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776A -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776A
KR20220015776A KR1020200096262A KR20200096262A KR20220015776A KR 20220015776 A KR20220015776 A KR 20220015776A KR 1020200096262 A KR1020200096262 A KR 1020200096262A KR 20200096262 A KR20200096262 A KR 20200096262A KR 20220015776 A KR20220015776 A KR 20220015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ishing
exterior member
home appliance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형
도홍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776A/ko
Publication of KR2022001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6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special purposes, e.g. for television tubes, car bu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24B21/1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involving a contact wheel or roller pressing the belt against the work
    • B24B21/14Contact wheels; Contact rollers; Belt support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30Iron, e.g. st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필름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진행 단계; 연마부가 상기 필름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필름 표면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연마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에 수납된 식품들을 냉장 또는 냉동저장 하기 위한 가전기기로서,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 및 사용자 기호의 다양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각각 상하로 구획되며 냉동실이 상부에 구비되는 탑마운트(Topmount) 타입의 냉장고와, 냉동실이 하부에 구비되는 바텀프리즈(Bottom freez) 타입의 냉장고 그리고,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구획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 타입의 냉장고로 대별된다.
특히, 냉장고가 설치시 노출되는 냉장고의 도어를 독특한 색상으로 하거나 고유의 문양을 프린트하는 등 냉장고 도어의 디자인에 차별화를 두고 있으며, 최근에는 냉장고 도어의 외관을 스테인레스판으로 성형하여 특유의 광택과 질감을 나타내도록 하여 냉장고의 외관을 더욱 고급스럽게 하는 것이 소비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외관의 고급화를 위하여 외관에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 예를 들어 헤어라인이 형성된 냉장고가 출시되었다.
이러한 냉장고는 세로 길이가 대략 2500mm으로 제작되며, 전면 외관을 이루는 냉장고 도어의 길이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경우 대략 2500mm, 탑 마운트 타입의 경우 대략 1300mm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강판의 세로 길이가 1300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연마벨트를 이용하여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기술의 경우, 연마벨트가 강판 모재의 압연 방향을 따라 연마함에 따라, 압연 방향과 나란한 헤어라인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 헤어라인이 형성된 강판을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으로 활용하는 경우, 강판의 세로 길이가 강판 모재의 폭 길이 이하로 제한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북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860645호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1250mm를 넘지 않는 권취된 스테인레스 강판(200)을 도어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는 길이(l>1700mmm)만큼 절단기(300)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절단된 강판을 90°각도로 회전시키고, 직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가공장치(600, 700)들을 이용하여 강판 표면에 도어의 가로 방향으로 가공무늬를 형성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스테인리스 강판을 절단한 후, 회전시키는 공정을 추가하기 위한 설비가 추가 증설이 요구되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연속적인 공정이 불가능하여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가전기기 외관의 고급화 수요와 맞물려 PCM(polymer coated metal) 강판과 함께, PCM 소재 중 비닐수지가 코팅된 VCM(vinyl coated metal) 강판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VCM 강판에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기술을 적용하면, 강판 표면에 코팅된 필름이 상기 강판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롤러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찢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로길이가 긴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며,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이 형성되는 VCM 소재의 외장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로길이가 긴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며, 가로방향으로 헤어라인이 형성되는 VCM 소재의 외장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의 제조방법은 외장부재를 형성하는 필름의 진행방향과,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연마롤을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틸팅하여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은, 필름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진행 단계; 연마부가 상기 필름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필름 표면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연마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 방향과 20° 내지 60°각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마부는, 상기 필름에 패턴을 형성하는 연마벨트와, 상기 연마벨트를 회전시키는 제1 연마롤과 제2 연마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마롤의 회전축은, 상기 제1 방향과 각도가 40° 내지 50°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마롤의 회전속도는, 상기 필름의 진행속도보다 1.2 내지 1.7배 더 빠를 수 있다.
