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512A - 안면 인식 제어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들을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 - Google Patents

안면 인식 제어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들을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512A
KR20200004512A KR1020180077431A KR20180077431A KR20200004512A KR 20200004512 A KR20200004512 A KR 20200004512A KR 1020180077431 A KR1020180077431 A KR 1020180077431A KR 20180077431 A KR20180077431 A KR 20180077431A KR 20200004512 A KR20200004512 A KR 20200004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distance
user terminal
fac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207B1 (ko
Inventor
김현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7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2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by access privileges are related to the ident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의한 텔레메틱스 유닛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은,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제1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부팅 신호(pre-booting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전 부팅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고 OS(Operating System) 부팅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이내인 경우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기 등록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도어 모듈로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면 인식 제어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들을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APPARATUS AND SYSTEM FOR FACIAL RECOGNITION CONTROL, METHOD FOR VEHICLE ACCES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안면 인식 제어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전자가 차량의 키 등을 소지하지 아니하고도 별도의 행위 없이 차량 내에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생체 인식에 기반한 차량 출입 시스템이 출시되고 있다.
도 1은 차량 출입을 위한 일반적인 생체 인식 시스템 구조의 일 례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생체 인식 시스템은, 차량 근처에 접근한 운전자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운전자 접근 감지 센서(12),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14), 및 카메라(16)의 동작을 활성화시키고 촬영된 운전자의 생체 정보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는 처리 프로세서(16)가 구비된 생체 인식 제어기(10), 상기 생체 인식 제어기(10)로부터 촬영된 운전자(1)의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IBU(Integrated Body Unit, 20), 및 상기 IBU(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도어의 개폐 동작이 수행되는 도어 모듈(30)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메라(14)에 기반한 생체 인식 제어기(10)는, 처리하는 데이터의 양, 처리 부하, 내지 소모 전류-예컨대, 대략 500mA 내외-가 크기 때문에, 처리 프로세서(16)를 부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처리 프로세서(16)는, 운전자 접근 감지 센서(12)에 의해 차량 근처에 접근한 운전자(1)가 감지되는 경우에 비로소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되므로, 운전자는 처리 프로세서(16)를 부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차량 앞에서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되며, 시스템의 상품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실시 예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별도의 대기 시간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즉각적인 사용자 인증 절차를 통하여 차량 출입이 가능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는, 텔레메틱스 유닛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에 있어서,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제1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부팅 신호(pre-booting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전 부팅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고 OS(Operating System) 부팅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이내인 경우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기 등록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도어 모듈로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전 부팅 신호(PBS) 명령에 따라 차량으로 접근하는 운전자의 움직임을 미리 감지하여 시간 지연 없이 안면 인식 제어 장치를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므로, 사용자가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부팅 소요 시간으로 인하여 차량 앞에서 수 초-예컨대, 대략 5초 내지 7초-간 대기하는 불편함이 개선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 출입을 위한 일반적인 생체 인식 시스템 구조의 일 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의 (a) 내지 (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전 부팅 신호(PBS)의 생성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차 모드 전환 상황과 운전자의 차량 접근 상황에 대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의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은 차량(100) 내에 구비된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 텔레메틱스 유닛(TMU; Telematics Unit, 120), 도어 모듈(130), 상기 차량(100) 내부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운전자가 차량 출입을 위해 차량(100)의 기 설정된 감지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운전자의 생체 이미지-예컨대, 생체 이미지는 안면, 홍채 등을 포함할 수 있다-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상기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 이미지와 미리 저장(또는 등록)된 운전자의 생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도어 모듈(130)의 개폐 동작을 제어-예컨대, 차량(100)의 도어를 lock 또는 unlock 상태로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텔레메틱스 유닛(120)으로부터 사전 부팅 신호(PBS; pre-booting signal)를 수신함으로써 슬립 모드(sleep mode)-예컨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동작이 중지된 상태-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예컨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동작이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부팅 신호(PBS)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려는 의도를 미리 감지하여 시스템 부팅으로 인한 지연 없이 안면 인식 및/또는 차량 출입이 가능하도록,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 미도시) 부팅을 미리 개시하기 위한 신호로 정의될 수 있다.
