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748A -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748A
KR20200003748A KR1020190157301A KR20190157301A KR20200003748A KR 20200003748 A KR20200003748 A KR 20200003748A KR 1020190157301 A KR1020190157301 A KR 1020190157301A KR 20190157301 A KR20190157301 A KR 20190157301A KR 20200003748 A KR20200003748 A KR 20200003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ear
fixed
screw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094B1 (ko
Inventor
문제정
Original Assignee
문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정 filed Critical 문제정
Priority to KR102019015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0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1Retention by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7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 B23B31/1173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2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적인 전동드릴의 전방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나사못을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나사못 머리가 일정한 깊이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나사못의 체결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구재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싱크대나 신발장과 같은 가구재의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SCREW HEAD ADJUSTING AND FASTENING DEVICE FOR ELECTRIC DRILL}
본 발명은 전동드릴에 설치하여 나사못을 목재나 석고 합판 등에 체결할 때 나사못의 모리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나사못의 머리가 사용자가 지정한 깊이로 체결되면 모터와 연동된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나사못이 더 이상 체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은 물론 가구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동드릴은 소정 형태로 사출 성형되는 본체의 하부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모터와 연동되게 드릴척이 설치되며, 상기 드릴척에는 다양한 형태의 비트가 고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전동드릴은 목재 또는 금속판재 등에 구멍을 뚫고 나서 비트를 바꿔 나사못을 박는 작업을 겸용으로 하는 공구이다. 상기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나사못으로 목재들을 직결로 연결하게 되면, 상기 나사못의 나사산이 날카롭기 때문에 목재가 갈라지게 되므로 드릴로 구멍부터 뚫고 나사못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동드릴은 산업 현장이나 건축 및 건설 현장 또는 싱크대 및 서랍 등을 제조하는 업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가격이 저렴해져서 일반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특히 상기 싱크대 및 서랍 등의 가구재 조립시 다수의 나사못을 상기 전동드릴로 회전시켜 단시간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나사못을 회전시켜 가구재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드릴의 본체 전방에 설치되는 드릴척에 십자 형태의 비트를 고정한 다음 작업자가 나사못을 잡은 상태에서 나사못의 머리에 형성된 십자형의 홈에 상기 비트의 단부를 삽입, 밀착시킨 다음 상기 나사못의 단부를 합판의 소정 위치에 닿게 한 후 드릴 작동에 의해 나사못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의 한손은 나사못을 잡고, 다른 한손은 상기 드릴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힘을 주어 밀어 상기 나사못을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나사못을 합판에 체결할 경우 나사못 머리가 돌출되지 않게 일정 깊이로 체결되어야만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데 숙련자라고 하더라도 나사못 모리를 합판의 일정 깊이까지 체결하는데 있어 집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피로도가 증가하여 생산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전동드릴을 고정하는 지그 장치들이 다수 제안되었으나, 이는 나사못을 지지하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전동드릴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장치들로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상기 전동드릴이 고정된 상태에서의 작업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가 불가능하여 사용 범위가 한정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 특허출원 제10-2018-0136331호의 '나사못 고정 및 흔들림방지 기능을 갖는 전동드릴용 지그'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는 있었으나, 나사못이 체결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없어 나사못 체결시 항상 주의를 요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높여 효율성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0040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3294호 등록특허공보 제10-0569626호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상적인 전동드릴의 전방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나사못을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나사못의 체결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재나 석고, 합판 등을 조립하는 작업에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나사못 머리의 체결 깊이가 일정하도록 하여 싱크대나 신발장과 같은 가구재의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동드릴의 본체에 설치되는 드릴척에 일정 길이 돌출되게 결합되며, 전방 외주연에는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나사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체와; 상기 제1회전체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 부분 외주연에 스러스트베어링이 일체로 축설되고, 전방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전방에 일체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전방에 설치되는 비트를 회전시켜 나사를 체결하는 제2회전체와; 상기 제1회전체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며, 후방 내주연에는 각각 안착턱과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고정링이 삽입, 고정되며, 전방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단관 형태의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며, 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에 패킹이 끼워져 고정되고, 외주연 중간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나사산과 일체로 체결, 고정되는 원통형의 단관 형태로 제공되는 고정관체와; 상기 제1회전체를 외부하우징의 안착턱에 밀착시키는 밀착커버와; 상기 밀착커버를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회전축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방 내주연에는 상기 연결축의 머리 부분이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회전관과, 상기 사각회전관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며, 전방에는 복수의 걸림기어가 돌출,형성되고, 후방에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에는 고정링이 장착되는 유동기어와, 상기 유동기어의 외주연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외부하우징의 고정홈에 장착된 고정링과 상기 유동기어의 