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512A -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512A
KR20200003512A KR1020180076375A KR20180076375A KR20200003512A KR 20200003512 A KR20200003512 A KR 20200003512A KR 1020180076375 A KR1020180076375 A KR 1020180076375A KR 20180076375 A KR20180076375 A KR 20180076375A KR 20200003512 A KR20200003512 A KR 2020000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frame
discharge
uni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818B1 (ko
Inventor
이영록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8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10Manufacturing or assembling aircraft, e.g. ji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스너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기반으로 상기 파스너가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스너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상기 파스너의 헤드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 내부에서 신축되며 상기 파스너의 이송을 저지하는 이송 저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파스너의 훼손 및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여, 장비 고장 및 이로 인한 장비의 비가동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항공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FASTENER FEEDER FOR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스너를 자동 공급하는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에 대한 작업에서는 다양한 자동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항공기의 구조물을 접합하는 공정에서는 파스너 자동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접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파스너 공급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26000호(자동 파스너 공급기, 1998.08.05.)"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 고안에는 파스너를 수납하는 수납부로부터 파스너를 자동 인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파스너 공급장치는 파스너의 인출에서 파스너와 장치 간에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의 파스너 공급장치는 파스너에 훼손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장치에 파손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26000호(자동 파스너 공급기, 1998.08.05.)
본 발명의 목적은 파스너의 훼손 및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 공급유닛은 파스너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기반으로 상기 파스너가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스너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상기 파스너의 헤드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 내부에서 신축되며 상기 파스너의 이송을 저지하는 이송 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저지부는 공압을 기반으로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신장되며 스레드가 연결되는 상기 헤드의 일면에 접촉하여 상기 파스너가 상기 출구 외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스토퍼 및 공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서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헤드의 타면에 인접하여 상기 파스너가 상기 저장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헤드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헤드의 타면에 인접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의 타면에 인접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전진에서 상기 파스너를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스레드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 공급장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파스너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파스너 공급유닛 각각은 파스너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기반으로 상기 파스너가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스너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상기 파스너의 헤드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 내부에서 신축되며 상기 파스너의 이송을 저지하는 이송 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는 파스너의 훼손 및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여, 장비 고장 및 이로 인한 장비의 비가동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항공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공급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공급유닛의 이송 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공급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공급장치(1000)는 본체(100), 파스너 공급유닛(200), 및 공압 전달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본체(100)는 파스너 공급장치(1000)의 외형을 형성하며, 파스너(10)가 제공될 공급 대상물에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파스너(10)가 공급될 공급 대상물은 항공기, 또는 항공기의 구성요소일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 대상물은 한정하지 않는다.
파스너 공급유닛(20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각각이 본체(100)에 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파스너 공급유닛(200)은 본체(100)에 적층될 수 있으며, 저장된 파스너(10)가 본체(100)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때, 본체(100)로 제공되는 파스너(10)는 본체(100)를 통해 공급 대상물로 제공되거나 공급 대상물에 체결 또는 삽입될 수 있다.
공압 전달유닛(300)은 복수 개의 파스너 공급유닛(200) 각각으로 공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공압 전달유닛(300)은 컴프레서로 마련될 수 있으나, 공압 전달유닛(30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파스너 공급유닛(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공급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공급유닛(200)은 저장부(210)를 포함한다.
저장부(210)는 파스너 공급유닛(2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저장부(210)는 저장본체(211) 및 저장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본체(211)는 지지프레임(211a), 하부 플레이트(211b) 및 상부 플레이트(211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11a)은 저장부(210)의 측벽을 형성하며, 복수 개의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211b)는 지지프레임(211a)의 하부에 연결되어 저장부(210)의 밑면을 형성하고, 상부 플레이트(211c)는 지지프레임(211a)의 상부에 연결되어 저장부(210)의 상부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211c)는 저장부(210)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작업자가 저장부(210) 내부의 파스너(10)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저장모듈(212)은 저장본체(211) 내부에 지지된다.
저장모듈(212)은 튜브 형태로 마련되어 내부에 복수 개의 파스너(10)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저장모듈(212)은 일단(이하, 유입단이라 칭한다.)과 타단(이하, 유출단이라 칭한다.)이 지지프레임(211a)을 통해 저장본체(211)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212)은 파스너(10)의 저장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저장본체(211) 내부에 트랙(Track)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파스너(10) 잔여량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저장모듈(212)의 유입단에는 유입부(213)가 마련된다.
