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respectively, and the wires are fixed to interconnect the brackets. And, by adjus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by varying the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can be to gradually move the tooth to be orthodontic. Therefore, the orthodontic tooth is subjected to orthodontic treatment while its position and posture are changed by the tension of the wire and the tooth moves little by little.

그러나, 종래의 치열 교정치료는 치과 의사와 같은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시술자 자신도 정확한 확신 없이 환자의 치아와 결속된 와이어를 직접 당기거나 풀어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치열을 미세조절하게 된다. 이는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바람직한 치열구조로 조절되므로 시술시간이 증가되고 피시술자의 불편함 및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by the experience of the operator, such as a dentist, the operator himself is finely controll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directly pulling or releasing the wire bound to the patient's teeth without accurate conviction. . This is controlled by the preferred dental structure through repeated trial and err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dure time is increased and the inconvenience and pain of the subject is increased.

또한, 종래의 치열 교정치료는 시술자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못하며, 피시술자는 시술자의 경험 및 능력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바람직한 치열상태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treatment is not objective because it depends heavily on the ability of the op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generally desirable orthodontic state because the patient has to rely entirely on the experience and ability of the operator.

더욱이, 상기 시술자의 경험과 지식은 구체적인 자료로 기록이 어려운 정성적인 데이터이며, 시술자 개개인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상이하다. 이로 인해, 교정의 최종목적이 되는 바람직한 치열모델 자체도 시술을 수행하는 시술자의 주관적 관점 또는 경험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서 치열 교정결과가 보편적이고 객관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operator is qualitative data that is difficult to record as specific data, and varies according to the ability and experience of each operator. For this reason, the preferred orthodontic model itself, which is the final purpose of orthodontics, is also formed by the subjective viewpoint or experience of the operator performing the procedure, so that the orthodontic result is not universal and objective.

한편, 치열 교정치료 중 비정상적으로 전방 돌출된 전치부의 치아를 설측, 예컨대 구개측으로 이동시키는 교정을 설측 견인이라 한다. 이러한 설측 견인은 양측 소구치를 발치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측으로 돌출된 전치를 후방이동시키면서 바람직한 치열상태로 교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he correction of moving the teeth of the anteriorly protruding anterior teeth to the lingual, for example, the palatal side is called lingual traction. This lingual traction creates a space by extracting both premolar and corrects the desired dental condition while moving the anterior teeth protruding toward the space.

이때, 종래의 설측 견인은 각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에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와이어에 구개측으로의 견인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상기 와이어가 단선되거나 초기 설정된 장력위치가 변경되어 교정대상 치아의 뒤틀림 또는 기울어짐이 발생하는 등 바람직한 치열교정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lingual traction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alatal side to the wire that provides tension to the bracket attached to each tooth.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rthodontic correction is not performed such that the wire is broken or the initial tension position is changed to cause distortion or inclination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또한, 견인력에 의한 와이어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브라켓을 고강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해 실질적으로 고정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위치수정 또는 단선된 와이어를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고강도의 접착제 및 와이어를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워 새로운 브라켓을 상기 치아에 재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ire by the traction forc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ire or replace the broken wire by substantially fixing the wire and the bracket using a high-strength adhesive or the like.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remove the high strength adhesives and wires from the brackets, and there was a need to reattach a new bracket to the teeth.

더욱이, 와이어의 변형 및 단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견인되는 힘을 약하게 조절하는 경우 상기 공간측으로 전치가 견인되는 기간이 현저히 증가함으로 인해 환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치가 후방으로 견인되는 견인력이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위치에 제한적으로 전달됨으로 인하여 치열의 기울어짐이나 수직위치의 불균형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more, when the force to be pulled backward to prevent deforma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wire is weakly adjusted,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is increased due to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anterior tooth being pulled into the space. Moreo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eth are inclined or the vertical position is unbalanced due to the traction force to which the anterior teeth are pulled backward is limited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wire is coupled.

한편, 종래에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을 구강 후측으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장치가 제조되었다. 이러한 견인장치는 상기 브라켓을 감싸도록 일면이 개방되되, 내면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삽입되도록 제조되었다. Meanwhile, in the related art, a traction device for pulling the bracket to the rear of the mouth is coupled to the bracket. The towing device is opened to surround the bracket, but the inner surface is recessed to manufacture the bracket.

그러나, 종래의 견인장치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 및 견인하기 위한 함몰 공간을 제조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워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raction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recessed space for coupling and towing to the bracket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economy.

한국 등록특허 제10-099144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9144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치측의 교정대상 치아를 구강의 후방측으로 견인하기 위한 치열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thodontic device for towing the orthodontic teeth to the rear side of the oral cavity as a problem.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되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1결합홀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에 연장 돌설되되 제2결합홀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돌설결합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구강 내부에 고정되는 견인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1견인방향에 대하여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돌설결합부에 형합되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형합결합부가 단부에 형성되는 견인고정부; 및 상기 교정용 브라켓 및 상기 견인고정부가 상호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고정부의 측면부를 따라 형성된 함몰홈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he first coupling hole is coupled to the wire for providing tension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the bas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base portion Orthodontic bracket including a protrusion engaging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coupling ho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wing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traction fixing means fixed to the oral cavity is coupled to the claw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law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tra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in which the tooth to be corrected is moved backward government; And it provides an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band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side of the towing fixing portion so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towing fixing portion is fix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라운드돌기부는 상기 제2결합홀의 양단부 테두리와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형합결합부에 반구 형상으로 돌설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고정부의 측면부에 연속적인 폐곡라인 프로파일로 각각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 및 제2함몰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round protrusion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in the mold coupling portion to be selectively fitted to both edges of the second coupling hole, the recessed groove is a continuous closed curved line on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towing fixing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recessed groove and a second recessed groove each formed in a profile.

이때, 상기 돌설결합부는 상기 형합결합부와 형합되는 형합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 중앙부에 끝단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며 연장 돌설되며, 상기 형합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대면되는 상기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돌설결합부와 형합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is narrowed toward the end toward the rear end of the base portion so as to form a mating region to be combined with the mold coupling portion, and extended protruding,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facing the base portion, the protru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ortion.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돌설결합부에는 상기 와이어 직경에 대응되되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2결합홀의 직경보다 협소화되는 제1와이어수용부 및 제2와이어수용부가 각각 연통 형성되되, 상기 제1와이어수용부는 상기 제1결합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연통되며, 상기 제2와이어수용부는 상기 제2결합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연통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and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ar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 diameter but narrower than the diameters of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respectively. The first wire receiving part communicates with the front of the base part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wire receiving part communicates with the outer side of the base part from the second coupling hole.

또한, 상기 견인고정부에는 상기 제1견인방향과 대응되도록 후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견인력을 전달하는 견인테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교정용 브라켓과 상기 견인고정부는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되, 복수개의 상기 견인고정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견인조인트부가 더 구비된 견인조립체로 구비되며, 상기 교정용 브라켓 및 상기 견인고정부의 결합방향은 상기 제1견인방향과 동시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wing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owing tail portion extending to the rear side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to transfer the traction force,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towing fixing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orthodontic target teeth. To, but is provided with a traction assembly which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ction joint portion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he traction fixing unit integrally,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traction fixing unit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at the same time Do.

이때, 상기 견인조립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견인가이드바가 구비되고, 상기 견인 고정수단은 상기 견인가이드바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의 후방으로 형성된 고정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견인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영역의 양측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견인연결바와, 상기 견인연결바의 양측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가이드바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견인가이드바와 상기 견인연결바를 탄성적으로 인장되도록 연결하는 인장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traction assembly is provided with a traction guide bar extending in the rear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the traction fix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traction guide bar selectively, the traction for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It is fixed to the fixed area formed to the rear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to provide, the traction fixing means is a pair of fixed bracket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area, the traction connecting bar for connecting the pair of fixed brackets, A guide par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ction connecting bar, the guide part having a through-hole formed so that the traction guide bar slides in response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and a tension connection part for elastically tensioning the traction guide bar and the traction connection ba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교정용 브라켓 및 견인고정부가 상호 형합되는 형합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돌설결합부 및 형합결합부는 3차원 프린팅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계 및 제조되어 종래의 브라켓을 고정 및 견인하기 위한 복잡한 견인장치를 제조하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제조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irstly, the traction coupling part and the mating coupling part respectively formed in the mating area where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traction fixing part are mated with each other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quickly and easily through three-dimensional printing, and thus, a complex traction device for fixing and towing a conventional bracket. Eliminate the hassle of manufacturing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manufacturing convenience.