고정홈에 장착된 고정링에 의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안착턱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베어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연결축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 중앙에 형성된 축공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주변으로 상기 유동기어의 걸림기어와 치합될 복수의 걸림기어가 돌출, 형성되며, 전방 외주연의 상,하부에는 고정공이 각각 수직으로 천공되고, 상기 고정공의 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에는 고정링이 장착되며, 전방 중앙에는 상기 비트의 후방이 삽입될 수 있도록 육각형태의 결합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의 고정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비트에 형성된 결합홈에 일부가 삽입되어 비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수의 강구와, 상기 강구가 이탈하지 않도록 내주연에 고정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기어의 전방 외주연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삽착,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에 의해 지지되는 착탈관과, 상기 착탈관의 고정턱이 상기 강구와 항상 맞닿아 있도록 상기 착탈관의 후방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통상적인 전동드릴의 전방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나사못을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하고, 나사못의 체결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나사못의 체결 깊이가 일정하도록 하여 가구재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싱크대나 신발장과 같은 가구재의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를 확대 도시한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1회전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1회전체의 사각회전관을 도시해 보인 측단면과 배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1회전체의 유동기어를 도시해 보인 정면돠 측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연결축과 스러스트베어링을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2회전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2회전체의 고정기어를 도시해 보인 측면과 배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2회전체의 고정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2회전체의 착탈관을 도시해 보인 측단면과 배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외부하우징을 도시해 보인 측단면과 배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고정관체를 도시해 보인 정면과 측단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주요부인 밀착커버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과 배면 예시도.
도 14는 도 9의 고정기어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를 수동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자동 사용상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는 내부에 모터(12)가 장착되며, 하부에는 손잡이(14)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10)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전동드릴에 장착하여 나사못(N)의 체결 깊이가 일정하도록 하는 동시에 체결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나사못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회전축(100)과, 제1회전체(200), 연결축(300), 제2회전체(400), 외부하우징(500), 고정관체(600), 밀착커버(700) 및 스프링(8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00)은 상기 본체와 직접 연결되어 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 재질의 육각봉 형태로 제공되되, 전방 외주연에는 다수의 나사산(10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00)의 중간 부분에 지지턱(104)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지지턱(104)과 후술되는 제1회전체(200)의 유동기어(220) 후방 사이에 보강스프링(106)을 설치하여 상기 보강스프링(106)의 탄성에 의해 상기 유동기어(2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전체(200)는 상기 회전축(100)와 연동되어 모터(12)의 회전력을 제2회전체(400)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10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사산(212)이 형성되고, 전방 내주연에는 상기 연결축(300)의 머리 부분이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턱(214)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회전관(210)과, 상기 사각회전관(210)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며, 전방에는 복수의 걸림기어(222)가 돌출,형성되고, 후방에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224)에는 고정링(226)이 장착되는 유동기어(220)와, 상기 유동기어(220)의 외주연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고정홈에 장착된 고정링과 상기 유동기어(220)의 고정홈(224)에 장착된 고정링(226)에 의해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안착턱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베어링(23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사각회전관(210)은 전,후방이 관통된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 단관을 표면이 사각형태가 되게 가공하여 구비하되, 후방 내주연에 나사산(212)을 형성하고, 내주연 전방에는 걸림턱(214)을 형성하여 구비하며, 상기 유동기어(220)는 상기 사각회전관(2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이 사각 형태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외주연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되, 전방에는 걸림기어(22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후방 외주연에는 고정홈(224)이 형성되어 이 고정홈(224)에 상기 고정베어링(230)의 후방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링(226)이 장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축(300)은 상기 제1회전체(20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되는 제2회전체(400)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후방에 머리 부분이 형성되고, 전방 외주연에는 나사산(302)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 외주연에는 스러스트베어링(310)을 일체로 축설시켜 구비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축(300)은 상기 제1회전체(200)와 제2회전체(40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봉을 소정 형태로 가공하여 구비하되, 후방에 머리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사각회전관(210)의 전방 내주연 전방에 형성된 걸림턱(214)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고, 전방 외주연에 나사산(302)을 형성하여 상기 제2회전체(400)와 일체로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중간 부분에는 상기 유동기어(220)의 회전력이 제2회전체(400)에 전달되지 않도록 분리시키는 스러스트베어링(310)을 축설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2회전체(400)는 상기 연결축(300)의 전방에 일체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체(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전방에 설치되는 비트(B)를 회전시켜 나사를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축(30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 