텔레메틱스 유닛(120)은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 위치 정보는 안면 인식에 기반한 차량 출입 시스템 등에 있어서 사전 부팅 신호(PBS)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사전 부팅 신호(PBS) 전송을 위하여, 텔레메틱스 유닛(120)과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 간에는 CAN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유닛(120)은 페어링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되어 상기 획득된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Wi-Fi, 블루투스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텔레매틱스 유닛(120)은 텔레메틱스 센터(TM center, 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전송받은 차량(100)의 위치 정보와 획득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전 부팅 신호(PBS)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소정 차량 제어 앱(APP)을 통해 차량 시동, 도어 개폐 등을 제어하기 위한 사전 부팅 명령을 실행하거나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휴대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을 소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운전자의 위치로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가 용이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차량 제어 앱(APP)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와 실행을 위한 메인 프로세서의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센서부(111), 조도 감지부(112), 적외선(Infrared Radiation) LED(113), 데이터 베이스(114), 사용자 인증부(115), 통신부(116), 입력부(117), 오퍼레이팅 시스템(OS; Operating System, 미도시)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1)는 운전자(5)가 차량 출입을 위해 예를 들어, 운전석 도어 앞에 대기할 때 운전자(5)의 생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이미지는 안면, 홍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111)의 일 예로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센서부(111)는 예를 들어, 차량의 앞뒤 도어의 중간에 위치한 사이드 필러-또는 B 필러-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차량의 도어 부근에서 운전자(5)의 생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라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조도 감지부(112)는 차량 외부 환경의 광량-예를 들어, 태양광의 일조량- 또는 조도를 감지하고, 일정 조도 이하의 값이 감지되면 제어부(118)로 적외선 LED(330)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적외선(IR; infrared radiation) LED(113)는 조도 감지부(112)로부터 일정 조도 이하의 값이 감지되는 경우 구동될 수 있으며, 야간에 운전자(5)의 생체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가 낮은 야간에는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를 식별하기가 곤란하므로, 제어부(118)는 적외선 LED(113)를 구동하여 센서부(111)로부터 운전자(5)의 안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DB, 114)는 운전자(5)의 생체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114)는 운전자(5)의 안면 이미지에 대한 특징 정보가 사용자 단말(200) 정보와 대응되어 미리 등록 또는 저장될 수 있으며, 다수의 운전자(5)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15)는 센서부(111)를 통해 인식된 운전자(5) 안면 이미지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114)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5)의 안면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8)는 사용자 인증부(114)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도어 모듈(130)의 개폐 동작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인증부(115)의 판단 결과 센서부(111)를 통해 인식된 운전자(5) 안면 이미지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114)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5)의 안면 이미지 정보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118)는 도어 모듈(130)의 도어 lock 상태를 unlock 상태로 전환하고 운전자(5)의 차량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인증부(115)의 판단 결과 센서부(111)를 통해 인식된 운전자(5) 안면 이미지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114)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5)의 안면 이미지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18)는 도어 모듈(130)의 도어 lock 상태를 유지하고 운전자(5)의 차량 출입을 불허할 수 있다.
