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514A -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514A
KR20200004514A KR1020180077439A KR20180077439A KR20200004514A KR 20200004514 A KR20200004514 A KR 20200004514A KR 1020180077439 A KR1020180077439 A KR 1020180077439A KR 20180077439 A KR20180077439 A KR 20180077439A KR 20200004514 A KR20200004514 A KR 2020000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ode
computer
post
cod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721B1 (ko
Inventor
한규필
류아침
박준태
홍일곤
배찬용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스마트인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스마트인디지털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7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7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05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hardware being t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57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26PCI exp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 바이오스칩, 메모리장치, 그래픽카드, 하드디스크 및 복수의 주변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바이오스칩에 저장된 부팅절차에 따라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를 진행하는 컴퓨터용 메인보드와, 상기 컴퓨터용 메인보드의 PCI-E 인터페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 과정에서 출력되는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상기 컴퓨터용 메인보드로부터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에러 검출장치와, 진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무선 네트워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에러 검출장치로부터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Computer fault diagnosis system using PCI-E interface}
본 발명은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컴퓨터(Personal Computer) 판매사 또는 제조사들은 컴퓨터를 판매하면서 1년 이상의 품질 보증 기간을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품질 보증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컴퓨터의 유/무상 유지 보수 사항에 대해서는 컴퓨터 판매사 또는 제조사가 운영 또는 위탁하는 유지 보수 업체에서 담당하여 해결한다.
이때,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고장이나 문제점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들은 바이러스 또는 하드웨어적 결함에 의해 사소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으로 유지 보수 업체에 전화하여 출장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이러한 출장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유지 보수 인력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시간과 비용, 목적지에 도착한 유지 보수 인력이 고장 원인을 판별하는 시간과 비용, 고장 해결을 위한 시간과 비용 등이 소요되는데, 이는 해당 컴퓨터 판매사 또는 제조사의 부담으로 전가되어 컴퓨터 판매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보드에 내장된 펌웨어가 실행된다. 이 펌웨어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Firmware Interface), EFI(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와 같은 기술 규약에 호환되게 만들어져 있으며(아래부터 세가지 규약을 "BIOS"로 통합하여 기술한다) 이 기술 규약을 통해서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웨어 장치가 초기화되고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를 점검하는 포스트(Power On Self Test, POST) 검사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포스트 과정은 각 하드웨어 장치의 기초적인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이고, 컴퓨터 시스템의 실제 운영과 소프트웨어의 오류에 대해서는 각각 다른 과정의 테스트가 진행된다.
한편, 하드웨어적인 오류로 인해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가 로딩(Loading)되어 정상 부팅되지 않으면 하드웨어의 진단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즉, 운영 체제가 부팅된 이후에는 일반 사용자라 하더라도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진단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하드웨어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으나, 운영 체제가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일반 사용자는 하드웨어의 오류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도 1은 종래의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1)은 컴퓨터용 메인보드에 전원이 공급되어 파워온 상태가 되면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가 자동으로 진행된다.
이때, 컴퓨터용 메인보드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파워 스위치 또는 전원단자를 확인하여 손상유무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가 완료된 경우, 즉 테스트가 문제없이 진행될 경우, 운영체제가 로딩되면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사용대기 상태에 돌입한다.
한편,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다가 진행이 멈추는 경우, 멈추는 구간에 할당된 비프음이 자동 출력된다.
즉, 컴퓨터용 메인보드에는 바이오스칩이 구비되어 있는데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가 발생한 상황을 복수의 비프음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는 전문가가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이며, 일반 소비자(사용자가)가 비프음을 통해 오류를 확인하고 처리하기는 힘들었다.