중앙에 형성된 축공(411)의 내주연에 나사산(412)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411)의 주변으로 상기 유동기어(220)의 걸림기어(222)와 치합될 복수의 걸림기어(413)가 돌출, 형성되며, 전방 외주연의 상,하부에는 고정공(414)이 각각 수직으로 천공되고, 상기 고정공(414)의 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415)에는 고정링(416)이 장착되며, 전방 중앙에는 상기 비트(B)의 후방이 삽입될 수 있도록 육각형태의 결합공(41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기어(410)와, 상기 고정기어(410)의 고정공(414)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비트(B)에 형성된 결합홈(B')에 일부가 삽입되어 비트(B)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수의 강구(420)와, 상기 강구(420)가 이탈하지 않도록 내주연에 고정턱(4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기어(410)의 전방 외주연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삽착,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416)에 의해 지지되는 착탈관(430)과, 상기 착탈관(430)의 고정턱(432)이 상기 강구(420)와 항상 맞닿아 있도록 상기 착탈관(430)의 후방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스프링(44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회전체(400)의 고정기어(410)는 금속봉을 소정 형태로 가공하여 구비하되, 후방에는 내주연에 나사산(412)이 형성된 축공(411)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411)의 전방으로 관통되게 결합공(417)을 형성하며, 상기 축공(411)의 주변으로 걸림기어(413)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유동기어(220)의 걸림기어(222)와 치합될 수 있도록 하고, 전방 외주연 상,하부에는 상기 강구(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고정공(414)을 관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고정공(414)의 전방 외주연에 반원형의 고정홈(415)을 형성하여 고정링(416)을 장착시켜 상기 착탈관(430)이 스프링(440)의 탄성에 의해 고정기어(4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회전체(400)의 고정기어(410)는 상기 연결축(30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 중앙에 형성된 축공(411)의 내주연에 나사산(412)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411)의 주변으로 복수의 걸림돌기(413)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기어(220)의 걸림기어(222)와 치합될 수 있도록 하며, 전방의 내주연에는 나사산(412')이 형성된 회전부(410a)와, 상기 회전부(410a)의 전방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 외주연에 나사산(412")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 외주연 상,하부에는 각각 강구(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공(414)이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414)의 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415)에는 고정링(416)이 장착되며, 전방 중앙에는 상기 비트(B)의 후방이 삽입될 수 있도록 육각형태의 결합공(41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410b)로 분할 구성하여 상기 회전부(410a)에 형성된 걸림기어(413)의 마모시 고정기어(41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회전부(410a)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구(420)는 구체 형태로 구비되며, 강도가 우수한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로 구비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착탈관(430)은 비트(B)를 고정하는 강구(420)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비트(B)의 교체시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금속 단관 형태로 구비되되, 전방 내주연에 고정턱(432)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강구(42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내부에는 스프링(440)을 삽입시켜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턱(432)이 고정링(416)이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하우징(500)은 원통형 금속 단관을 소정 형태로 가공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회전체(200)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전,후방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후방 내주연에는 각각 안착턱(502)과 고정홈(50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504)에는 고정링(506)이 삽입, 고정되며, 전방 내주연에는 나사산(508)을 일체로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하우징(500)은 상기 제1회전체(200)의 고정베어링(230)이 후방 내부로 긴밀하게 삽입되어 내주연에 형성된 안착턱(502)에 상기 고정베어링(230)의 전방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베어링(230)의 후방을 상기 고정링(506)이 지지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관체(600)는 원통형의 금속 단관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전방에 결합되며, 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602)에 패킹(604)이 끼워져 고정되고, 외주연 중간 부분에는 나사산(606)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나사산(508)과 일체로 체결,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관체(600)는 전,후방이 관통된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 단관 형태로 구비하되, 후방 외주연에 반원형의 고정홈(602)을 형성하여 이 고정홈(602)에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패킹(604)을 장착시키고,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 나사산(606)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전방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508)과 나사,결합되어 일체가 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관체(600)의 전방 일부분을 테이퍼지게 형성하되, 테이퍼진 부분의 외주연 좌,우측에는 각각 "⊃"자형 확인홈(608)을 형성하여 비트(B)와 나사못(N)의 끼워진 상태 및 나사못(N)의 체결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커버(7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소정 형태로 가공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후방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체(200)의 고정베어링(230)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800)의 탄성에 의해 고정베어링(230)의 전방이 외부하우징(500)의 안착턱(50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800)은 소정 탄성을 갖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후방은 전동드릴 본체(10)에 맞닿게 하고, 전방은 상기 밀착커버(700)와 맞닿게 하여 그 탄성에 의해 상기 외부하우징(500)과 고정관체(600) 및 제1회전체(200)가 항상 전방을 향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유동기어(220)의 걸림기어(222)와 고정기어(410)의 걸림기어(413)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조립 및 설치는 먼저, 상기 사각회전관(210) 후방으로 걸림기어(222)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유동기어(22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유동기어(220)의 외주연으로 상기 고정베어링(230)을 끼워넣어 결합시킨 다음 유동기어(220)의 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224)에 고정링(226)을 장착하여 상기 고정베어링(230)을 고정시켜 제1회전체(200)를 형성하면 된다.
