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416B1 - Orthodontic brackets - Google Patents
Orthodontic bracke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6416B1 KR101016416B1 KR1020080135801A KR20080135801A KR101016416B1 KR 101016416 B1 KR101016416 B1 KR 101016416B1 KR 1020080135801 A KR1020080135801 A KR 1020080135801A KR 20080135801 A KR20080135801 A KR 20080135801A KR 101016416 B1 KR101016416 B1 KR 1010164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 bracket
- orthodontic
- attachment means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그 치아에 힘을 가하기 위한 와이어를 치아에 부착시키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와이어가 고정되는 브라켓 몸체부; 및 상기 브라켓 몸체부와 결합되며 치아 표면에 흡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착탈식 부착수단; 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흡착식 착탈 부착수단에 의하여 치아에 부착시키게 되는 경우에는 부착을 위한 시술시간이 감소하고, 치아의 표면에 불필요한 손상을 가할 필요가 없으며, 착용 도중에 어느 하나의 브라켓이 탈락된 경우에도 피시술자는 손쉽게 그 브라켓을 원래의 위치에 재부착시킬 수 있는 등 의 효과상 우수함을 가지고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orthodontics,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orthodontic bracket for attaching a wire for applying force to the tooth to move the tooth to a desired position, the bracket body portion to which the wire is fixed. ; And detachable attachment means coupled to the bracket body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It is for the orthodontic bracket comprising a. In the case of being attached to the tooth by the adsorptive detachable attachment means, the procedure time for attachment is reduced, and there is no need to apply unnecessary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tooth. It has excellent effects such as being able to reattach the bracket to its original position.
브라켓 몸체부, 착탈식 부착수단, 흡착판 Bracket body, removable attachment means, suction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에 흡착식 기능으로 부착되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rthodontic brackets, and more particularly to orthodontic brackets that are attached to the teeth as an adsorptive function.
치아 교정이라 함은 치아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치조골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치아를 움직여 주는 기능적/심미적 치료를 말한다. 치아가 고르게 나 있지 않는 경우를 부정 교합이라 하는데, 부정 교합인 경우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음식을 잘 씹을 수가 없고, 발음에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게다가 부정 교합을 방치하게 되면 충치 또는 잇몸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장기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른 질병을 유발하거나 더 악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부정 교합이 있는 경우 치아 교정을 통해 치아를 올바른 위치 및 자세로 움직여 바른 치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치아 교정을 통해 외모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치아 교정을 통해 치아와 무관하다고 오해하던 다른 병들을 치유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도 하다.Orthodontic refers to a functional / aesthetic treatment that moves a tooth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alveolar bone by applying an appropriate force to the tooth. If the teeth are not evenly called malocclusion, malocclusion is not only look good, but also functionally unable to chew food, and may adversely affect pronunciation. In addition, neglect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tooth decay or gum disease, and can affect other parts of the body for a long time, leading to other diseases or worsening. Therefore, in the case of malocclusion,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correct dental state by moving the teeth to the correct position and posture through orthodontic treatment. Indeed, many people have gained confidence in their appearance through orthodontics, and they often heal other illnesses that were mistaken for being unrelated to their teeth.
치아 교정은 치아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치아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치 아 교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치아 교정기는 교정용 브라켓(bracket)과 탄성을 갖는 와이어(wire)를 포함한다. 이 치열교정기에서 브라켓은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의 치면(tooth face)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와이어는 부착된 브라켓들에 고정된다. 아치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여 아치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의 힘의 방향 및 크기를 조절하여 치료 대상이 되는 목적된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가 있다. 목적된 치아는 아치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서 그 위치 및 자세를 변경하게 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치아 교정이 이루어진다.Orthodontics use braces to move teeth gradually to fix their position. Common dental braces include orthodontic brackets and elastic wires. In this orthodontic bracket, the bracket is firmly attached to the tooth 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and the wire is fixed to the attached brackets. By adjus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arch wire can be variously adjusted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arch wire, by adjusting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lowly move the target tooth to be treated. The target tooth is changed in position and posture by the tension of the arch wire, and the teeth are adjusted little by little while the teeth are moved.
