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305A -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305A
KR20200004305A KR1020197032581A KR20197032581A KR20200004305A KR 20200004305 A KR20200004305 A KR 20200004305A KR 1020197032581 A KR1020197032581 A KR 1020197032581A KR 20197032581 A KR20197032581 A KR 20197032581A KR 20200004305 A KR20200004305 A KR 20200004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ckwash
opening
backwash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랄프 브누크
토마스 뵈트헤르
Original Assignee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20000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the arrival of the mixture to be filtered and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d mixture are situat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2Filtering elements having a con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3Filter tubes connected to plates
    • B01D2201/0453Filter tubes connected to plates positioned between at least tw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6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fluid streams co-current to the filtration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2Flow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 B01D2201/325Outward flow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될 유체를 위한 필터 입구(50) 및 여과된 유체를 위한 필터 출구(52)를 가지는 필터 하우징(12)에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필터 요소(20)를 포함하는 필터 장치(10)에 있어서, 압력 제어 디바이스(42)는 연결 챔버(14) 내부에 위치되고, 사전 한정된 순서로 역세척될 필터 요소(20)의 개별 상부 요소 개구(54)를 측면으로 통과하며 증가하는 정도로 개구를 덮고 그런 다음 다시 개구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플레이트(58)를 가지며, 역세척 디바이스(44)의 방출 개구(46)는 압력 제어 디바이스(42)가 상부 요소 개구(54)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서 역세척될 필터 요소(20)의 하부 요소 개구(5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장치
본 발명은 여과될 유체를 위한 필터 입구 및 여과된 유체를 위한 필터 출구를 가지는 필터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필터 요소를 가지는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필터 요소들은 여과 또는 역세척을 위하여 양방향으로의 유동에 의해 그 요소 케이싱을 통해 횡단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요소들은 각각 그 2개의 반대의 단부 상에 상부 요소 개구와 하부 요소 개구를 가지며, 작동 동안, 적어도 하나의 필터 요소는 동시에 여과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요소는 역세척 디바이스에 의해 그 유효 필터 표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동시에 역세척될 수 있으며, 역세척 디바이스는 역세척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압력 제어 요소를 가지는 압력 제어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하며, 세척될 필터 요소를 따르는 유체 유동은 압력 제어 요소에 의해 역세척 공정 동안 제어 가능하고, 필터 장치는 미여과 유체측(unfiltrate side)을 형성하는 필터 요소의 필터 캐비티의 상부 요소 개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챔버를 가지며, 유체 경로가 제공되며, 미여과 유체(unfiltrate)는 여과 동안 유체 경로를 통해 연결 챔버 내로 유동하며, 세척될 필터 요소와 관련된 요소 개구를 통한 미여과 유체의 통행은 압력 제어 요소에 의해 제어 가능하고, 세척 유체를 위한 방출 개구를 구비하는 역세척 디바이스는 역세척될 필터 요소의 하부 요소 개구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장치는 그 안에서 사용되는 공정 유체, 윤활유 등과 같은 유체를 세척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산업 설비 및 기계류에서 사용된다. 필터 장치의 효율은 필터 요소, 및 특히 그 필터 재료에 의해 본질적으로 한정된다. 필터 재료 및 필터 요소의 안정성, 장수성, 및 이로부터의 입자 오염물의 효과적인 제거는 여기에서 결정적인 기준이다. 개별 필터 요소가 계속 진행중인 필터 모드에서 역세척 디바이스에 의해 연속적으로 세척될 수 있도록, 많은 필터 장치가 소위 역세척 필터로서 디자인된다. 밸러스터 워터(ballast water) 적용에서, 예를 들어, 심한 오염 물질 적재(heavy contaminant load)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필터 공정이 장애를 받을 수 있는 정도로 필터 요소들 및 그 필터 재료를 빠르게 폐색시킨다.
따라서, 역세척 디바이스와 압력 제어 디바이스의 디자인은 이러한 심한 오염 물질 부하의 경우에서도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역세척 동안 필터 요소의 가장 가능한 세척을 초래하도록 선택된다.
상기된 형태의 필터 장치의 예는 DE 10 2011 111 457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필터 장치에서, 입자 오염물이 적재되는, 그러므로 여과될 유체, 또는 실제 여과 공정 동안 미여과 유체는 장치의 필터 입구를 통해 필터 하우징 내로 유동하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필터 요소를 통해 유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척된 유체는 그런다음 하우징에 배열된 필터 출구를 통해 필터 하우징을 빠져나간다. 내부로부터 외부로 필터 요소들을 통한 유동 동안, 유체로부터 분리될 입자들은 필터 요소들의 내부에 침착되며, 세척된 유체 유동은 반경 방향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필터 요소들을 횡단한다. 필터 요소들은 전형적으로 필터 하우징에서 원형의 형태로 공간 절약 방식으로 배열되며, 분리될 입자의 크기에 특별하게 적응된 사전 한정 가능한 필터 섬세도(fineness)를 가진다.