이어서, 상기 제1회전체(200)의 사각회전관(210) 후방으로 연결축(300)을 삽입시켜 상기 사각회전관(210)의 걸림턱(214)에 연결축(300)의 머리부분이 걸려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300)의 돌출된 전방으로 스러스트베어링(310)을 결합시키면 된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기어(410)의 전방으로 스프링(440)을 삽착시키고, 고정기어(410)의 전방 외주연 상,하부에 형성된 고정공(414)에 강구(420)를 각각 삽입,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착탈관(430)을 고정기어(410)의 전방으로 삽착시켜 상기 착탈관(430)의 고정턱(432)에 의해 강구(420)가 고정공(414)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고정기어(410)의 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415)에 고정링(416)을 장착하여 상기 착탈관(430)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제2회전체(400)를 형성하면 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410a)의 전방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412')과 상기 연결부(410b)의 후방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412")을 나사 결합시켜 상기 회전부(410a)와 연결부(410b)를 일체가 되게 조립하여 상기 고정기어(410)를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회전체(400)는 상기 연결축(300)과 일체로 결합되는바, 먼저 상기 고정기어(410)의 후방에 형성된 축공(411)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412)과 상기 연결축(300)의 전방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302)을 나사 결합시켜 상기 연결축(300)과 제2회전체(400)를 일체가 되게 결합시키면, 상기 고정기어(410)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기어(413)와 상기 유동기어(220)의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기어(222)가 치합되어 상기 제1회전체(200)의 회전력이 연결축(300)과 제2회전체(400)에 전달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2회전체(400)의 고정기어(410)에 결합된 착탈관(430)을 후방으로 밀어 상기 강구(42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기어(410)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공(417)에 비트(B)의 후방을 삽입시킨 후 밀고 있던 착탈관(430)을 놓게 되면 스프링(44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착탈관(430)이 원위치 되면서 상기 고정턱(432)이 강구(420)를 눌러 그 일부분이 비트(B)의 결합홈(B')으로 삽입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상기 비트(B)가 고정기어(410)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1회전체(200)의 유동기어(220)에 설치된 고정베어링(230)의 후방에 밀착커버(700)와 스프링(8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동드릴 본체(10) 전방에 설치된 회전축(100)의 나사산(102)과 상기 사각회전관(210)의 후방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212)을 일체로 나사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스프링(800)이 밀착커버(700)와 고정베어링(230)을 전방을 향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축(10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회전체(200)와 연결축(300)과 제2회전체(400) 및 비트(B)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비트(B)에 나사못(N)을 끼워 판재에 수동으로 체결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고정관체(600)의 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602)에 패킹(604)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관체(600)의 후방을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전방으로 삽입시키되,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전방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508)과 상기 고정관체(600)의 중간부분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606)에 의해 일체가 되게 나사 결합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외부하우징(500)과 고정관체(600)에 형성된 나사산(508)(606)의 체결 정도에 따라 나사못(N)이 판재에 체결되는 깊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하우징(500)과 고정관체(60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후방으로 상기 비트(B)와 제2회전체(400)와 제1회전체(200)를 삽입시키되,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안착턱(502)에 고정베어링(230)의 전방이 밀착되게 하고,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고정홈(504)에 장착된 고정링(506)이 상기 고정베어링(230)의 후방을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하우징(500)과 고정관체(600)가 상기 고정베어링(230)에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구성 부품이 일체로 조립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릴용 나사못 자동 체결장치의 작용은 먼저 나사못(N)의 머리를 고정관체(600)의 전방 내부로 삽입시켜 비트(B)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나사못(N)의 단부를 판재에 데고 상기 모터(12)를 구동시켜 회전축(10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100)에 결합된 제1회전체(200)의 사각회전관(210)과 유동기어(220)가 고정베어링(230)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유동기어(220)의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기어(222)와 