유입부(213)는 저장모듈(212)의 유입단이 개폐되도록 한다. 이에, 파스너(10)는 유입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모듈(2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부(213)에는 공압 전달유닛(300)이 연결되어 공압 전달유닛(300)으로부터의 공압이 저장모듈(212) 내부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에, 저장모듈(212) 내측에 배치된 파스너(10)는 공압을 기반으로 유입단을 향해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모듈(212)의 유출단에는 배출부(214)가 마련된다.
배출부(214)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내부에 저장모듈(212)로부터 파스너(10)가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배출부(214)는 본체(100)에 연결되어 저장모듈(212)로부터 배출되는 파스너(10)가 본체(100)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배출부(214)에는 파스너(10) 이송을 저지시키기 위한 이송 저지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송 저지부(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공급유닛의 이송 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저지부(400)는 배출부(214)로 제공되는 파스너(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저지부(400)는 공압 전달유닛(300)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기반으로 작동되는 제1 스토퍼(410) 및 제2 스토퍼(4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스토퍼(410)는 제1 프레임(411) 및 제2 프레임(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411)은 헤드를 갖는 핀 형태로 마련되어, 배출부(214)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프레임(411)의 전단은 모따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1 프레임(411)의 두께는 대략 4~5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411)의 후단에는 제1 지지모듈(411a)이 연결된다. 제1 지지모듈(411a)은 배출부(214) 측벽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지지모듈(411a)은 공압 전달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기반으로 제1 프레임(411)이 배출부(214)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거나,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모듈(411a)은 제1 지지체(411aa) 및 제1 탄성체(411a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체(411aa)는 배출부(214) 외측벽에 마련되어 공압 전달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체(411aa)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압이 제공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탄성체(411ab)는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제1 지지체(411aa)와 제1 프레임(411)을 연결한다. 이에, 제1 지지모듈(411a)은 공압이 제공될 때에 제1 프레임(411)이 전진하는 힘에 의해 제1 탄성체(411ab)가 신장되며 제1 프레임(411)이 배출부(214) 내측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하고, 공급이 차단될 때에 제1 탄성체(411ab)의 수축에 따라 제1 프레임(411)이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프레임(412)은 제1 프레임(4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2 프레임(412)은 헤드를 갖는 핀 형태로 마련되어 배출부(214)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2 프레임(412)의 전단은 모따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2 프레임(412)의 두께는 대략 4~5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프레임(412)의 후단에는 제2 지지모듈(412a)이 연결된다. 제2 지지모듈(412a)은 제2 지지모듈(412a)에 마주하도록 배출부(214) 측벽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지지모듈(412a)은 공압 전달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기반으로 제2 프레임(412)이 배출부(214)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거나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모듈(412a)은 제2 지지체(412aa) 및 제2 탄성체(412a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체(412aa)는 배출부(214) 외측벽에 마련되어 공압 전달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체(412aa)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압이 제공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체(412ab)는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제2 지지체(412aa)와 제2 프레임(412)을 연결한다. 이에, 제2 지지모듈(412a)은 공압이 제공될 때에 제2 프레임(412)이 전진하는 힘에 의해 제2 탄성체(412ab)가 신장되며 제2 프레임(412)이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하고, 공급이 차단될 때에 제2 탄성체(412ab)의 수축에 따라 제2 프레임(412)이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지지모듈(411a)과 제2 지지모듈(412a)은 공압 전달유닛(300)에 함께 연결되어 제1 프레임(411)과 제2 프레임(412)의 전진 및 후퇴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스토퍼(420)는 제1 스토퍼(410)와 저장부(2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스토퍼(420)는 제3 프레임(421) 및 제4 프레임(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421)은 제1 프레임(411)과 제2 프레임(412)에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3 프레임(421)은 헤드를 갖는 핀 형태로 마련되어 배출부(214)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3 프레임(421)의 전단은 모따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3 프레임(421)의 두께는 4~5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프레임(421)의 후단에는 제3 지지모듈(421a)이 연결된다. 