통신부(116)는 텔레메틱스 유닛(120) 및 도어 모듈(130) 각각과 차량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일 예로 CAN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제어 신호는 텔레메틱스 유닛(120)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전 부팅 신호(PBS) 및 도어 모듈(130)로 송신하는 도어 lock 또는 unlock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7)는 사용자 단말(200)이 사전 부팅 신호(PBS)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예컨대,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수동으로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 미도시) 부팅을 개시할 수 있도록 운전자(5)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17)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를 온오프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예컨대, 차량의 앞뒤 도어의 중간에 위치한 사이드 필러-에 노출된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운전자(5)는 상기 전원 버튼을 통해 제어부(118)를 턴-온/턴-오프 할 수 있다. 다만,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를 수동으로 온오프하기 위한 입력부(117)의 형태가 반드시 버튼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터치형, 토글형, 지문 감지형 등의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18)는, 텔레메틱스 유닛(120)으로부터 사전 부팅 신호(PBS)를 수신하거나 입력부(117)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부팅 개시를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고, 센서부(111), 조도 감지부(112), 사용자 인증부(115), 및 통신부(117)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운전자(5)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에 차량 제어 앱(APP)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에 기반한 차량 출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을 특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 제어 앱(APP)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위치 정보 저장부(210), GPS 수신부(220), 거리 산출부(230), 사전 부팅 신호(PBS) 생성부(240), 및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위치 정보 저장부(210)는, 차량(100)의 운행이 종료되고 특정 장소에 차량(100)이 정차하는 경우, 텔레메틱스 유닛(120)으로부터 전송된 현재 차량(100)의 제1 위치 정보(P1)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0)의 정차 상황은, 운전자(5)가 차량(100)에서 하차(下車)하거나 또는 차량(100)이 주행 모드에서 주차 모드(parking mode)로 전환되는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100)이 주행 모드에서 주차 모드로 전환되면, 텔레메틱스 유닛(120)은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차량(100)의 제1 위치 정보(P1)를 획득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 내 차량 위치 정보 저장부(210)로 상기 제1 위치 정보(P1)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Wi-Fi, 블루투스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GPS 수신부(220)는,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제2 위치 정보(P2)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내 차량 제어 앱(APP)이 실행되는 동안 운전자(5)가 보행을 계속하면, GPS 수신부(220)는 주기적으로 제2 위치 정보(P2)를 갱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의 제2 위치 정보(P2)는 운전자(5)의 현재 위치로 인지할 수 있다.
거리 산출부(230)는, 현재 차량(100)의 제1 위치 정보(P1)와 사용자 단말(200)의 제2 위치 정보(P2)를 비교하여 차량(100)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또는, 차량(100)과 운전자(5) 사이의 거리-인 제1 거리(D1)를 계산하고, 상기 제1 거리(D1)와 임계 거리(Dthreshold)를 비교할 수 있다.
사전 부팅 신호 생성부(240)는, 상기 제1 거리(D1)와 임계 거리(Dthreshold)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거리(D1)가 임계 거리(Dthreshold)보다 작은 경우,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를 미리 부팅시키기 위한 사전 부팅 신호(PBS)를 생성하고, 차량(100) 내 텔레메틱스 유닛(120)으로 사전 부팅 신호(PBS)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거리(D1)가 임계 거리(Dthreshold)와 동일한 경우 즉, 상기 제1 거리(D1)가 임계 거리(Dthreshold) 이내인 경우에도 사전 부팅 요청이 발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의 (a) 내지 (b)를 참조하여 사전 부팅 신호(PBS)의 생성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 내지 (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전 부팅 신호(PBS)의 생성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을 소지한 운전자(5)가 차량(100)으로부터 임계 거리(Dthreshold) 이내에 도달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전 부팅 신호(PBS)를 생성하고 차량(100)으로 사전 부팅 신호(PBS)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전 부팅 신호(PBS)를 수신한 차량(100) 내 텔레메틱스 유닛(120)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로 상기 사전 부팅 신호(PBS)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앞뒤 도어의 중간에 위치한 사이드 필러-또는 B 필러-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차량의 도어 부근에서 운전자(5)의 생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라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사전 부팅 신호(PBS) 명령을 수신하면,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고, 상기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에 포함된 센서부(111), 조도 감지부(112), 사용자 인증부(115), 및 통신부(117)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임계 거리(Dthreshold) 이내에 도달한 운전자(5)가 보행을 계속하여 차량(100)으로부터 제2 거리(D2) 이내에 도달하면, 활성화된 센서부(111)는 운전자(5)의 생체 이미지-예컨대, 안면, 홍채 등-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리(D2)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또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 내의 센서부(111)-가 운전자(5)를 인지할 수 있는 최대 감지 거리일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15)는 상기 센서부(111)를 통해 인식된 운전자(5)의 안면 이미지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114)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5)의 안면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118)는 도어 모듈(130)로 도어 개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임계 거리(Dthreshold)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가 부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예컨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동작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운전자(5)의 평균 보행 속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일 수 있다. 예컨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 부팅 처리 시간이 5 sec이고, 운전자의 평균 보행 속도가 0.6m/s 라고 가정하면 임계 거리(L)는 3m 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 보다 다소 길거나 짧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임계 거리(Dthreshold)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가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는 제2 거리(D2)를 더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 부팅 처리 시간이 5 sec, 운전자의 보행 속도가 0.6m/s,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제2 거리(D2)가 2m 라고 가정하면 임계 거리(Dthreshold)는 5m 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 보다 다소 길거나 짧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디스플레이부(250)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50)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UI(User Interface)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50)는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을 출입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차량이 주행 모드에서 주차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될 수 있다(S100 단계). 여기서, 슬립 모드(sleep mode)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이 중지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가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면(S100 단계), 도어 모듈(130)은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예컨대, 도어 잠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300 단계).