KR10-0319852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포스트 코드(POST CODE)에 대응되는 장애진단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처리장치, 바이오스칩, 메모리장치, 그래픽카드, 하드디스크 및 복수의 주변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바이오스칩에 저장된 부팅절차에 따라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를 진행하는 컴퓨터용 메인보드와, 상기 컴퓨터용 메인보드의 PCI-E 인터페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 과정에서 출력되는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상기 컴퓨터용 메인보드로부터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에러 검출장치와, 진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무선 네트워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에러 검출장치로부터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에러 검출장치는,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외부로 전송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외부요청에 따라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수신하여 각 컴퓨터용 메인보드의 종류별로 대응되는 장애진단결과를 파악하고, 상기 장애진단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피드백 하는 데이터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장애진단결과를 수리기사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수리기사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진단 애플리케이션으로 수리방문일정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수신된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각 컴퓨터용 메인보드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미리 설정된 포스트 코드(POST CODE)의 기준패턴과, 저장된 포스트 코드(POST CODE)의 변화패턴을 비교한 후, 동일할 경우 상기 기준패턴에 대응되는 예상 장애진단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피드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은,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포스트 코드(POST CODE)에 대응되는 장애진단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일반 사용자라도 손쉽게 하드웨어의 어떤 부분이 장애가 있는지를 손쉽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다.
즉,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1)은 컴퓨터용 메인보드의 I/O 포트 80h로 출력되는 POST-CODE 데이터를 PCI-E 인터페이스로부터 취득하여 자체 저장 매체에 기록하고, 이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통합관리 및 분석함으로써 신속한 장애진단과 사전 예방조치를 통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의 동작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1)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1)의 동작 개념도
도 4는 에러 검출장치(200)의 구성도
도 5는 진단 애플리케이션의 제1 예시도
도 6은 진단 애플리케이션의 제2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1)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1)의 동작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1)은 컴퓨터용 메인보드(100)와, 에러 검출장치(200)와, 휴대용 단말기(300)와, 데이터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용 메인보드(100)는 중앙처리장치(CPU), 바이오스칩(BIOS CHIP), 메모리장치(MEMORY DEVICE), 그래픽카드(GRAPHIC CARD), 하드디스크(HARD DISK) 및 복수의 주변장치(PERIPHERAL)가 장착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주변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과 같은 입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용 메인보드(100)는 전원이 최초로 인가되면 바이오스칩에 저장된 부팅절차에 따라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를 진행하게 된다.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는 전원이 최초로 인가될 경우, 중앙처리장치가 바이오스칩의 롬바이오스 내용을 순서대로 읽으면서 해당 내용을 처리한다. 즉, 롬바이오스의 각 주소 번지마다 각 하드웨어의 테스트를 위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가 명령어를 정상적으로 처리하면 다음 번지의 명령어를 실행하고,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으면 즉, 하드웨어의 비정상동작이 감지되면 그 번지 - 포스트 코드(POST CODE) - 에서 동작을 멈추게 된다. 즉, 그 번지 - 포스트 코드(POST CODE) - 에 해당하는 하드웨어의 동작의 불량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러 검출장치(200)는 컴퓨터용 메인보드(100)의 PCI-E 인터페이스에 장착된다. 에러 검출장치(200)는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 과정에서 출력되는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컴퓨터용 메인보드(100)로부터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달한다.
즉, 에러 검출장치(200)는 컴퓨터용 메인보드(100)의 I/O 포트 80h로 출력되는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PCI-E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진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무선 네트워크 방식을 이용하여 에러 검출장치(200)로부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 에러 검출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참고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방식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인 블루투스 통신방식, 지그비 통신방식, 와이파이 통신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400)는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수신하여 각 컴퓨터용 메인보드(100)의 종류별로 대응되는 장애진단결과를 파악하고, 장애진단결과를 휴대용 단말기(300)로 피드백 한다.