제3 지지모듈(421a)은 제1 지지모듈(411a)과 제2 지지모듈(412a)에 교차하도록 배출부(214) 측벽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3 지지모듈(421a)은 공압 전달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기반으로 제3 프레임(421)이 배출부(214)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거나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지지모듈(421a)은 제3 지지체(421aa) 및 제3 탄성체(421a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체(421aa)는 배출부(214) 외측벽에 마련되어 공압 전달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지지체(421aa)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압이 제공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탄성체(421ab)는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제3 지지체(421aa)와 제3 프레임(421)을 연결한다. 이에, 제3 지지모듈(421a)은 공압이 제공될 때에 제3 프레임(421)이 전진하는 힘에 의해 제3 탄성체(421ab)가 신장되며 제3 프레임(421)이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하고, 공급이 차단될 때에 제3 탄성체(421ab)의 수축에 따라 제3 프레임(421)이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4 프레임(422)은 제3 프레임(421)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4 프레임(422)은 헤드를 갖는 핀 형태로 마련되어 배출부(214)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4 프레임(422)의 전단은 모따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4 프레임(422)의 두께는 대략 4~5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프레임(422)의 후단에는 제4 지지모듈(422a)이 연결된다. 제4 지지모듈(422a)은 제3 지지모듈(421a)에 마주하도록 배출부(214) 측벽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4 지지모듈(422a)은 공압 전달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기반으로 제4 프레임(422)이 배출부(214)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거나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지지모듈(422a)은 제4 지지체(422aa) 및 제4 탄성체(422a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지지체(422aa)는 배출부(214) 외측벽에 마련되어 공압 전달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지지체(422aa)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압이 제공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탄성체(422ab)는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제4 지지체(422aa)와 제4 프레임(422)을 연결한다. 이에, 제4 지지모듈(422a)은 공압이 제공될 때에 제4 프레임(442)이 전진하는 힘에 의해 제4 탄성체(422ab)가 신장되며 제4 프레임(422)이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하고, 공급이 차단될 때에 제4 탄성체(422ab)의 수축에 따라 제4 프레임(422)이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3 지지모듈(421a)과 제4 지지모듈(422a)은 공압 전달유닛(300)에 함께 연결되어 제3 프레임(421)과 제4 프레임(422)의 전진 및 후퇴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송 저지부(400)와 공압 전달유닛(300) 사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공압 전달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제1 스토퍼(410)와 제2 스토퍼(420)에 제공하여 제1 스토퍼(410)와 제2 스토퍼(420)의 동작이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파스너 공급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공급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유입단을 통해 복수 개의 파스너(10)가 저장모듈(212)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스레드(11)가 전방을 향하고 헤드(12)가 후방을 향하도록 파스너(10)를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파스너 공급유닛(200)을 본체(100)에 장착한다. 이에, 파스너 공급유닛(200)의 유입부(213)와 배출부(214)에는 공압 전달유닛(300)이 연결된다.
이후, 작업자는 공급 대상물로 파스너(10)를 공급하기 위한 명령을 파스너 공급장치(1000)에 입력한다.
이에, 제1 스토퍼(410)로 공압이 제공되며, 제1 프레임(411)과 제2 프레임(412)이 배출부(214)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S100). 이때, 저장모듈(212)로 공압이 제공되고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파스너(10)는 배출부를 향해 이송한다. 그리고 배출부(214)로 이송되는 파스너(10)는 전진된 제1 프레임(411)과 제2 프레임(412)에 헤드의 일면이 접촉되며 이송이 정지된다(S200). 여기서, 제1 프레임(411)과 제2 프레임(412)의 전단은 스레드에 접촉되지 않고 각각이 스레드(11)로부터 1mm의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 프레임(411)과 제2 프레임(412)이 스레드(11)에 접촉되지 않는 바, 파스너(10)에 훼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411)과 제2 프레임(412)이 대략 4~5mm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어, 파스너(10)와 프레임 간의 충격에 의해 프레임에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411)과 제2 프레임(412)에 의해 파스너(10)의 전진이 제한되면 공압 전달유닛은 제2 스토퍼(420)로 공압을 제공한다. 이에, 제3 프레임(421)과 제4 프레임(422)이 배출부(214)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S300) 이때, 제3 프레임(421)과 제4 프레임(422)은 헤드의 타면에 인접하도록 전진하게 되어, 배출부(214) 내부로 유입되는 공압에 따라 파스너(10)가 후퇴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후, 제1 스토퍼(410)로 제공되는 공압이 정지되며 제1 프레임(411)과 제2 프레임(412)이 최초 자세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본체(100)는 정지된 파스너(10)를 배출부(214)로부터 배출하여, 공급 대상물로 제공한다(S400).
