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942B1 - Orthodontic bracket - Google Patents

Orthodontic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942B1
KR101356942B1 KR1020120091360A KR20120091360A KR101356942B1 KR 101356942 B1 KR101356942 B1 KR 101356942B1 KR 1020120091360 A KR1020120091360 A KR 1020120091360A KR 20120091360 A KR20120091360 A KR 20120091360A KR 101356942 B1 KR101356942 B1 KR 101356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ece
slot
orthodontic bracket
protrus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훈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1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9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9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orthodontia. The bracket for the orthodonti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a body part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a first combination piece which is upwardly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and a second combination piece which is upwardly extend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Description

치과교정용 브라켓{Orthodontic Bracket}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치과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를 레진으로 고정하여 치아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rthodontic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orthodontic bracket that can be orthodontic treatment by fixing the wire inserted in the slot with a resin.

일반적으로 치아의 불균일한 치열 상태 또는 부정교합(치아의 물림이 맞지 않는 상태)의 원인은 치아 자체의 발육이상, 턱뼈의 발육이상, 어릴 때 손가락을 빠는 등의 나쁜 습관, 또는 나쁜 식습관 등으로 인해 치아가 제자리에서 바르게 자라지 못하게 됨에서 기인한다.In general, non-uniform teeth or malocclusions are caused by abnormal development of the tooth itself, developmental problems of the jaw, bad habits such as sucking fingers when young, or bad eating habits The reason is that the teeth do not grow properly in place.

이렇게 치열이 불균일하거나 부정교합된 상태의 사람들은 타인과의 대화 또는 웃을 때 그 치열 상태로 인해 입을 가리거나 대안관계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처하게 됨으로써 원만한 사회생활을 행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섭취시에도 음식물을 균일하게 분쇄하지 못하거나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으로 음식물 찌꺼기가 끼게 되어 각종 치아 질병 또는 소화기 계통의 질병을 초래하게 되고, 불균일한 치열 또는 부정교합으로 인해 신체의 전체적인 균형을 깨뜨려 각종 잔병에 시달리게 된다.In this way, people with irregular teeth or malocclusion may not be able to perform smooth social life because they are not able to cover their mouths or alternatively deal with alternative relationships due to their dental conditions when talking or laughing with others. In addition, food waste can not be uniformly crushed, or food waste can be trapped in the gap between teeth and teeth, resulting in various tooth diseases or diseases of the digestive system. Unbalanced dentition or malocclusion breaks the overall balance of the body, .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둘러싼 치조골의 개조와 함께 치아의 이동이 일어나게 하는 원리의 치아 교정기술이 적용된다.To solve this problem, the orthodontic technique of applying the constant force to the teeth and the principle of moving the teeth together with the modification of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teeth is applied.

이러한 치아 교정기술에 이용되는 치아 교정기의 일 예로, 한국등록실용 20-0373807에는 교정용 브라켓, 교정용 와이어 그리고 결찰철사로 이뤄진 치아 교정기가 기재되어 있다.An example of a tooth straightener used in such a tooth correcting technique is disclosed in Korea Registration Office No. 20-0373807, which describes a straightening bracket, an orthodontic wire, and a wire braid made of a wire wire.

그러나 전술한 치아 교정기는 결찰철사로 교정용 브라켓을 묶어 교정용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바, 결찰철사의 꼬인 부분 및 타이윙과 결찰철사 사이에 음식물 등의 이물질이 침착되어 탈회나 충지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교정용 와이어를 묶는 결찰철사로 인해 구강 내부에 상처가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바, 결찰철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치아를 교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 요구된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dental braces fix the orthodontic wire by tying the orthodontic bracket with the ligation wire, and foreign matter such as food is deposited between the twisted portion of the ligation wire and the tie wing and the ligation wire, thereby causing demineralization or filling. There is a problem,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wound in the oral cavity due to the ligation wire to tie the orthodontic wire, there is a need for a new way to correct the teeth without using a ligation wire.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결찰철사를 사용하지 않고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를 레진으로 고정하여 치아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rthodontic bracket that can be orthodontic treatment by fixing the wire inserted in the slot with a resin without using a ligation wire.

또한, 결합편들의 절곡부위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 슬롯에 채워지는 레진과 돌기부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력이 커지므로, 슬롯에 채워진 레진이 와이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protrusions at the bent portions of the coupling piec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sin and the protrusions filled in the slots is increased to fix the wires inserted into the slots,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therebetwee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rthodontic bracket that can firmly fix a wire.