치합되는 걸림기어(413)가 후방에 형성된 고정기어(41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고정기어(4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축(300)도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기어(410)의 결합공(417)에 삽입, 결합된 비트(B)가 나사못(N)을 회전시켜 판재에 체결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모터(12)를 가동하게 되면 판재의 일정 깊이까지 나사못(N)이 체결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판재의 일면에 고정관체(600)의 전단이 맞닿게 되면서 상기 외부하우징(500)과 함께 동시에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외부하우징(500)의 안착턱(502)에 밀착되어 있던 고정베어링(230)과 상기 고정베어링(230)과 일체로 결합된 유동기어(220)가 스프링(800)의 탄성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동기어(22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유동기어(220)의 전방에 형성된 걸림기어(222)와 상기 고정기어(410)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기어(413)가 분리되면서 회전 동력이 차단되는 것이다.
즉, 상기 모터(12)는 계속해서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축(100)과 제1회전체(200)의 사각회전관(210)과 유동기어(220)가 상기 고정베어링(230)과 연결축(3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계속 회전하는 반면에 상기 걸림기어(222)(413)가 서로 분리되면서 회전력이 차단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축(300)에 축설된 스러스트베어링(310)이 상기 사각회전관(210)의 회전력을 상쇄시켜 상기 제2회전체(400)의 고정기어(410)와 비트(B)의 회전은 자동으로 정지되어 더 이상 나사못(N)이 체결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나사못(N)의 체결 깊이를 일일이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관체(600)의 전방 외주연에 형성된 확인홈(608)을 통해 나사못(N)의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전동드릴에 가하는 힘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회전축 102 : 나사산
104 : 지지턱 106 : 보강스프링
200 : 제1회전체 210 : 사각회전관
214 : 걸림턱 220 : 유동기어
222 : 걸림기어 224 : 고정홈
226 : 고정링 230 : 고정베어링
300 : 연결축 310 : 스러스트베어링
400 : 제2회전체 410 : 고정기어
411 : 축공 412 : 나사산
413 : 걸림기어 414 : 고정공
416 : 고정링 417 : 결합공
420 : 강구 430 : 착탈관
440 : 스프링 500 : 외부하우징
502 : 안착턱 504 : 고정홈
506 : 고정링 600 : 고정관체
602 : 고정홈 604 : 패킹
606 : 나사산 608 : 확인홈
700 : 밀착커버 800 : 스프링
B : 비트 N : 나사못

Claims (6)

  1. 전동드릴의 본체에 설치되는 드릴척에 일정 길이 돌출되게 결합되며, 전방 외주연에는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나사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체와;
    상기 제1회전체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 부분 외주연에 스러스트베어링이 일체로 축설되고, 전방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전방에 일체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전방에 설치되는 비트를 회전시켜 나사를 체결하는 제2회전체와;
    상기 제1회전체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며, 후방 내주연에는 각각 안착턱과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고정링이 삽입, 고정되며, 전방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단관 형태의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며, 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에 패킹이 끼워져 고정되고, 외주연 중간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나사산과 일체로 체결, 고정되는 원통형의 단관 형태로 제공되는 고정관체와;
    상기 제1회전체를 외부하우징의 안착턱에 밀착시키는 밀착커버와;
    상기 밀착커버를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회전축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방 내주연에는 상기 연결축의 머리 부분이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회전관과,
    상기 사각회전관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며, 전방에는 복수의 걸림기어가 돌출,형성되고, 후방에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에는 고정링이 장착되는 유동기어와,
    상기 유동기어의 외주연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외부하우징의 고정홈에 장착된 고정링과 상기 유동기어의 고정홈에 장착된 고정링에 의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안착턱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베어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연결축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 중앙에 형성된 축공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주변으로 상기 유동기어의 걸림기어와 치합될 복수의 걸림기어가 돌출, 형성되며, 전방 외주연의 상,하부에는 고정공이 각각 수직으로 천공되고, 상기 고정공의 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에는 고정링이 장착되며, 전방 중앙에는 상기 비트의 후방이 삽입될 수 있도록 육각형태의 결합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의 고정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비트에 형성된 결합홈에 일부가 삽입되어 비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수의 강구와,
