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095A - 리포트 송신 방법, 리포트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포트 송신 방법, 리포트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095A
KR20200003095A KR1020197035300A KR20197035300A KR20200003095A KR 20200003095 A KR20200003095 A KR 20200003095A KR 1020197035300 A KR1020197035300 A KR 1020197035300A KR 20197035300 A KR20197035300 A KR 20197035300A KR 20200003095 A KR20200003095 A KR 20200003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relay
rlf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471B1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분야에 관한 리포트 송신 방법, 리포트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RLF 발생 시, 단말기가 RLF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 -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 단말기가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단말기 정보 요청은 단말기가 생성한 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단말기가 접속망 기기에 RLF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속망 기기는 RLF 리포트에 따라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인식할 수 있어, 후속적으로 무선 환경에 기반하여, 접속된 단말기에 대해 최적화 관리를 진행함으로써, 단말기의 접속 품질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리포트 송신 방법, 리포트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포트 송신 방법, 리포트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는 무선 링크(Radio Link, RL)를 통해 통신한다.
RL 품질이 좋지 않거나 악화될 경우, 단말기는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 메커니즘을 트리거하여, 기지국과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재구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진행하고, 연결이 재구축된 후,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재구축 완료(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메시지에서, 단말기에 RLF 리포트가 저장되어 있음을 식별한다. 기지국은 단말기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을 송신하는 방식으로 단말기가 RLF 리포트를 보고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상기 RLF 리포트로부터 RLF 발생 원인을 획득한다.
주파수 스펙트럼 이용률 및 네트워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 D2D(Device-to-Device) 기술을 도입하였고, 상기 기술을 통해, 단말기는 기지국과 직접 연결 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계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RLF 메커니즘은 단말기와 기지국의 직접 연결된 시나리오에서만 적용 가능하고, 단말기와 중계가 서로 연결된 시나리오에서는 적용 불가능하다.
관련 기술에서의 단말기와 중계가 서로 연결된 시나리오에 적용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리포트 송신 방법, 리포트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RLF 발생 시, 단말기가 RLF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기가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은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RLF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포트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RLF 리포트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태 식별자는 RLF 발생 시 무선 환경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 상태는 중계 연결 상태 및 직접 연결 상태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1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서빙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및/또는,
상기 단말기의 주소 정보;
및/또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1 링크 품질 정보;
및/또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2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2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인접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접 중계 기기는 상기 단말기와 인접하고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제 3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링크 품질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및/또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RSRQ)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포트 송신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중계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무선 환경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제 1 무선 환경 정보 및 제 2 무선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무선 환경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중계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접속망 기기가 단말기에 단말기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은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무선 링크 실패(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상기 RLF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포트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RLF 리포트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태 식별자는 RLF 발생 시 무선 환경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 상태는 중계 연결 상태 및 직접 연결 상태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1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서빙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및/또는,
상기 단말기의 주소 정보;
및/또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1 링크 품질 정보;
및/또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2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2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인접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접 중계 기기는 상기 단말기와 인접하고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제 3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링크 품질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 품질은 RSRP 및/또는 RSRQ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포트 수신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무선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연결 상태의 각각의 단말기에 의해 리포팅되고,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제 1 무선 환경 정보 및 제 2 무선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무선 환경 정보는 단말기와 중계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RLF 리포트와 상기 무선 환경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기에 중계 기기를 다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포함하는 리포트 송신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닛은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송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포함하는 리포트 수신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닛은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메모리,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지시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송신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6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메모리,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접속망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지시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수신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7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및 접속망 기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는 제 3 양태에 따른 리포트 송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 4 양태에 따른 리포트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8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및 접속망 기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는 제 5 양태에 따른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 6 양태에 따른 접속망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9 양태에 따르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송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0 양태에 따르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유리한 효과는 하기와 같다.