또한,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가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면(S100 단계), 텔레메틱스 유닛(120)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정차된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를 획득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상기 제1 위치 정보(P1)를 저장할 것을 명령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00 단계).
S200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를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0 단계).
예를 들어, 텔레메틱스 유닛(120)과 사용자 단말(20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하로 저하되는 등의 통신 두절로 인하여,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를 수신 내지 저장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이 정차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예컨대, 제1 위치 정보(P1)-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에 기반한 차량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만일,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S410 단계),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제2 위치 정보(P2)를 획득할 수 있다(S420 단계).
S420 단계에서, 운전자(5)가 보행을 계속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주기적으로 제2 위치 정보(P2)를 갱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의 제2 위치 정보(P2)는 운전자의 현재 위치로 인지할 수 있다.
S420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은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와 사용자 단말(200)의 제2 위치 정보(P2)를 비교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또는, 차량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인 제1 거리(D1)를 계산하고, 상기 제1 거리(D1)와 임계 거리(Dthreshold)를 비교할 수 있다(S430 단계).
여기서, 임계 거리(Dthreshold)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가 부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예컨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에 포함된 각 부의 동작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운전자의 평균 보행 속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임계 거리(Dthreshold)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가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는 최대 감지 거리인 제2 거리(D2)를 더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제1 거리(D1)와 임계 거리(Dthreshold)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거리(D1)가 임계 거리(Dthreshold)보다 작은 경우(S430의 YES 단계),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를 미리 부팅시키기 위한 사전 부팅 신호(PBS)를 생성하고, 차량 내 텔레메틱스 유닛(120)으로 사전 부팅 신호(PBS)를 전송할 수 있다(S440 단계).
만일, 상기 제1 거리(D1)와 임계 거리(Dthreshold)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거리(D1)가 임계 거리(Dthreshold)보다 큰 경우(S430의 NO 단계)에는, 사용자 단말(200)은 S420 단계로 돌아가 사용자 단말(200)의 제2 위치 정보(P2)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전 부팅 신호(PBS)를 전송 받은 텔레메틱스 유닛(120)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로 상기 사전 부팅 신호(PBS)를 전송할 수 있다(S210 단계). 이처럼, 텔레메틱스 유닛(120)은 사용자 단말(200)과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 간에 사전 부팅 신호(PBS)의 전송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텔레메틱스 유닛(120)으로부터 사전 부팅 신호(PBS) 명령을 수신하면,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고, 상기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에 포함된 각 부-예컨대, 센서부(111), 조도 감지부(112), 사용자 인증부(115), 및 통신부(117) 등-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110 단계).
S110 단계 이후,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운전자의 안면 인식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단계).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대략 30초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만일,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가 사전 부팅 신호(PBS)를 수신한지-또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에 포함된 각 부의 동작이 활성화된지- 약 30초가 경과된 이후에 운전자의 안면을 인식하거나 또는 안면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S120의 NO 단계),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를 다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고 S430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한편,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가 사전 부팅 신호(PBS)를 수신한지-또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에 포함된 각 부의 동작이 활성화된지- 약 30초 이내에 운전자의 안면을 인식한 경우에는(S120의 YES 단계),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30 단계).
