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029A -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 Google Patents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029A
KR20200005029A KR1020180078175A KR20180078175A KR20200005029A KR 20200005029 A KR20200005029 A KR 20200005029A KR 1020180078175 A KR1020180078175 A KR 1020180078175A KR 20180078175 A KR20180078175 A KR 20180078175A KR 20200005029 A KR20200005029 A KR 2020000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bile charger
charging
current pattern
pow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조
박창운
최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7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5029A/ko
Publication of KR2020000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r analysing measured signals, e.g. for indicating peak values ; Details concerning sampling, digitizing or waveform cap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4S20/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이동형 충전기가 연결된 파워 아웃렛을 지원하는 전력량계의 식별방법으로써, 상기 이동형 충전기가 상기 파워 아웃렛에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연결 메시지를 복수의 전력량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충전기가 특정한 전류 패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파워 아웃렛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소모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충전기가 상기 전류 패턴과 관련된 패턴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전력량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력량계들이 상기 일정시간 동안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와 상기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력량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자신의 전력량계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형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METERS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CURRENT PATTERN}
본 발명은 전력량계 식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형 충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아웃렛을 지원하는 수용가의 전력량계를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식별하기 위한 전력량계 식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충전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충전 인프라는 충전기, 운영시스템, 전기설비, 통신설비, 부가서비스 등으로 구성되며, 충전기가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거치는 유무형의 시설, 설비, S/W 등을 통칭한다.
충전방식은 220V의 교류전력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완속충전과 고압의 직류전류를 공급하여 충전하는 급속충전이 있다. 완속충전 방법으로는 전용 주차공간에 설치되는 고정형 충전기를 이용하거나 일반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여 충전하는 이동형 충전기가 사용되고 있다.
고정형 충전기의 경우, 충전기 설치를 위해 전용 주차공간을 확보해야 하는데, 단독주택보다는 공동주택의 비중이 높은 국내 주거 여건상 그 이용이 높지 않다. 반면, 이동형 충전기는 차량에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든 공용 주차장 내에 비치된 전원 콘센트(power outlet)에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다만, 이러한 이동형 충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누진세와 도전(盜電)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즉, 충전기 소유자가 임의의 전원 콘센트에 충전기를 연결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전력을 공급한 수용가의 전체 사용전력에서 해당 충전전력이 차감됨과 동시에 해당 충전전력은 차량 또는 충전기 소유자에게 별도로 청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분리과금을 위해서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력이 어느 수용가에서 공급되었는지를 알아야 한다.
등록특허 제10-1448612호는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과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용가의 전기공급부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콘센트 주변에 바코드나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이동형 충전기에 구비된 리더기로 이를 읽어낸 후 미리 저장된 전체 전원 공급부 목록과 매칭하여 충전장소를 식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부착된 RFID 태그가 제거되고 의도적으로 다른 수용가의 RFID 태그로 교체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실제로 전력을 공급한 수용가의 사용전력에서 해당 충전전력이 차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형 충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아웃렛을 지원하는 수용가의 전력량계를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식별하기 위한 전류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이동형 충전기가 연결된 파워 아웃렛을 지원하는 전력량계의 식별방법으로써, 상기 이동형 충전기가 상기 파워 아웃렛에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연결 메시지를 복수의 전력량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충전기가 특정한 전류 패턴으로 일정시간 동안 상기 파워 아웃렛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소비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충전기가 상기 전류 패턴과 관련된 패턴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전력량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력량계들이 상기 일정시간 동안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와 상기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력량계들 