도 1 및 도 2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교정기는 치아(100)에 부착되는 브라켓(110), 브라켓(110)의 외주연으로 끼워져 브라켓(110) 상호간을 연결하는 와이어(1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rthodontic appliance includes a
먼저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100)의 에나멜(또는 법랑질) 표면을 탈회시켜 접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 후에, 접착제(130)를 도포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접착제가 반응고되면 브라켓(110)을 부착한다. 이때, 와이어(120)의 끼움이 용이하도록 브라켓(110)의 위치를 정렬하고 반응고된 접착제가 완전히 응고될 때까지 기다린다.First, the enamel (or enamel) surface of the
접착제가 완전히 응고되면 치아(100)에 부착된 다수의 브라켓(110)의 외주연으로 와이어(120)를 끼우고 지지하여 치열교정용 브라켓(110)의 설치를 완료한다.When the adhesive is completely solidified, the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필요이상으로 브라켓을 치아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본드를 이용하여 부착하게 되는데, 실제로 와이어만을 치아 의 표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기 위해서는 그 본딩결합이 과도한 측면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불필요하게 강하게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 부착하게 되었던 것이다. 특히 와이어의 끝을 고정하고 있는 어금니와 같은 부위를 제외하고 앞니 부분에서는 특히 과도한 부착력이 필요없다.In the prior art, the bracket is attached to the tooth with the idea that the bracket is firmly attached to the tooth more than necessary. In fact, in order to support only the wire to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bonding was excessive. In other words, in the prior art, the bracket is unnecessarily strong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Especially in the incisors, except for molars, which fix the ends of the wire, there is no need for excessive adhesion.
특히 이러한 과도한 부착력을 얻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가 치아의 표면에 잘 붙게 하기 위하여 그 치아의 표면을 탈회해야 하고, 그 후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접착제가 응고될 때까지 소정시간 대기해야 하는 등의 많은 시술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obtain such excessive adhesive forc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adhesive to adhere well to the surface of the tooth, it is necessary to demineralize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then apply the adhesive and wait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adhesive solidifies.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treatment time.
또한, 접착을 위해서 치아의 표면을 탈회하는 과정에서 치아의 표면이 손상되는데, 이는 교정이 완료된 후에도 그 손상된 부위는 회복되지만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치아 우식증에 이환되기 쉽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mineralizing the surface of the tooth for adhesion, the surface of the tooth is damaged, and even after the correction is completed, the damaged area is recovered, but neglected management is susceptible to dental caries.
또한, 브라켓 탈락시 재부착시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유도장치가 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a separate induction device is required to attach the correct position when reattaching when the bracket is remov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시술시간을 최소한으로 하고 시술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치아의 손상을 방지하며 브라켓이 치아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피시술자가 손쉽게 원래의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minimize the procedure time, to prevent damage to the teeth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dure, even if the bracket is detached from the tooth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orthodontic bracke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그 치아에 힘을 가하기 위한 와이어를 치아에 부착시키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있어서,In the orthodontic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orthodontic bracket for attaching a wire for applying a force to the tooth in order to move the tooth to a desired position,
와이어가 고정되는 브라켓 몸체부; 및Bracket body portion to which the wire is fixed; And
상기 브라켓 몸체부와 결합되며 치아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착탈식 부착수단; 을 포함한다.A detachable attachment means coupled to the bracket body and detachably attached to a tooth surface; .
상기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서, 상기 착탈식 부착수단은, In the orthodontic bracket, the removable attachment means,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분으로부터 바깥으로 갈수록 하향연장되는 제1흡착판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dsorption plat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상기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서, 상기 착탈식 부착수단은, In the orthodontic bracket, the removable attachment means,
상기 제1흡착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 몸체부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둘레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ircumferential fix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suction plate to surround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bracket body portion.
상기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서, 상기 착탈식 부착수단에는,In the orthodontic bracket, the removable attachment means,
상기 제1흡착판의 중앙부분에 결합되며,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흡착판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흡착판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2흡착판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adsorption plate is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adsorption plate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adsorption plate, and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first adsorption plate.