단말기는 RLF 발생 후,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지시하는 RLF 리포트를 생성하고,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RLF 리포트를 접속망 기기에 송신하여, 접속망 기기가 상기 RLF 리포트에 기반하여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적으로 상기 무선 환경에 기반하여 다른 접속된 단말기에 대해 최적화 관리를 진행함으로써, 단말기의 접속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설명에 사용되는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송신 방법의 방법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송신 방법의 방법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송신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수신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접속망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장점이 보다 명확해지도록, 아래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문에서 언급된 “모듈”은 일반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의미하고, 본문에서 언급된 “유닛”은 일반적으로 논리에 따라 구획된 기능성 구조를 의미하며, 상기 “유닛”은 하드웨어로만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문에서 언급된 “다수”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및/또는”은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것으로,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만 존재하는 3가지 경우를 의미한다.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이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LTE 시스템일 수 있거나,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이라고도 불리우는 5G 시스템일 수도 있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접속망 기기(120), 중계 기기(140) 및 단말기(160)를 포함한다.
접속망 기기(120)는 기지국일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수신된 무선 프레임과 IP 패킷 메시지를 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공중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를 조화롭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LTE 중의 에볼루션 기지국(eNB 또는 e-NodeB, evolutional Node B), 또는 5G 시스템에서 중앙 분산식 구조를 사용한 기지국일 수 있다. 접속망 기기(120)가 중앙 분산식 구조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중앙 유닛(central unit, CU) 및 적어도 2개의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포함한다. 중앙 유닛에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의 프로토콜 스택이 설치되고, 분산 유닛에는 물리적 계층(Physical, PHY) 프로토콜 스택이 설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접속망 기기(120)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더 한정하지 않는다.
중계 기기(140)와 접속망 기기(120)는 무선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연결을 구축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공중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이다. 선택 가능하게, 중계 기기(140)는 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5G) 표준에 기반, 또는 5G의 다음 세대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 표준에 기반의 무선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망 기기(120)에 접속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중계 기기(140)는 중계(relay)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계 기기(140)는 단말기(160)와 접속망 기기(120) 사이의 중계로 되고, 또한 PC5 인터페이스와 같은 D2D 표준에 부합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중계 기기(14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접한 기기와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 기기(140)는 PC5 중계 단말기(PC5 relay UE)이다.
단말기(160)는 사용자에게 언어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고, 단말기(160)는 원격 단말기(remote UE)로 불리울 수도 있다. 단말기(160)는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을 통해 하나 또는 다수의 핵심망과 통신할 수 있고, 단말기(160)는 휴대폰(또는 “셀룰러”폰이라고도 함”과 같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컴퓨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휴대용, 포켓용, 핸디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탑재형 이동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원격 단말기(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기(Access Terminal), 사용자 장치(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기기(User Device), 또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160)는 PC5 인터페이스와 같은 D2D 표준에 부합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단말기(16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접한 중계 기기(140)와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망 기기(120)에는 중계 기기(140)와 단말기(160) 사이의 컨텍스트(context)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송신 방법 및 리포트 수신 방법은, 단말기(160)가 중계 연결 상태(중계 기기(140)를 통해 접속망 기기(120)와 통신함)에서 RLF가 발생하여 직접 연결 상태에서 접속망 기기(120)와 연결을 재구축하고 접속망 기기(120)에 RLF 리포트를 제공하는 상황에 적용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접속망 기기(120), 및/또는, 다수의 중계 기기(140), 및/또는, 다수의 단말기(160)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접속망 기기, 중계 기기 및 단말기의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송신 방법의 방법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리포트 송신 방법이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리포트 송신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RLF 발생 시, 단말기는 RLF 리포트를 생성하고,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선행기술에서의 단말기가 생성한 RLF 리포트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생성한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원인(rlf-Cause)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관련 정보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무선 환경 관련 정보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태 식별자는 RLF 발생 시 무선 환경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 상태는 중계 연결 상태 및 직접 연결 상태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접속망 기기가 직접 연결될 경우, 상기 직접 연결 상태는 Uu 직접 연결 상태이다. 단말기가 중계 기기를 통해 접속망 기기와 중계 연결될 경우, 상기 중계 연결 상태는 PC5 중계 연결 상태이다. 상이한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연결 상태 및 직접 연결 상태는 상이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RLF 리포트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베어링하여 저장하기 위한 기설정된 필드를 포함하고, RLF 리포트에서의 상기 기설정된 필드의 위치는 접속망 기기와 미리 약정한다. RLF 리포트가 생성될 경우, 단말기는 상응한 연결 상태 식별자를 상기 기설정된 필드에 기입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중계 연결 상태에서 RLF 발생 시, 단말기는 상기 기설정된 필드의 연결 상태 식별자를 1로 설정하고, 단말기가 직접 연결 상태에서 RLF 발생 시, 단말기는 상기 기설정된 필드의 연결 상태 식별자를 0으로 설정한다.
