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597A -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597A
KR20200004597A KR1020180077673A KR20180077673A KR20200004597A KR 20200004597 A KR20200004597 A KR 20200004597A KR 1020180077673 A KR1020180077673 A KR 1020180077673A KR 20180077673 A KR20180077673 A KR 20180077673A KR 20200004597 A KR20200004597 A KR 20200004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fixing
plate
rigid
dissip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771B1 (ko
Inventor
임광조
강훈
유승환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이디라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이디라이텍(주) filed Critical 엘이디라이텍(주)
Priority to KR102018007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7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9Attachment of the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15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램프모듈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백플레이트, 백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램프모듈 및 램프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부의 상호 결합구조 및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램프모듈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는 리벳을 통해 백플레이트와 방열판을 서로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고, 백플레이트에 구비된 결합안내돌기를 통해 백플레이트에 대한 방열판의 설치위치 및 방열판에 대한 기판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어 조립 과정에서 불량발생을 최소화하고, 램프모듈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조립체{Lamp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램프모듈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백플레이트, 백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램프모듈 및 램프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부의 상호 결합구조 및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램프모듈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를 위한 전조등과, 외부에서 차량의 주행상태, 주행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정지등과 방향 지시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램프유닛은 차량의 안전운행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주행하는 차량과 인접한 차량의 운전자가 발광 상태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차량이 심미성을 높이고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차체의 전면과 측면 또는 후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램프유닛 역시 곡면을 이루는 차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차체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0114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06456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는 백플레이트과, 백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램프모듈 및 램프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부를 상호 결합 및 조립하는 방식에 있어서 기존의 볼팅 방식 또는 압착 방식에서 탈피하여 백플레이트, 램프모듈, 방열부를 간단하고 신속한 방식으로 결합 및 조립할 수 있고, 결합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램프모듈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램프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순차적으로 높이 차를 가지도록 다단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복수의 상판부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된 측벽프레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와; 상기 상판부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방열플레이트와;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상기 상판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리지드기판과 상기 리지드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플렉시블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와, 상기 리지드기판 상에 설치되는 LED를 포함하는 램프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상판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상판부에 대해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결합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에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고정부가 통과하는 제1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방열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안내돌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결합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부가 통과하는 제2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리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지드피시비는 상기 상판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를 통해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상기 상판부에 고정시킬 시, 상기 고정부가 상기 리지드피시비에 간섭 또는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판부의 상기 제1고정홀 및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상기 제2고정홀에 대응되는 영역에 인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지드기판에는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상기 결합안내돌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결합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리지드피시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리지드피시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지드피시비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하방으로 인입된 삽입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플레이트와 상기 리지드피시비 사이에는 상기 리지드피시비를 상기 방열플레이트에 고정 및 상기 리지드피시비로부터 상기 방열플레이트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접착성 및 전도성을 갖고, 상기 리지드피시비로부터 상기 방열플레이트로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을 갖는 페이스트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는 리벳을 통해 백플레이트와 방열판을 서로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고, 백플레이트에 구비된 결합안내돌기를 통해 백플레이트에 대한 방열판의 설치위치 및 방열판에 대한 기판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어 조립 과정에서 불량발생을 최소화하고, 램프모듈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1)는 백플레이트(100)와, 방열플레이트(200)와, 고정부와, 램프모듈(400)을 구비한다.
백플레이트(10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1)를 자체에 지지시키기 위해 차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110)과, 측벽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백플레이트(100)의 상부프레임(110)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순차적으로 높이 차를 가지도록 다단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복수의 상판부(120) 및 상판부(1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30)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부프레임(110)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상판부(120) 상단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도록 복수의 상판부(120)를 계단식으로 배치한 구조를 적용하였다.
상부프레임(110)의 상판부(120)들을 서로 나란하도록 형성되며, 서로를 향하는 단부에는 연결판(130)이 형성되어 서로가 연결된다.
