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539A -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539A
KR20200004539A KR1020180077510A KR20180077510A KR20200004539A KR 20200004539 A KR20200004539 A KR 20200004539A KR 1020180077510 A KR1020180077510 A KR 1020180077510A KR 20180077510 A KR20180077510 A KR 20180077510A KR 20200004539 A KR20200004539 A KR 20200004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hape
moving
postur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찬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8007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539A/ko
Priority to PCT/KR2019/001149 priority patent/WO2020009302A1/ko
Publication of KR2020000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09F11/22Electric control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멀티 모니터; 상기 멀티 모니터에 각기 연결되어, 각 모니터의 이동과 자세 제어를 수행하는 복수의 모니터 무빙부를 포함하는 무빙부; 및 지정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무빙 명령을 상기 무빙부에 출력하여 상기 멀티 모니터의 형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APE OF MULTI MONITOR}
본 발명은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모니터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는 외관 형상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지노 등의 게임장에서는 게임 스크린을 대형화시키거나 게임장 내부의 조형(또는 디자인) 효과를 위해서, 하나의 대형 모니터를 사용하기 보다는, 복수의 소형(또는 중형) 모니터를 원하는 특정 형상으로 조합하여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모니터를 원하는 특정 형상으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미리 원하는 형상의 프레임을 만들고, 상기 미리 만든 프레임에 복수의 모니터를 각기 지정된 위치에 부착한 후 고정부재(예 : 볼트, 너트 등)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복수의 모니터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형상은, 계속해서 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 또 다른 형상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복수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만든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매번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고, 이 프레임에 모니터를 탈착 또는 부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해야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멀티 모니터의 형상을 변경하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고 그에 따른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71657호(2018.06.28. 공개,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멀티 모니터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는 외관 형상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는, 멀티 모니터; 상기 멀티 모니터에 각기 연결되어, 각 모니터의 이동과 자세 제어를 수행하는 복수의 모니터 무빙부를 포함하는 무빙부; 및 지정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무빙 명령을 상기 무빙부에 출력하여 상기 멀티 모니터의 형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이벤트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멀티 모니터의 주변 상황이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 게임기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콘텐츠; 및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명령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게임 콘텐츠는, 게임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나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게임의 시작, 종료, 승리, 및 패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빙 명령은, 멀티 모니터의 형상에 따라 각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자세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각 모니터 무빙부를 제어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무빙부는, 각기 상하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암부; 및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모니터를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암부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고, 각기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부는, 상하 및 좌우 회전뿐만 아니라, 기구적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앞으로 밀거나 뒤로 당겨질 수 있도록 구현되며,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암부는 전동식 모터와 유압식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부는, 적어도 제1,2, 및 3 암부를 포함하며, 제1 암부는 일 측이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암부에 연결되며, 제2 암부는 일 측이 상기 제1 암부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3 암부에 연결되고, 제3 암부는 일 측이 상기 제2 암부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는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모니터를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 모니터는,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및 OLED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방법은,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서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로딩한 형상 데이터에 따라, 무빙부를 제어하여 각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모니터의 자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로딩한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모니터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영역을 분할하고, 각 모니터에 출력할 영상의 표시 방향에 맞춰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형상 데이터에 맞춰 각 모니터의 위치와 자세가 제어된 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처리된 콘텐츠 영상을 해당하는 각 모니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멀티 모니터의 주변 상황이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 게임기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콘텐츠; 및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명령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 모니터의 형상 데이터는, 멀티 모니터를 조합하거나 배치하여 생성할 수 있는 외관 형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빙부를 제어하여 각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모니터의 자세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부에 포함된 각 모니터 무빙부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각 모니터 무빙부에 연결된 복수의 각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아울러 상기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회전부를 통해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각 모니터의 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 모니터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는 외관 형상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 모니터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는 외관 형상을 변경하는데 있어서, 소모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다양한 멀티 모니터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는, 이벤트 정보 입력부(110), 제어부(120), 프레임부(130), 및 무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무빙부(140)는 복수의 모니터(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예 :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등)에 각기 연결되어, 각 모니터(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이동과 자세 제어를 수행하는 복수의 모니터 무빙부(150, 160)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정보 입력부(110)는, 주변 상황(예 : 조도, 온도 등)이나 움직임(예 : 사람의 접근, 멀어짐 등)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미도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또한 상기 이벤트 정보 입력부(110)는, 게임기(미도시)로부터 게임 콘텐츠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게임 콘텐츠는, 게임의 시작, 종료, 승리(예 : 잭팟), 및 패배 등, 게임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관리자)가 미리 지정된 명령 입력 장치(예 :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예 :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명령)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이벤트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즉, 멀티 모니터를 조합하거나 배치하여 생성할 수 있는 외관 형상)(도 3 참조)을 생성하기 위한 무빙 명령을 상기 무빙부(140)에 출력한다.