상기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서, 상기 브라켓 몸체부는,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고, 일방향으로 연장된 수용공이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는 그 수용공을 관통하여 수용됨으로서 그 브라켓 몸체부에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rthodontic bracket, the bracket body por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receiving ho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is formed to penetrat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the wire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hole to the bracket body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흡착판에 의하여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되어 있어 시술자는 손쉽게 그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시술시간을 감축할 수 있다.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is attached to the teeth by a detachable adsorptive plat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attach the bracket to the teeth,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procedure time. .
또한, 흡착판에 의한 접착은 종래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과는 달리 치아의 표면을 탈회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치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dhesion by the adsorption plate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unnecessary tooth damage because it does not need to demineralize the surface of the tooth, unlike the adhesion by the conventional adhesive.
또한, 흡착판에 의한 접착은 착용도중에 그 브라켓이 치아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경우에도 손쉽게 피시술자가 그 브라켓을 직접 다시 원래의 위치로 부착시킬 수 있는 유도 장치를 사용하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dhesion by the suction plat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an induction device that can easily attach the bracke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even when the bracket is detached from the tooth during wear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브라켓이 인체의 치아에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of Figure 3 is attached to the teeth of the human body.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그 치아(100)에 힘을 가하기 위한 와이어(40)를 치아(100)에 부착시키는 것으로서, 브라켓 몸체부(20), 착탈식 부착수단(30)으로 구성된다.The orthodontic bracket is to attach a
상기 브라켓 몸체부(20)는 상기 와이어(40)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 브라켓 몸체부(20)는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는 반원형 단면을 가진 단기둥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단면의 일면과 그 단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관통하는 수용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공(21)은 와이어(40)와 대응되는 정도의 단면크기를 가지며 와이어(40)가 그 수용공(21)을 관통하면서 수용되는 경우에는 그 브라켓 몸체부(20)에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착탈식 부착수단(30)은, 상기 브라켓 몸체부(20)와 결합되며 치아(100)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흡착판(3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착탈식 부착수단(30)의 소재는 유연하면서 탄력성이 좋은 소재라면 무엇이든 사용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착탈식 부착수단(30)은 제1흡착판(31)과 치아(100)의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내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내리고, 그 때 발생하는 압력차를 이용하여 치아(100)의 표면에 흡착하여 부착하는 것이다. 그 제1흡착판(31)은 중앙부분으로부터 바깥으로 갈수록 하향연장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중앙부분에 오목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게 한다.The detachable attachment means 30 is coupled to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피착제로 사용되는 치아(100)는 구강 내에서 항상 일정정도의 수분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흡착판이 치아(100)에 잘 흡착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가지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착탈식 부착수단(30)에는, 상기 제1흡착판(31)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의 둘레면을 감싸는 둘레고정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둘레고정부(32)는 상기 브라켓 몸체부(20)를 감싸서 상기 제1흡착판(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둘레고정부(3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 몸체부(20)를 상기 제1흡착판(31)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브라켓 몸체부(20)와 제1흡착판(31)을 결합시키는 구성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브라켓 몸체부와 제1흡착판을 서로 접착등의 방법으로 고정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movable attachment means 30, is provided with a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100) 교정용 브라켓은 다음과 같이 치아(100)에 부착될 수 있다.The bracket for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이 필요한 치아(100)의 위치로 상기 브라켓을 위치시킨다. 이후에 상기 브라켓을 치아(100)의 표면에 접촉시키는데, 구체적으로 제1흡착판(31)의 가장자리부분이 먼저 치아(100)의 표면에 닿게 하고, 시술자는 그 브라켓을 치아(100)의 방향으로 밀어 그 제1흡착판(31)의 중앙부위로부터 공기가 빠지면서 제1흡착판(31)과 치아(100)표면사이의 공간과 외부와의 압력차가 커지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제1흡착판(31)의 중앙부위가 치아(100)의 표면에 닿게 되면, 제1흡착판(31)과 치아(100)의 표면이 완전하게 흡착되어 견고하게 상기 브라켓이 치아(100)에 부착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bracket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이와 동일한 작업을 각각의 치아에 동일하게 수행한 후에, 와이어를 각각의 브라켓 몸체부의 수용공을 관통하도록 끼워고정하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on each tooth in the same way, the wires are inserted and fixed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holes of the respective bracket body part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번거로운 치아표면의 탈회이나,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그 도포된 접착제가 응고될 때 까지 기다리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없이 단지 브라켓을 치아에 밀착 시키는 작업만으로 손쉽게 브라켓의 부착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상당히 시술작업이 간편해지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공정은 접착제에 의한 불필요하게 과도한 부착력을 제공하지 않고 와이어의 지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부착력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u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it is unnecessary without unnecessary work such as deliming of the cumbersome tooth surface, applying an adhesive to the surface of the tooth, or waiting for the applied adhesive to solidify. By simply attaching the brackets to the teeth, you can easily complete the attachment work of the brackets, which greatly simplifies the procedure. In particular, this process is able to provide only the minimum adhesion required for the support of the wire without providing unnecessary excessive adhesion by the adhesive.
