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594A -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594A
KR20200003594A KR1020180076555A KR20180076555A KR20200003594A KR 20200003594 A KR20200003594 A KR 20200003594A KR 1020180076555 A KR1020180076555 A KR 1020180076555A KR 20180076555 A KR20180076555 A KR 20180076555A KR 20200003594 A KR20200003594 A KR 2020000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vertical
base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656B1 (ko
Inventor
백훈성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에쓰에이오프쇼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쓰에이오프쇼어 filed Critical (주)에쓰에이오프쇼어
Priority to KR102018007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6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해양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해저면에 소정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 지지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지지대는 양단이 상기 수직 지지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브래킷은 상기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연결 지지대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해양 구조물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체인이 걸어져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해저면에 배치되어 해양 구조물을 고정시킴으로써 해양 구조물의 설치 작업 중 해양구조물의 유동으로 인한 연결불량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FIX SUPPORT APPARATUS FOR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구조물을 해저면에 지지 및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엘이엠(PLEM)은 해상 구조물인 자켓 플랫폼(Jacket platform)에 연결된 메인 파이프라인(Main Pipeline)과 해저 구조물 또는 브랜치 파이프라인(Branch Pipeline)이 연결되는 곳으로서, 해저(Subsea)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일종이다.
이러한 피엘이엠(PLEM)은 새로운 파이프라인이 시작되거나 다른 파이프라인을 수용하는 장치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파이프라인을 단속하거나 방향을 전환하는 밸브(Valve)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해양 구조물이란 육지와 연결된 어떤 구조도 갖지 않은 채, 어떤 날씨 조건 하에서도 해상이나 해저의 한 지점에 머물러 있을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
이와 같은 해양구조물은 통상 설치위치가 개별적으로 결정되지만,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다른 해양구조물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특정 해양구조물의 경우에는 다른 해양구조물과의 연결작업 등을 위해 다른 해양구조물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위치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육상까지 이어지는 해저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는 PLEM(Pipe Line End Manifold)과 같은 구조물은 해저 파이프라인과의 정확하고 신속한 연결작업을 위해 해저 파이프라인과 인접한 위치에 정확히 설치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PLEM이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지 않으면 해저 파이프라인을 PLEM에 연결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므로 통상 PLEM의 설치위치 오차율은 0.5m 이상을 벗어나지 않도록 정해진다. 뿐만 아니라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파이프라인을 PLEM에 연결시킬 때 해류 또는 진동에 의한 유동이 생기면 연결작업에 어려움이 따르고 연결불량을 초래한다.
다시 말해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해저 파이프라인을 PLEM에 연결시키는 작업을 진행할 때, 파이프라인이 해류에 의해 유동이 생기게 되면 파이프라인과 PLEM의 체결상태가 시간이 지나면서 느슨해져 결합이 풀리거나 이후 연결부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양 구조물의 연결하는 작업 중 해양 구조물을 고정시켜 해양 구조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해저에서 해양 구조물을 지지 및 고정하여 해양 구조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는 해저면에 배치되어 해양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로서, 해저면에 소정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 양단이 상기 수직 지지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 및 상기 수직 지지대 및 연결 지지대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해양 구조물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체인이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 지지대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보강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부를 향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닥 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판; 및 상기 이동지지판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 몸체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대는, 상부가 볼록한 아치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해양 구조물의 저면 일부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을 연결하는 작업 과정에서 고정지지대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해양구조물의 유동으로 인한 연결불량 및 파손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해저면의 특성상 표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해저면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바닥면이 내부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성이 있기 때문에 해저면에 기울어지지 않게 위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의 보조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의 보강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의 연결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는 해저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는 해양 구조물의 연결 작업 중 해양 구조물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에 고정되는 해양 구조물은 해저에 설치되는 구조물 중 파이프(1)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는 파이프(1)를 다른 파이프(1)와 연결할 때 파이프(1) 각각을 고정시키거나, 파이프(1)와 PLEM(Pipe Line End Manifold)을 연결할 때 파이프(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는 해저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지면과 수평방향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해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강성의 다수의 프레임이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해저면과 수평을 방향을 가지는 하나의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아래에서 설명할 복수의 수직 지지대(200)와 연결 지지대(300)가 설치되기 위한 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이 플레이트의 형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각각의 사이에는 침하방지플레이트(101)가 연결될 수 있다. 침하방지 플레이트(10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의 수평방향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침하방지플레이트(101)는 침하방지공(102)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침하방지공(102)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무게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침하방지공(102)은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를 해저로 이송 중 해수의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침하방지플레이트(101)와 침하방지공(102)로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0)로 인해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가 해저면에 위치될 때 또는 위치된 이후에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지만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에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20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200)의 일단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0)의 사이에는 파이프(1)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지지대(200)에는 파이프(1)위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래킷(50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수직 지지대(200)와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 지지대(300)로 구성된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의 사이에는 해양 구조물이 위치된 상태로 고정 브래킷(5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의 수직 지지대(200)는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가 구비된다.
