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949A - Bracket for orthodontics - Google Patents
Bracket for orthodontic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1949A KR20150031949A KR20130111822A KR20130111822A KR20150031949A KR 20150031949 A KR20150031949 A KR 20150031949A KR 20130111822 A KR20130111822 A KR 20130111822A KR 20130111822 A KR20130111822 A KR 20130111822A KR 20150031949 A KR20150031949 A KR 201500319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 base
- adhesive
- wire
- orthodon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열 교정하기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의 표면에 접착(부차)되는 브라켓의 치아 접착부를 치아 표면과 대응되도록 구현하여, 치열 교정 시 치아 표면에 견고하게 브라켓을 부착할 수 있고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orthodontic corr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cket for attaching (attaching) a bracket to a tooth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a tooth surface, And an orthodontic bracket that minimizes a foreign body sensation.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이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이다.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치열교정장치는 치아에 부착시키는 브라켓(bracket), 브라켓에 결합되어 각 브라켓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wire) 및 와이어 결합부, 브라켓과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결속시키는 결속타이 등으로 구성된다.Generally, orthodontics is a procedure to correct denti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used for orthodontics includes a bracket to be attached to the teeth, an orthodontic wire and wire joint to be connected to the bracket to adjust the spacing of each bracket, bracket and orthodontic wire And a binding tie or the like for binding.
치열교정 방법은 치아의 표면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고정한 후 치열교정용 브켓들을 치열교정용 와이어로 연결하여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의해 발생되는 힘으로 고르지 못한 치열을 교정하는 것이다. 치아의 표면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해,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치아 접착부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치아 접착부에 도포된 접착제로 인해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치열교정을 마칠 때까지 치아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orthodontic method is to fix an orthodontic bracket on the surface of a tooth, connect the orthodontic brackets to the orthodontic wire, and correct the uneven dentition by the force generated by the orthodontic wire. To fix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tooth bonding por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Due to the adhesive applied to the tooth bonding area, the orthodontic bracket remains bonded to the tooth until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completed.
치열교정을 마친 후 치아 표면에 접착된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치아로부터 탈거하게 된다. 치열교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치열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의 표면에 견고히 접착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치열교정을 마친 후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탈거 시 흔적이 남지 않고 용이하게 탈거되어야 한다. After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completed, the orthodontic bracket adhered to the tooth surface is removed from the tooth. To improve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orthodontic bracket must be firmly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In addition, after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completed, the braces for orthodontic brackets must be easily removed without leaving traces.
그러나, 일반적인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분리가 잘 되지 않았으며 분리되더라도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와 같은 잔류물을 남겨 깨끗이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기본적 으로 가지는 구조로 인해 치아 표면의 형상 및 면적에 대응되지 못해 사용자(치열교정을 하는 환자)에게 이물감을 줄 수 있다.However, general braces for orthodontic brackets are not easily separated when they ar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eeth, and even if they are sepa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ackets are not cleanly separated due to residual adhesive such as adhesive on the surfaces of the teeth. In addition, a general orthodontic bracke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hape and area of the tooth surface due to its basic structure, and can give the user (a patient who undergoes orthodontic treatment) a sense of foreign body.
해당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3952호의 “치아 교정 장치 커버 어셈블리”가 있다.A prior art in the technical field i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03952 entitled " Orthodontic Device Cover Assembly ".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치열교정을 하는 환자)에게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irst, it aims to firmly attach the bracket to the tooth surface, and to minimize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user (patient who undergoes orthodontic treatment).
둘째, 치열교정을 마친 후,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서 탈거 시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와 같은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깨끗이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econd, the purpose is to remove the bracket for the orthodontic cor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after the orthodontic correction, so that the tooth can be cleanly removed without leaving residue such as adhesive on the surface of the tooth.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와 접착되는 치아 접착부가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치열교정을 위한 교정용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길이를 가지는 교정용 와이어 수용홈이 형성된 와이어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의 치아 접착부에 이격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와이어 결합부의 외측에 체결용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체결용 와이어 수용홈을 구비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including a base having a tooth bonding portion bonded to a tooth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wire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formed with a calibration wire receiving groove having a length so as to receive a calibration wire for orthodontic correction.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adhesive projection spaced apart from the tooth bonding portion of the base. Further, a fastening wire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wire connecting portion so as to receive the fastening wire.