필터 요소를 역세척하기 위하여, 역세척 디바이스의 세척 아암은 세척될 필터 요소의 하부 개구 아래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중앙 디바이스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개구는 그렇지 않으면 실제 여과 공정 동안 미여과 유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 입구와, 세척 아암에 연결되고 전형적으로 밸브 디바이스의 형태를 하는 역세척 피팅에 의해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는 역세척 라인 사이에서 일어나는 압력 구배는 이 때 필터 요소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내부로 반경 방향 유동을 일으키며, 필터 요소의 내부에 침착된 입자 오염물은 피팅이 개방될 때 필터 장치의 세척측으로부터 기원하는 유체 유입에 의해 필터 장치로부터 역세척 아암을 향해 운반된다. 이러한 역세척 공정 동안, 여과 모드는 나머지 필터 요소에 의해 보장되고, 이러한 필터 요소에서의 역세척 고정의 종료 후에, 역세척 디바이스의 역세척 아암은 선행의 여과의 범위에서 일어난 입자 오염물의 후속 요소를 세척하기 위하여 이러한 요소 다음의 필터 요소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필터 장치는 가동 가능한 밸브 바디를 가지는 바람직하게 공압적으로 작동 가능한 컷 오프 밸브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압력 제어 요소를 가지는 압력 제어 디바이스를 가지며, 연결 챔버로부터 필터 요소의 상부 요소 개구를 통하는 할당 가능한 요소는 가동성 밸브 바디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커버 플레이트 상의 요소 개구의 가장자리와 상호 작용하는 밸브 바디는 플레이트 밸브의 형태를 형성한다. 여과 공정 동안, 연결 챔버 자체는 여과를 위해 사용되는 필터 요소의 각각의 상부 개구를 통해 미여과 유체에 또는 여과를 위해 사용되는 이들 필터 요소의 하부 요소 개구를 통해 필터 장치의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것은 장치의 동작 동안 미여과 유체에 의한 연결 챔버의 연속 충전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관련된 필터 요소의 역세척 동안, 외부로부터 요소를 통해 내부로의 유동을 여과할 뿐만 아니라, 미여과 유체는 플레이트 밸브가 개방될 때 필터 장치의 역세척 라인 또는 먼지 출구의 방향으로의 압력 구배를 통해 연결 챔버로부터 연속적으로 "흡인"될 수 있으며, 연결 챔버로부터 미여과 유체와의 심각한 교차 유동이 필터 장치의 여과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척 유체에 대해 본질적으로 횡으로 일어나며, 이는 역세척되는 필터 요소의 내부 상의 입자 오염물의 제거에 상당히 기여한다. 그 결과, 코어 유동의 형태가 역세척될 필터 요소 내부에서 발생되며, 이러한 유동은 주로 저장소로서 구성된 연결 챔버로부터 공급되고 개방 분사 효과에 의해 지지되며, 아울러, 여과된 유체는 장치의 여과측으로부터 세척될 필터 요소의 내부 내로 유동한다. 이러한 공정은 입자 오염물이 제거되는 역세척의 제1 위상에 기여한다.
역세척 공정 동안, 상부 요소 개구가 관련된 플레이트 밸브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폐쇄되고, 그러므로 연결 챔버와 필터 요소의 내부 사이를 갑자기 폐쇄하면, 펄스형 압력 급증이 역세척된 필터 요소의 내부에 남아있는 유체 컬럼(fluid column)에서 발생되며, 이러한 것은 역세척의 범위에서, 필터 요소 또는 필터 요소 재료 상에 남아있는 어떠한 입자들도 "느슨하게 블래스트"하며 입자들을 필터 장치의 출구로 운반한다. 이러한 것은 세척 공정을 상당히 가속시키고 개선한다. 이러한 공정은 실지 먼지 방출의 형태를 하는 역세척의 제2 위상에 기여한다. 연결 챔버 또는 저장소를 폐쇄하는 것은 유체가 더 이상 압력 제어 요소에 의해 폐쇄된 상부 요소 개구를 통해 연결 챔버로부터 유동할 수 없기 때문에 이미 움직이고 있는 유체 기둥이 장치의 여과 유체측으로부터 유체를 흡인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테이퍼진, 특히 바람직하게 슬롯팅된 체 튜브(sieve tube)로서 구성되는 필터 요소들은 어떠한 잔류물도 남김없이 입자들이 세척된다. 먼지 방출은 역세척 라인이 개방될 때 방출 개구를 통해 계속되며, 세척이 완료되었을 때, 관련 플레이트 밸브는 개방되고, 역세척 아암은 세척될 다음의 필터 요소 아래에서 회동하여서, 역세척 공정은 후속의 필터 요소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밸브 디바이스의 형태를 하는 역세척 피팅은 역세척 사이클의 종료시에 폐돼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고도로 효과적이고 기술적으로 신뢰 가능한 여과 및 역세척 공정을 유지하는 동시에 역세척 공정의 단순화된 작동 개념을 달성하도록 이를 개선하는 문제를 다룬다.
이러한 문제는 그 전체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필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필터 장치의 유익한 디자인은 종속항의 요지이다.
이러한 문제는, 압력 제어 디바이스가 연결 챔버 내부에 배열되고, 사전 한정 가능한 순서로 역세척될 각각의 필터 요소의 개별 상부 요소 개구 위에서 통과하고 개구들을 증가하는 정도로 덮고 그런 다음 개구를 다시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플레이트를 가지며, 압력 제어 디바이스가 상부 요소 개구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서, 역세척 디바이스의 방출 개구가 역세척될 필터 요소의 하부 요소 개구에 여전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해결된다.
연결 챔버 내부에서 측 방향 이동 방향으로 순환하는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각각의 요소와 관련된 플레이트 밸브의 형태를 하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개별 제어 또는 밸브 부분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플레이트는 개별 필터 요소의 상부 요소 개구들을 적시의 방식으로 지연없이 통과하며, 필터 요소의 내부에 있는 필터 캐비티로의 연결 챔버의 유체 연결을 차단하고, 그러므로 입자 제거를 위해 전술한 펄스형 압력 급증 및 개방 분사 효과를 트리거링한다. 제어 플레이트가 필터 장치의 동작 동안 연속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러므로 연속적인 세척 동작이 역세척 모드에서 달성된다. 제어 플레이트는 제어 플레이트에 의해 2개 이상의 요소 개구를 동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것이 고려될 수 있을지라도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완전히 덮여질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화된다. 상당히 적은 구성 요소들이 이동되고 작동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비용 및 유지 보수라는 면에서 지출이 감소되고, 동작 및 기능이라는 면에서의 신뢰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필터 요소의 역세척 효율은 제어 플레이트는 방출 개구를 구비한 세척 아암을 포함하는 역세척 디바이스가 제어 플레이트를 작동적으로 능가한다는 점에서 또한 개선되며, 이러한 것은 특히 시간 또는 압력 제어 방식으로 역세척을 포함할 때 입자 제거의 범위에서 역세척될 필터 요소 내부에서의 접선 교차 유동을 더욱 향상시킨다. 역세척 디바이스에 대한 압력 제어 디바이스의 사전 한정 가능한 공간적 오프셋 및 세척될 필터 요소의 할당 가능한 하부 요소 개구에 대한 상부 요소 개구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적용 범위 영역(coverage area)의 결과적인 비율에 의해, 역세척 공정을 위한 패턴은 요구되는 세척 정도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입자 제거를 위한 역세척 공정의 범위에서, 선택될 공통의 드라이브 또는 회전축에 대한 압력 제어 디바이스 및 역세척 디바이스의 공간적 오프셋은 바람직하게 약 18°이다.