중에서 하나가 자신의 전력량계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형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류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에 의하면, 전기자동차 충전에 앞서 이동형 충전기가 파워 아웃렛을 통해 특정 전류 패턴으로 전기를 소모하고, 상기 특정 전류 패턴을 인식한 전력량계만이 자신의 ID를 이동형 충전기로 제공하게 함으로써, 이동형 충전기가 해당 파워 아웃렛을 지원하는 전력량계의 ID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기와 복수의 모계기들 사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기 내 흐르는 전류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기가 전력량계를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및/또는"은 언급된 항목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은 모계기(100), 데이터집중장치(150), 이동형 충전기(200), 원격검침 서버(300) 및 충전 사업자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계기(100)는 전자식 전력량계로써, 적어도 하나의 파워 아웃렛(110, 120, 130)과 연결되어 전력 공급을 지원하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은 파워 아웃렛(110, 120, 130)을 통해 전기자동차로 공급된 충전전력과 상기 충전전력을 제외한 수용가에서 사용한 순수 사용전력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모계기(100)는 자신의 고유 ID를 가지며, 상기 고유 ID를 통해 각 수용가마다 설치된 모계기들이 식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유 ID는 해당 모계기의 제조회사, 제품번호, 계기정수 값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집중장치(150)는 원격검침 네트워크(N1)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모계기(100)를 검침하여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이하, '모계기 전력량'이라 한다)을 포함한 모계기 검침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모계기(100)로부터 수집된 모계기 검침 데이터는 데이터집중장치(150)에 자체 구비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형 충전기(200)는 수용가로부터 공급된 충전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로써, 플러그(210), 커넥터(220), 케이블(230) 및 컨트롤 박스(240)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210)는 수용가의 파워 아웃렛(110, 120 또는 130)에 삽입되고, 커넥터(220)는 전기자동차의 소켓(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으며, 수용가로부터 공급된 충전전력은 케이블(230)을 따라 전기자동차로 제공되고,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40)는 충전전력에 대한 분리 과금을 위해 설치된 자계기(250)를 비롯하여, 이동형 충전기(2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60)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계기(250)는 원격검침 서버(300)와 연결되어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서로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자계기(250)는 원격검침 네트워크(N1)를 통해 원격검침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원격검침 네트워크(N1)는 모계기(100)의 원격 검침을 위해 수용가와 전력회사 사이에서 구축된 통신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력선 통신(PLC), 지그비(ZigBee), WiSUN(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 등의 유무선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자계기(250)는 공용 및/또는 사설 네트워크(N2)를 통해 원격검침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공용 및/또는 사설 네트워크(N2)는 원격검침 네트워크(N2)를 이용하지 않고 자계기(250)와 원격검침 서버(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별개의 통신망으로서, LoRa(long range), SigFox, Ingennu, NB-IOT 등의 LPWA(Low Power Wide Area)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계기(250)는 전기자동차로 충전전력을 공급하고자 하는 파워 아웃렛(110, 120 또는 130)과 연결되어 있는 모계기(100)의 고유 ID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자계기(250)는 모계기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고유 아이디(ID)를 가지며, 이동형 충전기(200)를 통해 전기자동차로 공급된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원격검침 서버(300)는 전력회사가 운영하는 서버로, 수용가의 모계기(100) 및/또는 이동형 충전기(200)의 자계기(250)를 검침하여 검침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검침 서버(300)는 이동형 충전기(200) 내의 자계기(250)를 검침하여 자계기 검침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자계기 검침데이터는 자계기 전력량, 자계기 ID 및 모계기 I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계기 전력량은 이동형 충전기(100)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사용된 전력량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계기 검침데이터는 자계기(250)가 모계기(100)로부터 수신한 모계기 전력사용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자계기 검침데이터는 자계기(250)와 원격검침 서버(30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원격검침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 또는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원격검침 서버(300)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집중장치(150)로 상기 모계기 검침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수집된 각 수용가의 모계기 검침데이터들을 데이터집중장치(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원격검침 서버(300)는 자계기(250)로부터 수신된 자계기 검침데이터 및/또는 데이터집중장치(150)로부터 수신된 모계기 검침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용가의 순수 사용전력과 전기자동차의 충전전력에 대하여 각각 과금할 수 있다.
즉, 전력회사는 자계기 검침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형 충전기의 소유자 또는 계약자에게 전기자동차의 충전전력에 대하여 과금하는 한편, 모계기 검침데이터 및 자계기 검침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용가의 소유자에게는 상기 충전전력을 제외한 수용가의 순수 사용전력에 대하여만 과금할 수 있게 된다.