둘째, 교정용 브라켓 및 견인고정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연속적인 폐곡라인 프로파일로 형성된 각 함몰홈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탄성밴드가 결합되므로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치열 교정장치가 고정되어 설치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Second, the elastic b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each recessed groove formed by the continuous closed curved line profile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towing fixing unit, so that the orthodontic device can be easily fixed and the orthodontic device can be fixed, thereby improving installation convenience. have.

셋째, 견인고정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돌기부는 교정용 브라켓의 제2결합홀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어 치열 교정장치가 균일한 견인력으로 구강 후방측으로 견인되므로 치아 전체에 안정적인 견인력이 전달되어 치열 교정치료의 교정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ird, the round protrusion formed in the traction fixing part is fitted to the edg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of the orthodontic bracket, so that the orthodontic device is towed to the rear side of the mouth with uniform traction, so that the stable traction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tooth and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corrected.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넷째, 교정대상 치아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는 각 결합홀의 직경보다 협소화되도록 형성된 각 와이어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착탈되어 과도한 견인력에 의한 단선 또는 초기에 계획되었던 치열 교정위치 변경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교정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Fourth, the wire providing tension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orthodontic tooth is easily detached from each wire receiving portion formed so as to be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each coupling hole, so that the disconnection caused by excessive traction force or the initially planned orthodontics Since problems such as position change are solved, the convenience of calibration can be improved.

다섯째, 각 결합홀이 일체로 형성된 교정용 브라켓으로부터 견인고정부를 분리하기만 하면 각 치아의 개별교정을 위한 와이어를 용이하게 체결/분리 및 위치 수정이 가능하여 종래에 후방견인수단을 구강으로부터 분리한 후 와이어 체결이 가능한 브라켓으로 교체 설치하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교정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Fifth, it is possible to easily fasten / separate and modify the position of the individual teeth of each tooth simply by separating the towing fixing part from the orthodontic bracket in which each coupling hole is integrally formed. After that, the hassle of replacing and installing the bracket with wire fastening can be eliminated, and the convenience of calibra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가 교정대상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에 의한 치열 교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and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teeth to be corrected.
Figure 4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and 5c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orthodontic process by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가 교정대상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example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stalled on the teeth to be corrected.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300)는 교정용 브라켓(310)과 견인고정부(3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orthodontic applian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cluding a correction bracket 310 and the traction fixing part 3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는 특히 전치측의 치아에 발생하는 부정교합 중 전방으로 돌출된 부정교합의 치열 교정치료시 사용될 수 있으며, 교정대상 치아를 구강의 후방 즉, 설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치열 교정장치를 이용한 치열 교정치료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대상치아부(도 5a의 T)의 양측 소구치를 발치하여 발치공간(도 5a의 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치공간(도 5a의 5)이 폐쇄되도록 상기 대상치아부(도 5a의 T)를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치열 교정장치(300,도 5a의 400)가 설치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도 5a의 t1) 또는 상기 대상치아부(도 5a의 T)의 후방이동을 견인할 수 있다. Meanwhil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malocclus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malocclusion, especially occurring in the teeth of the anterior side, provided to be able to move the tooth to be corrected to the rear of the mouth, that is, the lingual side do. At this time, the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orthodontic device is formed by extracting both premolar of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 Fig. 5a) containing the orthodontic teeth to form an extraction space (5 of Fig. 5a). In addi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300 (400 of FIG. 5A) is installed to move the target tooth part (T of FIG. 5A) so that the extraction space (5 of FIG. 5A) is closed so that the teeth to be corrected (FIG. 5A). T1) or the rear movement of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 FIG. 5A) can be towed.

여기서, 상기 대상치아부(도 5a의 T)는 치열 교정치료가 실질적으로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정대상 치아(t1)를 포함하는 부정교합 치열영역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대상치아부(도 5a의 T)는 구강 내부에서 부정교합 치열이 주로 발생하는 전치측 6개소의 치아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고정치아(도 5a의 2)는 구치측 2~3개소의 치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후술되는 견인 고정수단(도 5a의 440)이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target tooth part (T in FIG. 5A) is preferably understood to be an occlusal orthodontic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rthodontic teeth t1 substantially requiring orthodontic treatment. That is, the target tooth part (T in FIG. 5A) may include all or part of six teeth on the anterior side where malocclusion dentition is mainly generated in the oral cavity. In addition, the fixed tooth (2 of FIG. 5a) to be described later is preferably understood to be two to three teeth on the posterior side, and the traction fixing means (440 of FIG. 5a)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fixed.

한편,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표면에 고정되되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1결합홀(312)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부(31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311)의 내면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표면 프로파일에 형합되는 형합면(311b)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치아마다 상이한 표면 프로파일에 따라 개별 설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rthodontic bracket 31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1), the wire is provided to provide a tension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1). In detail, the orthodontic bracket 310 has a base portion 311 which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and has a first coupling hole 312 through which a wire for providing tension is coup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Include. In this case,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1 may be formed as a mating surface 311b to be matched to the surface profil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1), it may be design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surface profile for each tooth.

따라서, 상기 형합면(311b)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특정한 표면 프로파일에 형합되어 바람직한 위치에 정렬 고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mating surface 311b is matched to a specific surface profil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and aligned in a desired position, the tension of the wire is accurately transmitted, and thus the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러한 형합면(311b)에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치열 교정장치(300)에 가해지는 견인력 및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로부터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이 분리됨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될 수 있다.The mating surface 311b has an adhesive force such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tooth surface by the traction force appli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300 and the tension of the wire in the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Dental adhesives may be applied. Therefore, the orthodontic bracket 31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rthodontic tooth t1, so that a stabl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311)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형합면(311b)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11)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을 일정 면적으로 감쌀 수 있는 단면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ase portion 311 may be designed so that the mating surface 311b corresponds to the lingual profile of the corrective tooth t1 so as to be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corrective tooth t1.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31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ross-sectional area that can wrap the lingual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to a certain area.

따라서, 상기 치열 교정장치의 견인력 및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을 통하여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전체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치열 교정과정에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기울어짐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the traction forc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tension of the wire are transmitted to the orthodontic tooth t1 through the orthodontic bracket 310 as a whole, the inclination of the orthodontic tooth t1 in the orthodontic process and The same problem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311)에는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상기 제1결합홀(312)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홀(312)은 상기 베이스부(311)의 기설정된 위치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311)의 후측에는 후술되는 돌설결합부(317)가 형성되는데,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상기 베이스부(311)의 전방측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홀(312)은 상기 와이어가 내삽 및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된 내주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upling hole 312 through which the wire for providing tension is coupled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3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ere, the first coupling hole 312 may be formed to penetr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311. At this time, the rear side of the base portion 311 is formed with a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preferably meant a front side of the base portion 311. Here, the first coupling hole 312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circumferenc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wire is interpolated and fixed.

또한,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의 설계 과정에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부정교합 정도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정밀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제1결합홀(312)의 개구위치 및 개구방향이 개별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orthodontic bracket 310, the opening position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hole 312 is adjusted so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is precise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isalignment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t1). Can be designed individually.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311)에는 상기 와이어 직경에 대응되되 상기 제1결합홀(312)의 직경보다 협소화되는 제1와이어수용부(313)가 상기 제1결합홀(312)에 연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와이어수용부(313)는 상기 제1결합홀(312)로부터 상기 베이스부(311)의 전방으로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수용부(313)는 상기 제1결합홀(312)로부터 상기 베이스부(311)의 외측방향으로 연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313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upling hole 312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wire in the base portion 311 but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oupling hole 312. Do. Here,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313 preferably communicates with the front of the base part 311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312. Of course, in some cases,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313 may communicate with the outer side of the base part 311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312.

이에 따라, 치열 교정을 위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1와이어수용부(313)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홀(312)에 걸림 및 고정되되, 상기 제1와이어수용부(310)의 직경이 상기 제1결합홀(312)의 직경보다 협소하므로 이탈이 어려우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 for orthodontics is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313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re diameter to be caught and fix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312, and to accommodate the first wire. Since the diameter of the part 310 is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oupling hole 312, the separation is difficult, and thus the ease of use may be significantly increased.