상기 필름의 진행속도는 8 내지 15m/min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마 단계는, 상기 연마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공기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필름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름은, 상기 연마부와 상기 공기공급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단계 이전에, 권취된 필름을 펼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 및 상기 연마 단계 이후에, 상기 필름을 권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마부는, 상기 필름 진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헤어라인이 형성된 필름을 강판에 라미네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강판은, 아연도금 강판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외장부재는, 수직방향의 길이가 1,500mm 이상이고, 강판과, 상기 강판에 라미네이트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판은, 아연도금 강판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름은, 상기 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필름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연마부의 진행방향이 20° 내지 60°각도로 교차하여 연마된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전면은 강판과, 상기 강판에 라미네이트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외장부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수직방향의 길이가 1,500mm 이상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의 진행 방향과 상기 연마롤의 진행방향을 교차하도록 배치하여, 기존 설비를 교체하지 않고도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을 필름에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마 단계에서 상기 필름이 상기 연마롤에 밀착되도록 공기압을 제공하는 공기공급 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연마 단계에서 필름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등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는 길이가 1,500mm이상되는 도어에도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외관 경쟁력이 상승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외장부재는 VCM 강판에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길이가 1,500mm 이상되는 도어에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VCM 강판에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외관 경쟁력이 상승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외형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도어용 강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외형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에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과 연마롤의 벡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외형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의 외형은 대략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도어(1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120)가 장착되며, 상기 도어(120)는 각각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한다.
상기 도어(120)는 닫혀 있는 상태에서 냉장고 전면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도어(120)의 상하방향 길이(L)는 대략 1500mm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120)는 PCM 강판 또는 VCM 강판으로 이루어져,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진 강판 대비 다양한 컬러 구현이 가능하며, 표면 광택 또는 무광 처리로 가공성이 향상되며 경제성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상기 VCM 강판은 아연도금 강판과, 상기 아연도금 강판 표면에 PVC 또는 PET 등의 비닐수지가 코팅된 필름층을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어(120)의 외관은 가로 방향(좌우 방향), 즉 횡방향으로 연장된 무늬가 가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에 나타나는 표면의 무늬가 세로 방향(상하 방향) 즉, 종방향으로 형성되면 휘도가 감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난반사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해, 상기 도어(120)의 표면 무늬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것에 비하여 휘도가 상승하게 되며, 난반사가 상쇄되어 디자인 감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도어(120)에 부착되는 강판은 도어(120)의 전면은 물론 상기 도어(120)의 외측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강판 위로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의 보호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을 따르는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은 냉장고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스타일러, 세탁기, 전기레인지, 오븐, 식기세척기, 후드 등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또는 건물의 내외부의 장식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 방향의 표면무늬가 형성된 강판은 강판의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 형성장치(200)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VCM 강판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에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과 연마롤의 벡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헤어라인 형성장치(200)는 상기 필름(21)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필름(21)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필름(21)을 상기 연마부(22)와 밀착되도록 공기를 밀어 넣어주는 공기공급 장치(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름(21)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 상기 연마부 및 상기 공기공급 장치(26)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아연 도금 강판 표면에 필름층을 형성하는 필름(21)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름(21)은 코일의 형태와 같이 권취되어, 연속적인 공급 및 가공이 가능한 상태로 준비된다.
한편, 상기 필름(21)은 표면무늬를 형성하는 공정에 앞서 펼쳐진 상태로 헤어라인 형성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다. 헤어라인 형성하는 공정 시작시, 권취된 상태의 상기 필름(21)은 구동부 회전에 의해, 일 방향(이하, 제 1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펼쳐진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필름(21)의 폭은 상기 도어(120)의 폭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며, 헤어라인 가공을 위해 상기 필름(21)을 풀어가면서 연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필름(21)의 폭(가로방향의 길이)은 도어(120)의 폭을 고려하여 선정되며, 규격의 제약상 일반적으로 1300mm를 넘지 않게 된다.
상기 연마부(22)는 연마벨트(23)와 제1 연마롤(24), 제2 연마롤(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벨트(23)에는 상기 필름(21)을 마주하는 표면에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수많은 다수의 연마립이 부착되거나, 미세한 그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의 패턴이 320 내지 400 Mesh를 갖는 연마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형성하고자 하는 헤어라인의 조도, 형태, 크기 등의 특성에 따라 다른 크기의 Mesh를 갖는 연마벨트도 활용 가능하다.