공통의 구동축 주위의 동일한 궤도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는 이용된 제어 플레이트들과 방출 개구들의 수 및 배열은 필터 하우징에서의 필터 요소의 수 및 배열(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동심 라인을 따르는)에 의존한다. 상부 요소 개구들 상에서의 압력 제어 플레이트 및 하부 요소 개구 상에서의 역세척 디바이스의 회전 움직임은 특히 바람직하게 서로 결합되며; 예를 들어 두 디바이스는 공통의 구동축에 고정되며, 그러므로 필터 장치의 간단한 구성 및 필터 요소들의 역세척의 높은 레벨의 작동 신뢰성 및 효율을 달성한다. 역세척을 위하여, 두 디바이스는 그 필터 요소 또는 요소 개구들 아래 또는 위에서 각각 회전되어, 역세척의 범위 내에서 순서대로 이러한 요소들을 세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을 달성하기 위하여, 역세척 디바이스는 그 하부 요소 개구를 통해 역세척 순서로 다음의 필터 요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미 유체적으로 연결된 방출 개구를 구비한 확장된 수집 챔버를 가지는데 반하여,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 플레이트는 이러한 순서로 선행의 필터 요소의 상부 요소 개구 위에서 측 방향으로 통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역세척 공정은 제어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하나의 필터 요소의 역세척의 종결 전에, 다음의 필터 요소의 역세척이 차례차례로 역세척 디바이스의 공통의 수집 챔버를 통해 이미 개시되었기 때문에, 각각의 후속의 또는 다음의 필터 요소에 대해 차례차례로 길게 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2개의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차례차례로 할당 가능한 요소 개구들 위에서 완전하게 그리고 본질적으로 어떠한 간격없이 통과한다.
수집 챔버는 바람직하게 역세척 디바이스의 바람직하게 플레이트 형상(즉, 커버 플레이트형)의 역세척 유닛의 강낭콩 형상의 확장 오목부 또는 가공된 그루브에 의해 형성되며, 역세척 유닛은 그 크기 때문에, 원형 라인을 따라서 바로 인접한 필터 요소의 단지 하나 이상의 하부 요소 개구를 덮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 유체가 역세척 아암을 통해 2개의 또는 선택적으로 그보다 많은 필터 요소로부터 외부로 역세척 유체로서 적어도 임시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필터 요소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동심의 원형 라인을 따라서 배열되며, 압력 제어 디바이스 및 역세척 디바이스는 상부 및 하부 필터 요소 개구를 따라서 균일한 회전 운동으로 가이드된다. 역세척의 기간은 다수의 회전을 통하여 또는 사전 결정된 기간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위한 전형적인 회전 속도는 예를 들어 회전당 2 내지 3초의 범위에 있는 값이다. 상기로부터의 장치의 관점에서, 2개의 디바이스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역세척 디바이스의 수집 챔버는 커버 플레이트에 있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커버 플레이트는 역세척 유닛으로서 역할을 하며 방출 개구로 이어지는 역세척 아암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개구는 바람직하게 역세척 피팅의 밸브 제어 디바이스에 역세척 아암을 통해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필터 하우징 외부에 배열된 밸브 제어 유닛에 의해 그리고 압력 제어 디바이스와의 조합으로, 입자 제거는 특히 밸브 제어 디바이스가 비교적 긴 라인 섹션이 따르면 역세척 동안 더욱 개선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압력 제어 디바이스 뒤에 증가된 압력 구배로 이어지며, 그러므로 필터 요소로부터 입자의 분리에 더욱 기여한다.
다른 이점은 2개의 인접한 필터 요소의 2개의 하부 요소 개구가 적어도 역세척 아암의 회동 위치에서 완전히 덮여지는 방식으로 수집 챔버의 연장부가 선택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역세척될 필터 요소의 특히 효과적인 역세척은 필터 장치의 다른 필터 요소를 이용하여 연속 여과 모드에서 달성된다. 역세척 아암은 바람직하게 샤프트를 통해 필터 요소들 위의 제어 플레이트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양자는 바람직하게 기어 모터에 의해 공통의 중앙 드라이브로서 모터에 의해 동시에 비교적 높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력 제어 디바이스 및 역세척 디바이스는 강성 드라이브 요소를 통해 일정한 공간적 오프셋(18°)으로 제어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공통의 드라이브를 가지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압력 제어 디바이스와 역세척 디바이스는 필터 하우징 내부에서 고정적으로 배열되며, 필터 요소들은 공통의 드라이브에 의해 디바이스들 아래에서 캐러셀(carousel)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필터 요소에 대한 압력 제어 디바이스와 역세척 디바이스의 회전 운동은 공통의 필터 하우징에서 전체로서 필터 장치의 콤팩트한 구성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필터 요소의 상부 및 하부 요소 개구는 필터 하우징 내부의 중간의 저부에서 배열되며, 그 통로 개구들은 그 자체의 요소 개구들에 의해 형성된다. 중간 저부는 필터 요소들 위에 배열된 미여과 유체 안내 연결 챔버, 여과된 유체를 안내하는 필터 요소 수용 여과 유체 챔버, 및 연결 챔버처럼 미여과 유체를 안내하는, 필터 요소 아래에 배열된 서브 챔버로 필터 하우징을 세분한다. 평면 방식으로 연장되는 중간 저부는 또한 장치 내부의 적소에서 변위 가이드를 고정하며, 2개의 디바이스를 위한 고정 변위 가이드를 제공하며, 2개의 디바이스는 중간 저부를 따라서 위 또는 아래에서 그 제어 및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그리고 동일한 맞물림 하에서 구동되는 방식으로 중앙 드라이브에 의해 각각 이동된다.