원격검침 서버(300)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 사용의 허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원격검침 서버(300)는 자계기(250)로부터 수신된 상기 모계기 ID 및/또는 자계기 ID에 기초하여 전기사용 권한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자계기(100)로 전기사용 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계기(250)는 수용가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력을 전기자동차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기와 복수의 모계기들 사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집중장치(150)와 연결된 모계기(100)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모계기들은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거나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는 3개의 모계기들(100a, 100b 및 100c)을 도시하고 있으나, 모계기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모계기들(100a, 100b 및 100c) 각각은 복수의 파워 아웃렛들과 연결되며, 연결된 파워 아웃렛들의 전력 공급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모계기(100a)는 제1파워 아웃렛(110a), 제2파워 아웃렛(120a) 및 제3파워 아웃렛(130a)과 연결되고, 파워 아웃렛들(110a, 120a 및 130a)과 연결된 전기장치에 전력 공급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2모계기(100b)는 4파워 아웃렛(110b), 제5파워 아웃렛(120b) 및 제6파워 아웃렛(130b)과 연결되고, 파워 아웃렛들(110b, 120b 및 130b)과 연결된 전기장치에 전력 공급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3모계기(100c)는 제7파워 아웃렛(110c), 제8파워 아웃렛(120c) 및 제9파워 아웃렛(130c)과 연결되고, 파워 아웃렛들(110c, 120c 및 130c)과 연결된 전기장치에 전력 공급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모계기(100a, 100b 및 100c)들 각각은 모계기에서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모계기(100a)는 제1파워 아웃렛(110a), 제2파워 아웃렛(120a) 및 제3파워 아웃렛(130a)을 통해 흐르는 전체 전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
이동형 충전기(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해 수용가의 파워 아웃렛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형 충전기(200)는 제3파워 아웃렛(130a)에 연결되어 충전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공급된 충전전력은 제1모계기(100a)에서 측정되어 다른 사용전력과 함께 누적되어 기록될 수 있다.
자계기(250)는 이동형 충전기(200)에 흐르는 전류가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자계기(250)는 제3파워 아웃렛(130a)과 연결된 후 충전전력을 공급받기 앞서 회로 제어를 통해 이동형 충전기(200)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기 내 흐르는 전류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자계기(250)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 패턴은 일정크기 이상의 피크값을 갖는 펄스가 일정시간 동안 반복하여 나타나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자계기(250)는 일정시간(Δt)동안 기준값(RV)보다 큰 피크값(PV)을 갖는 다섯 개의 펄스(P1, P2, P3, P4 및 P5)가 일정한 주기(T)로 반복하는 전류 패턴이 형성되도록 이동형 충전기(250)내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펄스의 반복 주기는 기 저장된 후보군에서 어느 하나로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자계기(250)는 형성된 전류 패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 정보를 복수의 모계기들(100a, 100b 및 100c)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패턴 정보는 전류 패턴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패턴 정보는 일정시간 동안 반복되는 펄스의 횟수나 펄스의 반복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충전기가 전력량계를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해 먼저 이동형 충전기(200)가 수용가에 설치된 파워 아웃렛(130a)에 연결된다(S110). 이후, 이동형 충전기(200)는 파워 아웃렛(130a)과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연결 메시지를 복수의 전력량계들(100a, 100b 및 100c)로 전송한다(S120).
실시 예에 따라, 이동형 충전기(200)와 전력량계(100a, 100b 또는 100c)는 전력선 통신(PLC) 또는 로라(LoRa)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복수의 전력량계들(100a, 100b 및 100c)은 상기 연결 메시지에 응답하여 일정시간 동안 각각 자신의 전력량계에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S130).
한편, 상기 연결 메시지를 복수의 전력량계들(100a, 100b 및 100c)로 전송한 이동형 충전기(200)는 이후 일정시간 동안 특정한 전류 패턴으로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S140). 예컨대, 일정시간 동안 이동형 충전기(200)에 흐르는 전류 패턴이 기준 값보다 큰 피크값을 갖는 펄스가 일정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형태가 되도록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단계 S140 이후, 이동형 충전기(200)는 해당 전류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복수의 전력량계들(100a, 100b 및 100c)로 전송할 수 있다(S150). 패턴 정보는 상기 일정시간 동안 반복된 펄스의 횟수 또는 상기 펄스의 반복 주기에 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전력량계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식별정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충전기(200)로부터 패턴 정보를 수신한 복수의 전력량계들(100a, 100b 및 100c) 각각은 앞서 기록된 검출 결과와 수신한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0).