단말기가 RLF 리포트를 생성하는 타이밍에 있어서,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직접 연결 상태에서, T310 시간 초과가 발생할 경우(단말기가 비동기 상태로부터 적시에 복원되지 못함), 또는, T320 시간 초과가 발생할 경우(단말기가 비동기 상태로부터 적시에 복원되지 못하고 측정된 리포트가 이미 송신됨), 또는, 랜덤 액세스 실패, 또는, 무선 연결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재구축 실패할 경우, 단말기는 RLF 발생을 결정하고, 직접 연결 상태에서의 단말기의 RLF 발생을 지시하는 RLF 리포트를 생성한다.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중계 연결 상태에서, RLC 재전송 실패가 발생하거나,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이 악화됨을 검출하거나, 접속망 기기와의 링크의 링크 품질이 악화됨을 검출할 경우, 단말기는 RLF 발생을 결정하고, 중계 연결 상태에서의 단말기의 RLF 발생을 지시하는 RLF 리포트를 생성한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기가 중계 연결 상태에서 RLF 발생 시, RLF 리포트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시에, RLF 발생 전에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중계 기기의 중계 정보, 및/또는 단말기가 무선 환경에 위치하는 다른 중계 기기(비 서빙 중계 기기)의 중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202에서, 접속망 기기는 단말기에 단말기 정보 요청을 송신하고, 단말기 정보 요청은 단말기가 생성한 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기가 RLF 발생을 결정한 후, 접속망 기기와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재구축을 진행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기는 중계 연결 상태에서 RLF가 발생하고 직접 연결 상태에서 접속망 기기와 연결을 재구축한다. 또는, 단말기는 중계 연결 상태에서 RLF가 발생하고 중계 연결 상태에서 접속망 기기와 연결을 재구축한다. 또는, 단말기는 직접 연결 상태에서 RLF가 발생하고 중계 연결 상태에서 접속망 기기와 연결을 재구축한다. 또는 단말기는 직접 연결 상태에서 RLF가 발생하고 직접 연결 상태에서 접속망 기기와 연결을 재구축한다. 아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중계 연결 상태에서 RLF가 발생하고 직접 연결 상태에서 접속망 기기와 연결을 재구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속적으로 접속된 단말기에 대한 최적화 관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접속망 기기로 하여금 RLF 발생의 구체적인 원인을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단말기는 연결을 재구축한 후,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재구축 완료 메시지에, RLF 메시지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음을 표기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기는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재구축 완료(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에 rlf-InfoAvailable 식별자를 설정하여 단말기에 RLF 리포트가 저장되어 있음을 표기한다.
상응하게, 접속망 기기는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재구축 완료 메시지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인식한 후, 접속망 기기에 단말기 정보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가 생성한 RLF 메시지를 획득하도록 요청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접속망 기기는 단말기에 단말기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을 송신하고, 단말기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의 rlf-ReportReq-r9가 TRUE인 것으로 설정한다.