상기 연마벨트(23)는 상기 제1 연마롤(24)과 상기 제2 연마롤(25)에 감겨진 상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제2 연마롤(25)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2 연마롤(25)에서 풀려나온 연마벨트(23)가 상기 필름(21)에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제1 연마롤(24)과 제2 연마롤(25)은 상기 제1 방향(X)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마롤(24)과 제2 연마롤(25)의 회전축(Y)은 상기 제1 방향(X)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달리 설명하면, 상기 제1 연마롤(24)과 상기 제2 연마롤(25)은 소정 각도로 틸팅(Tilting)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에 헤어라인을 가공한다. 상기 제1 연마롤(24)과 상기 제2 연마롤(25)의 회전축(Y)은 필름(21) 단변에 대해 소정 각도로 틸팅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연마롤(25)의 회전축(Y)은 상기 필름(21)이 진행하는 제1 방향(X)과 20 내지 60°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마롤(24, 25)의 회전 속도와, 상기 필름(21)의 진행 속도를 고려하였을 때, 상기 연마롤(24, 25)은 상기 필름(21) 진행방향(X)과 상기 연마롤(24, 25) 회전축(Y)이 이루는 각도(θ)가 20° 내지 50° 각도, 또는 40° 내지 50° 각도, 또는 45°각도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연마롤(25)의 배치각도(θ)는, 상기 연마롤(24, 25)의 회전속도와, 상기 필름(21)을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달리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가 상기 연마롤(24, 25)의 회전속도보다 크게 되면, 상기 연마롤(24, 25)의 배치각도(θ)는 작아지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가 상기 연마롤(24, 25)의 회전속도 보다 작게 되면, 상기 연마롤(24, 25)의 배치각도(θ)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마롤(24, 25)의 회전속도 및 필름(21)의 진행 속도는 상기 연마롤(24, 25)의 배치각도(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치각도(θ)가 40°보다 더 작게되면, 상기 연마롤(24, 25)에서 상기 연마벨트(23)를 당기는 속도가 늦어지게 되어, 가공비가 떨어지게 되며, 가로방향의 헤어라인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치각도(θ)가 48°보다 더 크게 되면, 상기 연마롤(24, 25)이 회전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가로 헤어라인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필름(21)의 진행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생산속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마롤(24, 25)의 회전속도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 보다 약 1.2 내지 1.7배,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배 정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연마롤(24, 25)의 배치각도(θ)가 45°를 유지하여,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21) 진행방향의 속도는, 상기 배치각도(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례로 상기 배치각도(θ)가 45°일 때, 8 내지 15m/min,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3m/min의 속도로 진행하는 것이 상기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21)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연마롤(24)의 연마벨트(23)에 의해 상기 필름(21) 표면이 연마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름(21)은 제1 방향(X)으로 진행되면서 발생되는 힘의 방향 즉, 연마벡터와, 상기 연마롤(24, 25)이 배치각도(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롤(24, 25) 회전 방향에 따라 발생되는 힘의 방향(Y) 즉, 롤벡터의 합에 의해 상기 필름 진행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 즉, 제2 방향(Z)으로 헤어라인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필름(21)은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헤어라인 형성장치(200)는 상기 연마롤(24, 25)의 반대측에는 공기공급 장치(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 장치(26)는 상기 연마부(22)가 상기 필름(21) 표면을 연마하는 동안 상기 필름(21)이 상기 연마벨트(23)에 밀착될수 있도록, 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필름(21)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공급 장치(26)와 상기 연마부(22)는 상기 필름(21)을 사이에 둔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필름(21)은 스테인리스 소재 대비 강도가 약하여, 상기 필름(21)을 지지하기 위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백업롤 등으로, 상기 필름(21)을 지지하는 경우 상기 연마롤(24, 25)의 진동에 의해 상기 필름(21) 하면에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찢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 수단(26)은 상기 필름(21)이 상기 연마벨트(23)에 밀착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필름(21)이 연마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공기공급 장치(26)는 상기 필름(21)을 상기 연마부(2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21)에 공기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에어 컴프레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21)이 이동하면서 상기 연마부(22)에 의해 헤어라인이 가로방향(횡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필름(21)의 표면에 형성된 가공무늬는 상기 필름(21)의 진행방향, 즉 상기 필름(2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름(21)이 아연도금 강판에 라미네이트 된 VCM 강판이 상기 도어(120)에 장착되었을 때 가로방향, 즉 횡방향의 무늬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필름(21)을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와 연마부(22), 및 공기공급 장치(26) 등의 구성들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로 방향 헤어라인이 형성된 필름의 제조방법은, 필름(21)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S20) 상기 필름(21)이 상기 연마부(22)와 접촉하는 접촉 단계(S30), 상기 연마부(22)가 상기 필름(21)의 표면을 연마하여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연마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 단계(S30)는 상기 필름(21)이 상기 연마벨트(23)와 밀착되도록 공기 공급장치(26)에서 공기를 상기 필름(21)측으로 분사시켜 공기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마 단계이후, 상기 필름을 권취시키는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필름은 롤 투 롤(Roll to Rol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계 이전에, 권취된 필름을 펼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S10)와 상기 연마 단계 이후에, 상기 필름을 권취시키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계(S10) 접촉 단계(S20), 연마 단계(S30)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무늬 들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필름(21)을 