또 다른 이점은 압력 제어 디바이스 및 역세척 디바이스의 커버 플레이트가 본질적으로 어떠한 간격없이 요소 개구들을 구비한 중간 저부 위에서 측 방향으로 통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요소 개구들의 자유 단면이 제어됨에 따라서 유체 통행 동안 교축 효과를 일으키며, 이러한 것은 입자 제거 동안 압력 급증을 트리거링하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는 특히 변위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의도된 치수화의 부분으로서 사전 한정 가능한 길이의 돌출부로 수집 챔버의 범위를 측 방향으로 한정하며, 필터 요소의 하부 요소 개구들을 구비한 중간 저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한다. 그러므로, 수집 챔버의 개선된 밀봉은 필터 요소들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중간 저부 아래의 미여과 유체 챔버에 대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역세척의 기간은 공통의 드라이브에 의한 회전수를 통해 또는 사전 한정된 역세척 시간을 통해 제어된다. 그러므로, 압력 제어 디바이스 또는 역세척 디바이스는 역세척 공정에서 필터 요소들의 연속적인 세척을 보장하도록 일정한 속도로 이동된다. 또한, 역세척 공정은 필터 요소들이 점점 더 입자 물질로 오염됨에 따라서 필터 요소들 상의 차압의 방향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개별 필터 요소들은 바람직하게 테이퍼지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감소하는 지름을 가진 필터 요소들의 테이퍼진 구성은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유동에 의해 횡단되는 필터 요소의 여과 성능을 증가시킨다. 역세척 또는 세척될 필터 요소의 내부에서의 상기된 코어 유동 효과와 함께, 이러한 것은 또한 후속의 압력 펄스와 함께 역세척 위상 동안 개선된 입자 제거를 일으킨다. 필터 장치의 모든 필터 요소는 바람직하게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필터 하우징에서 서로 이웃하여 상이한 디자인 및 상이한 치수, 예를 들어 상이한 지름을 가지는 필터 요소들을 배열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와이어 메쉬가 바람직하게 필터 요소로서 사용된다. 소결된 와이어 메쉬 또는 코팅된 필터 재료가 또한 고려된다. 아울러, 필터 재료의 여부에 관계없이 그리고 스테인리스강 재료로 만들어진 소위 슬롯팅된 체 튜브가 필터 요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도면 및 도면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초래된다. 상기된 특징 및 다음에 설명되는 특징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여러가지로 각각 실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특징은 순수하게 개략적이고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의 경우에 압력 제어 디바이스 및 역세척 디바이스의 위치 사이에 오프셋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개된 사시도;
도 2는 압력 제어 디바이스의 디자인 및 작업을 예시하기 위한 도 1a 및 도 1b로부터의 필터 장치의 부분적인 예시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압력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 플레이트의 사시도로서, 즉 각각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따른 제어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3c는 도 3b에서의 선 A-A를 따르는 제어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아래와 위로부터 본 상이한 시야 방향으로부터의 각각의 사시도로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필터 장치의 역세척 디바이스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및 평면 사시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역세척 디바이스의 커버 플레이트의 위 및 아래로부터의 상이한 시야 방향으로부터의 2개의 사시도 및 평면도; 및
도 6은 압력 제어 디바이스와 역세척 디바이스 사이의 공간적 오프셋을 예시하기 위한 도 1a 및 도 1b로부터의 필터 장치의 하부 중간 저부와의 개념상으로 중첩된 도면.
도 1a 및 도 1b는 각각의 경우에 원통형 필터 하우징(12)을 가지는 필터 장치(10)를 절개된 단면도로 도시하며, 필터 하우징은 연결 챔버(14), 여과 유체 챔버(16), 및 중간 챔버(18)로 세분된다. 총 6개의 필터 요소가 여과 유체 챔버(16)에 배열되며, 단지 4개의 요소(20a, 20b, 20c 및 20d)만이 도시된다. 부분적으로 절개된 도면에 도시된 필터 요소(20)들은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감소하는 지름으로 테이퍼진 것으로서 각각 구성된다. 필터 요소(20)들은 필터 하우징(12)의 대칭축 또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해 균일하고 회전 대칭인 방식으로 원형 라인 상에 배열된다. 개별 필터 요소(20)는 그 상부 및 하단부(54, 56)에 의해, 여과 유체 챔버(16)로부터 연결 챔버(14)를 분리하는 제1 중간 저부(22), 및 필터 요소들이 수직으로 배열되고 홀딩되는 중간 챔버(18)로부터 여과 유체 챔버(16)를 분리하는 제2 중간 저부(24)에 각각 삽입된다.
필터 하우징(12)은 연결 챔버(14)를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 부분(26), 여과 유체 챔버(16)를 구비하는 중간 하우징 부분(28), 및 중간 챔버(18)를 구비하는 하부 하우징 부분(30)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분(26, 28, 및 30)들은 개별 링 플랜지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 저부(22 또는 24)는 링 플랜지들로 형성된 복합재에서 샌드위치형 및 교차로로 홀딩된다. 그 사이에 고정된 중간 저부(22, 24)들을 구비한 링 플랜지들의 각각의 복합재는 복수의 스크루 체결 요소(32)에 의해 함께 견고하게 연결된다. 임의의 추가로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저부 표면 상에 필터 장치(10)를 직립 장착할 수 있는 발형 베이스 부분(34)은 하부 하우징 부분(30) 상에 제공된다.
필터 장치(10)는 임의의 추가 상세로 도시되지 않은 처리 유닛의 부분이다. 필터 장치(10)는 중간 하우징 부분(28) 상에서 측 방향으로 배열된 연결 및 작동 부분(36)을 통하여 처리 유닛의 중앙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또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부분(26)의 커버에 체결된 전기 모터 또는 공압 드라이브의 형태를 하는 중앙 드라이브(4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구동축(38)은 필터 하우징(12)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배열된다. 압력 제어 디바이스(42)는 필터 요소(20)들 위의 연결 챔버(14)에 배열된다. 역세척 디바이스(44)는 필터 요소(20)들 아래의 중간 챔버(28)에 배열된다. 방출 개구(46)를 통하여, 단지 부분적으로 도시된 역세척 라인(48)에 대한 유체 연결부가 확립되며, 역세척 라인은 필터 하우징(12)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여 역세척 디바이스(44)에 연결된다. 특히 작동 가능한 밸브의 형태를 하는 역세척 피팅(도시되지 않음)은 역세척 라인(48) 및 필터 장치(10) 외부에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역세척 피팅은 역세척 기능을 지원한다.