단계203에서, 단말기는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204에서, 단말기는 접속망 기기에 RLF 리포트를 송신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rlf-ReportReq-r9가 TRUE인 것으로 인식될 경우, 단말기는 접속망 기기에 단말기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을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은 생성된 RLF 리포트를 포함한다.
단계205에서, 접속망 기기는 단말기가 송신한 RLF 리포트를 수신한다.
접속망 기기가 RLF 리포트를 수신한 후, 상기 RLF 리포트를 해석함으로써,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에 따라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결정하여, 유사한 무선 환경에 위치하는 다른 단말기에 대해 최적화 관리를 진행함으로써, 이러한 단말기의 접속 품질을 향상시킨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접속망 기기와 단말기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베어링하기 위한, RLF 리포트의 기설정된 필드를 미리 약정한다. RLF 리포트를 수신한 후, 단말기는 기설정된 필드에서의 연결 상태 식별자를 해석함으로써, RLF 발생 전에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필드에서의 연결 상태 식별자가 1인 것으로 해석될 경우, 접속망 기기는 단말기가 중계 연결 상태에서 RLF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한다. 기설정된 필드에서의 연결 상태 식별자가 0인 것으로 해석될 경우, 접속망 기기는 단말기가 직접 연결 상태에서 RLF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해석된 연결 상태 식별자가 단말기가 중계 연결 상태에서 RLF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경우, 접속망 기기는 RLF 리포트에 포함된 중계 정보를 더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중계 기기의 중계 정보, 및/또는 단말기가 무선 환경에 위치하는 다른 중계 기기(비 서빙 중계 기기)의 중계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RLF 발생 후,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지시하는 RLF 리포트를 생성하고,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RLF 리포트를 접속망 기기에 송신하여, 접속망 기기가 상기 RLF 리포트에 기반하여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적으로 상기 무선 환경에 기반하여 다른 접속된 단말기에 대해 최적화 관리를 진행함으로써, 단말기의 접속 품질을 향상시킨다.
수신된 RLF 리포트에 기반하여, 접속망 기기는 중계 연결 상태에서 RLF가 발생하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RLF 리포트를 수신한 후, 접속망 기기는 각각의 단말기(중계 연결 상태에 있고 RLF가 발생하지 않음)가 리포팅한 무선 환경 정보를 더 획득하며, 상기 무선 환경 정보에 의해 지시된 무선 환경과 RLF가 발생하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이 유사한 것으로 검출될 경우(RLF가 발생할 가능성이 큼), 단말기를 현재 연결된 중계 기기로부터 주동적으로 차단시키고, 상기 단말기를 위해 다시 중계 연결을 구축한다. 아래 예시적인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송신 방법의 방법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리포트 송신 방법이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리포트 송신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서, 중계 연결 상태일 경우, 단말기는 접속망 기기에 무선 환경 정보를 리포팅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제 1 무선 환경 정보 및 제 2 무선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무선 환경 정보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에서) 단말기와 중계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 2 무선 환경 정보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에서)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무선 환경 정보는 PC5 중계 환경 정보이고, 선택 가능하게, 상기 PC5 중계 환경 정보는 서빙 중계 기기(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와 무선 연결을 구축하고,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함)의 식별자 및 비 서빙 중계 기기(단말기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PC5 중계 환경 정보는 단말기와 서빙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비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또는 단말기와 각각의 비 서빙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응하게, LTE 시스템에서, 상기 제 2 무선 환경 정보는 Uu 중계 환경 정보이고, 상기 Uu 중계 환경 정보는 서빙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단말기가 접속망 기기에 리포팅한 무선 환경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다.