예컨대, 제1전력량계(100a)가 제1파워 아웃렛(110a), 제2파워 아웃렛(120a) 및 제3파워 아웃렛(130a)을 지원하고, 제2전력량계(100b)가 제4파워 아웃렛(110b), 제5파워 아웃렛(120b) 및 제6파워 아웃렛(130b)을 지원하고, 제3전력량계(100c)가 제7파워 아웃렛(110c), 제8파워 아웃렛(120c) 및 제9파워 아웃렛(130c)을 지원하며, 이동형 충전기(200)가 제3파워 아웃렛(130a)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제1전력량계(100a)만이 전류 검출 결과와 수신된 패턴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6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전력량계들(100a, 100b 및 100c) 중에서 어느 하나, 예컨대 제1전력량계(100a)가 자신의 식별정보를 이동형 충전기로 전송한다(S170). 이로써 이동형 충전기(200)는 충전전력 공급을 위해 연결된 파워 아웃렛을 지원하는 전력량계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모계기 110, 120, 130 : 파워 아웃렛
150 : 데이터집중장치
200 : 이동형 충전기 210 : 플러그
220 : 커넥터 230 : 케이블
240 : 컨트롤 박스 250 : 자계기
260 : 컨트롤러 270 : 통신인터페이스
300 : 원격검침서버 400 : 충전 사업자 서버

Claims (5)

  1.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이동형 충전기가 연결된 파워 아웃렛을 지원하는 전력량계의 식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충전기가 상기 파워 아웃렛에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연결 메시지를 복수의 전력량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충전기가 특정한 전류 패턴으로 일정시간 동안 상기 파워 아웃렛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소비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충전기가 상기 전류 패턴과 관련된 패턴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전력량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력량계들이 상기 일정시간 동안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와 상기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력량계들 중에서 하나가 자신의 전력량계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형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충전기와 상기 전력량계는 전력선 통신 및 로라 통신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패턴은 상기 일정시간 동안 일정크기 이상의 피크값을 갖는 펄스가 반복하여 나타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의 반복 주기는 후보군에서 랜덤하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상기 일정시간 동안 반복된 펄스의 횟수 또는 상기 펄스의 반복 주기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KR1020180078175A 2018-07-05 2018-07-05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KR20200005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75A KR20200005029A (ko) 2018-07-05 2018-07-05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75A KR20200005029A (ko) 2018-07-05 2018-07-05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29A true KR20200005029A (ko) 2020-01-15

Family

ID=6915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175A KR20200005029A (ko) 2018-07-05 2018-07-05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50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8179B2 (ja) 電気エネルギーの計測・測定用メータリングポイン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4861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과금시스템
TWI633023B (zh) 基於位置的電力仲介用模組、電動車及仲介伺服器
EP3799248B1 (en) Method to manage energy services for a plurality of assets of different types.
US8359126B2 (en) Method to resolve a remote electrical outlet for an electrically-powered vehicle
CN103202034B (zh) 用于智能能量消耗的资源计量系统和使用这样的系统的方法
EP2508897B1 (en)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ystem, outlet device, control device, measuring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measuring method
JP2012510255A5 (ko)
JP6290868B2 (ja) 電力監視システムおよび電力監視方法
US20130335062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97350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및 관리서버장치
KR20160052250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HU219532B (hu) Elosztóhálózat, valamint eljárás és vezérlőberendezés elektromos áram betáplálásának vezérlésére
JP2011166971A (ja) 電動車両用給電システム
KR101597265B1 (ko) 가전기기별 사용 전력 과금 시스템 및 방법
US114867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upply of electric energy through certified measures
KR20160088135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검침시스템 및 그 검침방법
KR20190045126A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및 관리서버장치
KR102395249B1 (ko) 모자분리 검침방식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
KR20190021596A (ko)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와 연계하여 전기차량의 가정용 ac 전원 충전 시 과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완속충전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과금 서비스 제공방법
KR102297931B1 (ko) 전기자동차 충전 과금을 위한 전력량계 식별 방법
KR20200005029A (ko) 전류 패턴 기반 전력량계 식별방법
RU2473916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потреб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Aina et al. A GSM module-based smart electric meter reader
JP2021197762A (ja) 車載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