도 4는 에러 검출장치(200)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러 검출장치(200)는 PCI-E 단자(210)와, 동작 제어부(220)와, 액정 표시부(230)와, 무선 네트워크 모듈(240)과, 비휘발성 메모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CI-E 단자(210)는 컴퓨터용 메인보드(100)의 PCI-E 슬롯에 삽입되어 중앙처리장치 및 바이오스칩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비휘발성 메모리(250)는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데,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이 반복적으로 읽기/쓰기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저장되는 포스트 코드(POST CODE)의 순서와, 날짜/일시정보가 동시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부(230)는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액정 표시부(230)는 에러 검출장치(200)의 본체 또는 컴퓨터용 메인보드(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컴퓨터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액정 표시부(230)에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QR 코드 또는 바코드는 바이오스칩의 버전, 중앙처리장치의 종류 등과 같이 컴퓨터의 하드웨어 기본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또는 수리기사 단말기가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컴퓨터 하드웨어 기본사항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 모듈(240)은 비휘발성 메모리(250)에 저장된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외부로 전송한다. 무선 네트워크 모듈(240)은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과 같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모듈(240)은 외부요청에 따라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250)에 저장된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동작 제어부(220)는 액정 표시부(230), 무선 네트워크 모듈(240) 및 비휘발성 메모리(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는 진단 애플리케이션의 제1 예시도이고, 도 6은 진단 애플리케이션의 제2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는 휴대용 단말기(300)에 설치된 진단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고, 도 6은 수리기사 단말기에 설치된 진단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기본적으로 휴대용 단말기(300)에 설치된 진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접속 메뉴, QR 코드로 하드웨어 사양 확인 메뉴, 무선통신연결 메뉴, 포스트 코드(POST CODE) 입력 메뉴, 포스트 코드(POST CODE) 분석 메뉴, 수리요청 접수 메뉴 등이 제공된다. 또한, 수리기사 단말기에 설치된 진단 애플리케이션은 관리자 모드로 접속되는데, 사용자의 수리요청을 확인하는 메뉴, QR 코드 관리 메뉴 등이 제공된다.
한편, 데이터 서버(400)는 장애진단결과를 수리기사 단말기로 송신하고, 수리기사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진단 애플리케이션으로 수리방문일정을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서버(400)의 장애진단결과가 사용자가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정도의 장애일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0)의 진단 애플리케이션으로 장애진단결과와, 처리절차를 전송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300)의 진단 애플리케이션에는 장애처리 절차가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게 따라하면서 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성으로 장애처리 절차가 추가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즉, 데이터 서버(400)는 자체적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컴퓨터의 케이스, 컴퓨터용 메인보드의 구성을 파악한 후, 케이스의 분리절차부터 하드웨어 부품의 분리절차 그리고 다시 조립절차까지 인터렉티브한 튜토리얼 형태로 표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데이터 서버(400)는 사용자의 처리 진행속도가 느린 경우, 초보자 버전의 장애조치 메뉴얼을 재전송한다. 초보자 버전은 동일한 컴퓨터의 분해 및 조립 동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400)의 장애진단결과가 수리기사가 처리해야 하는 전문영역일 경우, 데이터 서버(400)는 교체가 필요한 부품의 정보와, 장애진단결과를 수리기사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0)의 진단 애플리케이션과, 수리기사 단말기의 진단 애플리케이션은 상호간에 연결되어 수리방문일정을 상호간에 조율하거나, 상호간의 요구사항을 실시간 채팅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호 간에 영상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수리기사의 요청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고장증상을 동영상 등으로 촬영한 후 수리기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400)는 수신된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각 컴퓨터용 메인보드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데,
미리 설정된 포스트 코드(POST CODE)의 기준패턴과, 저장된 포스트 코드(POST CODE)의 변화패턴을 비교한 후, 동일할 경우 기준패턴에 대응되는 예상 장애진단결과를 휴대용 단말기(300)로 피드백 한다.
즉, 컴퓨터의 하드웨어 장애는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보다는, 전조증상이 계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데이터 서버(400)는 각 포스트 코드(POST CODE)가 발생하는 빈도와, 각 포스트 코드(POST CODE)가 반복되는 상황과, 포스트 코드(POST CODE)의 변화패턴을 고려하여 예상되는 장애를 파악하여 사전에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스트 코드(POST CODE)는 16진수 2자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포스트 코드 0x1A, 제2 포스트 코드 0x2A, 제3 포스트 코드 0x3A, 제4 포스트 코드 0x4A가 순서대로 제1 기준패턴으로 설정되어 있고, 변화패턴이 제1 기준패턴과 주기적으로 일치했을 경우, 메모리의 고장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1 기준패턴의 포스트 코드(POST CODE)는 순서대로 발생해야하며, 최소 1일 ~ 최대 3달의 주기 동안 발생한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사용하여 변화패턴과 제1 기준패턴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주기는 연장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준패턴은 기본적으로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고, 계속해서 피드백 받아 업데이트 된다.