서빙 중계 기기 비 서빙 중계 기기
PC5 링크 품질 Uu 링크 품질
ZJ0001 ZJ0002, ZJ0003, ZJ0004 RSRP: -80dbm
RSRQ: 10dB
RSRP: -75dbm
RSRQ: 12dB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기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제 1 무선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위해 서빙하는 중계 기기가 리포팅한 제 2 무선 환경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가 무선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302에서, 접속망 기기는 각각의 단말기가 리포팅한 무선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응하게, 접속망 기기는 각각의 단말기가 리포팅한 무선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후속적으로 호출에 사용하도록 단말기와 무선 환경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한다.
단계303에서, RLF 발생 시, 단말기는 RLF 리포트를 생성하고,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접속망 기기가 RLF 발생과 RLF 미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를 검출하도록,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기가 생성한 RLF 리포트는RLF 발생 시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지시하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외에, 단말기가 RLF 발생 전에 이를 위해 서비스한 서빙 중계 기기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정보를 제 1 중계 정보로 하여 RLF 리포트에 추가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단말기가 중계 연결 상태일 경우,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은 적어도 하나의 중계 기기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계 기기 중 하나의 중계 기기는 단말기와 무선 연결을 구축하며, 단말기의 중계로서 접속망 기기와 통신하고, 상기 중계 기기는 서빙 중계 기기이고, 나머지 인접한 중계 기기는 인접 중계 기기(비서비스)이다. 단말기는 RLF 발생 전에(예를 들어, 금방 중계 연결 상태에 진입함) 상기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주소 정보는 서빙 중계 기기가 위치하는 셀의 셀 식별자이다.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33)가 RLF 발생 전에 위치하는 무선 환경은 이를 위해 서빙하는 중계 기기(32b) 및 인접한 중계 기기(32a) 및 중계 기기(32c)(이를 위해 서빙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단말기(33)는 RLF 발생 전에 상기 중계 기기(32b)의 주소 정보를 획득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RLF 발생 전에 PC5 relay UE의 주소 정보를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로 한다.
2. 단말기의 주소 정보.
접속망 기기가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단말기는 자체의 주소 정보를 제 1 중계 정보로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RLF 발생 전에 remote UE의 주소 정보를 단말기의 주소 정보로 한다.
3. 서빙 중계 기기와 단말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1 링크 품질 정보.
접속망 기기가 단말기와 서빙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 상황을 알 수 있도록, 단말기는 서빙 중계 기기와 무선 연결을 구축한 후, 단말기는 서빙 중계 기기와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수집하고, 상기 링크 품질을 제 1 링크 품질 정보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 품질은 RSRP 및/또는 RSRQ 등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33)는 중계 기기(32b)와의 링크의 RSRP 및 RSRQ를 수집하고, 이를 제 1 링크 품질 정보로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PC5 relay UE와의 PC5링크의 링크 품질을 제 1 링크 품질 정보로 한다.
4. 서빙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2 링크 품질 정보.
접속망 기기가 서빙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 상황을 알 수 있도록, 단말기는 서빙 중계 기기를 통해 접속망 기기와 무선 연결을 구축한 후, 단말기는 서빙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획득하고, 상기 링크 품질을 제 2 링크 품질 정보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 품질은 RSRP 및/또는 RSRQ 등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33)는 중계 기기(32b)와 접속망 기기(31) 사이의 링크의 RSRP 및 RSRQ를 획득하고, 이를 제 2 링크 품질 정보로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PC5 relay UE와 eNB 사이의 Uu 링크의 링크 품질을 제 2 링크 품질 정보로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는 단지 제 1 중계 정보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실제 실시과정에서,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서빙 중계 기기와 연관되는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가 RLF 발생 전에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기가 생성한 RLF 리포트는 제 2 중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단말기에 대응되는 인접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인접 중계 기기는 단말기와 인접하고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제 3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링크 품질 정보는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기기(32a) 및 중계 기기(32c)는 단말기(33)에 대응되는 인접 중계 기기이고, 단말기(33)는 중계 기기(32a) 및 중계 기기(32c)와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제 3 링크 품질 정보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 품질은 RSRP 및/또는 RSRQ 등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PC5 relay UE와 eNB 사이의 Uu 링크의 링크 품질을 제 2 링크 품질 정보로 한다.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 품질을 획득하는 방식에 있어서,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기는 중계 기기와 무선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기준 신호의 송수신 품질에 따라 각각의 중계 기기와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획득하여 저장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는 단지 제 2 중계 정보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실제 실시과정에서,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인접 중계 기기와 연관되는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를 통해, 단말기가 생성한 RLF 리포트는 강화됨으로써, 단말기가 RLF 발생 전에 위치하는 연결 상태를 지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함되는 중계 정보를 통해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설명할 수도 있다. 접속망이 상기 RLF 리포트를 수신한 후, 유사한 무선 환경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대해 최적화 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접속망 기기는 단말기에 단말기 정보 요청을 송신하고, 단말기 정보 요청은 단말기가 생성한 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305에서, 단말기는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306에서, 단말기는 접속망 기기에 RLF 리포트를 송신한다.