상부프레임(110)의 상판부(120)에는 상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판부(120)에 대해 상판부(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방열플레이트(200)의 결합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안내돌기(121)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프레임(110)의 상판부(120)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방열플레이트(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통과 및 고정되는 복수의 제1고정홀(122)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안내돌기(121)는 상판부(120)의 대각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제1고정홀(122)은 결합안내돌기(121)와 엇갈린 상판부(120)의 대각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백플레이트(100)의 측벽프레임(150)은 상부프레임(110)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부프레임(110)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차체에 볼트부재를 통해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브라켓(170)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80'은 램프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방열플레이트(200)는 LED(4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저면이 상판부(120)의 상부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방열플레이트(200)는 상판부(1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며, 상판부(120)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게 결합된다.
방열플레이트(200)에는 상판부(120)에 구비된 결합안내돌기(1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결합안내홀(201)이 형성되되고, 방열플레이트(200)를 상판부(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를 관통하는 제2고정홀(202)이 형성된다.
고정부는 방열플레이트(200)를 상판부(12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리벳(310)을 적용하였다. 리벳(310)은 헤드부(311)와 로드부(315)를 구비하며, 로드부(315)는 제2고정홀(202) 및 제1고정홀(122)을 관통하여 백플레이트(100)에 고정되고, 헤드부(311)는 방열플레이트(200)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방열플레이트(200)를 상판부(120)에 고정시킨다.
램프모듈(400)은 기판부(410)와, 기판부(410)에 설치되는 LED(420) 및 LED(4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드라이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판부(410)는 방열플레이트(20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일정한 경도를 갖는 리지드기판(411)과, 리지드기판(411)을 서로 연결하는 플렉시블기판(4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지드기판(411)은 통상의 FR4로 구성된 PCB 또는 메탈 PCB로서, 방열플레이트(200)에 장착될 수 있게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플렉시블기판(415)은 상판부(120)의 배치 구조에 의해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배치된 방열플레이트(200)에 각각 장착되는 리지드기판(411)을 연결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된다. 플렉시블기판(415)은 일 단이 하방의 방열플레이트(200)에 장착된 리지드기판(411)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방의 방열플레이트(200)에 장착된 리지드기판(411)에 연결된다.
LED(420)는 리지드기판(411)의 중앙측에 각각 실장된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LED(420)의 구동드라이버는 백플레이트(100)의 내부에 내장된다.
그리고, 기판부(410)의 리지드기판(411)는 상판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고정부를 통해 방열플레이트(200)를 상판부(120)에 고정시킬 시, 고정부가 리지드기판(411)에 간섭 또는 접촉되거나 리지드기판(411)을 가압하여 리지드기판(411)에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판부(120)의 제1고정홀(122) 및 방열플레이트(200)의 제2고정홀(202)에 대응되는 영역에 인입부(413)가 형성된다. 인입부는 리지드기판(411)의 가장자리를 일정 영역 제어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리지드기판(411)에는 방열플레이트(200)를 관통하는 결합안내돌기(1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결합안내홀(412)이 형성된다.
한편, 방열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드기판(411)를 삽입할 수 있도록 리지드기판(4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리지드기판(411)의 두께에 대응되거나 더 깊은 깊이를 가지도록 하방으로 인입된 삽입홈부(20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방열플레이트(20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부(203)는 방열플레이트(200)에 리지드기판(411)를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방열플레이트(200)에 리지드기판(411)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방열플레이트(200)를 상판부(120)에 결합시킬 시, 결합기구물 또는 조립기구물이 리지드기판(411)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리지드기판(411)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방열플레이트(200)와 리지드기판(411) 사이에는 리지드기판(411)를 방열플레이트(200)에 고정 및 리지드기판(411)로부터 방열플레이트(200)로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접착성 및 전도성을 갖고, 리지드기판(411)로부터 방열플레이트(200)로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을 갖는 페이스트가 충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조립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백플레이트
110 : 상부프레임
120 : 상판부
121 : 결합안내돌기
122 : 제1고정홀
130 : 연결판
150 : 측벽프레임
170 : 고정브라켓
200 : 방열플레이트
201 : 제1결합안내돌기
202 : 제2고정홀
203 : 삽입홈부
130 : 리벳
400 : 램프모듈
410 : 기판부
411 : 리지드기판
412 : 제2결합안내홀
413 : 인입부
415 : 플렉시블기판
420 : LED

Claims (5)

  1.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순차적으로 높이 차를 가지도록 다단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복수의 상판부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된 측벽프레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와;
