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623A -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623A
KR20200003623A KR1020180076616A KR20180076616A KR20200003623A KR 20200003623 A KR20200003623 A KR 20200003623A KR 1020180076616 A KR1020180076616 A KR 1020180076616A KR 20180076616 A KR20180076616 A KR 20180076616A KR 20200003623 A KR20200003623 A KR 20200003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base material
steel plate
steel sheet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용
김영우
도홍승
정혜선
이설두
강원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3623A/ko
Publication of KR2020000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24B21/1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involving a contact wheel or roller pressing the belt against the work
    • B24B21/14Contact wheels; Contact rollers; Belt support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using abrasive rolled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24B21/20Accessories for controlling or adjusting the tracking or the tension of the grinding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08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belt grind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은 압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판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표면에는 상기 강판의 폭 방향의 표면무늬가 상기 압연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되며, 상기 표면무늬는 상기 강판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의 상기 강판 폭 방향 이동에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압연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STEEL SHEET HAVING PATTERN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장고를 비롯한 가전기기의 외관에 제공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에 수납된 식품들을 냉장 또는 냉동저장 하기 위한 가전기기로서,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 및 사용자 기호의 다양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각각 상하로 구획되며 냉동실이 상부에 구비되는 탑마운트(Topmount) 타입의 냉장고와, 냉동실이 하부에 구비되는 바텀프리즈(Bottom freez) 타입의 냉장고 그리고,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구획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 타입의 냉장고로 대별된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 들은 디스펜서, 홈바, 제빙장치 등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구성들이 부가됨은 물론 냉장고 자체가 주방가구와 조화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자리잡게 되어 디자인의 차별화 또한 요구되고 있다.
특히, 냉장고가 설치시 노출되는 냉장고의 도어를 독특한 색상으로 하거나 고유의 문양을 프린트하는 등 냉장고 도어의 디자인에 차별화를 두고 있으며, 최근에는 냉장고 도어의 외관을 스테인레스판으로 성형하여 특유의 광택과 질감을 나타내도록 하여 냉장고의 외관을 더욱 고급스럽게 하는 것이 소비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외관의 고급화를 위하여 외관에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예를 들어 헤어라인이 형성된 냉장고가 출시되었다.
이러한 냉장고는 세로 길이가 대략 2500mm으로 제작되며, 전면 외관을 이루는 냉장고 도어의 길이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타입의 경우 대략 2500mm, 탑 마운트 타입의 경우 대략 1300mm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강판의 세로 길이가 1300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연마벨트를 이용하여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기술의 경우, 연마벨트가 강판 모재의 압연 방향을 따라 연마함에 따라, 압연 방향과 나란한 헤어라인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 헤어라인이 형성된 강판을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으로 활용하는 경우, 강판의 세로 길이가 강판 모재의 폭 길이 이하로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권취된 강판 모재의 폭 길이가 대략 1250mm 미만이므로, 1300mm 이상의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강판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하기와 같이 세로 길이에 제한이 없는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된 냉장고 도어용 강판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 제시되었다.
가로 방향 헤어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패턴롤을 이용하여 압연 방식으로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96522(2016.08.16. 공개)]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압연방식으로 형성된 헤어라인의 조도, 광택 및 형태가 기존의 연마벨트를 이용하여 형성된 헤어라인의 조도, 광택 및 형태를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연마벨트를 이용하여 헤어라인이 형성되는 경우, 강판 표면의 조도(Ra 기준)는 0.15±0.05μm, 광택(60도 기준)은 300±50μm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압연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조도(Ra 기준)는 0.4±0.05μm, 광택(60도 기준)은 300±50μm를 갖는 헤어라인이 구현된다. 또한, 압연방식에 따라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열처리 공정 등에 의해 가공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스테인리스 강판을 도어의 길이만큼 절단한 후, 회전시켜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60645(2008.08.26. 공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스테인리스 강판을 절단한 후, 회전시키는 공정을 추가하기 위한 설비가 추가 증설이 요구되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연속적인 공정이 불가능하여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의 폭(W)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스테인레스 강판의 생산을 위한 설비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추가되므로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6522호(2016.08.16.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0645호(2008.08.26.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은, 압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판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표면에는 상기 강판의 폭 방향의 표면무늬가 상기 압연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되며, 상기 표면무늬는 상기 강판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의 상기 강판 폭 방향 이동에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압연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길이는 상기 강판의 폭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길이는 1300mm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무늬들의 상호 이격된 거리는 8 내지 12 m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은,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표면 무늬가 형성된 후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무늬는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No. 3, No. 4 또는 헤어라인 무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면 무늬의 조도값은 Ra 기준으로 0.1 내지 1.2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무늬의 광택값은 60도 기준으로 250 내지 350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을 따르는 냉장고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외관은 상기 강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은, 강판 모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 상기 강판 모재가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강판 모재의 이동이 정지되는 정지단계, 연마부와 지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강판 모재와 접촉하는 접촉 단계, 상기 연마부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상기 제2 방향의 연마무늬를 형성하는 연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이동 단계 이전, 권취된 강판 모재를 펼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 및 상기 제2 방향의 연마무늬가 형성되는 단계 이후, 상기 강판 모재를 권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은 Roll to Rol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계 내지 상기 연마 단계를 복수회 시행하며, 복수회 시행되는 연마단계에 의해 