수직 지지대(200)의 타단에는 수평 지지대(210)가 구비된다. 수평 지지대(210)의 양단은 각각 수직 지지대(200)의 상부와 연결된다. 수평 지지대(210)는 수직 지지대(200)의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수직 지지대(200)가 더욱 견고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지지대(200)의 상부에는 연결 지지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지지대(300)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0) 각각에 연결된 수직 지지대(20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지지대(300)는 수직 지지대(2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00) 각각에 연결된 수직 지지대(200) 타단(즉, 수직 지지대(20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평 지지대(210)는 수직 지지대(200) 각각의 상부 사이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고, 연결 지지대(300)는 서로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수직 지지대(200)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므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면에는 도시 되지 않았지만, 연결 지지대(300)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판 형태로 형성된 연결 지지대(300)는 해양 구조물(즉, 파이프(1))을 향해 낙하하는 낙하물과 같은 외부충격으로부터 해양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판 형태로 형성된 연결 지지대(300)에는 해류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대(300)는 상부가 볼록한 아치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 지지대(300)는 상부에 낙하물이 낙하하더라도 아치형이기 때문에 낙하물이 연결 지지대(300)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고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의 주변으로 흘러 내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아치형의 연결 지지대(300)는 낙하물을 외부로 흘려 보냄으로써 연결 지지대(300)에 낙하물의 하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200) 및 연결 지지대(300)의 내측에는 고정 브래킷(50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500)은 수직 지지대(200) 및 연결 지지대(300)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500)의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된 걸이공(501)에는 수직 지지대(200)의 사이에 위치되는 해양 구조물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체인(2)이 걸어져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대(300)에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은(500)은 밸런스 브래킷(5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밸런스 브래킷(510)의 연결 지지대(30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 브래킷(510)에 걸어진 고정체인(2)은 연결 지지대(300)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이프(1)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10)를 감싸 고정 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브래킷(510)에 걸어진 고정체인(2)에는 밸런스 추(520)가 구비될 수 있다. 밸런스 추(520)는 밸런스 브래킷(510)과 파이프(1)를 연결하는 고정체인(2)의 사이에 위치되어 파이프(1)가 흔들리지 않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밸런스 추(520)는 파이프(1) 및 고정체인(20)이 조류의 영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1) 연결작업 중 파이프(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인(2)은 복수 개의 링이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체인(2)의 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인(2)은 파이프(1)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후크를 통해 고정 브래킷(500)에 걸어질 수 있다.