    상기 상판부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방열플레이트와;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상기 상판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리지드기판과 상기 리지드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플렉시블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와, 상기 리지드기판 상에 설치되는 LED를 포함하는 램프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상판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상판부에 대해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결합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에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고정부가 통과하는 제1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방열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안내돌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결합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부가 통과하는 제2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리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드피시비는 상기 상판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를 통해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상기 상판부에 고정시킬 시, 상기 고정부가 상기 리지드피시비에 간섭 또는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판부의 상기 제1고정홀 및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상기 제2고정홀에 대응되는 영역에 인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드기판에는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상기 결합안내돌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결합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리지드피시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리지드피시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지드피시비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하방으로 인입된 삽입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플레이트와 상기 리지드피시비 사이에는 상기 리지드피시비를 상기 방열플레이트에 고정 및 상기 리지드피시비로부터 상기 방열플레이트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접착성 및 전도성을 갖고, 상기 리지드피시비로부터 상기 방열플레이트로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을 갖는 페이스트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KR1020180077673A 2018-07-04 2018-07-04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KR10208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673A KR102089771B1 (ko) 2018-07-04 2018-07-04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673A KR102089771B1 (ko) 2018-07-04 2018-07-04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97A true KR20200004597A (ko) 2020-01-14
KR102089771B1 KR102089771B1 (ko) 2020-03-16

Family

ID=6915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673A KR102089771B1 (ko) 2018-07-04 2018-07-04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7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148A (ko) 2002-06-27 2004-01-07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포그램프 장착구조
KR20060106456A (ko) 2005-04-08 2006-10-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취부 구조
KR20120076197A (ko) * 2010-12-29 2012-07-09 엘이디라이텍(주) 자동차용 엘이디램프 조립 구조체
KR101300577B1 (ko) * 2012-07-26 2013-08-27 주식회사 이노렉스테크놀러지 자동차용 led 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54921A (ko) * 2012-10-30 2014-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방열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램프 조립체
KR20140073282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방향 지시등
KR20140100325A (ko) * 2013-02-06 2014-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148A (ko) 2002-06-27 2004-01-07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포그램프 장착구조
KR20060106456A (ko) 2005-04-08 2006-10-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취부 구조
KR20120076197A (ko) * 2010-12-29 2012-07-09 엘이디라이텍(주) 자동차용 엘이디램프 조립 구조체
KR101300577B1 (ko) * 2012-07-26 2013-08-27 주식회사 이노렉스테크놀러지 자동차용 led 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54921A (ko) * 2012-10-30 2014-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방열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램프 조립체
KR20140073282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방향 지시등
KR20140100325A (ko) * 2013-02-06 2014-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771B1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220B1 (ko) 자동차용 엘이디램프 조립 구조체
US8128427B2 (en) Illumination unit and wire harness equipped with the illumination unit
JP5435757B2 (ja) 自動車用led照明ランプ及び自動車led照明ランプ用ヒートシンク
CN101614367B (zh) 发光二极管灯具
JP4345017B2 (ja) 発光装置
JP2012186095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US20170122510A1 (en) Lighting device, fixture body for lighting device, and light-emitting unit
JP2005085751A (ja) 発光ダイオードキャリア
CN112584690A (zh) 屏蔽罩组件
KR20080041865A (ko) 백라이트 유닛용 엘이디 모듈
KR102089771B1 (ko)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JP6062148B2 (ja) 車両用灯具
JP6839817B2 (ja) 照明器具
KR101961936B1 (ko) 형광등 대체용 led 램프
CN216556931U (zh) 直插式led汽车大灯
CN207350198U (zh) Led汽车灯
JP2016157534A (ja) Ledランプ及びledランプの放熱方法
JP2012160265A (ja) 照明器具
JP2012160266A (ja) 照明器具
KR20120111605A (ko) 방열판을 갖춘 엘이디조명등
KR20120026903A (ko) 램프유닛
KR20120049070A (ko) Led 조명 장치의 체결 구조
KR102036321B1 (ko)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CN210662358U (zh) Led灯
KR20240056929A (ko) 플렉시블 mccl이 적용된 차량용 램프 호환 led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