형성된 상기 표면무늬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상기 연마부는 제1 내지 제2 연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 단계는, 상기 제1 연마부에 의해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무늬가 형성되는 무늬 형성 단계 및 상기 제2 연마부에 의해 상기 무늬에 광택이 형성되는 광택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320 mesh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400 mesh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연마부에 의하여 상기 표면무늬는 No. 4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320 mesh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320 mesh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연마부에 의하여 상기 표면무늬는 상기 No. 3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마부는 제3 연마부, 브러쉬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마 단계는, 광택 형성 단계 이후, 제3 연마부를 이용하여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마무리 연마하는 마무리 연마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마 단계에 의하여 상기 표면무늬가 형성된 이후, 상기 브러쉬롤이 연마에 따라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서 제거하는 분진 제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 단계 이후, 상기 연마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강판 모재와 이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강판 모재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을 따르는 강판의 헤어라인 형성장치는, 상기 강판 모재를 일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강판 모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상기 제2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강판의 헤어라인 형성장치 강판 모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는 상기 강판 모재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컨택트롤, 상기 컨택트롤에 감겨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벨트, 상기 컨택트롤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연마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을 포함하며, 상기 컨택트롤, 상기 연마벨트 및 상기 텐션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백업롤이며, 상기 백업롤은, 상기 강판 모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컨택트롤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연마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택트롤의 회전 중심과 상기 백업롤의 회전 중심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마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 상기 복수의 연마부 및 상기 지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판 모재가 기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되면,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복수의 연마부와 상기 지지부가 상기 강판 모재와 접촉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복수의 연마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마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연마부는 각각 기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연마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의 백업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백업롤은, 상기 강판 모재를 사이에 두고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연마부와 각각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연마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백업롤 각각의 회전 중심은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연마부 각각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마부와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연마부는 각각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연마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연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제2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연마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연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브러쉬가 구비된 브러쉬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원 발명이 구성에 따르면, 공급되는 강판의 폭 이상의 세로 길이를 갖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연마벨트를 이용하여 표면무늬를 형성하므로, 구현하고자 하는 조도, 광택 및 외관을 갖는 헤어라인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적인 공정 없이도,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공정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표면무늬 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B-B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강판의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방식으로 형성된 표면무늬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표면무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No. 3, No. 4 및 헤어라인은 스테인리스 스틸(STS)의 표면상태분류에 따른 명칭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냉장고(1000)의 외형은 대략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장고의 전면에는 도어가 구비된다. 도어의 전면에는 스테인리스 스틸(STS) 또는 글라스 등이 구비되어 특유의 광택과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전면에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스테인리스 스틸(STS) 등이 구비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은 냉장고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세탁기, 전기레인지, 오븐, 식기세척기, 후드 등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또는 건물의 내외부의 장식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은 강판의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형성장치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A-A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강판의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형성장치 (100)는 강판 모재(10)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110)와 상기 강판 모재(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강판 모재(1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와, 상기 구동부, 상기 연마부(110), 및 상기 지지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강판 모재(10)는 권취된 상태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강판 모재(10)는 압연 강판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STS) 소재의 열간 압연 강판(HR)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강판 모재(10)는 알루미늄 소재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가전기기 등의 외관을 형성하는 강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판 모재(10)는 표면무늬를 형성하는 공정에 앞서 펼쳐진 상태로 표면무늬 형성장치 (100)에 공급될 수 있다. 헤어라인 형성하는 공정 시작시, 권취된 상태의 상기 강판 모재(10)는 압연 방향(이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펼쳐진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방향(D1)으로 공급되는 상기 강판 모재(10)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거친 후, 표면무늬 형성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무늬 형성 공정을 수행하는 표면무늬 형성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을 연마하는 상기 연마부(110)와 대향하는 곳에서 상기 강판 모재(10)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부(110)는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로 이동하며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 연마부(1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연마부(110)는 연마벨트(111), 컨택트롤(112), 텐션롤(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벨트(111)에는 상기 강판 모재(10)를 마주하는 표면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수많은 다수의 연마립이 부착되거나, 미세한 그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의 패턴이 320 내지 400 Mesh를 갖는 연마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형성하고자 하는 헤어라인의 조도, 형태, 크기 등의 특성에 따라 다른 크기의 Mesh를 갖는 연마벨트도 활용 가능하다.