S130 단계에서는, 상기 인식된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와 미리 저장(또는 등록)된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인식된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 정보와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 정보가 일치할 경우(S130의 YES 단계),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도어 모듈(130)로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예컨대, 도어 잠김-에서 unlock 상태-예컨대, 도어 풀림-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한 도어 모듈(130)은,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에서 unlock 상태로 전환하고, 운전자의 차량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S310 단계).
그러나, 상기 인식된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 정보와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S130의 NO 단계),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도어 모듈(130)로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로 계속 유지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도어 모듈(130)은,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로 유지하고, 운전자의 차량 출입을 불허할 수 있다(S300 단계).
그리고 S130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제1 메시지-예컨대, '귀하의 차량 출입이 불가하오니, 다시 시도해 주시기 바랍니다'-를 출력할 수 있다(S450 단계).
한편,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순서도는 사전 부팅 신호(PBS)가 생성된 경우의 차량 출입 방법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도시된 순서도는 사전 부팅 신호(PBS)가 생성되지 아니한 경우의 차량 출입 방법을 나타낸다.
S40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 부팅을 개시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40 단계).
텔레메틱스 유닛(120)과 사용자 단말(20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하로 저하되는 등의 통신 두절로 인하여,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를 수신 내지 저장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에 기반한 차량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며, S14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전 부팅 신호(PBS) 신호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차량 외부-예컨대, 차량의 앞뒤 도어의 중간에 위치한 사이드 필러-에 노출된 전원 버튼을 통해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를 턴-온 또는 턴-오프 할 수 있다.
S140 단계 이후,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가 부팅된 경우-예컨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에 포함된 각 부의 동작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절차 수행을 위하여 S13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S400 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의 제1 위치 정보 인식에 실패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제2 메시지-예컨대, '차량의 위치 인식이 불가합니다. 안면 인식을 위해 차량에 장착된 수동 버튼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를 출력할 수 있다(S460 단계).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차량의 주차 모드 전환 상황과 운전자의 차량 접근 상황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에 기반한 차량 출입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차 모드 전환 상황과 운전자의 차량 접근 상황에 대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차량의 주차 모드 전환 상황(S610)과 운전자의 차량 접근 상황(S620)으로 양분될 수 있다.
먼저, 차량의 주차 모드 전환 상황(S610)에 있어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이 주행 모드에서 주차 모드로 전환되면, 시동은 오프(off)되고,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될 수 있다(S61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은, 과다한 암전류-예컨대, 대략 300mA 이상-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이 주차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안면 제어기(110)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모듈(130)은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612).
이후, 차량 내 텔레메틱스 유닛(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차량-예컨대, 주차 모드로 전환되어 정차된 차량을 의미함-의 제1 위치 정보(P1)를 저장할 것을 명령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613).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를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14). 여기서, 제1 위치 정보(P1)의 인식 여부는, 사전 부팅 신호(PBS)의 개시에 따라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이 동작되는지, 또는 차량의 외부에 노출된 전원 버튼의 입력에 따라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이 동작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614 단계에서,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의 인식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제2 메시지-예컨대, '차량의 위치 인식이 불가합니다. 안면 인식을 위해 차량에 장착된 수동 버튼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를 출력하고(S616), 수동으로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 부팅을 개시할 수 있다(S617).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주차 모드 전환 상황(S61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정차된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를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S614의 YES 또는 NO 단계),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615 단계 이후에는 사전 부팅 신호(PBS)의 개시에 따라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이 동작되고, S617 단계 이후에는 차량 외부에 노출된 전원 버튼의 입력에 따라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이 동작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운전자의 차량 접근 상황(S620)에 있어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를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하는 S615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은 차량의 제1 위치 정보(P1)와 사용자 단말(200)의 제2 위치 정보(P2)를 비교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또는, 차량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인 제1 거리(D1)를 계산하고, 상기 제1 거리(D1)와 임계 거리(Dthreshold)를 비교할 수 있다(S621). 여기서, 제1 거리(D1)와 임계 거리(Dthreshold) 간의 비교 결과를 통하여,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 거리(D1)와 임계 거리(Dthreshold)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거리(D1)가 임계 거리(Dthreshold)보다 큰 경우(S621의 NO 단계)에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유지하고(S622), 사용자 단말(200)은 S621 단계로 돌아가 사용자 단말(200)의 제2 위치 정보(P2)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거리(D1)와 임계 거리(Dthreshold)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거리(D1)가 임계 거리(Dthreshold)보다 작은 경우(S621의 YES 단계),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사전 부팅 신호(PBS)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고, 상기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에 포함된 각 부-예컨대, 센서부(111), 조도 감지부(112), 사용자 인증부(115), 및 통신부(117) 등-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624).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부팅 신호(PBS) 명령에 따라 차량으로 접근하는 운전자의 움직임을 미리 감지하여 시간 지연 없이 안면 인식 제어 장치를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할 경우, 사용자가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의 부팅 소요 시간으로 인하여 차량 앞에서 수 초-예컨대, 대략 5초 내지 7초-간 대기하는 불편함이 개선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은,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사전 부팅을 통해 즉각적인 사용자 인증 절차가 수행되므로, 상품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후,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운전자의 안면 인식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25).