하부 하우징 부분(30) 상에서 수평으로 배열된 필터 입구(50)는 필터 하우징(12) 상에 배열되고, 여과 유체를 위한 필터 출구(52)는 중간 하우징 부분(28) 상에서 비교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필터 요소(20)들의 상부 요소 개구(54a 내지 54f)(도 2 참조)들은 제1 중간 저부(22)를 통한 통행 개구, 그러므로 연결 챔버(14)와 관련된 필터 요소(20)들의 내부 필터 캐비티 사이의 유체 연결을 구성한다. 대응하는 방식에서, 필터 요소(20)들의 하부 요소 개구(56a 내지 56f)(도 6 참조)들은 제2 중간 저부(24)를 통한 관통 개구, 그러므로 중간 챔버(18)와 관련 필터 요소(20)의 내부 필터 캐비티 사이의 유체 연결을 구성한다.
필터 장치(10)가 유체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될 때, 미세척 유체는 필터 입구(50)에서 필터 하우징(12) 내로 미여과 유체로서 안내되고, 중간 챔버(28)로부터 6개의 필터 개구(56) 중 5개를 통하여 관련 필터 요소(20)의 필터 캐비티로 유동하며, 6개의 필터 요소(20) 중 5개를 통하여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동함에 따라서 세척된다. 6개의 요소(20) 중 하나가 역세척되는 것이기 때문에 여과를 위해 이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여야 한다. 필터 하우징(12)의 여과 유체 챔버(16)로부터, 세척된 유체는 필터 출구(52)를 통하여 필터 장치(10)로부터 여과 유체로서 방출된다. 5개의 필터 요소(20)를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는 부분적으로 세척되지 않고, 상부 요소 개구(54)를 통하여 연결 챔버(14) 내로 유동한다. 그러므로, 그 필터 재료를 가지는 필터 요소(20)들은 중간 챔버(18)에서, 연결 챔버(14)에서, 그리고 여과를 위해 사용된 필터 요소(20)의 필터 캐비티에서 미여과 유체를 가지는 소위 먼지측과, 외부에서 필터 요소(20)들을 둘러싸는 유체 챔버에서 여과 유체를 가지며 필터 장치(10)의 내부에 여과 유체 챔버(16)를 형성하는 세척측 사이의 경계를 형성한다.
필터 재료 상에 및/또는 여과 동안 슬롯팅된 튜브의 작은 틈에 침착된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역세척 디바이스(44)는 세척될 필터 요소(20) 아래에서 드라이브(40)를 통해 모터에 의해 이동되며, 중간 챔버(28)로부터 관련 필터 요소(20)의 필터 캐비티 내로의 미여과 유체의 유체 경로는 차단된다. 미여과 유체는 동시에 저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연결 챔버(14)로부터 관련 내부 필터 캐비티 내로 유동하고, 제거된 입자와 함께 관련 하부 요소 개구(56)와 역세척 디바이스(44)의 방출 개구(46)에 도달한다. 오염물 적재에 더하여 역세척을 위해 사용된 유체는 그런 다음 역세척 라인(48)을 통해 필터 장치(10)로부터 방출된다. 연결 챔버(14)로부터 관련 필터 요소(20)의 필터 캐비티를 통하여 역세척 라인(48)으로의 교차 유동은 압력 제어 디바이스(42)에 의해 관련 상부 요소 개구(54)의 폐쇄에 의해 차단된다. 대응하는 유동 분리의 결과로서, 여과 유체 챔버(16)에서의 세척측으로부터 관련 필터 요소(20)의 내부로의 유체 또는 여과수 유체의 유입은 격렬화되며, 먼지 입자들이 펄스로 필터 재료로부터 제거되다. 이러한 것에 앞서, 개방된 역세척 피팅을 이용하여, 역세척은 필터 입구(50) 및 유입되는 미여과 유체 및 역세척 라인(48) 사이의 압력 구배에 의해 향상되고, 이러한 것은 디바이스(10)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가지는 먼지 유체를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관련 요소 개구(54a 내지 도 54f, 56a)들의 적절한 폐쇄를 보장하기 위하여, 제어 플레이트(58)가 압력 제어 디바이스(42)에 제공되고, 커버 플레이트(60)가 역세척 디바이스(44)에 제공된다. 제어 플레이트(58)는 제1 중간 저부(22)의 상부측에 놓이며, 커버 플레이트(60)는 비교 가능한 방식으로 제2 중간 저부(24)의 밑면에 접한다. 두 플레이트(58, 60)는 콩 모양의 기본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것은 각각의 중간 저부(22, 24)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요소 개구(54a 내지 54f, 56a 내지 56f)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그러나, 원형의 라인을 따라서 인접한 요소 개구들의 자유 유동 단면의 적용 범위는 제어 플레이트(58)의 경우에서보다 커버 플레이트(60)의 경우에 상당히 크다.
압력 제어 디바이스(42) 및 역세척 디바이스(44)는 구동축(38)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각각 필터 요소(20)들 위아래에서 대응하는 회전 운동으로 드라이브(40)를 통해 가이드된다. 도 1a에 도시된 위치에서, 양 디바이스(42, 44)는 회전 방향으로 및 도 1a에 도시되지 않은 후자에 앞서 필터 요소(20a) 및 필터 요소(20f)의 영역에 배열된다. 대조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디바이스(42, 44)들의 위치는 반시계 방향으로 약 100°만큼 시프트된다. 따라서, 필터 요소(20f)뿐만 아니라 다른 인접한 선단 필터 요소(20e)의 요소 개구(54f뿐만 아니라 56f 및 56e)는 각각 플레이트(58 및 60)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진다. 디바이스(42, 44)들은 초기에 도 1a에 따른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위로부터 디바이스(10)를 보았을 때) 회전에 의해 이동되기 전에 도 1b에 따른 위치를 취한다. 그러므로, 위치에서의 변화는 개별 필터 요소(2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발생한다.
여과 모드와 동시에 개별 필터 요소(20a 내지 20f)들 중 하나를 역세척하기 위하여, 압력 제어 디바이스(42) 및 역세척 디바이스(44)는 드라이브(40)에 의해 일정 속도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부 요소 개구(54a 내지 54f) 및 하부 요소 개구(56a 내지 56f)들은 각각 제어 플레이트(58)와 커버 플레이트(60)에 의해 덮여지고, 그런 다음 연속적으로 다시 노출된다.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예시로부터, 역세척의 범위에서, 역세척 디바이스(44)의 커버 플레이트(60)는 압력 제어 디바이스(42)의 제어 플레이트(58)를 "능가하며", 즉 상부 요소 개구(54f)를 노출시키는 제어 플레이트(58)가 요소(20a)의 후속하는 상부 요소 개구(54a) 위에서 통과하여 압력 펄스를 트리거링하기 전에 필터 요소(20a)를 위한 역세척을 시작한다.