상기 연마벨트(111)는 상기 컨택트롤(112)과 상기 텐션롤(113)에 감겨진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컨택트롤(112)은 상기 연마벨트(111)에 회전력을 인가한다. 아울러, 상기 컨택트롤(112)은 상기 연마벨트(111)가 상기 강판 모재(10)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마벨트(111)에 상기 강판 모재(1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한편, 상기 텐션롤(113)은 상기 연마벨트(111)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연마벨트(111)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컨택트롤(112)과 상기 텐션롤(113)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방향(D1)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택트롤(112)과 상기 텐션롤(113)은 상기 제1 방향(D1)과 나란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마부(110)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컨택트롤(1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마벨트(111)는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을 연마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마부(110)는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에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는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에는 가로 방향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마부(110)의 반대측에는 상기 지지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연마부(110)가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을 연마하는 동안 상기 강판 모재(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판 모재(10)의 반대측에서 상기 연마부(1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연마부(110)는 상기 강판 모재(10)를 사이에 둔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백업롤에 해당할 수 있다. 백업롤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부(120)는 제1 방향(D1)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마부(110)의 제2 방향(D2)의 이동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120)의 회전 중심은 상기 컨택트롤(112)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P)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 설정된 간격은 0 ~ 24mm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강판 모재(10)의 연마시 불규칙적인 진동이 발생하는 채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마벨트(111)는 상기 컨택트롤(112)과 상기 텐션롤(113)을 감싸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기 설정된 폭(W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폭(W2)은 상기 강판 모재(10)의 폭(W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급되는 상기 강판 모재(10)의 폭(W1)은 약 1300mm 이하인 경우, 상기 연마벨트(111)의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길이는 약 1300mm 이상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폭이 1300mm 이하인 규격의 강판 모재(10)를 이용하여,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11)이 형성된 상기 강판 모재(10)의 세로 길이를 1300mm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마벨트(111)는 제1 방향(D1)으로 2500mm 이상 연장되어, 세로(L) 길이가 2500mm 이상이 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11)가 형성된 강판(1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판 모재(10)는 상기 연마부(110)가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을 연마하는 동안, 제1 방향으로의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상기 연마부(110)와 상기 지지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판 모재(10)의 제1 방향(D1)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강판 모재(1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연마부(110)와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강판 모재(1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기 강판 모재(10)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연마부(110), 지지부(120) 등의 구성들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상기 강판 모재(1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강판 모재(10)가 기 설정된 길이로 공급되면, 상기 구동부를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마부(110)와 상기 지지부(120)를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강판 모재(10)에 접촉시킨다. 상기 연마부(110)가 상기 강판 모재(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120)가 상기 강판 모재(10)의 하측에 배치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마부(110)를 하향 이동시켜 상기 강판 모재(10)와 접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지지부(120)는 상향 이동시켜 상기 강판 모재(10)와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마부(110)와 상기 지지부(120)가 상기 강판 모재(10)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연마부(110)와 상기 지지부(120)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켜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에 표면무늬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표면무늬이 형성된 후, 제어부는 상기 연마부(110)와 상기 지지부(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강판 모재(10)와 이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강판 모재(1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강판 모재(10)가 기 설정된 길이로 공급되도록 이동시키며, 전술한 과정을 재차 반복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길이(L)는 상기 연마벨트(111)의 폭(W2)과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는 상기 강판 모재(10)를 상기 폭 (W2) 보다 일정 거리를 더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마벨트(111)의 폭(W2)이 2350mm인 경우,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에 헤어라인이 제1 방향(D1)을 따라 2350mm 길이로 형성된 이후, 상기 구동부는 2360mm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표면무늬이 형성된 영역과 다음 표면무늬이 형성된 영역은 약 10mm 이격 될 수 있다. 