만일,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가 사전 부팅 신호(PBS)를 수신하고-또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에 포함된 각 부의 동작이 활성화되고- 나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운전자의 안면을 인식하거나 또는 안면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S625의 NO 단계),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를 다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고(S622), S621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한편,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가 사전 부팅 신호(PBS)를 수신하고-또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에 포함된 각 부의 동작이 활성화되고- 나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운전자의 안면을 인식한 경우에는(S625의 YES 단계),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626).
S626 단계에서, 정당한 운전자로 판단된 경우(S626의 YES 단계)에는, 도어 모듈(130)은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에서 unlock 상태로 전환하고, 운전자의 차량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S627).
반면에, S626 단계에서, 정당한 운전자로 판단되지 아니한 경우(S626의 NO 단계)에는, 도어 모듈(130)은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제1 메시지-예컨대, '귀하의 차량 출입이 불가하오니, 다시 시도해 주시기 바랍니다'-를 출력할 수 있다(S628).
한편, 수동으로 안면 인식 제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 부팅을 개시하는 S617 단계 이후에는, 전술한 사용자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S626). 그리고 이후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S627 내지 S628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은 생체 인식 시스템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텔레메틱스 유닛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에 있어서,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제1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부팅 신호(pre-booting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전 부팅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고 OS(Operating System) 부팅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이내인 경우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기 등록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도어 모듈로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상기 기 등록된 이미지가 일치할 경우,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에서 unlock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상기 기 등록된 이미지가 불일치할 경우,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거리는,
    상기 OS 부팅이 소요되는 시간 및 상기 운전자의 기 설정된 보행 속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되는, 차량 출입 방법.
  5. 텔레메틱스 유닛을 통해 안면 인식 제어 장치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에 기반한 차량 출입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주차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제1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안면 인식 제어 장치의 OS(Operating System) 부팅을 개시하기 위한 사전 부팅 신호(pre-booting signal)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텔레메틱스 유닛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안면 인식 제어 장치로 상기 생성된 사전 부팅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전 부팅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안면 인식 제어 장치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1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이내인 경우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안면 인식 제어 장치로부터 도어 모듈로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부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텔레메틱스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GPS 측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위치 정보 간의 상기 제1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보다 큰 경우,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출입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거리가 상기 제2 거리 이내인 경우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기 등록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상기 기 등록된 이미지가 일치할 경우,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에서 unlock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상기 기 등록된 이미지가 불일치할 경우,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 인식이 불가한 경우, 상기 안면 인식 제어 장치를 상기 웨이크업 모드에서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회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방법.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거리는,
    상기 OS 부팅이 소요되는 시간 및 상기 운전자의 기 설정된 보행 속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되는, 차량 출입 방법.