고정 브래킷(500)은 수직 지지대(200) 및 연결 지지대(300) 각각의 내측에 복수개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체인(2)이 걸리는 고정 브래킷(500)의 위치를 변경하여 파이프(1)의 높이 및 위치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500)은 복수개 형성되어 다수의 고정체인(2)으로 고정 가능하기 때문에 파이프(1)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인(2)의 일단에 걸이공(501)이 형성되고, 고정 브래킷(500)이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인(2)은 꼬임 형태의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브래킷(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대(300)의 상부 또는 수직 지지대(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지지대(300)의 상부 또는 수직 지지대(200)의 상부에 형성 고정 브래킷(500)은 외부장치(즉, 견인 크레인) 등이 연결되어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를 진수 시키거나 회수 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는 보강 지지대(400)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 지지대(400)는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수직 지지대(200)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수직 지지대(2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강 지지대(4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수직 지지대(200)를 경사지게 연결하여 수직 지지대(200)를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지지대(200)는 보강 지지대(400)로 인해 연결 지지대(300)의 하중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지지대(400)와 베이스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보조 보강 지지대(420)가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보강 지지대(420)는 일단이 보강 지지대(420)에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보강 지지대(420)는 보강 지지대(40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보강 지지대(420)는 보강 지지대(400)의 하중을 가장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보강 지지대(400)와 직교하도록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조 보강 지지대(420)는 보강 지지대(400)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는 위에서 설명한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상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대 구조물은 해저면에 기 설치된 파이프(1)를 고정시키고,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는 상대 구조물에 고정된 파이프(1)에 연결될 새로운 파이프(1)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와 상대 구조물 각각의 일측에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와 상대구조물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조물연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조물연결부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와 상대 구조물 각각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턱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연결턱의 관통공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지지부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턱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브래킷(50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고정지지부재는 양단이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턱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구조물연결부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와 상대 구조물 사이를 연결고정 시킬 수 있다.
구조물연결부는 두 개의 파이프(1)가 서로 연결되는 작업이 수행될 동안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와 상대 구조물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파이프(1)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바닥 몸체(110)와 이동지지판(120) 및 탄성 지지체(130)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 몸체(110)에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11)은 바닥 몸체(110)의 하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몸체(110)의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지지판(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이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닥 몸체(110)의 수용공간(111)에는 이동지지판(1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지지판(120)은 바닥 몸체(110)의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닥 몸체(110)의 수용공간(111)에는 탄성 지지체(130)가 위치된다. 탄성 지지체(130)의 일단은 이동지지판(12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지지판(120)과 마주보는 수용공간(111)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지지체(130)는 이동지지판(120)을 멀어지는 방향(즉, 이동지지판(120)을 지면을 향해 밀어내는 방향)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형태가 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 경우에,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구성하는 프레임 각각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닥 몸체(110)와 이동지지판(120) 및 탄성 지지체(130)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지지판(120)은 탄성 지지체(130)의 탄성에 의해 바닥 몸체(11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해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가 해저면에 인장되면서 해저면과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저면 사이에 돌과 같은 장애물이 걸리게 되면 이동지지판(120)은 바닥 몸체(110)의 수용공간(111)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이동지지판(120)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장애물이 바닥 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가 장애물로 인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는 보조 지지대(600)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지지대(600)는 파이프(1)의 저면 일부를 지지하여 파이프(1)의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조 지지대(600)는 지지프레임(610)과 안착부재(620)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610)은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파이프(1)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610)은 복수개의 실린더로 형성되어 각각의 실린더가 내부로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610)은 파이프(1)가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파이프(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텔레스코픽 형태로 형성된 지지프레임(610)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610)의 타측에는 안착부재(620)가 연결될 수 있다.