한편, 상기 베이스부(311)에는 측면부를 따라 제1함몰홈(314)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함몰홈(314)은 상기 돌설결합부(317)가 형성된 후방부를 제외한 상기 베이스부(311)의 측면부 및 전면부를 따라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함몰홈(314)은 불연속적인 함몰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함몰홈(314)에는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탄성밴드(330)가 상기 프로파일에 내삽되어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portion 311 is preferably formed with a first recessed groove 314 along the side portion. In detail, the first recessed groove 314 is preferably recessed in a continuous profile along the side and front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311 except for the rear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7 is formed. Of course, in some cases, the first recessed groove 314 may be formed as a discontinuous recessed surface. Accordingly, an elastic band 330 may be interpolated into the profile so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310 and the towing fixing part 320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recessed groove 314.

여기서, 상기 제1함몰홈(314)은 상기 제1결합홀(312)이 형성된 위치에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홀(312)의 양단부가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1함몰홈(314) 중 어느 양측으로 연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함몰홈(314)은 상기 탄성밴드(330)가 내삽되는 용도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함몰홈(314)의 함몰면 프로파일의 함몰깊이는 연속된 프로파일의 각 위치별로 상이하게 형성되더라도 무방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recessed groove 314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coupling hole 312 is formed. That is, both ends of the first coupling hole 312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either side of the first recessed groove 314 formed in the shape of a profile. Here, since the first recessed groove 314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inserting the elastic band 330, the recessed depth profile of the recessed surface profile of the first recessed groove 314 is different for each position of the continuous profile. Even if it's okay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이때, 상기 제1함몰홈(314)에 상기 탄성밴드(330)가 걸림 및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홀(312)이 상기 탄성밴드(330)에 의해 외부로부터 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결합홀(312)의 양단부 입구가 상기 탄성밴드(33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은폐되므로 상기 제1결합홀(312)의 내부로 이물질 등의 유입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위생성이 증가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elastic band 330 is locked and fixed to the first recessed groove 314, the first coupling hole 312 may be concealed from the outside by the elastic band 330. Through this, since portions of the inlet of both ends of the first coupling hole 312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elastic band 330 is conceal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s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oupling hole 312 in advance. Therefore, hygiene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 베이스부(311)의 외면(315)측 테두리는 구개측 조직에 접촉 또는 가압되어 통증 및 이물감의 발생이 방지 및 완화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311)는 구강 내 돌출된 상태에서 이물감이 최소화되고,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교정대상 치아(t1)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dge of the outer surface 315 side of the base portion 311 may be rounded to prevent or alleviate the occurrence of pain and foreign body by contact or pressurized to the palatal tissue. The base portion 311 is provid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teeth to be corrected (t1) so that foreign matter is minimized in the protruding state in the oral cavity, and the overall volume of the traction fixing unit 320 is minimized. Can be.

그리고,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은 상기 베이스부(311)의 후측에 끝단으로 갈수록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협소화되며 연장 돌설되되 제2결합홀(318)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상기 돌설결합부(317)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alibration bracket 310 is narrow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rear end of the base portion 311 inclined and extends in a predetermined angle, but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penetr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317.

상세히, 상기 돌설결합부(317)는 후술되는 상기 견인고정부(320)에 형성되는 형합결합부(321)와 형합되는 형합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부(311)의 후측 중앙부에 후측 끝단부로 갈수록 양측면이 협소화되며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protruding portion 317 is closer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311 so that a forming region that is formed with the forming portion 321 formed on the towing fixing portion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s are narrowed and extended.

여기서, 상기 돌설결합부(317)는 상기 고정용 브라켓(310)과 상기 견인고정부(32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해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돌설결합부(317) 및 상기 형합결합부(321)는 상호 형합되는 조건 내에서 형상이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돌설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311)의 후측 중앙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 돌설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형합결합부는 상기 돌설결합부와 상호 형합되도록 상기 돌설결합부의 형태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coupling part 317 is formed to connect and fix the fixing bracket 310 and the towing fixing part 320. Therefore, the shape of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7 and the coupling portion 321 may be changed within the conditions that the mutual coupling. For example,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stepwise from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311. In this case,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to be mutually combined with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그리고, 상기 돌설결합부(317)에는 상기 제2결합홀(318)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홀(318)은 상기 와이어가 내삽 및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된 내주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is formed to penetrate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protrusion coupling part 317. Here,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circumference formed in the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wire is interpolated and fixed.

또한, 상기 제2결합홀(318)의 양단부에는 상기 형합결합부(321)에 형성되는 라운드돌기부(322)가 각각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결합홀(318)은 상기 고정브라켓(3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상호 결합 및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라운드돌기부(322)가 삽입 및 고정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브라켓(310)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제2결합홀(318)은 상기 와이어가 삽입 및 고정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홀(318)의 양단부 테두리에 인접한 상기 돌설결합부(317)는 상기 라운드돌기부(322)가 매끄럽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2결합홀(318) 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round ends 322 formed in the coupling part 321 may be inserted and fix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respectively. That is,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serting and fixing the round protrusion 322 when the fixing bracket 310 and the towing fixing part 320 are coupled to and fixed to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fixing bracket 310 is used alone,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may be used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wire. Here,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7 adjacent to both edges of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may be recessed toward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so as to smoothly insert the round protrusion 322. .

또한,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의 설계 과정에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부정교합 정도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정밀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제2결합홀(318)의 개구위치 및 개구방향이 개별적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orthodontic bracket 310, the opening position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is changed so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is precise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isalignment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t1). It may be designed separately.

그리고, 상기 돌설결합부(317)에는 상기 와이어 직경에 대응되되 상기 제2결합홀(318)의 직경보다 협소화되는 제2와이어수용부(319)가 연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와이어수용부(319)는 상기 제2결합홀(318)로부터 상기 베이스부(311)의 외측방향으로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와이어수용부(319)는 상기 제2결합홀(318)로부터 상기 베이스부(311)의 후방으로 연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319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rotrusion coupling part 317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re diameter but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Here,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319 is preferably communicated with the out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1 from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Of course, in some cases,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319 may communicate with the rear of the base part 311 from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이에 따라, 치열 교정을 위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2와이어수용부(319)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홀(318)에 걸림 및 고정되되, 상기 제2와이어수용부(319)의 직경이 상기 제2결합홀(318)의 직경보다 협소하므로 이탈이 어려우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는 각 결합홀(312,318)의 직경보다 협소화되도록 형성된 각 와이어수용부(313,319)로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착탈되어 과도한 견인력에 의한 단선 또는 초기에 계획되었던 치열 교정위치 변경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교정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 for orthodontics is easily inserted into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319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re diameter to be caught and fix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and to accommodate the second wire. Since the diameter of the portion 319 is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the separation is difficult, so the ease of use may b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the wire providing the tension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is selectively detached to each wire receiving portion (313,319) formed to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each of the coupling holes (312,318) excessively Problems such as disconnection due to traction or change of the orthodontic position previously planned can be solv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alibration.

한편, 상기 견인고정부(320)는 구강 내부에 고정되는 견인 고정수단(도 5a의 440)에 연결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1견인방향(f1)에 대하여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raction fixing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traction fixing means (440 of Figure 5a) is fixed inside the oral cavity and the trac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to move the orthodontic tooth (t1) to the rear It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delivered.

이러한 견인고정부(320)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구강 내 후방으로 견인되는 제1견인방향(f1)에 대하여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고정용 브라켓(310)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고정부(320)는 구강 내부에 고정되는 견인 고정수단(도 5a의 440)에 연결되어 상기 제1견인방향(f1)으로의 견인력이 전달될 수 있다.The traction fixing part 320 is preferably selectively locked and fixed to the fixing bracket 310 so that the traction force is transmit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n which the target tooth t1 is towed rearward in the oral cavity. Do. Here, the traction fixing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traction fixing means (440 of Figure 5a) that is fixed inside the oral cavity can be transmitted to the traction force in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상세히, 상기 견인고정부(320)에는 상기 돌설결합부(317)에 형합되어 선택적으로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상기 형합결합부(321)가 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형합결합부(321)는 상기 베이스부(311)와 대향되는 단부측 양측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형합영역이 확장되도록 경사면(321a)이 각각 형성되며 연장 돌설될 수 있다. In detail, the traction fixing portion 320 is preferably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321 is coupled to the claw coupling portion 317 and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In this case, the mating coupling portion 321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321a and extended so as to extend the joining region toward both sides of the end side facing the base portion 311 toward the outside.