즉, 수리기사는 사용자의 컴퓨터를 수리할 경우, 고장증상을 수리기사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버(400)에 전달하므로, 데이터 서버(400)는 수리된 컴퓨터가 수리되기 전까지 발생한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토대로 기준패턴을 생성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만약, 제2 기준패턴이 10개의 순차적인 포스트 코드(POST CODE)로 구성될 경우, 즉 최소 3개 이상의 포스트 코드(POST CODE)로 기준패턴이 만들어진 경우, 변화패턴과 일치여부 뿐만 아니라 유사도를 판별한다. 즉, 변화패턴이 제2 기준패턴과 80% 이상 유사할 경우에도 제2 기준패턴에 할당된 고장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달한다.
참고적으로, 변화패턴과, 제2 기준패턴이 일치하지 않고, 유사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는 확률단위로 고장증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한편, 데이터 서버(400)는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컴퓨터용 메인보드(100)의 촬영영상이 전송될 경우, 영상인식을 통해 어떤 기종의 메인보드인지를 파악하여 하드웨어 기종을 판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본정보는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통해 인지될 수 있으나, 해당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없을 경우, 데이터 서버(400)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촬영영상을 전송받아 영상인식을 통해 하드웨어 종류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에러 검출장치(200)는 포스트 코드(POST CODE) 뿐만 아니라, 메인보드의 각 전압, 냉각팬의 회전속도, 메인보드의 온도, 하드디스크 정보(HDD-SMART) 등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집하고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기(300) 및 데이터 서버(40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증상의 정확한 분석 및 사전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에러 검출장치(200)는 내장된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시스템 운영체제의 복원영역으로 활용하고 주 저장장치의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탑재된 실시간 운영체제(LIVE OS)로 응급 부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은,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포스트 코드(POST CODE)에 대응되는 장애진단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일반 사용자라도 손쉽게 하드웨어의 어떤 부분이 장애가 있는지를 손쉽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다.
즉,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1)은 컴퓨터용 메인보드의 I/O 포트 80h로 출력되는 POST-CODE 데이터를 PCI-E 인터페이스로부터 취득하여 자체 저장 매체에 기록하고, 이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통합관리 및 분석함으로써 신속한 장애진단과 사전 예방조치를 통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컴퓨터용 메인보드
200 : 에러 검출장치
210 : PCI-E 단자
220 : 동작 제어부
230 : 액정 표시부
240 : 무선 네트워크 모듈
250 : 비휘발성 메모리
300 : 휴대용 단말기
400 : 데이터 서버

Claims (6)

  1. 중앙처리장치, 바이오스칩, 메모리장치, 그래픽카드, 하드디스크 및 복수의 주변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바이오스칩에 저장된 부팅절차에 따라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를 진행하는 컴퓨터용 메인보드;
    상기 컴퓨터용 메인보드의 PCI-E 인터페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시동자체테스트(Power On Self Test, POST) 과정에서 출력되는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상기 컴퓨터용 메인보드로부터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에러 검출장치; 및
    진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무선 네트워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에러 검출장치로부터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장치는,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외부로 전송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 및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외부요청에 따라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수신하여 각 컴퓨터용 메인보드의 종류별로 대응되는 장애진단결과를 파악하고, 상기 장애진단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피드백 하는 데이터 서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장애진단결과를 수리기사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수리기사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진단 애플리케이션으로 수리방문일정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수신된 상기 포스트 코드(POST CODE)를 각 컴퓨터용 메인보드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미리 설정된 포스트 코드(POST CODE)의 기준패턴과, 저장된 포스트 코드(POST CODE)의 변화패턴을 비교한 후, 동일할 경우 상기 기준패턴에 대응되는 예상 장애진단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피드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KR1020180077439A 2018-07-04 2018-07-04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KR102108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39A KR102108721B1 (ko) 2018-07-04 2018-07-04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39A KR102108721B1 (ko) 2018-07-04 2018-07-04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14A true KR20200004514A (ko) 2020-01-14