단계307에서, 접속망 기기는 단말기가 송신한 RLF 리포트를 수신한다.
상기 단계304 내지 단계307의 실시형태는 단계202 내지 단계205와 유사하므로, 본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308에서, 접속망 기기는 무선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단계301에서, 접속망 기기는 각각의 단말기가 리포팅한 무선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며, 단말기가 송신한 RLF 리포트를 수신한 후, 접속망 기기는 상기 무선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환경 정보 및 RLF 리포트에 따라 유사한 무선 환경에 위치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309에서, 접속망 기기는 RLF 리포트와 무선 환경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수신된 RLF 리포트에 기반하여, 접속망 기기는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가 리포팅한 무선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접속망 기기는 각각의 단말기(아직 RLF가 발생하지 않음) 각자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RLF 리포트와 무선 환경 정보에 따라, 접속망 기기는 상이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를 추가적으로 산출할 수 있음으로써, RLF가 발생하지 않은 단말기가 후속적으로 RLF가 발생하는 위험 정도를 결정한다.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기가 RLF가 발생하는 위험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결정하고, 하기 단계310을 수행한다.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가 비교적 낮을 경우,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기가 RLF가 발생하는 위험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기 현재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접속망 기기는 RLF 리포트 및 제 1 무선 환경 정보에 따라 제 1 무선 서브 환경(단말기와 중계 기기 사이의 무선 환경)의 제 1 유사도를 산출하고, 및/또는, RLF 리포트와 제 2 무선 환경 정보에 따라 제 2 무선 서브 환경(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 사이의 무선 환경)의 제 2 유사도를 산출함으로써, 제 1 유사도 및/또는 제 2 유사도에 따라 상이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LTE 시스템에서, 접속망 기기는 RLF 리포트에 따라 RLF가 발생하는 단말기와 중계 기기가 이루는 제 1 PC5 중계 무선 환경을 결정하고, 제 1 무선 환경 정보에 따라 RLF가 발생하지 않은 단말기와 중계 기기가 이루는 제 2 PC5 중계 무선 환경을 결정하며, 제 1 PC5 중계 무선 환경과 제 2 PC5 중계 무선 환경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접속망 기기는 2개의 단말기가 유사한 PC5 중계 무선 환경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접속망 기기는 RLF 리포트에 따라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가 이루는 제 1 Uu중계 무선 환경(RLF가 발생하는 단말기에 대응됨)을 결정하고, 제 2 무선 환경 정보에 따라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가 이루는 제 2 Uu중계 무선 환경(RLF가 발생하지 않은 단말기에 대응됨)을 결정하며, 제 1 Uu중계 무선 환경과 제 2 Uu중계 무선 환경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접속망 기기는 2개의 단말기가 유사한 Uu중계 무선 환경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크면, 접속망 기기는 단말기에 중계 기기를 다시 할당한다.