상기 무빙 명령은, 멀티 모니터의 형상에 따라 각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자세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무빙부(140)의 각 모니터 무빙부(150, 160)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이다.
상기 무빙부(140)는, 지정된 멀티 모니터의 형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조합하는 복수의 모니터 개수에 대응하는 동일한 복수의 모니터 무빙부(150, 160)를 포함한다.
상기 각 모니터 무빙부(150, 160)는, 상하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또는 축이라고 할 수도 있음)와,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모니터를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자세(예 : 가로 방향, 세로 방향)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부(154, 16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 중 제1 암부(151, 161)는 일 측이 프레임부(130)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암부(152, 16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 중 제2 암부(152, 162)는 일 측이 상기 제1 암부(151, 161)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3 암부(153, 16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 중 제3 암부(153, 163)는 일 측이 상기 제2 암부(152, 162)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회전부(154, 164)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부(154, 164)는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모니터를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자세(예 : 가로 방향, 세로 방향)를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고, 각기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경우, 상기 모니터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또는 각도)를 최대(또는 최소)로 조정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한 미세 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는 상하 및 좌우 회전뿐만 아니라, 기구적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앞으로 밀거나 뒤로 당겨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모니터의 위치와 자세를 제어하여 원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가 연결되는 부위는 관절(미도시)로 작용하여 원하는 방향이나 각도로 꺾이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는 전동식 모터와 유압식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의 제어부(120)는,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감지한다(S101).
예컨대 상기 지정된 이벤트는, 멀티 모니터의 주변 상황(예 : 조도, 온도 등)이나 움직임(예 : 사람의 접근, 멀어짐 등)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 게임기(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콘텐츠(예 : 게임의 시작, 종료, 승리(예 : 잭팟), 및 패배 등, 게임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나 결과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관리자)가 미리 지정된 명령 입력 장치(예 :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예 :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발생된(또는 입력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즉, 멀티 모니터를 조합하거나 배치하여 생성할 수 있는 외관 형상) 데이터(도 3 참조)를 내부 메모리(미도시)에서 로딩한다(S102).
도 3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다양한 멀티 모니터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령 8개 또는 9개의 멀티 모니터를 조합하여 원하는 형상을 생성한다고 가정할 때, (a)와 같이 사각형 형상을 생성하거나, (b)와 같이 십자형 형상을 생성하거나, (c)와 같이 피라미드형 형상을 생성하거나, (d)와 같이 마름모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멀티 모니터 형상은, 일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일 뿐이며, 이 이외에도 모니터의 개수를 증가시켜 더 다양한 멀티 모니터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멀티 모니터 형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20)는 무빙부(140)를 통해 각 모니터의 위치와 자세를 제어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로딩한 형상 데이터에 따라, 상기 무빙부(140)를 제어하여 각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아울러 각 모니터의 자세를 제어한다(S103).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무빙부(140)의 각 모니터 무빙부(150, 160)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켜, 각 모니터 무빙부(150, 160)에 연결된 해당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회전부(154, 164)를 통해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각 모니터의 자세(예 : 가로 방향, 세로 방향)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고 각기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상하 및 좌우 회전뿐만 아니라, 기구적으로 밀거나 당겨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암(arm)부(151~153, 161~163)가 연결되는 부위는 관절(미도시)로 작용하여 원하는 방향이나 각도로 꺾이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멀티 모니터의 형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각 모니터의 위치와 자세를 제어할 경우, 상기 각 모니터에 표시되는 콘텐츠도 각 모니터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여 미리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형상 데이터가 로딩될 경우, 각 모니터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영역을 분할하고(즉, 전체의 멀티 모니터를 통해 표시할 하나의 영상을 각 모니터를 통해 표시할 영역별로 콘텐츠를 분할하고) 영상을 처리(예 : 세로 방향이나 가로 방향에 맞춰 표시될 수 있는 영상으로 처리)한다(S104).