즉, 표면무늬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표면무늬 형성과정 이후, 냉장고를 비롯한 가전기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손실되거나 접혀짐으로 인하여 외관에 기여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연마 공정을 하지 않음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헤어라인 형성장치(10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한꺼번에 복수의 표면무늬을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표면무늬 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B-B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표면무늬 형성장치(200)는 연마부(210)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부(210)는 제1 내지 제3 연마부(210a, 210b, 210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연마부의 크기, 제어 조건 등에 따라 상기 연마부(210)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내지 제3 연마부(210a, 210b, 210c)는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연마부(210a, 210b, 210c)는 각각 기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3 연마부(210a, 210b, 210c)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3 지지부(220a, 220b, 220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연마부(210a, 210b, 210c)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부(220a, 220b, 220c)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경우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연마부(210a, 210b, 210c)의 컨택트롤의 회전 중심은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부(220a, 220b, 220c)의 회전 중심과 제2 방향(D2)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연마부(210)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연마부는 동시에 상기 강판 모재(10)에 접촉하여, 제2 방향(D2)으로 함께 이동하며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강판 모재(10)에 표면무늬을 형성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내지 제3 연마부(210a, 210b, 210c)는 순차적으로 상기 강판 모재(10)를 연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연마부(210a, 210b, 210c) 중 상기 제1 연마부(210a)가 먼저 하향 이동하여,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마부(210a)의 연마가 종료된 후, 상기 제1 연마부(210a)는 상향 이동하여 상기 강판 모재(10)와 이격되며, 상기 제2 연마부(210b)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강판 모재(10)를 연마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 내지 제3 연마부(210a, 210b, 210c)는 순차적으로 상기 강판 모재(10)를 연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연마부(210)는 각각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연마벨트(211)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연마부(210)는 각각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에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연마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연마부(2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제2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연마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패턴을 갖는 제1 연마벨트(211a)는 입도가 320 Mesh인 연마벨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2 패턴을 갖는 제2 연마벨트(211b)는 입도가 400 Mesh인 연마벨트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강판의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연마부(310)는 브러쉬롤(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롤(314)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롤(314)은 상기 연마부(300)에 의해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을 연마하면서 발생하는 이물질 및 분진을 강판 모재(10)의 표면에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상기 연마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강판 모재(10)의 압연 방향인 상기 제1 방향(D1)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에는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이 아닌,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은 강판 모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S110), 상기 강판 모재가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강판 모재의 이동이 정지되는 정지단계(S120), 연마부와 지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강판 모재와 접촉하는 접촉 단계(S130), 상기 연마부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상기 제2 방향의 연마무늬를 형성하는 연마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 단계 이후, 상기 연마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강판 모재와 이격시켜, 상기 강판 모재(1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아울러,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이동 단계(S110) 이전, 권취된 강판 모재를 펼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S100) 및 상기 제2 방향의 연마무늬가 형성되는 단계(S140) 이후, 상기 강판 모재를 권취시키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은 Roll to Rol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계(S110), 정지단계(S120), 접촉 단계(S130), 연마 단계(S140)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무늬(11) 들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강판 모재(10)를 기 설정된 길이보다 조금 더 이동시켜 하나의 압연 롤에 불연속적인 복수개의 표면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표면무늬(11)들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마부는 제1 내지 제3 연마부, 브러쉬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마 단계는 상기 제1 연마부에 의해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무늬가 형성되는 무늬 형성 단계(S141), 상기 제2 연마부에 의해 상기 무늬에 광택이 형성되는 광택 형성 단계(S142), 제3 연마부를 이용하여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마무리 연마하는 마무리 연마 단계(S1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마 단계에 의하여 상기 표면무늬가 형성된 이후, 상기 브러쉬롤이 연마에 따라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서 제거하는 분진 제거 단계(S1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320 mesh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400 mesh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연마부에 의하여 상기 표면무늬는 No. 4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3 연마부를 이용하여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마무리 연마하는 마무리 연마 