RLF가 발생하지 않은 단말기와 RLF가 이미 발생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클 경우,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기가 후속적으로 RLF가 발생하는 위험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가 RLF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기를 현재 서빙하는 중계 기기로부터 주동적으로 차단시키고, 단말기에 중계 기기를 다시 할당함으로써, 유사한 RLF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RLF 발생 후,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지시하는 RLF 리포트를 생성하고,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RLF 리포트를 접속망 기기에 송신하여, 접속망 기기가 상기 RLF 리포트에 기반하여 RLF 발생 시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적으로 상기 무선 환경에 기반하여 다른 접속된 단말기에 대해 최적화 관리를 진행함으로써, 단말기의 접속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망 기기는 각각의 단말기가 리포팅한 무선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단말기가 송신한 RLF 리포트를 수신한 후, 상기 무선 환경 정보와 RLF 리포트에 따라 유사한 무선 환경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결정하고, 이러한 단말기를 위해 중계 연결을 재구축함으로써, 이러한 단말기가 RLF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단말기의 연결 품질을 향상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수행주체인 단계로 단독으로 단말기 측의 리포트 송신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고, 접속망 기기가 수행주체인 단계로 단독으로 접속망 기기 측의 리포트 수신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 실시예이고, 장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공개한 기술적 세부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송신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상기 리포트 송신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양자의 조합을 통해 단말기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리포트 송신 장치는 리포트 생성 유닛(520), 요청 수신 유닛(540) 및 리포트 송신 유닛(560)을 포함한다.
리포트 생성 유닛(520)은 상기 단계201, 단계303 및 리포트 생성 단계와 연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요청 수신 유닛(540)은 상기 단계203, 단계305 및 요청 수신 단계와 연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리포트 송신 유닛(560)은 상기 단계204, 단계306 및 리포트 송신 단계와 연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포트 송신 장치는 정보 리포팅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정보 리포팅 유닛은 상기 단계301 및 정보 리포팅 단계와 연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리포트 수신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상기 리포트 수신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양자의 조합을 통해 접속망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리포트 수신 장치는 요청 송신 유닛(620) 및 리포트 수신 유닛(640)을 포함한다.
요청 송신 유닛(620)은 상기 단계202, 단계304 및 요청 송신 단계와 연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리포트 수신 유닛(640)은 상기 단계205, 단계307 및 리포트 수신 단계와 연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포트 수신 장치는 정보 획득 유닛, 산출 유닛 및 할당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정보 획득 유닛은 상기 단계308 및 정보 획득 단계와 연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산출 유닛은 상기 단계309 및 산출 단계와 연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할당 유닛은 상기 단계310 및 할당 단계와 연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기의 구조 개략도이고,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21), 수신기(22), 송신기(23), 메모리(24) 및 버스(2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2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여 다양한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기(22)와 송신기(23)는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통신 컴포넌트는 하나의 통신 칩일 수 있으며, 통신 칩은 정보를 변조 및/또는 복조하고,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정보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수신 모듈, 송신 모듈 및 변복조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는 버스(25)를 통해 프로세서(21)와 연결된다.
메모리(24)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모듈(26)을 저장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모듈(26)은 리포트 생성 모듈(261), 요청 수신 모듈(262) 및 리포트 송신 모듈(26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리포트 생성 모듈(261)을 실행하여 상기 각각의 방법 실시예에서 리포트 생성 단계와 관련되는 기능을 구현한다. 프로세서(21)는 요청 수신 모듈(262)을 실행하여 상기 각각의 방법 실시예에서 요청 수신 단계와 관련되는 기능을 구현한다. 프로세서(21)는 리포트 송신 모듈(263)을 실행하여 상기 각각의 방법 실시예에서 리포트 송신 단계와 관련되는 기능을 구현한다.