또한, 결합편들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레진 제거도구로 레진을 걷어내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orthodontic bracket that facilitates the work of removing the resin by the resin removal tool by forming a groove in the coupling pieces.

또한, 결합편들 중 어느 하나에 함요부를 형성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는 레진이 함요부에 수용되게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orthodontic bracket for forming a recess in any one of the coupling pieces so that the resin flowing down by gravity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또한, 함요부에 다수개의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레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orthodontic bracket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resin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recess,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wire fitted in the slot.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제1결합편; 및 몸체부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제2결합편을 포함하되, 제1결합편의 상부와 제2결합편의 상부 모두에는 돌기부 또는 함요부가 형성되거나, 제1결합편의 상부와 제2결합편의 상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함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ase portion is attached to the tooth; A body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 first coupling piece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second coupling piece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wherein bo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are formed with protrusions or recesses, or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Any one of the upp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and the other is formed in the recess.

또한, 돌기부는,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라인이 1개 이상 형성된 구조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dental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formed with one or more projection lin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have.

또한, 돌기라인이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 돌기라인들은 슬롯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돌기라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돌기라인의 돌기들과, 제1돌기라인에 이웃하는 제2돌기라인의 돌기들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구조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wo or more protrusion lines are formed, the protrusion line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and adjacent to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protrusion line, which is one of the protrusion lines, and the first protrusion line. The projections of the second projection line may be provided with a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또한, 함요부는,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ss, the orthodontic bracket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또한,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에는, 슬롯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may be provided with a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제1결합편; 및 몸체부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제2결합편을 포함하되, 제1결합편의 절곡부위와 제2결합편의 절곡부위 모두에는 돌기부 또는 함요부가 형성되거나, 제1결합편의 절곡부위와 제2결합편의 절곡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함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is attached to the tooth; A body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 first coupling piece bent outwardly after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second coupling piece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n bent outwardly, wherein both the bending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bending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are formed with a protrusion or recess, or the first coupling portion. 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ben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is formed with a projection is formed in the other 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찰철사를 사용하지 않고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를 레진으로 고정하여 치아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fixing the wire inserted into the slot with a resin without using the ligation wi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찰철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각각의 결합편들에 결찰철사 고정을 위한 윙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치과교정용 브라켓을 소형화할 수 있어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wing portion for fixing the ligation wire in each of the coupling pieces by not using the ligation wire,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orthodontic bracket so that the patient feels uncomforta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편들의 상부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 슬롯에 채워지는 레진과 돌기부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력이 커지므로, 슬롯에 채워진 레진이 와이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iec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sin and the protrusions filled in the slot to secure the wire fitted in the slot increase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m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sin filled in the slot can be firmly fixed the wi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편들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레진 제거도구로 레진을 걷어내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groove in the coupling piec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on to remove the resin with the resin removal tool is eas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편들 중 어느 하나에 함요부를 형성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는 레진이 함요부에 수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recess in any one of the coupling piec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sin flowing down by gravity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함요부에 다수개의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레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reces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resin,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wire inserted in the slo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에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어 치아 교정 시술시 와이어 체결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an be inserted into the slot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wire fastening during the orthodontic proced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시술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시술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시술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of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ced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of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ced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시술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시술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시술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of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ced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of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ced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of FIG.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100)은 치아(101)에 부착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부(120); 몸체부(12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제1결합편(130); 및 몸체부(120)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제2결합편(140)을 포함하되, 제1결합편(130)의 상부와 제2결합편(140)의 상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150)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함요부(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 1 and 4, th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ortion 110 attached to the teeth 101; Body portion 12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10; A first coupling piece 130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0; And a second coupling piece 140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wherein the protrusion is formed on any one of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13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140. 150 is formed, the other 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 160 is formed.

베이스부(110)는 치아(101)에 부착된다. 도 1과 도 4에는 베이스부(110)가 치아(101)의 안쪽면에 부착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베이스부(110)는 치아(101)의 안쪽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와 달리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부(110)는 치아(101)의 바깥쪽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The base portion 110 is attached to the tooth 101. 1 and 4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base portion 11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oth 101, and for this purpose, the base portion 110 has a concave shape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shape of the tooth 101. It may alternatively have a flat shape. On the other hand, the base portion 11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101).