  13. 텔레메틱스 유닛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사용자 단말 정보와 대응되는 운전자의 기 등록된 안면 이미지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 등록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증부;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제1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부팅 신호(pre-booting signal)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사전 부팅 신호에 따라 OS(Operating System) 부팅을 개시하고,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도어의 개폐 동작을 달리 제어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상기 기 등록된 이미지가 일치할 경우,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에서 unlock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상기 기 등록된 이미지가 불일치할 경우, 차량의 도어를 lock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 획득이 불가한 경우, 상기 웨이크업 모드에서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거리는,
    상기 OS 부팅이 소요되는 시간 및 상기 운전자의 기 설정된 보행 속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
  19. 텔레메틱스 유닛을 통해 안면 인식 제어 장치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이 주차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제1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OS(Operating System) 부팅을 개시하기 위한 사전 부팅 신호(pre-booting signal)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 앱(APP)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전 부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고, 상기 제1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이내인 경우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며,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도어 모듈로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안면 인식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안면 인식 제어 장치 간에 전송되는 상기 사전 부팅 신호를 중개하는 텔레메틱스 유닛을 더 포함하는,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KR1020180077431A 2018-07-04 2018-07-04 안면 인식 제어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들을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 KR102592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31A KR102592207B1 (ko) 2018-07-04 2018-07-04 안면 인식 제어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들을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31A KR102592207B1 (ko) 2018-07-04 2018-07-04 안면 인식 제어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들을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12A true KR20200004512A (ko) 2020-01-14
KR102592207B1 KR102592207B1 (ko) 2023-10-20

Family

ID=6915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431A KR102592207B1 (ko) 2018-07-04 2018-07-04 안면 인식 제어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들을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06010A (zh) * 2022-09-02 2022-10-18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人脸识别控制电动侧滑门开关系统及方法
CN116605176A (zh) * 2023-07-20 2023-08-18 江西欧迈斯微电子有限公司 开闭锁控制方法、装置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10A (ko) * 2013-12-04 2015-06-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6033327A (ja) * 2014-07-30 2016-03-10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自動車及びこの自動車に使用される鍵無しロック解除システム、並びに自動車の鍵無しロック解除方法
KR101768134B1 (ko) * 2015-09-21 2017-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스템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600007A (zh) * 2016-07-12 2018-01-19 福特全球技术公司 车辆系统的智能预启动和设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10A (ko) * 2013-12-04 2015-06-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6033327A (ja) * 2014-07-30 2016-03-10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自動車及びこの自動車に使用される鍵無しロック解除システム、並びに自動車の鍵無しロック解除方法
KR101768134B1 (ko) * 2015-09-21 2017-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스템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600007A (zh) * 2016-07-12 2018-01-19 福特全球技术公司 车辆系统的智能预启动和设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06010A (zh) * 2022-09-02 2022-10-18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人脸识别控制电动侧滑门开关系统及方法
CN116605176A (zh) * 2023-07-20 2023-08-18 江西欧迈斯微电子有限公司 开闭锁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116605176B (zh) * 2023-07-20 2023-11-07 江西欧迈斯微电子有限公司 开闭锁控制方法、装置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207B1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16640B (zh) 车门控制方法、车辆、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895138B1 (ko) 차량 구성요소를 활성화하기 위한 차량 시스템
JP7106768B2 (ja) 車両のドアロック解除方法、装置、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US20160133071A1 (en) Electronic lock
WO2012141388A1 (ko)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US9741188B2 (en) Mobile device case
US100094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92207B1 (ko) 안면 인식 제어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안면 인식 제어 시스템 및 이들을 이용한 차량 출입 방법
JPWO2016013679A1 (ja) 車載通信システム及び車載機
JP2021179831A (ja)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KR20150030789A (ko) 후방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핸즈프리 리프트 게이트 개방시스템 및 방법
CN110861611A (zh) 一种人脸识别的汽车进入与启动系统
CN114655159A (zh) 车辆控制的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车辆
US20040100148A1 (en) Power control unit and vehicle-installed apparatus
JP2004161263A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車載装置
WO2016013678A1 (ja) 車載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機
JP2009193199A (ja) 生体認証手段を備えたid信号発信装置
KR101636297B1 (ko) 트렁크 자동 오픈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40111138A (ko) 테일 게이트 작동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9709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2458673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시트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87361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6710267B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900154A (zh) 电子设备、以及控制方法
JP2021012505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