    상기 강구가 이탈하지 않도록 내주연에 고정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기어의 전방 외주연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삽착,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에 의해 지지되는 착탈관과,
    상기 착탈관의 고정턱이 상기 강구와 항상 맞닿아 있도록 상기 착탈관의 후방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의 전방 일부분을 테이퍼지게 형성하되, 테이퍼진 부분의 외주연 좌,우측에는 각각 "⊃"자형 확인홈을 형성하여 비트와 나사못의 끼워진 상태 및 나사못의 체결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중간 부분에 지지턱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지지턱과 제1회전체의 유동기어 후방 사이에 보강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보강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유동기어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의 고정기어는 상기 연결축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 중앙에 형성된 축공의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의 주변으로 복수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기어의 걸림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하며, 전방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전방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 외주연 상,하부에는 각각 강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공이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의 전방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에는 고정링이 장착되며, 전방 중앙에는 상기 비트의 후방이 삽입될 수 있도록 육각형태의 결합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로 분할 구성하여 상기 회전부에 형성된 걸림기어의 마모시 고정기어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회전부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KR1020190157301A 2019-11-29 2019-11-29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KR102120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01A KR102120094B1 (ko) 2019-11-29 2019-11-29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01A KR102120094B1 (ko) 2019-11-29 2019-11-29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748A true KR20200003748A (ko) 2020-01-10
KR102120094B1 KR102120094B1 (ko) 2020-06-08

Family

ID=6915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301A KR102120094B1 (ko) 2019-11-29 2019-11-29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0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4768A (ja) * 2002-05-13 2003-11-25 Makita Corp 電動スクリュードライバ
KR100569626B1 (ko) 2003-05-28 2006-04-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구멍 가공용 드릴 지그
KR20060090040A (ko) 2005-02-04 2006-08-10 조형근 양축형 전동드릴
KR20150003294U (ko) 2015-08-13 2015-09-02 박흥식 빨래집게 구조 및 원리를 이용한 드라이버 또는 드릴 피트와 나사못 간 일시적 고정 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4768A (ja) * 2002-05-13 2003-11-25 Makita Corp 電動スクリュードライバ
KR100569626B1 (ko) 2003-05-28 2006-04-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구멍 가공용 드릴 지그
KR20060090040A (ko) 2005-02-04 2006-08-10 조형근 양축형 전동드릴
KR20150003294U (ko) 2015-08-13 2015-09-02 박흥식 빨래집게 구조 및 원리를 이용한 드라이버 또는 드릴 피트와 나사못 간 일시적 고정 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094B1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1444B2 (ja) ツールチャック
JP6660912B2 (ja) 貫通型電動式ラチェットレンチ
CN110814716A (zh) 拧螺母装置及其拧螺母机构
US10137504B2 (en) Pipe end machining device with axial autofeed
CA2831764C (en) Screw driving device with adjustable countersink depth
US20090084567A1 (en) Attachments For Power Tools
US20210068349A1 (en) Electric pole lopper
EA008361B1 (ru) Трансмиссия, передающая движение во многих направлениях
US11161226B2 (en) Tool for driving a fastener
SG186694A1 (en) Insertion tool for tangless spiral coil insert
KR20110116517A (ko) 왼나사 및 오른나사 겸용 토크 제어용 렌치
US20190366580A1 (en) Chain saw
CN102513978B (zh) 两用钻头夹具及使用它的电锤钻
JP2020183030A (ja) ねじ接続部のための締付け装置
KR100800041B1 (ko) 전동 공구
KR20200003748A (ko) 전동드릴용 나사못 머리 깊이 조절 체결장치
US20210339421A1 (en) Chain saw
CN101428352B (zh) 动力工具
CN102773841B (zh) 可快速更换的两用钻夹头和使用它的电锤钻
JP4914229B2 (ja) 足場用壁つなぎ取付ボルト
CN211361283U (zh) 拧螺母装置及其拧螺母机构
KR20170001338A (ko) 플랜지 홀 가공장치
US20220305635A1 (en) Side handle for power tool
CN210435426U (zh) 一种钻模夹具
CN114645636A (zh) 一种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