베이스는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일 구간의 치아 접착부 면적과 타 구간의 치아 접착부 면적이 서로 상이하다. The base has a bent portion as a boundary, and the tooth bonding portion area of one section and the tooth bonding portion area of the other s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베이스는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대향하는 일 측부의 길이가 타 측부의 길이보다 길며, 일 측부는 치아의 상부를 향하고, 타 측부는 잇몸과 접하는 치아의 하부를 향한다.The base has a length of one side opposite to the other sid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ther side with the bent portion as a boundary, one side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tooth and the other side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tooth in contact with the gum.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베이스의 치아 접착부에 복수의 접착돌기를 구비하고, 베이스의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일 구간의 치아 접착부 면적과 타 구간의 치아 접착부 면적이 서로 상이하므로,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치열교정을 하는 환자)에게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First, since a plurality of adhesive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tooth-bonded portion of the base and the area of the tooth-bonded portion of one section is different from the area of the tooth-bonded portion of one section with the bent portion of the base as a boundary, the bracket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And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user (patient who undergoes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minimized.
둘째, 베이스의 치아 접착부에 굴곡부를 형성하고,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치아 접착부에서 서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복수의 접착돌기를 구비하여, 치아 접착부와 접착제 간의 접착력을 높이므로, 치열교정을 마친 후,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서 탈거 시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와 같은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깨끗이 탈거될 수 있다.Secondly, since a plurality of adhesive protrusions are provided symmetrically or a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the tooth adhesive portion with the bent portion formed in the tooth adhesive portion of the base and the bent portion as the boundary,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tooth adhesive portion and the adhesive is enhanced, When the bracket for calibration is detach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it can be cleanly removed without leaving residues such as adhesive on the tooth surfa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베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as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복수로 구비되어 치열교정을 위해 치아에 각각 접착(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각각의 치아에 접착시킨 후, 다양한 소재로 구현 가능한 치열교정을 위한 교정용 와이어(미도시)를 와이어 결합부(120)의 교정용 와이어 수용홈(121)에 수용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dhered) to the teeth for orthodontic correction. After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hered to each tooth, an orthodontic wire (not shown) for orthodontic practice, which can be realized with various materials, is inserted into the orthodontic
또한, 치아의 표면에 접착된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다양한 소재로 구현 가능한 체결용 와이어에 의해, 교정용 와이어와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체결용 와이어는 와이어 결합부(120)에 구비된 체결용 와이어 수용홈(122)에 수용된다. 전술한 방법을 통해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 표면에서 치열교정을 위해 서로 위치가 유지된다.In addition, the orthodontic bracket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is fastened to the orthodontic wire by a fastening wire which can be realized by various materials. At this time, the fastening wire is accommodated in the faste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와 접착되는 치아 접착부(111)가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110)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치열교정을 위한 교정용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길이를 가지는 교정용 와이어 수용홈(121)이 형성된 와이어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110)의 치아 접착부(111)에 이격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돌기(1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함한다. 또한, 와이어 결합부(120)의 외측에 체결용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체결용 와이어 수용홈(122)을 구비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실리카 등의 분말소재와 포셀라인 등의 경질합성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크기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owder materials such as alumina, zirconia, and silica and hard synthetic resins such as foselain. The siz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y one.