이에 따라, 상기 형합결합부(321)는 상기 베이스부(311)의 후측 중앙부에 끝단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며 연장 돌설되는 상기 돌설결합부(317)와 형합 및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upling portion 321 may be combined with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7 which is narrowed toward the end of the base portion 311 toward the end of the base portion 311 and extends and protrudes.

그리고, 상기 견인고정부(320)에는 상기 제2결합홀(318)의 양단부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상기 라운드돌기부(3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돌기부(322)는 각 상기 경사면(321a) 중 상기 제2결합홀(318)의 양단부 테두리와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반구 형상으로 돌설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라운드돌기부(322)는 상기 형합결합부(321)의 각 경사면(321a)에 반구 형상으로 연장 돌설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ction fixing part 320 is preferably formed with the round protrusion 322 which is selectively fitted to both edges of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Here, the round protrusions 322 are preferably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t positions opposite to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in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321a. In this case, the round protrusion 322 may extend in a hemispherical shape on each inclined surface 321a of the coupling portion 321.

이에 따라, 상기 라운드돌기부(322)가 상기 제2결합홀(318)의 양단부 테두리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전달되는 견인력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전달됨에 따라 구강 내 후방으로의 견인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라운드돌기부(322)는 상기 제2결합홀(318)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어 치열 교정장치가 균일한 견인력으로 구강 후방측으로 견인되므로 치아 전체에 안정적인 견인력이 전달되어 치열 교정치료의 교정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round protrusion 322 is fixed to both edges of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the traction fixing part 32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310. Therefore, in the oral cavity as the traction fixing unit 320 is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310, the traction force transmit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s transmitted to the orthodontic target t1. Traction movement to the rear can be performed stably. That is, the round protrusion 322 is fitted to the rim of the second coupling hole 318, so that the orthodontic device is towed to the rear side of the oral cavity with a uniform traction force, so that a stable tra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tooth,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고정용 브라켓(3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는 3차원 프린트를 이용하여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설결합부(317) 및 상기 형합결합부(321)이 상기 3차원 프린팅되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310 and the towing fixing part 32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 In this case, the protrusion coupling part 317 and the coupling part 321 may be easily manufactured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이에 따라,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상호 형합되는 형합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돌설결합부(317) 및 상기 형합결합부(321)는 3차원 프린팅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계 및 제조되어 종래의 브라켓을 고정 및 견인하기 위한 복잡한 견인장치를 제조하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제조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7 and the coupling portion 321,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coupling region where the orthodontic bracket 310 and the towing fixing portion 320 are mutually joined, are quickly formed through three-dimensional printing. Design and manufacturing can be easily and easily eliminate the hassle of manufacturing a complex traction device for fixing and towing a conventional bracket can be improved manufacturing convenience.

한편, 상기 베이스부(311)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에는 측면부를 따라 함몰홈(314,323)이 연속적인 폐곡라인 프로파일로 각각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함몰홈(314,323)은 상기 제1함몰홈(314) 및 제2함몰홈(3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함몰홈(323)은 상기 형합결합부(321)가 형성된 전방측을 제외한 상기 베이스부(311)의 측면부 및 후면부를 따라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함몰홈(323)은 불연속적인 함몰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portion 311 and the towing fixing part 32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recessed grooves 314, 323 along the side portion in a continuous closed curved line profile,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recessed grooves 314 and 323 include the first recessed groove 314 and the second recessed groove 323. Here, the second recessed groove 323 is preferably formed to be recessed in a continuous profile along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311 except the front sid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321 is formed. Of course, in some cases, the second recessed groove 323 may be formed as a discontinuous recessed surface.

또한, 상기 치열 교정장치(300)는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상호 고정되도록 상기 폐곡라인 프로파일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상기 탄성밴드(33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3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the elastic band 330 is inserted into the closed curved line profile to be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310 and the towing fixing part 320 is fixed to each other. Do.

여기서, 상기 탄성밴드(330)는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결합시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치열 교정장치(300)에 가해지는 견인력보다 큰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고무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elastic band 330 has a rubber so as to have a greater elastic restoring force than the traction force applied to the orthodontic device 300 to prevent separation when the orthodontic bracket 310 and the traction fixing part 320 is coupled It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or the like.

이에 따라, 연속적인 폐곡라인 프로파일로 형성된 상기 제1함몰홈(314) 및 상기 제2함몰홈(323)에는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상호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밴드(330)가 내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전달되는 견인력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전달됨에 따라 구강 내 후방으로의 견인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astic band such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310 and the towing fixing part 320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recessed groove 314 and the second recessed groove 323 formed of a continuous closed line profile. 330 may be interpolated and combined. Therefore, in the oral cavity as the traction fixing unit 320 is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310, the traction force transmit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s transmitted to the orthodontic target t1. Traction movement to the rear can be performed stably.

따라서,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연속적인 폐곡라인 프로파일로 형성된 각 함몰홈(314,323)에 상기 탄성밴드(330)가 내삽 및 결합된 상태로 상기 치열 교정장치(300)가 구강 후방측으로 견인되어 치아 전체에 안정적인 견인력이 전달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설치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astic band 330 is interpolated and coupled to each of the recessed grooves 314 and 323 formed in a continuous closed line profile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orthodontic bracket 310 and the towing fixing unit 320. Since the orthodontic appliance 300 is towed to the rear of the oral cavity, a stable tra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tooth,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and improving the ease of installation.

한편, 상기 베이스부(311)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외면(315,324)은 상호 결합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부착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에 상기 견인고정부(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라운드진 외면(315,324)측 전단부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단부가 단차지지 않고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11)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외면(315,324)측 테두리는 구개측 조직에 접촉 또는 가압되어 통증 및 이물감의 발생이 방지 및 완화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portion 311 and the outer surface (315,324) of the towing fixing part 32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ontinuous profile when mutually coupled.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towing fixing unit 320 is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310 attached to the orthodontic tooth t1, the front ends of the rounded outer surfaces 315 and 324 of the towing fixing unit 320 are fixed. The portion and the end of the orthodontic tooth t1 may b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continuous profile without being stepped. In addition, the outer edges 315 and 324 of the base portion 311 and the traction fixing portion 320 may be rounded to contact or press the palatal tissue to prevent and alleviate the occurrence of pain and foreign body.

그리고,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내면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표면 프로파일에 형합되는 형합면(320b)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치아마다 상이한 표면 프로파일에 따라 개별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형합면(320b)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특정한 표면 프로파일에 형합되어 바람직한 위치에 정렬 고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ction fixing unit 320 may be formed as a mating surface (320b) to be matched to the surface profil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it may be designed individually according to a different surface profile for each tooth. Therefore, since the mating surface 320b is matched to a specific surface profil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and aligned in a desired position, the tension of the wire is accurately transmitted, and thus the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may be significantly improved.

여기서, 상기 견인고정부(320)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형합면(320b)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고정부(320)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을 일정 면적으로 감쌀 수 있는 단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ction fixing unit 320 may be designed to correspon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correction target tooth (t1) so that the mating surface (320b) is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correction target tooth (t1). In addition, the traction fixing unit 320 may be provided with a cross-sectional area that can cover the lingual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to a predetermined area.

따라서, 상기 치열 교정장치의 견인력 및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을 통하여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전체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치열 교정과정에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기울어짐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traction forc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tension of the wire is transmitted to the orthodontic target tooth t1 through the orthodontic bracket 310 and the traction fixing unit 320 as a whole, the orthodontic target in the orthodontic process Problems such as tilting of the teeth t1 can be prevented.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후면은 내면측으로부터 외면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경사진 후면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구개(3)측으로 이어지는 잇몸부의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므로, 상기 치열 교정장치(300)가 구강 내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rear surface of the towing fixing unit 320 may extend inclined rearward from the inner surface side toward the outer surface side. Accordingly, the inclined rear surface of the towing fixing part 320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profile of the gum portion where the teeth to be corrected (t1) are directed to the palate (3) side, so that the orthodontic appliance 300 is compact in the oral cavity. Can be installed.

이를 통해, 상기 치열 교정장치(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저작 또는 교합시 구강 내 조직과의 간섭 및 이로 인한 이물감이 최소화되므로 치열 교정치료 중 교정대상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orthodontic appliance 300 is installed, interference with the intraoral tissues and foreign objects caused by chewing or occlusion are minimized, so that the discomfort of the orthodontist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may be minimized.