또한, 베이스부(110)는 치아(101)의 안쪽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측의 폭이 하측의 폭보다 더 넓은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측의 폭과 하측의 폭이 동일한 형상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upper width is wider than the lower width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shape of the tooth 101, on the contrary, the upper width and the lower width to be made in the same shape It may be.

베이스부(110)의 하부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치아(101)의 표면에 부착된다.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101.

몸체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형성된다. 몸체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원형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ody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10). Body portion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10, may have an elliptical pil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결합편(130)은 몸체부(12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일 예로, 제1결합편(130)은 몸체부(120)의 상부면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iece 130 extends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0. 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piece 130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0.

돌기부(150)는 제1결합편(130)의 상부에 형성된다. 돌기부(150)는, 제1결합편(130)과 제2결합편(140)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17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라인이 1개 이상 형성된 구조로 이뤄진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라인이 2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돌기라인들은 슬롯(17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돌기라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돌기라인(151)의 돌기들과, 제1돌기라인(151)에 이웃하는 제2돌기라인(153)의 돌기들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구조로 이뤄진다.The protrusion 150 is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piece 130. The protrusion 15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protrusion lines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170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130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40. On the other hand, when two or more projection lines are formed as shown in Figure 1, the projection line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170, the first projection line which is any one of the projection line The protrusions 151 and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protrusion line 153 adjacent to the first protrusion line 151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이와 같이, 제1돌기라인(151)의 돌기들과 제2돌기라인(153)의 돌기들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돌기들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고, 이러한 공간에 와이어(W)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가 채워지므로 돌기들과 접착제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접착제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As such, by arranging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protrusion line 151 and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protrusion line 153 in a zigzag shape, a space is secur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wire W is fixed to the space. Since the adhesive is fill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adhesive may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of the adhesive.

한편, 전술한 와이어(W) 고정용 접착제는 일 예로, 레진(resin)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와이어(W) 고정용 접착제가 레진(resin)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adhesive for fixing the wire (W), for example, a resin (resin) may be used,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case in which the adhesive for fixing the wire (W) is a resin (resin) as an example.

제2결합편(140)은 몸체부(120)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제2결합편(140)의 상부에는 함요부(160)가 형성된다.The second coupling piece 140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0 to the upper side, and the recess 16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140.

함요부(160)는 제1결합편(130)과 제2결합편(140)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17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함요부(160)에는 다수개의 요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요부(160)는 치과교정용 브라켓(100)을 치아(101)에 부착한 후, 레진을 슬롯(170)에 채워넣을 때,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리는 레진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더불어, 함요부(16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요홈(161)은 레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슬롯(170)에 끼워진 와이어(W)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킨다.The recess 16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170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130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40. In the recess 160, a plurality of recesses 161 may be formed. The recess 160 is attach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100 to the teeth 101, and when filling the resin into the slot 17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resin flows down by gravity is accommodated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cesses 161 formed in the recess 160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resin, and consequently, improve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wire W inserted into the slot 170.

이와 같이 슬롯(170)에 채워진 레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진 커버(410)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레진 커버(410)는 슬롯(170)에 끼워진 와이어(W)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되므로, 종래의 결찰철사가 필요 없게 되고, 결합편들에 결찰철사 고정을 위한 윙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치과교정용 브라켓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As such, the resin filled in the slot 170 forms the resin cover 410 as shown in FIG. 4, and the resin cover 410 firmly fixes the wire W inserted into the slot 170. The conventional ligation wire is not required, and thus,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wing portion for fixing the ligation wire on the coupling pieces, thereby miniaturizing the orthodontic bracket.

그리고 제1결합편(130)과 제2결합편(140)에는, 슬롯(17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홈(181,183)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181,183)은 슬롯(170)에 끼워져있던 와이어(W)를 교체하는 등의 경우에 레진을 걷어내기 위한 레진 제거도구가 삽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제1결합편(130)과 제2결합편(140)에 홈(181,183)을 형성함으로써, 레진의 제거작업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grooves 181 and 183 ar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iece 130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4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170. The grooves 181 and 183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resin removal tool for removing the resin is inserted in the case of replacing the wire W inserted into the slot 170, and thus, the first coupling piece 130. And by forming the grooves (181, 183) in the second coupling piece 140, the resin removal operation is facilitated.