도 2는 필터 장치의 확장된 서브 섹션을 도시하고 압력 제어 디바이스(42)의 디자인를 예시하며, 제어 플레이트(58)는 회동 부분(62)을 통해 구동축(38)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제1 중간 저부(22) 상에 놓이거나 또는 접하는 제어 플레이트(58)는 그 상부측에서 회동 부분(62)에 연결되어 이와 함게 가동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제1 중간 저부(22)에 형성된 4개의 상부 요소 개구(54a 내지 54d)는 도 2의 도면에서 완전히 노출된데 반하여, 제5 요소 개구(54e)는 제어 플레이트(58)에 의해 단지 부분적으로 덮여지며, 다른 제6 요소 개구(54f)는 제어 플레이트(58)에 의해 완전히 덮여진다. 제1 중간 저부(22)의 가장자리에서, 관통 개구(33)는 중간 저부(22)에 필터 하우징(12)의 중간 하우징 부분(28) 및 상부 하우징 부분(28)(비교를 위해 도 1a 및 도 1b 참조)을 고정하기 위한 스크루 체결 요소(32)(비교를 위해 도 1a 및 도 1b 참조)를 위해 제공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제어 플레이트(58)의 상세를 도시하며, 제1 중간 저부(22)의 상부측에서 개방되는 개별 상부 요소 개구(54a 내지 54f)(비교를 위해 선행 도면 참조)는 제어 플레이트에 의해 역세척 공정 동안 연속적으로 덮여진다. 도 3a에 따른 사시도는 제어 플레이트(58)가 원반 모양의 체결 부분(64) 및 그 위에서 일체형으로 아래로 돌출하는 플레이트 부분(66)을 가진다는 것을 도시한다. 회동 부분(62) 상에 제어 플레이트(58)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결 옵션(68)(빅교를 위해 도 2 참조)은 체결 부분(64) 상에 형성된다. 또한 계단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회동 부분(62)에 의해 덮여지는 통로 개구(70)가 체결 부분(64) 상에 제공된다.
제어 플레이트(58)의 상부측의 도 3b에 따른 평면도는 통로 개구(70)가 원형의 체결 부분(64)의 중심점에 대해 동심인 것을 도시한다. 2개의 체결 구멍(68)은 통로 개구(70)에 대해 대각으로 서로 반대로 배열된다. 제어 플레이트(58)를 통한 도 3c의 단면도는 통로 개구(70)가 플레이트 부분(66)의 영역에서 확장되는 것을 도시한다.
제1 가장자리(72)는 체결 부분(64) 상에 제공된다. 제1 가장자리(72)와 비교하여 폭이 좁은 제2 가장자리(74)는 플레이트 부분(66)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다. 도 3d의 사시도는 제어 플레이트(58)의 밑면의 제어 표면(76)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제2 가장자리(74')를 도시한다. 제2 가장자리(74')는 제1 중간 저부(22) 상에서 제어 표면(76)의 슬라이딩 및 부분적인 밀봉 접합을 용이하게 한다. 제어 플레이트(58)는 또한 도 3b에 따른 평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콩 모양이다.
도 4a 및 도 4b는 역세척 디바이스(44)의 디자인을 각각 사시도로 도시하며,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는 도 4a에서 선택되고, 위로부터의 사시도는 도 4b에서 선택된다. 역세척 디바이스(44)는 중공의 원통형 파이프 섹션(80)에 부착되는 아크 형상의 역세척 아암(78)을 포함한다. 클램핑 부분(82)에 의해 적소에서 단단히 홀딩되는 커버 플레이트(60)는 역세척 아암(78)의 상단부에 배열된다. 몇몇, 바람직하게 2개의 필터 요소(20)(비교를 위해 도 1a, 도 1b, 및 도 2 참조)로부터 세척 유체의 동시 방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오목부(84)가 커버 플레이트(60)의 제2 중간 저부(24)와 관련하여 상부측에 제공된다. 오목부(84)는 전체 커버 플레이트(60)의 약 2/3에 걸쳐서 연장되고, 그 저부측에서 원형의 방출 개구(46)를 봉입한다. 역세척 디바이스(44)의 설치된 상태에서, 파이프 섹션(80)은 필터 하우징(12)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배열되고, 역세척 라인(48)에 대한 연결을 형성한다.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필터 장치(10)에서 역세척 디바이스(44)를 배열하기 위하여, 연결 파이프(86)는 파이프 섹션(80)의 상단부에 제공되며 드라이브(40)의 구동축(38)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커버 플레이트(60)의 디자인을 도시한다. 도 5a는 커버 플레이트(60)의 평면으로 연장된 커버측(88)을 도시하며; 도 5b는 커버 플레이트(60)의 평면으로 연장된 밑면(90)을 도시한다. 그 저부측에 방출 개구(46)가 제공되는 오목부(84)는 커버측(88)에 형성된다. 방출 개구(46)는 원형의 접합편(92)에 의해 국부적으로 둘러싸이고, 커버 플레이트(60)의 밑면(90) 상에서 수직으로 나온다.
도 5c에서 커버 플레이트(60)의 상부측 또는 커버측의 평면도는 원형의 부착편(92) 및 콩 모양 오목부(84)가 콩 모양의 커버 플레이트(60)에서 상이한 평면들에 형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도시한다. 커버 플레이트(60)가 연속적인 역세척 모드에서 커버링 기능의 관점에서 제어 플레이트(58)를 능가하기 때문에, 횡단 방향으로(도시된 예시적인 시릿예에서 시계 방향으로) 방출 개구(46) 앞에 위치된 오목부(84)를 구비하는 커버 플레이트(60)의 부분이 더욱 크다. 아울러, 커버 플레이트(60)에 의해 덮여질 하부 요소 개구(56a 내지 도 56f) 중 하나의 원형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세그먼트 형상 만입부가 오목부(84)의 전방 단부(도 5a, 도 5c에서 도시된 상단부)에 제공된다.