한편,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과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결합방향(도 4의 f3)은 상기 제1견인방향(f1)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311)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치과용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적이 확보되도록,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상기 형합면(311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교정대상 치아(t1)에 각각 부착되는 상기 베이스부(311)의 단면적, 부착방향 및 상기 형합면(311b) 형상은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direction (f3 of Figure 4) of the orthodontic bracket 310 and the traction fixing part 32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n detail, the base portion 311 corresponds to the lingual profile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so that an attachment area that can be attached to the orthodontic tooth (t1) by a dental adhesive is secured. 311b) may be formed.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area, the attachment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mating surface 311b of the base portion 311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neighboring teeth to be corrected t1 may be designed differently.

이때, 상기 견인고정부(320)는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견인고정부(320)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상기 형합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ction fixing unit 320 may be selectively coupled and fix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310. Here, the traction fixing part 320 may be formed with a mat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ingual profil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따라서, 상호 이웃하는 교정대상 치아(t1)에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이 개별 부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결합방향(도 4의 f3)은 실질적으로 상호평행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각 배열위치 및 각도가 상이하더라도 구강 내 후방측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견인될 수 있으며, 견인 과정에서의 각 치아의 기울어짐 또는 뒤틀림이 방지되어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orthodontic brackets 310 are individually attached to neighboring orthodontic teeth t1,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towing fixing unit 320 (f3 in FIG. 4)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have. Through this, even if each arrangement position and angl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is different, it can be reliably towed in the same direction to the rear side in the oral cavity, and the orthodontic treatment treatment is prevented by the inclination or distortion of each tooth in the traction process The reliability of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에 상기 견인고정부(320)를 분리하기만 하면 각 치아의 개별교정을 위한 와이어를 용이하게 체결/분리 및 위치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후방견인수단을 구강으로부터 분리한 후 와이어 체결이 가능한 브라켓으로 교체 설치하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교정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by simply removing the traction fixing part 320 to the orthodontic bracket 310, the wires for the individual calibration of each tooth can be easily fastened / separated and the position can be corrected. Therefore, the hassle of removing the rear towing means from the oral cavity and then replacing the bracket with a wire fastening bracket can be eliminat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correction.

한편, 상기 견인고정부(320)에는 상기 제1견인방향(f1)과 대응되도록 후측으로 연장되어 견인력을 전달하는 견인테일부(32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견인테일부(325)는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후측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테일부(325)는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되도록 상기 견인고정부(320)로부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ction fixing part 320 may be provided with a traction tail portion 325 extending to the rear side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to transfer the traction force. Here, the tow tail portion 325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substantially continuous profile on the rear side of the tow fixing portion 320. In addition, the towing tail portion 325 may be formed to extend in parallel from the towing fixing portion 320 to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이에 따라, 상기 제1견인방향(f1)으로 가해지는 견인력이 상기 견인고정부(20)에 전체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안정적으로 견인되면서도, 상기 견인력에 의해 상기 견인테일부(325)가 상기 견인고정부(320)로부터 파단됨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raction force applied in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s transmitted to the traction fixing part 20 as a whole, and the towing tail part 325 is driven by the traction force while the correction target tooth t1 is stably towed.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from the towing fixing unit 320.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견인테일부(325)는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외면(324)과 기설정된 둔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견인고정부(320)의 경사진 상기 후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구개(3)측으로 이어지는 잇몸부의 프로파일에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연장되므로, 상기 치열 교정장치(300)가 구강 내 더욱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 Of course, in some cases, the towing tail portion 325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obtuse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324 of the towing fixing portion 320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inclined rear surface of the towing fixing portion 320. It may be extended to a specific profile. Accordingly, since the orthodontic target t1 extends to be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profile of the gum portion leading to the palate 3 side, the orthodontic appliance 300 may be more compactly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에 의한 치열 교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정용 브라켓(410) 및 견인고정부(420)의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and 5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rthodontic process by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calibration bracket 410 and the traction fixing part 42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도 4 내지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는 전치측에 복수개로 존재하며,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과 상기 견인고정부(420)는 상기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t1)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열 교정장치(400)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t1)를 포함하는 대상치아부(T)를 전체적으로 동시에 후방으로 견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5C,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t1 exist on the anterior side, and the orthodontic bracket 410 and the towing fixing part 420 are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t1. I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refore, by using the orthodontic device 400,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cluding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t1 can be pulled backwards at the same time as a whole.

여기서, 상기 치열 교정장치(400)는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를 일체로 연결하는 견인조인트부(430)가 더 구비된 견인조립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인조립체라 함은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410)과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기 견인조인트부(430)가 하나의 세트로 구비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견인조립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견인가이드바(43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orthodontic appliance 400 may be provided as a traction assembly which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ction joint portion 430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raction fixing part 420. In this case, the traction assembly is the traction joint part 430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410, the plurality of towing fixing parts 420, and the plurality of towing fixing parts 420. It is preferred to understand that is provided in one set. Both sides of the traction assembl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traction guide bar 432 extending in the rear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상세히, 상기 견인조인트부(430)는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를 상기 대상치아부(T)의 치열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4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견인방향(f1)으로의 견인력이 상기 고정부(431)를 통해 연결된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후방이동되는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구비된다. 즉, 상기 견인조립체의 양측에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구비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견인조인트부(430)의 양측에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traction joint part 430 includes a fixing part 431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raction fixing parts 4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teeth of the target tooth part T. In addition,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moved backward so that the traction force in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traction fixing parts 420 connected through the fixing part 431. That is,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ction assembly is preferably understood that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ction joint portion 430.

이때, 상기 견인가이드바(432)는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연장되되, 상기 견인조립체의 양측 최외단에 구비되는 견인고정부(420)로부터 구개정준선의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링크부(432a)를 통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구강 내 구치부 및 상기 구치부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441)을 회피하여 구개측의 상대적으로 넓은 설근측 공간으로 연장되므로 설치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exten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t is inclin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palatal leveling line from the traction fixing part 420 provided on both outermost ends of the traction assembly It can be connected integrally through a pair of extension link portion (432a). Therefore, since the traction guide bar 432 extends into the relatively wide tongue-side space on the palatal side by avoiding the oral molar and the fixing bracket 441 fixed to the molar side,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상기 견인가이드바(432)의 후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력에 의해 상기 견인가이드바(432)의 후단부가 상기 설근측으로 인접하게 이동되더라도 구개측 조직에 접촉 또는 가압되어 통증 및 이물감이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견인가이드바(432)는 전단부측이 구강 내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가 아닌, 후단부측이 구강 내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견인 고정수단(440)에 관통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치아부(T)가 구강 내 후방으로 전체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견인가이드바(432)의 전단부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에 접촉되어 후방이동이 제한되거나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preferably formed to be round. Through this, even when the rear end of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moved adjacent to the tongue muscle side by the traction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in and foreign body is generated by contacting or pressing the palatal tissue. In addition, the traction guide bar 432 may be connected to the traction fixing means 440 so that the rear end side is moved to the rear side in the oral cavity, rather than the front end side is slid to the front side in the oral cavity. Therefor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in contact with the lingual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target tooth portion T to the rear in the oral cavity to prevent the rear movement is limited or interfered. can do.

그리고, 상기 견인가이드바(432)는 상기 한쌍의 연장링크부(432a)가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개정준선에 대응하는 교차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하나로 연장될 수도 있으나,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후방이동되어 견인되도록 한쌍으로 대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raction guide bar 432 may be extended in one to the rear from the intersection point corresponding to the palatal level line by the pair of extension link portion 432a is inclined, but the teeth to be corrected (t1) at the same time st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is provided symmetrically so as to be moved rearward.

또한, 상기 고정부(431)는 양단부가 상호 이웃하는 상기 견인고정부(420)의 후단부측에 연결되되 중앙부가 상기 견인가이드바(432)의 후단부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호 이웃하는 교정대상 치아 사이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의 치간사이가 차폐되는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치열 교정치료 기간 중 치실 등을 이용한 구강 내 위생작업이 용이하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431)가 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제1견인방향(f1)과 근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므로 후방으로의 견인력이 각 견인고정부(420)에 더욱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431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towing fixing portion 420 adjacent to both ends, but the center is formed to be round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towing guide bar 432, the neighboring correction Can be spaced from between the target teeth. Therefore, the area between the interdental of the orthodontic target tooth can be minimized, and the oral hygiene work using dental floss and the like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is easy. Furthermore, since the fixing part 431 is formed to be rounded rearward, both ends thereof may exten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so that the traction force to the rear is more stably transmitted to each towing fixing part 420. May be

이때, 상기 고정부(431)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견인고정부(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 상기 연장링크부, 상기 견인가이드바 및 상기 제1연장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견인고정부는 별도로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고정부(420)가 상기 고정부의 각 연결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part 43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ction fixing part 42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in some cases, the fixing part, the extension link part, the traction guide bar and the first extension hook The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towing fixing portions may be provided separately. Therefore, the traction fixing part 420 may be slide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410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each connection point of the fixing part.