그리고, 비록 도면들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결합편(130)의 상부와 제2결합편(140)의 상부 모두에 돌기부(150)가 형성될 수도 있고, 제1결합편(130)의 상부와 제2결합편(140)의 상부 모두에 함요부(160)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otrusion 150 may be formed on bo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1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140,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130 Recess portion 160 may be formed on both the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40.

또한, 도 1과 도 4에서는 제1결합편(130)과 제2결합편(140)이 몸체부(12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와이어(W)가 삽입되는 슬롯(17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슬롯(170)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뤄질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FIG. 1 and FIG. 4, the first coupling piece 130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40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art 120 to form a slot 170 into which the wire W is inserted. Although the structu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wn, otherwise, the slot 170 may be made of a structu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 때, 슬롯(170)이 수평방향으로 이뤄지는 구조의 일 예로서, 몸체부(120)의 상부 중앙에는 상측으로 연결부가 돌출형성되고, 연결부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슬롯과 제2슬롯이 형성되도록 연결부의 상단에 몸체부(120)와 나란한 브라켓 베이스가 결합되며, 전술한 돌기부 또는 함요부는 브라켓 베이스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At this time, a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lot 170 is ma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20,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upwards, the first slot and the second o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The bracket base parallel to the body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form a slot, and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or reces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base.

한편,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200)은 치아(101)에 부착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부(120); 몸체부(12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제1결합편(230); 및 몸체부(120)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제2결합편(240)을 포함하되, 제1결합편(230)의 절곡부위와 제2결합편(240)의 절곡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23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함요부(2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and 5, the orthodontic bracke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ortion 110 attached to the teeth 101; Body portion 12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10; A first coupling piece 230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and then bent outwardly; And a second coupling piece 240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and then bent outwards,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230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40. Any one of the bent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231, the oth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243 is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200)에서 베이스부(110)와 몸체부(120)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100)의 베이스부 및 몸체부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orthodontic bracke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110 and the body 120 ar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Since it is the same as the base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of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결합편(230)은 몸체부(12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부위에 돌기부(231)가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결합편(230)은 몸체부(12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제1연장부(230a); 및 제1연장부(230a)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제1윙부(230b)를 포함하여 이뤄진다.The first coupling piece 230 extends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0 and is bent to the outside, and a protrusion 231 is formed at the bent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upling piece 23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230a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And a first wing portion 230b bent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30a.

제1연장부(230a)는 몸체부(120)의 상부면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윙부(230b)는 제1연장부(230a)의 단부에서 외측(즉, 와이어(W)가 삽입되는 슬롯(170)의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형성된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230a may extend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0. The first wing portion 230b is bent toward the outer side (ie,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lot 170 into which the wire W is inserted)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30a.

돌기부(231)는 제1결합편(230)의 절곡부위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결합편(230)의 절곡부위는 제1연장부(230a)와 제1윙부(230b)의 경계부위에 해당한다.The protrusion 231 is form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230. Here,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230 corresponds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30a and the first wing portion 230b.

제2결합편(240)은 몸체부(120)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부위에 함요부(243)가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결합편(240)은 몸체부(120)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제2연장부(240a); 및 제2연장부(240a)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제2윙부(240b)를 포함하여 이뤄진다.The second coupling piece 240 extends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0 and is bent outwardly, and the recess 243 is formed at the bent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upling piece 240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art 240a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And a second wing portion 240b bent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40a.

제2연장부(240a)는 제1연장부(230a)와 유사하게 몸체부(120)의 상부면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연장부(240a)와 제1연장부(230a) 사이에는 와이어(W)가 끼워지는 슬롯(170)이 형성된다. 제2윙부(240b)는 제1윙부(230b)와 유사하게 제2연장부(240a)의 단부에서 외측(즉, 와이어(W)가 삽입되는 슬롯(170)의 반대방향으로서, 제1윙부(230b)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형성된다.Similar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30a, the second extension part 240a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40a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 A slot 170 into which the wire W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230a. Similar to the first wing part 230b, the second wing part 240b is opposite to the slot 170 in which the wire W is inserted at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40a, and thus, the first wing part 240b may be formed. 230b) is bent toward the direction of extension).

전술한 제1윙부(230b)와 제2윙부(240b)는 슬롯(170)에 끼워진 와이어(W)를 좀 더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레진 이외에 추가적으로 묶이는 결찰철사 또는 탄성결찰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wing portion 230b and the second wing portion 240b described above serve to prevent the ligation wire or elastic ligating material, which is additionally bundled in addition to the resin, in order to more firmly fix the wire W inserted into the slot 170. do.