이후, 제2 스토퍼(420)로 제공되는 공압이 정지되며 제3 프레임(421)과 제4 프레임(422)이 최초 자세로 복귀하게 되고, 제1 스토퍼(410)로 재차 공압이 제공되며 후속 파스너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는 파스너의 훼손 및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여, 장비 고장 및 이로 인한 장비의 비가동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항공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파스너
1000 : 파스너 공급장치
100 : 본체
200 : 파스너 공급유닛
300 : 공압 전달유닛
400 : 이송 저지부

Claims (5)

  1. 파스너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기반으로 상기 파스너가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스너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상기 파스너의 헤드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 내부에서 신축되며 상기 파스너의 이송을 저지하는 이송 저지부를 포함하는 파스너 공급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저지부는
    공압을 기반으로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신장되며 스레드가 연결되는 상기 헤드의 일면에 접촉하여 상기 파스너가 상기 출구 외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스토퍼 및
    공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서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헤드의 타면에 인접하여 상기 파스너가 상기 저장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공급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헤드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헤드의 타면에 인접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의 타면에 인접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공급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전진에서
    상기 파스너를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스레드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공급유닛.
  5.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파스너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파스너 공급유닛 각각은
    파스너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기반으로 상기 파스너가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스너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상기 파스너의 헤드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 내부에서 신축되며 상기 파스너의 이송을 저지하는 이송 저지부를 포함하는 파스너 공급장치.
KR1020180076375A 2018-07-02 2018-07-02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 KR10208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75A KR102088818B1 (ko) 2018-07-02 2018-07-02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75A KR102088818B1 (ko) 2018-07-02 2018-07-02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512A true KR20200003512A (ko) 2020-01-10
KR102088818B1 KR102088818B1 (ko) 2020-04-23

Family

ID=6915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375A KR102088818B1 (ko) 2018-07-02 2018-07-02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8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5921B2 (ja) * 1988-07-08 1997-07-02 神鋼電機株式会社 振動部品供給機
KR19980026000A (ko) 1996-10-07 1998-07-15 배순훈 밀폐형 압축기용 토출밸브
JP6198743B2 (ja) * 2012-09-28 2017-09-2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作業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5921B2 (ja) * 1988-07-08 1997-07-02 神鋼電機株式会社 振動部品供給機
KR19980026000A (ko) 1996-10-07 1998-07-15 배순훈 밀폐형 압축기용 토출밸브
JP6198743B2 (ja) * 2012-09-28 2017-09-2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作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818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8305B2 (en) Water jet-processing machine
US20060258521A1 (en) Air valve coupl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70156243A1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KR20160108142A (ko) 도어 개폐 장치
JP5851598B2 (ja) 切削装置の保持具
US20180138060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20100124814A (ko) 도장 로봇 및 그 작동방법
CN107492513B (zh) 液处理装置、液处理方法以及存储介质
US9050671B2 (en) Electrode holder for EDM coupled to a milling machine
CN104661791B (zh) 作业装置
DE102016200272A1 (de) Fördervorrichtung
KR20200003512A (ko) 항공기 파스너 공급장치
KR102083351B1 (ko) 비전 테이블 모듈 및 비전 테이블 장치
KR20230142170A (ko) 핀 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212314898U (zh) 一种防掉落吸取治具
KR100993700B1 (ko) 공작기계용 공구 밀착 장치
CN108144876B (zh) 气体喷射机构以及分选装置
US20100263508A1 (en) Cutting apparatus employing high pressure fluid jet
KR100273696B1 (ko) 반도체패키지용반도체칩이젝션방법및그장치
JP7263618B2 (ja) 乾燥装置、およびノズル乾燥方法
JPH07314279A (ja) 立型マシニングセンタ用の自動工具交換装置
KR102318029B1 (ko) 유량 테스트 수단을 포함하는 퍼지가스 공급장치
JP2006144926A (ja) 流体カプ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加工機
KR20130063402A (ko) 반도체 제조 장치
KR101156211B1 (ko) 핀 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