상기와 같이 이벤트에 대응하는 형상 데이터에 맞춰 각 모니터의 위치와 자세가 제어된 후,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미리 처리된 콘텐츠 영상을 해당하는 각 모니터에 출력한다(S105).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다양한 멀티 모니터의 형상을 빠르고 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멀티 모니터의 형상이 변경되더라도 각 모니터에 해당하는 영상이 미리 처리되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으며, 또한 멀티 모니터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는 외관 형상을 변경하는데 있어서 소모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이벤트 정보 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프레임부 140 : 무빙부
150 : 제1 모니터 무빙부 160 : 제N 모니터 무빙부
151, 161 : 제1 암부 152, 162 : 제2 암부
153, 163 : 제3 암부 154, 164 : 회전부

Claims (12)

  1. 멀티 모니터;
    상기 멀티 모니터에 각기 연결되어, 각 모니터의 이동과 자세 제어를 수행하는 복수의 모니터 무빙부를 포함하는 무빙부; 및
    지정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무빙 명령을 상기 무빙부에 출력하여 상기 멀티 모니터의 형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이벤트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멀티 모니터의 주변 상황이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
    게임기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콘텐츠; 및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명령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콘텐츠는,
    게임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나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게임의 시작, 종료, 승리, 및 패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명령은,
    멀티 모니터의 형상에 따라 각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자세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각 모니터 무빙부를 제어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무빙부는,
    각기 상하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암부; 및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모니터를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암부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고, 각기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부는,
    상하 및 좌우 회전뿐만 아니라, 기구적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앞으로 밀거나 뒤로 당겨질 수 있도록 구현되며,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암부는 전동식 모터와 유압식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부는,
    적어도 제1,2, 및 3 암부를 포함하며,
    제1 암부는 일 측이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암부에 연결되며,
    제2 암부는 일 측이 상기 제1 암부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3 암부에 연결되며,
    제3 암부는 일 측이 상기 제2 암부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는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모니터를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모니터는,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및 OLED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9.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서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로딩한 형상 데이터에 따라, 무빙부를 제어하여 각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모니터의 자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로딩한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모니터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영역을 분할하고, 각 모니터에 출력할 영상의 표시 방향에 맞춰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형상 데이터에 맞춰 각 모니터의 위치와 자세가 제어된 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처리된 콘텐츠 영상을 해당하는 각 모니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멀티 모니터의 주변 상황이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
    게임기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콘텐츠; 및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명령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모니터의 형상 데이터는,
    멀티 모니터를 조합하거나 배치하여 생성할 수 있는 외관 형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부를 제어하여 각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모니터의 자세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부에 포함된 각 모니터 무빙부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각 모니터 무빙부에 연결된 복수의 각 모니터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아울러 상기 각 모니터의 후면에 연결된 회전부를 통해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각 모니터의 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방법.
KR1020180077510A 2018-07-04 2018-07-04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04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10A KR20200004539A (ko) 2018-07-04 2018-07-04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PCT/KR2019/001149 WO2020009302A1 (ko) 2018-07-04 2019-01-28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10A KR20200004539A (ko) 2018-07-04 2018-07-04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39A true KR20200004539A (ko) 2020-01-14

Family

ID=6905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510A KR20200004539A (ko) 2018-07-04 2018-07-04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04539A (ko)
WO (1) WO20200093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14B1 (ko) * 2008-02-28 2008-07-31 샘솔정보기술(주) 멀티디스플레이의 원격제어 시스템
KR20140133363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05510B1 (ko) * 2015-10-08 2017-02-13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1044B1 (ko) * 2016-01-08 2018-06-25 정범준 가변 디스플레이장치
KR102156294B1 (ko) * 2016-08-30 202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302A1 (ko)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461B1 (ko) 로봇 제어 디스플레이
CN102681887B (zh) 用于控制虚拟化屏幕的系统和方法
US89548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displays into a single large surface display
US201200474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60128908A (ko) 폴드 가능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징
WO2008104477A3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CN105389149A (zh) 一种智能设备多屏幕运行实现方法及其系统
US9804709B2 (en) Vector fill segment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display latency of touch events
JP2018109774A (ja) システム入力解像度の変動なく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を校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274176A1 (en) Moving amount derivation apparatus
KR1023267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된 키 표시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02413A (ko) 의료 시스템
KR20200004539A (ko) 멀티 모니터의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5540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US10031408B2 (en) Screen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with a screen part having at least one polyhedron
US20230118354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 brightness control
KR102298701B1 (ko) 저지연 터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20068047A1 (en) Monitor with virtual displays
WO2007060846A1 (ja) 映像切替装置および切替対象切替装置
KR1010870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피봇 동작 디스플레이 방법
WO2017018233A1 (ja) 成形機
WO2023233821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7279491A (ja) 画像表示装置
JP2020016693A5 (ko)
WO2021234909A1 (ja) 作画プログラム、記憶媒体、作画装置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