본 발명에서 베이스(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부에 와이어 결합부(120)를 구비한다. 와이어 결합부(12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와이어 결합부(120)의 일 측에서 타 측까지 길이를 가지는 교정용 와이어 수용홈(121)을 구비한다. 교정용 와이어 수용홈(121)의 길이, 깊이, 홈의 넓이 등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교정용 와이어 수용홈(121)은 일 측과 타 측이 각각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와이어 결합부(120)에서 각각의 모서리 부분은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된다. 연장형성된 와이어 결합부(120)의 모서리 부분과 베이스(110)의 상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와이어 결합부(120)의 모서리 부분과 베이스(110)의 상부 사이에 공간은 체결용 와이어가 수용되는 체결용 와이어 수용홈(122)이다. The calibra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교정용 와이어 수용홈(121)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길이를 가지는 부분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진 굴곡부(112)를 구비한다. 베이스(110)는 와이어 결합부(12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베이스(110)는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는 치아 접착부(111)을 형성하며, 치아 접착부(111)에 접착돌기(130)를 복수로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2, the
치아 접착부(111)에 구비된 접착돌기(130)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이 치아의 표면에 접착될 때, 접착력을 높일 수 있고, 치아의 표면에서 탈거 시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접착돌기(130)는 베이스(110)의 치아 접착부(1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접착돌기(130)가 치아 접착부(1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연삭 가공, 소결, 사출 및 프레스 가공 등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When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teeth, the
접착돌기(130)는 치아 접착부(111)상에 이격배치된다. 접착돌기(130)는 굴곡부(112)를 경계로 하여 서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구비된다. 접착돌기(130)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굴곡부(112)를 경계로 하여 서로 마주보는 부분은 치아 접착부(111)에서 굴곡부(112)와 비굴곡부에 걸쳐져서 위치한다. 접착돌기(130)의 크기 및 형상 등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굴곡부(112)의 형상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접착돌기(130)는 굴곡부(112)를 경계로 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베이스(110)의 하부에 면적을 가지는 치아 접착부(111)를 형성하고, 치아 접착부(111)에 굴곡부(112)를 형성하고 접착돌기(130)를 구비하여 접착제가 도포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해, 베이스(110)의 치아 접착부(111)에 접착제를 도포할 경우, 접착제(미도시)는 베이스(110)의 치아 접착부(111)에 도포되고, 접착돌기(130)의 외면에 도포되며, 굴곡부(112)의 표면에 도포된다.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따라서, 접착제는 치아 표면에 접하는 면적보다 베이스(110)의 하부에 접하는 면적이 더 넓게 된다. 따라서, 접착제와 브라켓 간의 접착력이, 접착제와 치아 표면 간의 접착력 보다 높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이 치아 표면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접착제와 브라켓 간의 접착력이, 접착제와 치아 표면 간의 접착력 보다 높기 때문에,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서 탈거 시 접착제는 브라켓에 접착된 상태로 치아의 표면에서 분리된다. Therefore, the area of the adhesive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서 탈거 시 접착제가 브라켓에 접착된 상태로 탈거되기 때문에,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서 탈거할 때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 등의 이물질이 남지 않게 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제와 브라켓 간의 접착력이, 접착제와 치아 표면 간의 접착력 보다 높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제와 브라켓 간의 접착력이 높은 이유는 베이스(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굴곡부(112), 접착돌기(130)로 인해 접착제가 도포되는 면적이 치아 표면의 면적보다 넓기 때문이다. When the bracket is detach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adhesive is detached while being adhered to the bracket. Therefore, when the bracket is detach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foreign substances such as adhesive are not left on the surface of the tooth.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bracket is higher tha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tooth surfac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bracket is high because the area of the adhesive 110 applied to the adhesive 110 due to the bending
베이스(110)의 면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12)를 경계로 하여 일 구간의 면적과 타 구간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다. 또한, 베이스(110)에서 굴곡부(112)를 경계로 서로 대향하는 일 측부의 길이(a)와 타 측부의 길이(b)가 서로 상이하다. 이로 인해, 베이스(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上廣下夾)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3, the area of the
베이스(110)가 상광하협(上廣下夾)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 시 치아의 표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 부착할 경우, 베이스(110)의 일 부분이 치아의 표면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110)가 상광하협(上廣下夾)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은 치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side the surface of a tooth when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because the
베이스(110)에서 서로 대향하는 일 측부의 길이(a)와 타 측부의 길이(b)가 서로 상이하고, 베이스(110)가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치아 표면에 치열 교정용 브라켓이 부착될 때 접착제가 치아의 표면을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11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치열 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의 표면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Since the length a of the one side portion and the length b of the other side portion mutually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치열 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될 경우, 베이스(110)에서 굴곡부(112)를 경계로 서로 대향하는 일 측부는 치아의 상부를 향하며, 치아에 위치하게 되고, 타 측부는 잇몸을 향하는 치아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When the orthodontic bracke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one side portion facing the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베이스(110)의 치아 접착부(111)에 복수의 접착돌기(130)를 구비하고, 베이스(110)의 굴곡부(112)를 경계로 하여 일 구간의 치아 접착부 면적과 타 구간의 치아 접착부 면적이 서로 상이하므로,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치열교정을 하는 환자)에게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또한, 베이스(110)의 치아 접착부(111)에 굴곡부(112)를 형성하고, 굴곡부(1121)를 경계로 하여 치아 접착부(111)에서 서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복수의 접착돌기(13)를 구비하여, 치아 접착부(111)와 접착제 간의 접착력을 높이므로, 치열교정을 마친 후,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서 탈거 시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와 같은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깨끗이 탈거될 수 있다.A bending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which ma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베이스 111: 치아 접착부
112: 굴곡부 120: 와이어 결합부
121: 교정용 와이어 수용홈 122: 체결용 와이어 수용홈
130: 접착돌기 110: base 111: tooth adhesive
112: bent portion 120:
121: correcting wire receiving groove 122: fastening wire receiving groove
130: Adhesive projection
Claims (5)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치열교정을 위한 교정용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길이를 가지는 교정용 와이어 수용홈이 형성된 와이어 결합부; 및
베이스의 치아 접착부에 이격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돌기를 포함하며,
와이어 결합부의 외측에 체결용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체결용 와이어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A base having a tooth bonding portion bonded to the teeth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wire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having a length of a calibration wire receiving groove having a length so as to receive an orthodontic wire for orthodontic correction; And
And at least one adhesive projection spaced apart from the tooth bonding portion of the base,
And a fastening wire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wire connecting portion to receive the fastening wire.