필터 장치(10)에 형성된 압력 제어 디바이스(42) 및 역세척 디바이스(44)의 의 고유한 특징은 몇몇(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 인접한 필터 요소(20a 내지 20f)의 동시 역세척이다. 이러한 것은 결합 회전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고 구동축(38)을 통해 개별 필터 요소(20a 내지 20f)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서로 이동되는 두 디바이스(42, 44)에 의해 달성된다. 하부 요소 개구(56a 내지 56f)를 구비하는 제2 중간 저부(24)의 도 6에 도시된 위로부터 본 도면은 가상의 도면에서 서로 위에서 중첩되는 커버 플레이트(60)와 제어 플레이트(58)가 서로에 대해 공간적 오프셋을 가진다는 것을 도시한다. 제어 플레이트(58)의 플레이트 부분(66)에 부착되는 원형의 체결 부분(64)은 필터 장치(10)의 중심축 또는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시작하여 18°의 각도 범위에서 방출 개구(46)를 둘러싸는 커버 플레이트(60)의 부착편(92)과 일직선을 이룬다. 대응하는 적용 범위 영역은 95로 지시된다.
도 6에 도시된 압력 제어 디바이스(42) 및 역세척 디바이스(44)의 위치에서, 제어 플레이트(58)는 하부 요소 개구(56a)와 관려된 상부 요소 개구(54a)(비교를 위해 도 1a, 도 1b, 도 2 참조)를 완전히 덮는다. 대조적으로, 커버 플레이트(60)는 그 오목부(84)와 2개의 인접한 하부 요소 개구(56a 및 56b)를 덮고, 이러한 방식으로 관련 필터 요소(20a, 20b)로부터 세척 유체를 동시에 드레인한다. 오목부(84) 바로 위의 그 부분과 함께 커버 플레이트(60)는 후속의 하부 요소 개구(56c)의 영역 내로 점점 더 와서, 역세척 디바이스(44)의 추가의 시계 방향 회전으로, 오목부(84)는 하부 요소 개구(56c)의 자유 단면 아래에서 회전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 요소(20c)에서의 역세척 공정을 개시한다. 이 시점에서, 그런 다음, 제어 플레이트(58)는 상부 요소 개구(54a) 위에서 완전히 통과되었으며, 플레이트(58)가 후속의 요소(20b)로 전진되기 전에 요소(20a)에 대해 압력 펄스를 트리거링하였다.
제어 플레이트(58)가 관련 상부 요소 개구(54a)를 노출시키면, 대응하는 역세척 공정은 한번의 회전 내에서 완전히 종료된다. 그 밑면이 커버 플레이트(60)에 의해 덮이지 않는 다른 필터 요소(20)를 이용하여, 여과는 필터 장치(10)에 공급되는 액체 미여과 유체로 계속된다.

Claims (10)

  1. 여과될 유체를 위한 필터 입구(50) 및 여과된 유체를 위한 필터 출구(52)를 가지는 필터 하우징(12)에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필터 요소(20)를 가지는 필터 장치(20)로서, 상기 필터 요소(20)들은 여과 또는 역세척을 위하여 양방향으로의 유동에 의해 그 요소 케이싱을 통해 횡단될 수 있으며, 상기 요소들은 각각 그 2개의 반대의 단부들 상에 상부 요소 개구(54) 및 하부 요소 개구(56)를 가지며, 작동 동안, 적어도 하나의 필터 요소(20)는 동시에 여과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필터 요소(20)는 역세척 디바이스(44)에 의해 그 유효 필터 표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동시에 역세척될 수 있으며, 상기 역세척 디바이스는 역세척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압력 제어 요소를 가지는 압력 제어 디바이스(44)와 상호 작용하며, 세척될 필터 요소(20)를 따르는 유체 유동은 상기 압력 제어 요소에 의해 역세척 공정 동안 제어 가능하고, 상기 필터 장치(10)는 미여과 유체측을 형성하는 상기 필터 요소(20)의 필터 캐비티의 상부 요소 개구(54)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챔버(14)를 가지며, 유체 경로가 제공되며, 미여과 유체는 여과 동안 상기 유체 경로를 통해 상기 연결 챔버(14) 내로 유동하며, 세척될 필터 요소(20)와 관련된 상부 요소 개구(54)를 통한 미여과 유체의 통행은 압력 제어 요소에 의해 제어 가능하고, 세척 유체를 위한 방출 개구(46)를 구비하는 상기 역세척 디바이스(44)는 역세척될 상기 필터 요소(20)의 하부 요소 개구(56) 아래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디바이스(42)는 상기 연결 챔버(14) 내부에 배열되고, 사전 한정 가능한 순서로 역세척될 각각의 필터 요소(20)의 개별 상부 요소 개구(54) 위에서 측 방향으로 통과하고 상기 개구들을 증가하는 정도로 덮고 그런 다음 상기 개구들을 다시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플레이트(58)를 가지며, 상기 압력 제어 디바이스(42)가 상기 상부 요소 개구(54)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역세척 디바이스(44)의 방출 개구(46)는 역세척될 필터 요소(20)의 하부 요소 개구(56)에 여전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디바이스(44)는 그 하부 요소 개구(56)를 통해 역세척 순서로 다음의 필터 요소(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미 유체적으로 연결된 상기 방출 개구(46)를 구비한 수집 챔버를 가지는데 반하여, 상기 압력 제어 디바이스(42)의 제어 플레이트(58)는 이러한 순서로 선행의 필터 요소(20)의 상부 요소 개구(54) 위에서 여전히 측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디바이스(44)의 수집 챔버는 커버 플레이트(60)에 있는 오목부(84)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방출 개구(46)로 이어지는 역세척 아암(78)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개구는 바람직하게 상기 역세척 아암(78)을 통해 밸브 제어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챔버(84)의 연장부는 적어도 역세척 아암(78)의 회동 위치에서 2개의 인접한 필터 요소(20)의 2개의 하부 요소 개구(56)를 완전히 덮는 방식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디바이스(42) 및 상기 역세척 디바이스(44)는 강성 드라이브 요소(62)들을 통해 일정한 공간적 오프셋으로 상기 제어 플레이트(58)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60)를 구동하는 공통의 드라이브(40)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압력 제어 디바이스(42)와 상기 역세척 디바이스(44)는 상기 필터 하우징(12) 내부에서 고정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필터 요소(20)들은 상기 공통의 드라이브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42, 44)들 아래에서 캐러셀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필터 요소(20)의 상기 상부 요소 개구(54) 및 하부 요소 개구(56)는 중간 저부(22, 24)들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12) 내부에 배열되고, 상기 중간 저부들의 통로 개구는 상기 요소 개구(54, 56)들 자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플레이트(58)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60)는 본질적으로 어떠한 간격없이 상기 요소 개구(54, 56)들을 구비한 각각의 중간 저부(22, 24)들 위에서 측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60)는 특히 변위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사전 한정 가능한 길이의 돌출부들로 상기 수집 챔버(84)의 범위를 측 방향으로 한정하며, 상기 필터 요소(20)의 상기 하부 요소 개구(56)들을 구비한 상기 중간 저부(24)와 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련 역세척의 기간은 상기 공통의 드라이브(40)에 의한 회전수를 통해 또는 사전 한정된 역세척 시간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20)들 각각은 테이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KR1020197032581A 2017-05-08 2018-04-27 필터 장치 KR20200004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4661.1 2017-05-08