또한, 치아 표면을 탈회하는 것이 없으므로 불필요한 치아의 손상 내지는 그로 인해 치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이 치아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라도 피시술자가 그 브라켓을 유도장치를 이용하여 원래 위치에 위치시켜 눌러 흡착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원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demineralization of the tooth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tooth damage and thereby damage to the tooth. In addition, even when the bracket is detached from the tooth, the subject can conveniently return the bracket to its original position by simply placing the bracket in its original position by using an induction device and pressing the suction.
또한, 브라켓 몸체부도 종래기술에서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슬롯을 형성하며,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하여 밴딩수단을 구비하는 등 복잡한 구조를 이뤘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한의 와이어지지력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소재로 제작하고, 양단을 일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용공에 와이어를 끼울수 있도록 구조를 만들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비용도 절감하고 작업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었다.In addition, the bracket body portion is also made of a metal material in the prior art, and has a complex structure such as forming a plurality of slots, and having a bending means for fixing the wire, in this embodiment can provide only a minimum wire support force It wa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structure was made so that the wire could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connecting both ends in one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ost and reducing the working time.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s follows.
먼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착탈식 부착수단으로 단일의 흡착판만을 사용하였으나, 보다 치아의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2개의 흡착판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흡착판(31)의 중앙부분에 결합되며,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제1흡착판(3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그 제1흡착판(31)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는 제2흡착판(311)을 더 구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rs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ly a single suction plate is used as a detachable attachment means, but it may be considered to use two suction plates to be more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이 경우에는 제2흡착판(311)은 브라켓이 전체적을 치아의 표면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제1흡착판(31)은 브라켓이 치아의 표면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다양한 착탈식 부착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흡착판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In addition,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variety of removable attachment means is a variety of configurations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adsorption plate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앞니 내지는 앞니와 인접한 치아에 설치하고, 힘이 많이 가해지는 어금니 및 그 어금니 주위의 치아에는 종래의 본딩방식에 의한 부착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모든 치아에 걸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teeth adjacent to the incisor or incisor teeth,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attachment by the conventional bonding method to the molars and the teeth around the molar force is applied to all teeth,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he brack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ver.