베이스는
교정용 와이어 수용홈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길이를 가지는 부분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진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And a bent portion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wire receiving groove and a length of which is convex upward.
접착돌기는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3. The method of claim 2,
The adhesive protrusion
Wherein the bracket is provided symmetrically or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bent portion.
베이스는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일 구간의 치아 접착부 면적과 타 구간의 치아 접착부 면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브라켓.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Wherein an area of the tooth bonding part in one section and a tooth bonding area in the other s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the bent part as a boundary.
베이스는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대향하는 일 측부의 길이가 타 측부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일 측부는 치아의 상부를 향하고, 상기 타 측부는 잇몸과 접하는 치아의 하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브라켓.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The length of one side portion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bent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ther side portion,
Wherein the one side is directed to the top of the tooth and the other side is directed to the bottom of the tooth in contact with the gu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1822A KR20150031949A (en) | 2013-09-17 | 2013-09-17 | Bracket for orthodontic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1822A KR20150031949A (en) | 2013-09-17 | 2013-09-17 | Bracket for orthodontic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1949A true KR20150031949A (en) | 2015-03-25 |
Family
ID=5302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1822A KR20150031949A (en) | 2013-09-17 | 2013-09-17 | Bracket for orthodontic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3194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5047A (en) * | 2018-07-05 | 2020-01-15 | 주식회사 디오 |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
KR102443197B1 (en) * | 2021-08-26 | 2022-09-15 |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 Multi-tube for orthodontics |
-
2013
- 2013-09-17 KR KR20130111822A patent/KR20150031949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5047A (en) * | 2018-07-05 | 2020-01-15 | 주식회사 디오 |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
KR102443197B1 (en) * | 2021-08-26 | 2022-09-15 |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 Multi-tube for orthodontic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1886B1 (en) | Clip device for set of teeth care | |
KR100959151B1 (en) | Self-ligating brackets | |
TWI739400B (en) | Orthodontic bracket | |
KR101480147B1 (en) | Bracket for orthodontics | |
KR101019290B1 (en) | Orthodontic buccal tube | |
JP2011218166A (en) | Mounting structure equipped with mounting aid and orthodontic bracket | |
EP2822500B1 (en) | Flexible orthodontic splint | |
US9987106B2 (en) |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 |
US9629695B2 (en) | Orthodontic working anatomic arch, and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including anatomic wire | |
KR101016416B1 (en) | Orthodontic brackets | |
KR20150031949A (en) | Bracket for orthodontics | |
WO2005096984A3 (en) |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 |
EP1300118A3 (en) | Bondable orthodontic appliance | |
KR20150031948A (en) | Bracket for orthodontics | |
KR101851106B1 (en) |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 |
JP2020509867A (en) | Jig for position guide of bra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374836B1 (en) | Orthodontics bracket with double hook means | |
KR100977708B1 (en) | Orthodontic bracket | |
KR20130047063A (en) | The wire has a curved side and orthodontic bracket which is compatible with wire | |
TW201442691A (en) | Method for positioning orthodontic braces | |
KR101803235B1 (en) | Bracket for orthodont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505424B1 (en) | Self ligature bracket for orthodontics | |
KR20150007896A (en) | Bracket for orthodontics | |
TWI524882B (en) | Dental bracket | |
KR101356942B1 (en) | Orthodontic brac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