DE102017004661.1A DE102017004661A1 (de) 2017-05-08 2017-05-08 Filtervorrichtung
PCT/EP2018/060864 WO2018206315A1 (de) 2017-05-08 2018-04-27 Filter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305A true KR20200004305A (ko) 2020-01-13

Family

ID=6221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581A KR20200004305A (ko) 2017-05-08 2018-04-27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01463B2 (ko)
EP (1) EP3621717B1 (ko)
JP (1) JP7267205B2 (ko)
KR (1) KR20200004305A (ko)
CN (1) CN110402164B (ko)
DE (1) DE102017004661A1 (ko)
WO (1) WO20182063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554A (ko) 2021-07-14 2023-01-25 김시영 스쿼트 헬핑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5963B1 (fr) * 2019-05-14 2021-08-06 Rellumix Filtre à régénération automatique et procédé de décolmatage d’un tel filtre
CN110404314A (zh) * 2019-07-04 2019-11-05 海宁市倍世环保科技有限公司 具有顶部控制反冲洗功能的前置过滤器
CN111874998A (zh) * 2020-07-30 2020-11-03 浙江华强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陶瓷膜过滤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1900A1 (de) * 1981-10-22 1983-05-05 Flutec Fluidtechnische Geräte GmbH, 6603 Sulzbach "rueckspuelbarer filter"
RU2082484C1 (ru) * 1993-10-26 1997-06-27 Шутков Евгений Алексеевич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фильтра противотоком
DE102004004756A1 (de) * 2004-01-30 2005-08-25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DE102011100518A1 (de) * 2011-05-05 2012-11-08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DE102011111457B4 (de) * 2011-08-30 2022-12-15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SG11201400836WA (en) * 2011-10-11 2014-04-28 Amiad Water Systems Ltd Back-flush filter systems and mechanisms therefor
DE202012100368U1 (de) 2012-02-03 2013-05-06 Boll & Kirch Filterbau Gmbh Rückspülfilter
JP6076647B2 (ja) * 2012-08-10 2017-02-08 富士フィルター工業株式会社 濾過装置
JP5967818B2 (ja) * 2012-08-28 2016-08-10 神奈川機器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エレメント構造及び当該フィルタエレメント構造を備えた逆洗型ろ過装置
US8968558B2 (en) 2012-11-26 2015-03-03 Eaton Corporation Backwashing fluid filtering system
DE112014006316B4 (de) * 2014-01-31 2022-08-11 Fuji Filter Manufacturing Co., Ltd. Filtervorrichtung
JP6309370B2 (ja) * 2014-06-30 2018-04-11 富士フィルター工業株式会社 濾過装置及び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KR101616242B1 (ko) * 2015-07-23 2016-04-28 김창세 필터 장치
CN106390560B (zh) * 2016-12-12 2019-08-0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反冲洗滑油过滤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554A (ko) 2021-07-14 2023-01-25 김시영 스쿼트 헬핑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8429A (ja) 2020-06-25
US11801463B2 (en) 2023-10-31
EP3621717B1 (de) 2022-06-01
JP7267205B2 (ja) 2023-05-01
WO2018206315A1 (de) 2018-11-15
EP3621717A1 (de) 2020-03-18
DE102017004661A1 (de) 2018-11-08
CN110402164B (zh) 2022-04-19
US20190381429A1 (en) 2019-12-19
CN110402164A (zh)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305A (ko) 필터 장치
KR102537640B1 (ko) 필터 디바이스
KR100752406B1 (ko) 여과 장치
JP5256297B2 (ja) フィルタ装置
JP3839074B2 (ja) 逆流洗浄式フィルタ
RU2168348C2 (ru) Фильтр
JP6541137B2 (ja) 回転ディスクフィルタ装置
KR20140051830A (ko) 청소 장치를 구비한 가역-흐름 필터
JP2022524336A (ja) 逆洗ガイドを備えた回転ディスクフィルタ
KR20130107907A (ko) 회전 날개로 구동되는 세척 브러쉬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 및 그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JP2010521303A5 (ko)
JP5833493B2 (ja) バラスト水処理用多筒型自動逆洗式ストレーナ
KR20140066172A (ko) 여과 장치
KR101622368B1 (ko) 여과 및 역세척 기능을 갖는 수 처리 장치
US20160325208A1 (en) Device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Liquid and Method for Cleaning a Corresponding Device
KR20150046091A (ko) 필터 요소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역세정 타입 여과 장치
TW201707764A (zh) 過濾元件、逆洗型過濾裝置、及過濾元件之過濾方法及逆洗方法
CN111263657B (zh) 过滤设备
KR20210106646A (ko) 섬유 디스크 여과기
JP2013188689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濾過装置
KR101473429B1 (ko) 선택적 역세정이 가능한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필터어셈블리
US7396460B2 (en) Filter element
RU25287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пищевых жидкосте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молока
KR0127417Y1 (ko) 액상형태 물질의 연속 여과장치
KR20210106649A (ko) 섬유 디스크 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