더욱이,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견인고정부의 결합방향 역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연결지점이 상기 견인고정부의 전방으로부터 슬라이드 결합되되 후방측에 상호 걸림 구속되는 스토퍼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견인방향(f1)의 견인력에 의한 상호 고정력이 더욱 견고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Moreover,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towing fixing portion may also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Further, the stopper means slide-coupled from the front of the towing fix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opper means that is mutually restrained on the rear side, so that the mutual fixing force due to the pulling force in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s more firmly established. It may be formed.

한편,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관통 연결되되,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대상치아부(T)의 양측 후방으로 형성된 고정영역에 고정되는 상기 견인 고정수단(440)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connected through, the traction fixed to the fixed are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target teeth (T) in order to provide a trac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Preferably, the means 440 is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견인 고정수단(440)은 한쌍의 고정브라켓(441), 견인연결바(442), 가이드부(443) 그리고 인장연결부(444)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441)은 상기 고정영역의 양측으로 고정되며, 상기 견인연결바(442)가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441)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영역은 도면에서와 같이, 양측 구치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구개측에 상기 고정브라켓(441)이 고정 나사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Here, the traction fixing means 440 may include a pair of fixing bracket 441, the traction connecting bar 442, the guide portion 443 and the tension connecting portion 444. In detail, the pair of fixing brackets 441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region, and the towing connecting bar 442 is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pair of fixing brackets 441.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xing region may be formed with both side molar parts, and in some cases, the fixing bracket 441 may be fixed to the palatal side through fixing screws or the like.

더불어, 상기 고정브라켓(441)의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고정브라켓(441)의 전후방향으로 보강브라켓(446)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장연결부(444)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견인 고정수단(440)이 구강 내 전방측으로 역으로 견인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bracket 446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xing bracket 441 to reinforce the fixing force of the fixing bracket 44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ction fixing means 440 from being pulled backward to the front side in the oral cavity by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 connecting portion 444.

그리고, 상기 견인연결바(442)의 양측에는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관통홀(443a)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443)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인장연결부(444)는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상기 가이드부(443)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후방이동되도록 상기 견인가이드바(432)와 상기 견인연결바(44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guide parts 443 formed with the through-hole 443a formed at both sides of the traction connecting bar 442 so that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inserted therethrough so as to slide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s provided. In addition, the tension connecting portion 444 and the traction guide bar 432 so as to move backward in response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n the state where the traction guide bar 432 penetrates the guide portion 443 It is provided to elastically connect the traction connecting bar 442.

상세히, 상기 견인가이드바(432)의 전단부측에는 상기 인장연결부(444)의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1인장걸이부(43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연결바(442)에는 상기 인장연결부(444)의 타단부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인장걸이부(44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인장걸이부(433) 및 상기 제2인장걸이부(445)에 상기 인장연결부(444)가 체결되면 상기 인장연결부(444)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구강 내 설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대상치아부(T)가 전체적으로 동시에 후방 견인될 수 있다.In detail, a first tension hook part 433 may be provided at a front end side of the traction guide bar 432 to which one end of the tension connecting part 444 is selectively fastened. In addition, the towing connecting bar 442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tension hook part 445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connecting part 444 is selectively fastened. Therefore, when the tension connecting portion 444 is fastened to the first tension hook portion 433 and the second tension hook portion 445,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oral by the tension of the tension connecting portion 444. As the slide moves toward the inner lingual side, the target tooth part T may be totally pulled backward simultaneously.

여기서, 상기 인장연결부(444)는 탄성적으로 인장되는 고무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각 인장걸이부(433,445)에 체결되는 길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견인가이드바(432)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와이어 또는 체인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장연결부(444)는 각 교정대상 치아(t1)가 원래의 돌출된 위치로 돌아가려는 힘보다 큰 인장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대상치아부(T)가 후방으로 안정적으로 견인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견인가이드바(432)의 전단부측과 상기 견인연결바(442)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후방이동됨에 따라 상기 견인조립체가 전체적으로 구강 내 후방으로 견인될 수 있다.Here, the tension connecting portion 444 may be provided with a rubber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tensioned, and optionally by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traction guide bar 432 by adjusting the length interval is fastened to each tension hook portion (433, 445). The paper may be provided by a wire or a chain. At this time, the tensile connection portion 444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stably towed to the target tooth portion (T) by having a tensile force greater than the force to return to each of the corrected teeth (t1) to the original protruding position.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Accordingly, as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moved backward while the gap between the front end side of the traction guide bar 432 and the traction connecting bar 442 is narrowed, the traction assembly may be pulled rearward in the oral cavity as a whole. .

한편,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410) 및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의 각 결합방향(f3)은 상기 견인방향(f1)과 동시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coupling direction (f3)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410 and the traction fixing portion 42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raction direction (f1).

상세히,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은 교정대상자의 구강을 스캐닝하여 획득된 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각 교정대상 치아 이미지상에 개별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개별 설계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의 설계정보에 상기 견인고정부의 설계정보가 가상 배치되며, 상기 견인고정부의 설계정보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고정부의 설계정보가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인고정부의 설계정보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개별 설계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견인가이드바, 상기 연장링크부 및 상기 제2연장걸이부의 설계정보가 가상 배치되어 상기 견인조인트부의 설계가 완료되면 이를 기반으로 실물의 견인조인트부(430)가 제조될 수 있다.In detail, the orthodontic bracket 410 may be individually designed on each orthodontic target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based on a scanning image obtained by scanning the oral cavity of the orthodontic subject. Then,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towing fixing part is virtually arranged in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designed individually on the tooth to be corrected, and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fixing part which interconnects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towing fixing part is virtually arranged. Can be. At this time,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towing fixing unit is preferably understood a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thodontic bracket designed individually on the orthodontic target tooth. In addition, when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tow guide bar, the extension link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hanger is virtually arranged and the design of the tow joint part is completed, the tow joint part 430 of the real may be manufactured.

따라서, 상기 견인조인트부(430)는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의 위치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각각 부착된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410)의 위치와 정밀하게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조립체가 구강 후방측으로 동시에 이동되므로 상기 치아대상부(T)가 전체적으로 견인되어 치열 교정치료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raction joint part 430 may precisely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410 attached to the orthodontic teeth t1, respectively. have. Through this, the traction assembly is simultaneously moved to the rear of the oral cavity so that the tooth target portion T is pulled as a whole, so that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proceed quickly.

또한,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대응하여 위치 및 방향이 상이하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견인고정부(420)의 결합방향(f3)은 실질적으로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방견인 과정에서 각 치아의 기울어짐 또는 뒤틀림이 방지되어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though the orthodontic bracket 410 is formed in different positions and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orthodontic teeth t1, the coupling direction f3 of the towing fixing unit 420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erefore, inclination or distortion of each tooth is prevented in the rear towing process, and the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상기 견인고정부(420)의 각 위치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이 부착된 각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가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410)에 동시에 결합되므로 설치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position of the towing fixing part 420 is manufactured in a stat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position to which the orthodontic bracket 410 is attached. Therefore, since the plurality of towing fixing portions 420 ar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alibration brackets 410,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t1)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대상치아부(T)의 양측 소구치가 발치되어 상기 발치공간(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영역 양측의 각 고정치아(2)에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441)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441)의 각 내면은 상기 고정치아(2)의 고정면과 형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441)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견인연결바(442)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부(443)의 관통방향이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5A to 5C, both premolar teeth of the target tooth part T, in which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t1 protrude forward, are extracted to form the extraction space 5. The pair of fixing brackets 441 are fixed to the fixing teeth 2 on both sides of the fixing region. In this case, each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fixing brackets 441 may be designed to mate with the fixing surfaces of the fixing teeth 2. Therefore,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guide part 443 provided in the towing connecting bar 442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fixing brackets 441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이때, 상기 대상치아부(T)의 각 교정대상 치아(t1)에는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이 개별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의 각 내면이 상기 각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과 개별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rthodontic bracket 410 is separately attached to each orthodontic target t1 of the target tooth part T. Here, each inner surface of the orthodontic bracket 410 may be formed so as to be individually mated with the lingual surface of each of the orthodontic teeth (t1).