또한, 브라켓 몸체부도 상술한 형태 이외에도 종래기술에 따른 브라켓 몸체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orm,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bracket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other various forms of structures may be us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Drawings>
20...브라켓 몸체부 30...착탈식 부착수단20
31...제1흡착판 32...둘레고정부31 The
40...와이어40 ... wir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5801A KR101016416B1 (en) | 2008-12-29 | 2008-12-29 | Orthodontic bracke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5801A KR101016416B1 (en) | 2008-12-29 | 2008-12-29 | Orthodontic bracke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7765A KR20100077765A (en) | 2010-07-08 |
KR101016416B1 true KR101016416B1 (en) | 2011-02-21 |
Family
ID=4263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5801A KR101016416B1 (en) | 2008-12-29 | 2008-12-29 | Orthodontic bracke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641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57736A1 (en) | 2012-04-16 | 2013-10-24 | Choi Jeongsu | Orthodontic brack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WO2014123273A1 (en) * | 2013-02-08 | 2014-08-14 | Lee Jong-Ho | Non-wing orthodontic bracket |
US9987106B2 (en) | 2014-01-27 | 2018-06-05 | Jeng Soo Choi |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92100A2 (en) | 2014-06-12 | 2015-12-17 | Rudman Robert T | Pocket orthodontic bonding pad |
KR102109847B1 (en) * | 2018-12-06 | 2020-05-12 | 윤병수 | Installation framesion of intraoral retainer for orthodontic treatment |
KR102109848B1 (en) * | 2018-12-06 | 2020-05-12 | 윤병수 | Method of manufacturing installation framesion of intraoral retainer for orthodontic treatment |
KR102178090B1 (en) * | 2020-06-08 | 2020-11-12 | 김창환 | Jig-integrated brace with tooth correction line |
KR102382847B1 (en) * | 2020-06-26 | 2022-04-08 | 류성훈 | Dental correction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76044A (en) * | 1989-04-12 | 1991-07-31 | Scandinavian Bioortodontic Ab | Correcting instrument, bracket and arch |
JPH11159519A (en) | 1997-11-28 | 1999-06-15 | Michiya Kawasaki | Sucker which can be attached to rugged surface |
-
2008
- 2008-12-29 KR KR1020080135801A patent/KR10101641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76044A (en) * | 1989-04-12 | 1991-07-31 | Scandinavian Bioortodontic Ab | Correcting instrument, bracket and arch |
JPH11159519A (en) | 1997-11-28 | 1999-06-15 | Michiya Kawasaki | Sucker which can be attached to rugged surfa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57736A1 (en) | 2012-04-16 | 2013-10-24 | Choi Jeongsu | Orthodontic brack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WO2014123273A1 (en) * | 2013-02-08 | 2014-08-14 | Lee Jong-Ho | Non-wing orthodontic bracket |
US9987106B2 (en) | 2014-01-27 | 2018-06-05 | Jeng Soo Choi |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7765A (en) | 2010-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6416B1 (en) | Orthodontic brackets | |
KR100379987B1 (en) | Convertable resin core system for positioning a bracket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ooth surface | |
JP6942783B2 (en) | Improved indirect bonding method for orthodontic brackets | |
US10278793B2 (en) |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 |
JP4414334B2 (en) | Bondable orthodontic appliance with polymer resin bonding base | |
JP456401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orthodontic appliances to teeth | |
JP4756717B2 (en) | Mounting device and method for dental appliances | |
US6368106B1 (en) | Mandibular advanc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 |
US20090280450A1 (en) | Pre-formed hard-shell attachment devices for dental appliances | |
US20060223031A1 (en) | Method of making indirect bonding apparatus for orthodontic therapy | |
JP2007507289A5 (en) | ||
JP3118213B2 (en) | Bracket mounting method for orthodontic appliances | |
JP2013505756A (en) | Orthodontic functional wire arch and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including the functional wire arch | |
US20180193110A1 (en) | Adjustable wire hook for orthodontic elastics | |
US11564778B2 (en) | Orthodontic elastic attachments for use with dental aligners | |
US6296481B1 (en) | Indirect bonding bracket positioner for correction of irregularities of the teeth | |
KR101379618B1 (en) | Ring bracket for orthodontics | |
CN210494277U (en) | Multifunctional adhesive type orthodontic draw hook | |
TWI524882B (en) | Dental bracket | |
CN202740142U (en) | Positioning clamp for adhering and fixing orthodontic retainer | |
CN212879638U (en) | Tooth fixing appliance | |
KR20120120609A (en) | Jig Complex With Orthodontic Apparatus | |
CN220404153U (en) | Appliance for correcting and treating | |
CN113967088A (en) | Invisible bracket-free dental appliance | |
KR20230152946A (en) | Method of operation PRA used for fixing orthodont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