안착부재(620)의 상면은 파이프(1)의 외주면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1)를 안착시킬 수 있다. 안착부재(620)의 상면에는 범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범퍼부재는 고무와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파이프(1)가 안착부재(620)에 안착될 때 충격을 감소시켜 파이프(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610)은 파이프(1)를 고정시키는 고정체인(2)이 높은 인장력으로 인해 파손되어도 보조적으로 파이프(1)를 지지하기 때문에 파이프(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수직 지지대(200)와 연결 지지대(300)로 구성된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의 사이에는 연결을 하기 위한 파이프(1)가 통과되어 위치된 상태로 고정 브래킷(5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10)는 해저면에서 기 설치된 파이프(1) 또는 PLEM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기 설치된 파이프(1) 또는 PLEM에 파이프(1)를 연결하는 작업이 수행될 동안 파이프(1)의 유동을 방지하고 파이프(1)를 견고하게 지지 및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100: 베이스 플레이트
200: 수직 지지대
300: 연결 지지대
400: 보강 지지대
500: 고정 브라켓

Claims (5)

  1. 해저면에 배치되어 해양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로서,
    해저면에 소정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
    양단이 상기 수직 지지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 및
    상기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연결 지지대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해양 구조물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체인이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 지지대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보강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부를 향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닥 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판; 및
    상기 이동지지판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지지판을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대는,
    상부가 볼록한 아치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5. 제1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해양 구조물의 저면 일부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KR1020180076555A 2018-07-02 2018-07-02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KR10207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555A KR102070656B1 (ko) 2018-07-02 2018-07-02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555A KR102070656B1 (ko) 2018-07-02 2018-07-02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594A true KR20200003594A (ko) 2020-01-10
KR102070656B1 KR102070656B1 (ko) 2020-01-29

Family

ID=6915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555A KR102070656B1 (ko) 2018-07-02 2018-07-02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0212A (zh) * 2020-08-21 2020-12-25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海洋电磁节点采集站的承重体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981U (ja) * 1982-07-08 1984-01-1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配管の支持拘束装置
KR20120004378U (ko) * 2010-12-10 2012-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대구경 연결파이프 설치용 지지대
JP3206865U (ja) * 2016-07-28 2016-10-06 和右 坂上 コンクリートシュート支持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6865B2 (ja) * 1995-07-03 2001-09-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電極ポスト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金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981U (ja) * 1982-07-08 1984-01-1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配管の支持拘束装置
KR20120004378U (ko) * 2010-12-10 2012-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대구경 연결파이프 설치용 지지대
JP3206865U (ja) * 2016-07-28 2016-10-06 和右 坂上 コンクリートシュート支持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0212A (zh) * 2020-08-21 2020-12-25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海洋电磁节点采集站的承重体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656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6447B1 (en) Vortex induced vibration suppression device and method
US9121529B2 (en) Method of laying a hybrid pipeline on the seabed
RU2008118153A (ru) Узел трубопровода, содержащий як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установки
AU2015202772A1 (en) Assembly for mooring a pile with a mooring line and method implemented with said assembly
EP0139438A1 (en) Offshore well head protector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1945549B2 (en) Method for installing a tension leg platform based floating object
KR102070656B1 (ko) 해양 구조물용 고정지지대
AU20182731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laying a submarine pipeline
BR112018070882B1 (pt) Método e sistema para instalar um oleoduto submarino em uma estrutura submarina
US9835270B2 (en) Pipeline termination arrangement
US9494257B2 (en) Device of the tensioner type for the controlled clamping and moving of an elongated element
GB2559095A (en) Apparatus for use in forming a bolted connection subsea
EP2467632B1 (en) An offshore s-lay pipelaying vessel
WO2005078325A1 (en) Device for protection of elongate element on a seabed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same
RU2707615C1 (ru) Система рам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US10465822B2 (en) Connection system for subsea pipelines
KR20200006844A (ko) 해저케이블 보호 장치
KR102260350B1 (ko) 사장식 수중터널 계류 장치 및 그 계류 방법
US20160258552A1 (en) Device for lowering or retrieval of a pipeline at the seabed
RU2667308C1 (ru) Способ балластировки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130078051A (ko) 해저 스풀 보호용 구조체
US202204025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thering a Subsea Structure
CN210270319U (zh) 地下输油管道施工检查用悬空光缆支撑装置
KR101422158B1 (ko)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KR101885521B1 (ko) 오탁방지막과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