더불어, 상기 견인조인트부(43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일체로 연결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상기 가이드부(443)의 관통홀(443a)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가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410)에 결합 및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견인방향(f1)으로 견인력이 작용한다. 이때, 상기 제1인장걸이부(433)와 상기 제2인장걸이부(445)에 상기 인장연결부(444)의 각 단부가 연결되어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견인가이드바(432)가 상기 관통홀(443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구강 내 후방으로 견인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대상치아부(T)에 포함된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t1)가 동시에 설근측으로 견인 이동되어 상기 발치공간(5)을 폐쇄하면서 돌출된 전치측의 위치가 1차 교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raction fixing parts 42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traction joint part 43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calibration bracket 410 is installed. When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moved back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43a of the guide part 443, the plurality of traction fixing parts 420 are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calibration brackets 410. The traction force acts in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in the engaged and fixed state. In this case, when each end of the tension connecting portion 444 is connected to the first tension hook portion 433 and the second tension hook portion 445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he traction guide bar 432 is the through-hole In the state inserted in 443a, the vehicle is pulled back in the oral cavity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Therefore,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argets t1 included in the target tooth part T may be simultaneously pulled toward the tongue muscle and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anterior side protruding while closing the extraction space 5 may be firstly corrected.

즉, 본 발명은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에 걸림 고정되는 상기 견인고정부(420)를 통해 후방측으로 견인되는 견인력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견인고정부(420)에 형성된 라운드돌기부(422)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에 형성되는 제2결합홀(418)의 양단부 테두리에 끼움 및 고정되고,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 및 상기 견인고정부(420)의 측면부를 따라 함몰 형성된 폐곡라인 프로파일에 탄성밴드가 걸림 및 고정되므로 상기 견인력이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의 전체적인 면적에 전달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tion force to be pulled to the rear side through the traction fixing part 420 is fix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410 is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round protrusion 422 formed in the traction fixing part 420 is fitted and fixed to both edges of the second coupling hole 418 formed in the orthodontic bracket 410, and the orthodontic bracket 410 And since the elastic band is locked and fixed to the closed curved line profile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traction fixing section 420, the traction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entire area of the orthodontic bracket 410.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뒤틀림 또는 기울어짐 없이 전체적으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견인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브라켓을 연결하는 얇은 와이어에 견인력이 가해짐으로 인한 단선 또는 초기에 계획되었던 치열 교정위치 변경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tooth t1 to be corrected can be stably pulled in response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as a whole without distortion or inclination. In addition, since problems such as disconnection due to traction applied to the thin wire connecting the bracket or the previously planned orthodontic position change are solved,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may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대상치아부(T)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밴드를 제거하고, 상기 라운드돌기부(422)를 상기 제2결합홀(418)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가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4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n, the elastic band is removed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target tooth part T is moved backward, and when the round protrusion 422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upling hole 418, the plurality of traction fixing parts ( 420 may be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410.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420)가 분리된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410)을 연결하도록 제1결합홀(412) 및 상기 제2결합홀(418)에 상기 와이어(16)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6)로부터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바람직한 연속치열구조에 대응되도록 각 치아에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제2견인방향에 대응하여 위치 및 방향이 교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견인방향이라 함은 각 교정대상 치아(t1)가 상기 연속치열구조에 대응되도록 위치 및 각도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wires 16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holes 412 and the second coupling holes 418 to connect the plurality of calibration brackets 410 in which the plurality of towing fixing parts 420 are separated. Can be combined. In addition,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may be correc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towing direction that is individually set to each tooth such that the target tooth t1 corresponds to the desired continuous dental structure by the tension transmitted from the wire 16. . Here, the second towing direc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and angle can be moved so that each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t1 corresponds to the continuous dental structure.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와이어(16)를 통하여 상기 대상치아부(T)가 상기 바람직한 연속치열구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견인방향에 대응하여 먼저 위치 및 방향이 교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견인고정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기 견인조인트부에 의해 전체적으로 구강 내 후방으로 견인 이동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전달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 상기 제2견인방향에 대응하여 교정됨과 동시에 상기 대상치아부(T)의 전체적인 위치가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후방 견인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견인고정부및 상기 탄성밴드에 의해 상기 교정용 브라켓에 형성된 각 결합홀(412,418)의 개구측이 실질적으로 커버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견인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 Of course, in some cases,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may first be correc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towing direction such that the target tooth part T corresponds to the desired continuous dental structure through the wire 16. In addition, the traction joint may integr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traction fixing parts to be rearwardly moved in the oral cavity as a whole. In addition, the tension of the wire is transmitted to correct the teeth to be correc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towing direction (t1) and at the same time the overall position of the target teeth (T) is pulled back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opening sides of the respective coupling holes 412 and 418 formed in the orthodontic bracket may be substantially covered by the towing fixing unit and the elastic band, thereby preventing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rthodontic bracket by the traction force. You may.

더욱이, 상기 와이어(16)가 각 상기 결합홀(412,418)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조인트부(430)가 제거된 견인고정부(420)를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와이어(16) 자체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410)에 직접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단지 상기 견인고정부(420) 및 상기 탄성밴드에 의해 각 상기 결합홀이 차폐된 구조이므로, 상기 견인고정부(420) 및 상기 탄성밴드를 분리하기만 하면 상기 와이어(16)의 결합/교체 또는 위치이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owing fixing part 420 from which the traction joint part 430 is removed may be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410 while the wire 16 is coupled to each of the coupling holes 412 and 418. That is, since the wire 16 itself is not directly fix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410, only the towing fixing portion 420 and the elastic band is shielded by each of the coupling holes, the towing height The separation / position or positional movement of the wire 16 may be easily performed only by separating the government part 420 and the elastic band.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4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420)가 상호 결합 및 고정되고,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4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420)의 외측을 상기 탄성밴드가 감싸 고정된 상태로 구강 후방측으로 견인된다. 따라서, 치아 전체에 견인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므로 교정대상 치아(t1)의 기울어짐 또는 뒤틀림 없이 신속하게 후방 이동될 수 있어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thodontic brackets 310 and 410 and the towing fixing parts 320 and 420 are mutually coupled and fixed, and the elastic band is wrapped around the outer sides of the orthodontic brackets 310 and 410 and the towing fixing parts 320 and 420. It is towed to the posterior side of the mouth in a fixed state. Therefore, since the traction force is stably transmitted to the entire tooth, it can be quickly moved rearward without inclination or distortion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t1),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또한, 상기 와이어(16)의 각 결합홀(412,418)이 일체로 형성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410)으로부터 상기 견인고정부(320,420)를 분리하기만 하면 각 치아의 개별교정을 위한 와이어(16)를 용이하게 체결/분리 및 위치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후방견인수단을 구강으로부터 분리한 후 와이어 체결이 가능한 브라켓으로 교체 설치하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교정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에 브라켓을 연결하는 얇은 와이어에 치아의 후방이동을 위한 견인력이 가해짐에 의해 발생하던 와이어의 파단 등을 방지하여 교정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16 for individual calibration of each tooth may be obtained by simply separating the towing fixing portions 320 and 420 from the orthodontic brackets 310 and 410 in which the coupling holes 412 and 418 of the wire 16 are integrally formed. Can be easily tightened / detached and repositioned. Therefore, the hassle of removing the rear towing means from the oral cavity and then replacing the bracket with a wire fastening bracket can be eliminat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correction. Moreover, the stability of orthodontics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wire, which is caused by applying a traction for rearward movement of the tooth to the thin wire connecting the bracket.

이때, 상기 견인고정부(320,4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410)에 결합되는 방향(f3)과 후방으로의 제1견인방향(f1)이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4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420)이 상호 결합되고, 상기 교정용 브라켓(310,410) 및 상기 견인고정부(320,420)의 외면이 상기 탄성밴드에 의해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견인됨과 동시에 강한 결합력이 가해지므로 교정기간 중 상호간의 분리됨 없이 안정적으로 교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f3 to which the traction fixing parts 320 and 420 are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s 310 and 410 and the first towing direction f1 to the rear correspon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orthodontic brackets 310 and 410 and the towing fixing parts 320 and 4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orthodontic brackets 310 and 410 and the towing fixing parts 320 and 420 are fixed by the elastic band. At the same time as the towing, a strong bonding force is applied, so it can be stably calibra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during the calibration period.