단계(S143)에서도 제3 연마부는 400 Mesh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320 mesh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320 mesh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연마부에 의하여 상기 표면무늬는 상기 No. 3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마부를 이용하여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마무리 연마하는 마무리 연마 단계(S143)에서도 제3 연마부는 320 Mesh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320 mesh, 400 mesh는 한국 국가기술표준원의 연삭 숫돌용 연마재의 입도(KS L6001) 규정의 정밀 연마용 미분의 종류에 따른 #320 및 #400 미분에 해당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연마 단계(S140)은 연마시 물을 분사하지 않는 건식 연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No. 3 무늬는 100 ~ 120 Mesh, No. 4 무늬는 150 ~ 180 Mesh 연마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나, 본 발명에 따르면, 320 및 400 Mesh의 연마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마 단계(S140)은 아울러, 도시하지 않았지만, 강판의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형성장치는 분진흡입기를 구비하여,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단계(S140)에서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을 연마하며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
다만, 연마 진행 중 분진 및 이물질을 흡입하며, 분진 제거 단계(S144)를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분진은 상기 강판 모재(10)에 흡착되어 상기 강판 모재(10)의 표면에 상당량 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강판 모재(10)를 세척/건조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건조하는 단계(S150)에서는 상기 강판 모재(10)는 유기, 무기 또는 이들은 혼합한 세척제를 이용하여 세척되며, 세척 이후 상기 강판을 건조시키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진을 세척/건조하는 단계(S150) 이후, 표면에 지문, 이물질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내지문 코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지문 코팅 단계는 아크릴 수지 용액과 같은 코팅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 용액을 기 설정된 온도와 시간으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강판의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형성장치 및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강판은 표면에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구비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는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21)가 형성된 강판(2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강판(20)의 표면에는 상기 강판(20)의 가로 방향 즉, 제2 방향(D2)의 표면무늬(21)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기 설정된 길이(L)만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길이(L)는 상기 강판의 폭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폭 길이(W1)가 1300mm 이하라면, 상기 기 설정된 길이(L)는 1300mm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길이(L)는 연마벨트(111)의 폭 길이(W2)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연마벨트(111)의 폴 길이(W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표면무늬(11)는 상기 강판(10')의 표면을 연마하는 상기 연마부(110)의 상기 강판 폭 방향(D2) 이동에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표면무늬(11)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려는 경우, 이미 형성된 표면무늬(11)에 재차 연마부(110)가 연마하게 되므로, 상기 표면무늬(11)들은 상호 겹치게 되어, 흠집이 생기거나, 의도된 표면무늬(11)의 형상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표면무늬(11)는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표면무늬(11)와 표면무늬(11) 사이에는 미 연마된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면무늬(11)들의 상호 이격된 거리(t)는 오차범위를 고려하여, 8 내지 12 m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강판(10')에 형성된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11)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강판(10')은 Roll to Roll 방식으로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1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강판 모재(10)가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표면 무늬(11)가 형성된 강판(10')으로 형성된 후 다시 권취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강판(10')의 상기 표면 무늬(11)는 상기 강판(10')의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3 헤어라인 또는 #4 헤어라인 무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면무늬(11)의 조도값은 Ra 기준으로 0.1 내지 1.2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무늬(11)의 광택값은 60도 기준으로 250 내지 350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종래의 방식으로 형성된 표면무늬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표면무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방식으로 형성된 표면무늬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표면무늬를 비교한다. 종래의 방식과 본 발명은 모두 Roll to Roll 방식으로 표면무늬를 형성한다.
도 8의 (a)에서는 기존의 연마벨트를 이용한 방식으로 형성된 헤어라인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8의 (b)에서는 압연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된 헤어라인의 모습을 나태나며, 도 8의 (c)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헤어라인을 나타낸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기존의 연마벨트를 이용한 방식에 의하면, 헤어라인이 압연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강판을 냉장고를 비롯한 가전기기의 외관에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로 활용하는 경우, 세로 길이가 강판 모재의 폭 길이 이하로 제한된다.
도 8의 (b)를 참고하면, 압연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된 표면무늬는 압연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표면무늬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연 방식에 의한 경우, 세로 길이의 제한은 없으나, 압연 방식으로 인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열처리 공정 등에 의해 가공 공정이 복잡해지며,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압연방식으로 형성되는 표면무늬는 조도(Ra 기준)는 0.4±0.05μm, 광택(60도 기준)은 300±50μm를 갖는 표면무늬가 구현되므로, 연마벨트를 이용한 표면무늬의 외형을 구현할 수 없다.