한편, 제1결합편(230)과 제2결합편(240)에는, 슬롯(17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홈(281,283)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grooves 281 and 283 ar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iece 230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4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170.

그리고 제1결합편(230)에 형성된 돌기부(231)와, 제2결합편(240)에 형성된 함요부(243) 및 제1결합편(230)과 제2결합편(240) 각각에 형성된 홈(281,283)은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100)의 설명 부분에서 언급한 돌기부(150), 함요부(160) 및 홈(181,183)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And grooves formed in each of the protrusion 231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piece 230, the recess 243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iece 240 and the first coupling piece 230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40, respectively 281 and 283 are similar to the protrusions 150, recesses 160 and grooves 181, 183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S. Has a structure.

또한, 도 2와 도 5에서는 돌기부(231)가 제1결합편(230)의 절곡부위에 형성되고, 함요부(243)는 제2결합편(240)의 절곡부위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1결합편(230)의 절곡부위와 제2결합편(240)의 절곡부위 모두에 함요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뤄질 수도 있다.2 and 5, the protrusion 231 is form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230, and the recess 243 is form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240. Unlike this, the recess may be formed in both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230 and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240.

한편,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300)은 치아(101)에 부착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부(120); 몸체부(12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부위에 제1돌기부(231)가 형성된 제1결합편(230); 및 몸체부(120)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부위에 제2돌기부(241)가 형성된 제2결합편(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and 6, the orthodontic bracke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ortion 110 attached to the teeth 101; Body portion 12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10; A first coupling piece 230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and then bent outward, and having a first protrusion 231 formed at the bent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iece 240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and then bent outwardly, and having a second protrusion 241 formed at the bent portion.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300)은 도 2와 도 5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200)과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되, 제2결합편(240)에 제2돌기부(2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rthodontic bracke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rest of the orthodontic bracke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2 and 5, the second coupling A second protrusion 241 is formed on the piece 240.

한편, 제2돌기부(241)는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돌기부(231)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Meanwhile, the second protrusion 241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protrusion 231 illustrated in FIGS. 2 and 5.

이상에서는, 결찰철사 등으로 슬롯에 끼워지는 와이어를 고정하는 방식이 아닌, 레진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인 치과교정용 브라켓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레진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결찰철사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더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it wa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rthodontic bracke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ixing the wire using a resin, not a method of fixing the wire to be inserted into the slot with a ligation wire. However, in some cases, in addition to fixing the wire using the resi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may be further fixed by using a ligation wire or the lik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찰철사를 사용하지 않고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를 레진으로 고정하여 치아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orthodontic treatment by fixing the wire inserted in the slot with a resin without using the ligation wi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찰철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각각의 결합편들에 결찰철사 고정을 위한 윙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치과교정용 브라켓을 소형화할 수 있어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wing portion for fixing the ligation wire in each of the coupling pieces by not using the ligation wire,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orthodontic bracket so that the patient feels uncomforta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편들의 상부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 슬롯에 채워지는 레진과 돌기부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력이 커지므로, 슬롯에 채워진 레진이 와이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iec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sin and the protrusions filled in the slot to secure the wire fitted in the slot increase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m Therefore, the resin filled in the slot is effective to secure the wi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편들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레진 제거도구로 레진을 걷어내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groove in the coupling piec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on to remove the resin with the resin removal tool becomes eas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편들 중 어느 하나에 함요부를 형성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는 레진이 함요부에 수용되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recess in any one of the coupling piec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sin flowing down by gravity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함요부에 다수개의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레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reces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resin,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wire inserted in the slo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에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어 치아 교정 시술시 와이어 체결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an be inserted into the slot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wire fastening during the orthodontic procedur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
101 : 치아 110 : 베이스부
120 : 몸체부 130 : 제1결합편
140 : 제2결합편 150 : 돌기부
151 : 제1돌기라인 153 : 제2돌기라인
160 : 함요부 161 : 요홈
170 : 슬롯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
300 :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용 브라켓
100: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tooth 110: base portion
120: body 130: first coupling piece
140: second coupling piece 150: protrusion
151: first projection line 153: second projection line
160: yoyo 161: groove
170: slot
200: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0: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제1결합편;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제2결합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편의 상부와 제2결합편의 상부 모두에는 돌기부 또는 함요부가 형성되거나, 제1결합편의 상부와 제2결합편의 상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함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
A base portion attached to the tooth;
A body portion formed on the base portion;
A first coupling piece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It includes a second coupling piece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Protrusions or recesses are formed in bo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or any on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is formed in the other one The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라인이 1개 이상 형성된 구조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ding portion
Dental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ojection lin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라인이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 돌기라인들은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돌기라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돌기라인의 돌기들과, 제1돌기라인에 이웃하는 제2돌기라인의 돌기들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구조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wo or more protrusion lines are formed, the protrusion line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and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protrusion line, which is one of the protrusion lines, and adjacent to the first protrusion line. 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of the second projection line is made of a structu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요부는,
상기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cess,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에는,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the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제1결합편;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제2결합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편의 절곡부위와 제2결합편의 절곡부위 모두에는 돌기부 또는 함요부가 형성되거나, 제1결합편의 절곡부위와 제2결합편의 절곡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함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
A base portion attached to the tooth;
A body portion formed on the base portion;
A first coupling piece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n bent outwardly; And
It includes a second coupling piece bent outwardly after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Both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are formed with protrusions or recesses, or one of the bent portions of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is formed with the recessed portion at the other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함요부는,
상기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ecess,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라인이 1개 이상 형성된 구조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Dental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formed with one or more projection lin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라인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돌기라인들은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돌기라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돌기라인의 돌기들과, 제1돌기라인에 이웃하는 제2돌기라인의 돌기들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구조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8,
When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 lines are formed, the protrusion line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and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protrusion line, which is one of the protrusion lines, and the first protrusion line adjacent to the first protrusion line. 2 orthodontic projections of the projection lin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ructu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에는,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the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KR1020120091360A 2012-08-21 2012-08-21 Orthodontic bracket KR101356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60A KR101356942B1 (en) 2012-08-21 2012-08-21 Orthodontic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60A KR101356942B1 (en) 2012-08-21 2012-08-21 Orthodontic br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942B1 true KR101356942B1 (en) 2014-01-29