KR102108721B1 KR102108721B1 (ko) 2020-05-11

Family

ID=6915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439A KR102108721B1 (ko) 2018-07-04 2018-07-04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6532A (zh) * 2021-03-25 2021-07-06 三未信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诊断的pci密码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522B1 (ko) 2021-06-29 2022-05-31 주식회사 에이텍 컴퓨터의 사전 탐지를 이용한 장애 예방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328A (ja) * 1996-06-27 1998-01-16 Hitachi Ltd エラー表示方式
KR100319852B1 (ko) 1997-12-26 2002-04-22 윤종용 장애복구기능을갖는컴퓨터시스템및그방법
JP2005228004A (ja) * 2004-02-12 2005-08-25 Nec Fielding Ltd コンピュータ遠隔診断修復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150116020A (ko) * 2014-04-03 2015-10-15 (주)스마트인디지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컴퓨터 진단 및 복구 장치와 그 방법
KR101712172B1 (ko) * 2016-11-04 2017-03-03 (주)스마트인디지털 컴퓨터 장애 증상의 사전 진단 및 분석 복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328A (ja) * 1996-06-27 1998-01-16 Hitachi Ltd エラー表示方式
KR100319852B1 (ko) 1997-12-26 2002-04-22 윤종용 장애복구기능을갖는컴퓨터시스템및그방법
JP2005228004A (ja) * 2004-02-12 2005-08-25 Nec Fielding Ltd コンピュータ遠隔診断修復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150116020A (ko) * 2014-04-03 2015-10-15 (주)스마트인디지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컴퓨터 진단 및 복구 장치와 그 방법
KR101712172B1 (ko) * 2016-11-04 2017-03-03 (주)스마트인디지털 컴퓨터 장애 증상의 사전 진단 및 분석 복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6532A (zh) * 2021-03-25 2021-07-06 三未信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诊断的pci密码卡
CN113076532B (zh) * 2021-03-25 2024-04-12 三未信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诊断的pci密码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721B1 (ko)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48958B (zh) 基本输入输出系统回复管理系统及其方法以及程序产品
US8274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F access to system ID and fault information
US7454606B2 (en) Maintenance device for remotely accessing and repairing failed computer systems
JP4746455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起動制御方法及び起動制御プログラム
US107891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712172B1 (ko) 컴퓨터 장애 증상의 사전 진단 및 분석 복구 시스템 및 방법
US10922071B2 (en) Centralized off-board flash memory for server devices
EP3218818B1 (en) Dual purpose boot registers
US202103422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diagnosing and repairing a computing device
TWI611289B (zh) 伺服器及其偵錯方法
CN101471820B (zh) 基板管理控制器的测试方法
KR102108721B1 (ko)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진단 시스템
WO2007086116A1 (ja) 情報処理装置の部品履歴管理システム
US11416361B2 (en) Computer system and debugging method thereof
KR20150116020A (ko)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컴퓨터 진단 및 복구 장치와 그 방법
CN115470056A (zh) 服务器硬件上电启动故障排查方法、系统、装置及介质
CN115599617A (zh) 总线检测方法、装置、服务器及电子设备
CN115168146A (zh) 一种异常检测方法和装置
US11507464B2 (en) System and method to implement a guided resolution of a non-booting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N111061603B (zh) 可记录自检数据的主板和计算机、自检数据的记录方法
EP3561676B1 (en) Display device detection system
CN111045899B (zh) 在计算机系统开机自检的早期显示bios信息的方法
US202001753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Asset Management Tag Device to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JP2001147909A (ja) 状態監視システム
CN114691400A (zh) 故障处理方法及故障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