도 8의 (C)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표면무늬는 압연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면서도, 표면무늬의 표면 조도(Ra 기준)를 0.15±0.05μm, 광택(60도 기준)을 300±50μm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무늬들은 일정 간격(t)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정 간격(t)는 연마가 되지 않는 미 연마 상태가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면무늬들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을 이용하여 냉장고를 비롯한 가전기기를 제작시, 강판의 절단 기준선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외관에 제공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압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판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표면에는 상기 강판의 폭 방향의 표면무늬가 상기 압연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되며,
    상기 표면무늬는 상기 강판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의 상기 강판 폭 방향 이동에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압연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길이는 상기 강판의 폭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길이는 130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무늬들의 상호 이격된 거리는 8 내지 12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표면 무늬가 형성된 후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무늬는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No. 3, No. 4 또는 헤어라인 무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무늬의 조도값은 0.1 내지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단, 상기 조도값은 Ra 기준이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무늬의 광택값은 250 내지 3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단, 상기 광택값은 60도 기준이다.
  9. 본체;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외관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강판 모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
    상기 강판 모재가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강판 모재의 이동이 정지되는 정지단계;
    연마부와 지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강판 모재와 접촉하는 접촉 단계;
    상기 연마부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상기 제2 방향의 연마무늬를 형성하는 연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 이전, 권취된 강판 모재를 펼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 및
    상기 제2 방향의 연마무늬가 형성되는 단계 이후, 상기 강판 모재를 권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 내지 상기 연마 단계를 복수회 시행하며,
    복수회 시행되는 연마단계에 의해 형성된 상기 표면무늬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제1 내지 제2 연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 단계는,
    상기 제1 연마부에 의해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무늬가 형성되는 무늬 형성 단계; 및
    상기 제2 연마부에 의해 상기 무늬에 광택이 형성되는 광택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320 mesh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400 mesh로 이루어져, 상기 표면무늬는 No. 4 무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마부의 연마벨트는 표면이 320 mesh로 이루어져, 상기 표면무늬는 No. 3 무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제3 연마부, 브러쉬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마 단계는,
    광택 형성 단계 이후, 제3 연마부를 이용하여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마무리 연마하는 마무리 연마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마 단계에 의하여 상기 표면무늬가 형성된 이후, 상기 브러쉬롤이 연마에 따라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서 제거하는 분진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단계 이후,
    상기 연마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강판 모재와 이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강판 모재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방향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
  18. 강판 모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강판 모재를 일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강판 모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에 상기 제2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강판 모재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컨택트롤;
    상기 컨택트롤에 감겨 상기 강판 모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벨트;
    상기 컨택트롤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연마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백업롤이며,
    상기 컨택트롤의 회전 중심과 상기 백업롤의 회전 중심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형성장치.
  20. 압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판에 있어서,
    연마 벨트를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강판의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에 폭 방향의 헤어라인 무늬가 압연 방향으로 1300mm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KR1020180076616A 2018-07-02 2018-07-02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3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616A KR20200003623A (ko) 2018-07-02 2018-07-02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616A KR20200003623A (ko) 2018-07-02 2018-07-02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623A true KR20200003623A (ko) 2020-01-10

Family

ID=6915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616A KR20200003623A (ko) 2018-07-02 2018-07-02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36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645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535687B2 (ja) 基板洗浄方法及び基板洗浄装置
US7892073B1 (en) Bowling ball abrader and polisher system and method
KR101101802B1 (ko) 칼라 강판 제조 방법
CN102990505A (zh) 半导体晶片双面抛光的方法
CN104511836A (zh) 手机壳抛光装置及应用于此的夹具
KR20200003623A (ko)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8161657B (zh) 一种用于金属和非金属3d抛磨机
US11325171B2 (en) Apparatus of manufacturing panel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ome appliance
JP2012235072A (ja) ウェーハ表面処理方法
US10702967B2 (en) Metal plate, patterning apparatus and pattern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4493681B (zh) 塑料板材抛光机
KR20220015776A (ko)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8724824A (zh) 一种车用顶篷面料的加工方法
CN117140230A (zh) 一种电路板加工装置
CN209957806U (zh) 一种皮革抛光机
KR101095744B1 (ko) 내,외장재용 칼라 대리석의 제조방법
KR100465149B1 (ko) 드럼 세탁기용 도어의 데코레이션 시트 제조방법
KR100978450B1 (ko) 냉장고 도어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06545B1 (ko) 볼링공 표면처리 장치
CN111482344A (zh) 一种充绒机用钣金件的耐腐蚀涂装工艺
CN204413829U (zh) 抛光组件及抛光机
KR20230089432A (ko) 코팅 강판 및 이를 적용한 가전 기기
KR20170112928A (ko) 금속가공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금속가공방법
CN209665025U (zh) 一种打磨生产线的打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