더욱이, 복수개의 치아를 동시에 후방견인할 수 있도록 하나의 견인조립체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310,410) 및 견인고정부(320,420)의 각 결합방향(f1)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한번의 조작으로 상기 견인조립체를 한꺼번에 결합 및 견인할 수 있어 설치편의성 및 교정신속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치열 교정장치(300,4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 및 구개(3)측으로 이어지는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므로 구강 내 컴팩트하게 설치되어 이물감 및 이로 인한 교정대상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teeth are provided as a single pull assembly to simultaneously back-tighten, each coupling direction f1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310 and 410 and the towing fixing parts 320 and 420 is formed in parallel. Therefore, the towing assembly can be combined and towed at one time by one operation, so that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the calibration speed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overall shape of the orthodontic device (300,400)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profile leading to the orthodontic teeth (t1) and palate (3) side is compactly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to minimize the discomfort and resulting discomfort of the orthodontic target Can be.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such as "comprise", "make up", "includ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erefore, other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is possi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to exclude the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10: 교정용 브라켓 311: 베이스부
312: 제1결합홀 314: 제1함몰홈
317: 돌설결합부 318: 제2결합홀
320: 견인고정부 321: 형합결합부
322: 라운드돌기부 323: 제2함몰홈
325: 견인테일부 330: 탄성밴드
430: 견인조인트부 431: 고정부
432: 견인가이드바 440: 견인 고정수단
441: 고정브라켓 442: 견인연결바
443: 가이드부 443a: 관통홀
444: 인장연결부 300,400: 치열 교정장치
310: calibration bracket 311: base portion
312: first coupling hole 314: first recessed groove
317: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8: second coupling hole
320: towing fixing part 321: coupling part
322: round projection 323: the second recessed groove
325: tow tail portion 330: elastic band
430: towing joint portion 431: fixed portion
432: tow guide bar 440: tow fixing means
441: fixing bracket 442: towing connecting bar
443: guide portion 443a: through hole
444: tensile connection 300,400: orthodontic appliance

Claims (6)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되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1결합홀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에 연장 돌설되되 제2결합홀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돌설결합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구강 내부에 고정되는 견인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1견인방향에 대하여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돌설결합부에 형합되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형합결합부가 단부에 형성되는 견인고정부; 및
상기 교정용 브라켓 및 상기 견인고정부가 상호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고정부의 측면부를 따라 형성된 함몰홈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first coupling hole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orthodontic target tooth, the first coupling hole to which the tension is coupled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the base portion, the base portion extending protruding to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thodontic bracket including a claw coupling;
Tow is connected to the traction fixing means fixed in the oral cavity is formed on th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claw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law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traction force is transmit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to which the orthodontic tooth is moved rearward government; And
An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an elastic b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towing fixing portion so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towing fixing portion are fix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돌기부는 상기 제2결합홀의 양단부 테두리와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형합결합부에 반구 형상으로 돌설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고정부의 측면부에 연속적인 폐곡라인 프로파일로 각각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 및 제2함몰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und protrusion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o the coupling portion to selectively fit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the recessed groove includes a first recessed groove and a second recessed groove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continuous closed line profile on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towing fixing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설결합부는 상기 형합결합부와 형합되는 형합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 중앙부에 끝단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며 연장 돌설되며,
상기 형합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대면되는 상기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돌설결합부와 형합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is narrowed toward the end towar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so as to form a fitting region to be combined with the coupling portion and extends and protrudes,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end facing the base portion, orthodontic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be combined with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돌설결합부에는 상기 와이어 직경에 대응되되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2결합홀의 직경보다 협소화되는 제1와이어수용부 및 제2와이어수용부가 각각 연통 형성되되,
상기 제1와이어수용부는 상기 제1결합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연통되며, 상기 제2와이어수용부는 상기 제2결합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ortion and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ar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ortion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wire diameter but narrower than the diameters of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the first wire receiving part communicates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to the front of the base part, and the second wire receiving part communicates from the second coupling hole to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as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고정부에는 상기 제1견인방향과 대응되도록 후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견인력을 전달하는 견인테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교정용 브라켓과 상기 견인고정부는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되, 복수개의 상기 견인고정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견인조인트부가 더 구비된 견인조립체로 구비되며,
상기 교정용 브라켓 및 상기 견인고정부의 결합방향은 상기 제1견인방향과 동시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owing fixing unit is provided with a towing tail portion extending rearwar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to transfer the towing force,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towing fixing part are provided in plural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nd are provided as a towing assembly further provided with a towing joint part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owing fixing parts.
Orthodontic orthodon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towing fixing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at the same ti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조립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견인가이드바가 구비되고, 상기 견인 고정수단은 상기 견인가이드바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의 후방으로 형성된 고정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견인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영역의 양측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견인연결바와, 상기 견인연결바의 양측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가이드바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견인가이드바와 상기 견인연결바를 탄성적으로 인장되도록 연결하는 인장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t both sides of the traction assembly are provided with a traction guide bar extending in the rear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the traction fixing means i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traction guide bar, to provide a trac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Fixed to a fixed area formed to the rear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The towing fixing means includes a pair of fixing bracket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area, a towing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pair of fixing brackets, and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towing connecting bar,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wing direction. And a guide portion having a through-hole formed so that the traction guide bar slides, and a tension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traction guide bar and the traction connecting bar to be elastically tensioned.
KR1020180078225A 2018-07-05 2018-07-05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2101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25A KR102101870B1 (en) 2018-07-05 2018-07-05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25A KR102101870B1 (en) 2018-07-05 2018-07-05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47A true KR20200005047A (en) 2020-01-15
KR102101870B1 KR102101870B1 (en) 2020-04-17

Family

ID=6915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225A KR102101870B1 (en) 2018-07-05 2018-07-05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87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444A (en) * 2005-03-09 2006-09-14 차경석 Bracket for tooth alignment and method of securing a bracket for tooth alignment
KR100991447B1 (en) 2008-08-13 2010-11-04 주보훈 correction apparatus for anterior teeth and/or lip profusion and the method thereof
KR20150031949A (en) * 2013-09-17 2015-03-25 (주)Sy이노베이션 Bracket for orthodontics
KR20170081579A (en) * 2017-05-12 2017-07-12 권순용 Orthodontic Appliance F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081433A (en) * 2016-01-04 2017-07-12 권순용 Dental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760251B1 (en) * 2016-04-14 2017-07-21 양동민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170140069A (en) * 2017-04-19 2017-12-20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Self ligatio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444A (en) * 2005-03-09 2006-09-14 차경석 Bracket for tooth alignment and method of securing a bracket for tooth alignment
KR100991447B1 (en) 2008-08-13 2010-11-04 주보훈 correction apparatus for anterior teeth and/or lip profusion and the method thereof
KR20150031949A (en) * 2013-09-17 2015-03-25 (주)Sy이노베이션 Bracket for orthodontics
KR20170081433A (en) * 2016-01-04 2017-07-12 권순용 Dental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760251B1 (en) * 2016-04-14 2017-07-21 양동민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170140069A (en) * 2017-04-19 2017-12-20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Self ligatio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20170081579A (en) * 2017-05-12 2017-07-12 권순용 Orthodontic Appliance F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870B1 (en)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4804B2 (en)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KR101999378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1723674B1 (en) Lingual orthodontic system
US9993317B2 (en) Class II malocclusion correction appliance for removable aligners
JP6539294B2 (en)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US5037295A (en) Muscular expansion oral shield appliance
JP6082727B2 (en) Protruding mouth straightening wire and projecting mouth straighte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804990B1 (en) Dental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737442B1 (en) A hook for molar of orthodontic
KR102209805B1 (en) orthodontic digital turbo bracket
KR20190080789A (en) Orthodontic space closure device
KR101158725B1 (en) Orthodontic Apparatus for Lingual Retra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02148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CA2477352A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KR101760251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2101870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1894039B1 (en)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CN114376747B (en) Appliance suitable for interjaw traction and design method thereof
KR101249175B1 (en) Orthodontic apparatus
KR20170081579A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002790U (en) Malocclusion diagnosis device
KR102164764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JPH11509437A (en) Tongue pressing oral habit retraining device
KR102181712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