Family

ID=5014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360A KR101356942B1 (en) 2012-08-21 2012-08-21 Orthodontic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94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390A (en) 2017-08-11 2019-02-20 김복동 bracket for orthodontics
WO2023090754A1 (en) * 2021-11-16 2023-05-25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Rotary roller-typ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854A (en) * 1995-12-01 1997-06-17 Injietsukusu:Kk Dental treatment instrument
JP2003180712A (en) * 2001-12-17 2003-07-02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Orthodontic bracket
US20050069833A1 (en) * 2003-01-07 2005-03-31 Kunio Chikami Orthodontic bracket and arch wire
JP2007020981A (en) * 2005-07-20 2007-02-01 Chikami Miltec Inc Br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854A (en) * 1995-12-01 1997-06-17 Injietsukusu:Kk Dental treatment instrument
JP2003180712A (en) * 2001-12-17 2003-07-02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Orthodontic bracket
US20050069833A1 (en) * 2003-01-07 2005-03-31 Kunio Chikami Orthodontic bracket and arch wire
JP2007020981A (en) * 2005-07-20 2007-02-01 Chikami Miltec Inc Br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390A (en) 2017-08-11 2019-02-20 김복동 bracket for orthodontics
WO2023090754A1 (en) * 2021-11-16 2023-05-25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Rotary roller-typ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3206B1 (en) Removable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JP4142698B2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asymmetric coupling structure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101433302B1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2137655B1 (en) Orthodontic space closure device
JP2010502356A (en)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method
KR101565802B1 (en) Tooth correction device and tooth correction method using tooth correction device
WO1999042056A1 (en) Orthodontic appliance
KR20120110982A (en) Member to cover wire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the same
US10045836B2 (en) Flexible orthodontic splint
US20200297461A1 (en) Orthodontic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422674B1 (en) Orthodontic dual slot bracket assembly
KR101356942B1 (en) Orthodontic bracket
US20170079751A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istalization and/or space closure
JP6934880B2 (en) Self-ligating bracket
KR20210109542A (en) Indirect bonding device for orthodontics
JP2010187934A (en) Tooth fixing appliance
KR101995372B1 (en)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US9084649B2 (en) Orthodontic separator
KR101249175B1 (en) Orthodontic apparatus
KR101851106B1 (en)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US20160051343A1 (en) Kit of self-ligating brackets
EP3510966B1 (en) Orthodontic implant device
KR101888990B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1501197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