기 설정된 길이보다 조금 더 이동시켜 하나의 연마롤(24, 25)에 불연속적인 복수개의 표면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22)는 필요에 따라, 1 내지 10 범위 내에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마 단계는 상기 필름이 순차적으로 연마부(22)의 연마롤(24, 25)을 거쳐 복수개의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마 단계(30) 이후, 표면에 지문, 이물질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내 지문 코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지문 코팅 단계는 아크릴 수지 용액과 같은 코팅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 용액을 기 설정된 온도와 시간으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21)은 소정의 길이가 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연마 단계를 거친 필름(21)은 권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필름(21)의 길이가 상기 도어(120)의 상하방향 길이와 대응하게 상하로 이동하는 절단기 등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21)은 상기 도어(120)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게 된다. 일례로, 상기 도 3에서돠 같은 냉장고에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120)의 길이가 1,500mm 이상, 또는 1,500 내지 2,500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필름(21)은 상기 아연도금 강판 표면에 라미네이트되어 VCM 강판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VCM 강판은 상기 냉장고 도어(120)에 부착되어, 냉장고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6)

  1. 필름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진행 단계;
    연마부가 상기 필름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필름 표면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연마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 방향과 20° 내지 60°각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필름에 패턴을 형성하는 연마벨트와,
    상기 연마벨트를 회전시키는 제1 연마롤과 제2 연마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마롤의 회전축은,
    상기 제1 방향과 각도가 40° 내지 50°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롤의 회전속도는,
    상기 필름의 진행속도보다 1.2 내지 1.7배 더 빠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진행속도는 8 내지 15m/min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단계는,
    상기 연마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공기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필름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연마부와 상기 공기공급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 이전에, 권취된 필름을 펼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 및
    상기 연마 단계 이후에, 상기 필름을 권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필름 진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이 형성된 필름을 강판에 라미네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아연도금 강판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제조방법.
  12. 수직방향의 길이가 1,500mm 이상이고,
    강판과,
    상기 강판에 라미네이트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아연도금 강판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필름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연마부의 진행방향이 20° 내지 60°각도로 교차하여 연마된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15. 본체;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전면은
    강판과, 상기 강판에 라미네이트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가로방향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외장부재에 의해 형성된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수직방향의 길이가 1,500mm 이상인 냉장고.
KR1020200096262A 2020-07-31 2020-07-31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15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62A KR20220015776A (ko) 2020-07-31 2020-07-31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62A KR20220015776A (ko) 2020-07-31 2020-07-31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776A true KR20220015776A (ko) 2022-02-08

Family

ID=8025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262A KR20220015776A (ko) 2020-07-31 2020-07-31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57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645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1057021B (zh) 金属涂膜纺织原料
CN105013685A (zh) 汽车保险杠喷涂工艺
CN105349961A (zh) 多辊多室卷绕镀膜装置
KR20220015776A (ko)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09934A (ko) 횡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1802B1 (ko) 칼라 강판 제조 방법
CN106978588A (zh) 一种蒸镀罩、蒸镀源、蒸镀装置及蒸镀方法
US11383492B2 (en) Outer plate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702967B2 (en) Metal plate, patterning apparatus and patterning method using the same
EP3447415B1 (en) Outer plate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61347B1 (ko) 박형 재료의 횡 방향 표면 스크래치 패턴 연속 가공 장치와 연속 가공 방법, 및 이를 통해 횡 방향 표면 스크래치 패턴이 가공된 박형 재료
CN104896845B (zh) 冰箱面板、冰箱门及冰箱
US20080156010A1 (en) Refrigerator
JPH06190335A (ja) 高鮮映性塗装金属板の製造方法
KR20080026327A (ko) 냉장고 도어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1501007B (zh) 具有正棱柱形主鼓的横向彩虹膜生产装置及其镀膜工艺
CN212335279U (zh) 具有正棱柱形主鼓的横向彩虹膜生产装置
TW200418580A (en) Protective layer forming material application system, object to be treated, strippable protective layer and method for protecting surface of object to be treated
KR100576648B1 (ko) 색상 원단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
US11650005B2 (en) Composite film for home appliance and refrigerator with composite film attached
KR100797989B1 (ko) 방향성 전기강판 코일의 에지부 고착 방지장치
KR20090045445A (ko) 주름형 피브이씨를 이용한 금속센딩을 구현한 필름 및 이를이용한 가전기기
JPH08252519A (ja) 板材の塗装方法
EP3563936A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