선택 가능하게, 응용 프로그램 모듈(26)은 정보 리포팅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21)는 정보 리포팅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각각의 방법 실시예에서 정보 리포팅 단계와 관련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 밖에, 메모리(24)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접속망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고, 상기 접속망 기기는 프로세서(21), 수신기(22), 송신기(23), 메모리(24) 및 버스(2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2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여 다양한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기(22)와 송신기(23)는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통신 컴포넌트는 하나의 통신 칩일 수 있으며, 통신 칩은 정보를 변조 및/또는 복조하고,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정보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수신 모듈, 송신 모듈 및 변복조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는 버스(25)를 통해 프로세서(21)와 연결된다.
메모리(24)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모듈(26)을 저장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모듈(26)은 요청 송신 모듈(261) 및 리포트 수신 모듈(26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요청 송신 모듈(261)을 실행하여 상기 각각의 방법 실시예에서 요청 송신 단계와 관련되는 기능을 구현한다. 프로세서(21)는 리포트 수신 모듈(262)을 실행하여 상기 각각의 방법 실시예에서 리포트 수신 단계와 관련되는 기능을 구현한다.
선택 가능하게, 응용 프로그램 모듈(26)은 정보 획득 모듈, 산출 모듈 및 할당 모듈을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21)는 정보 획득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각각의 방법 실시예에서 정보 획득 단계와 관련되는 기능을 구현한다. 프로세서(21)는 산출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각각의 방법 실시예에서 산출 단계와 관련되는 기능을 구현한다. 프로세서(21)는 할당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각각의 방법 실시예에서 할당 단계와 관련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 밖에, 메모리(24)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상기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경우, 이러한 기능들을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하거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서의 하나 또는 다수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전송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통신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한 곳으로부터 다른 한 곳으로 전송하기 편리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가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임의의 수정, 등가적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Claims (50)

  1. 리포트 송신 방법으로서,
    무선 링크 실패(RLF) 발생 시, 단말기가 RLF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기가,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은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RLF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태 식별자는 RLF 발생 시 무선 환경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 상태는 중계 연결 상태 및 직접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1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서빙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상기 단말기의 주소 정보;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1 링크 품질 정보; 및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2 링크 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2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인접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접 중계 기기는 상기 단말기와 인접하고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제 3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링크 품질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송신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중계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무선 환경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제 1 무선 환경 정보 및 제 2 무선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무선 환경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중계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방법.
  9. 리포트 수신 방법으로서,
    접속망 기기가 단말기에 단말기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은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무선 링크 실패(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상기 RLF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태 식별자는 RLF 발생 시 무선 환경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 상태는 중계 연결 상태 및 직접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1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서빙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상기 단말기의 주소 정보;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1 링크 품질 정보; 및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2 링크 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방법.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2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인접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접 중계 기기는 상기 단말기와 인접하고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제 3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링크 품질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방법.
  15.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수신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무선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연결 상태의 각각의 단말기에 의해 리포팅되고,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제 1 무선 환경 정보 및 제 2 무선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무선 환경 정보는 단말기와 중계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RLF 리포트와 상기 무선 환경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기에 중계 기기를 다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방법.
  17. 리포트 송신 장치로서,
    무선 링크 실패(RLF) 발생 시, RLF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 유닛 - 상기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 유닛 -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은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RLF 리포트를 송신하는 리포트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태 식별자는 RLF 발생 시 무선 환경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 상태는 중계 연결 상태 및 직접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1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서빙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상기 단말기의 주소 정보;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1 링크 품질 정보; 및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2 링크 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장치.
  21.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2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인접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접 중계 기기는 상기 단말기와 인접하고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제 3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링크 품질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장치.
  23. 제 20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장치.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송신 장치는,
    상기 단말기가 중계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접속망 기기에 무선 환경 정보를 리포팅하는 정보 리포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제 1 무선 환경 정보 및 제 2 무선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무선 환경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중계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송신 장치.
  25. 리포트 수신 장치로서,
    단말기에 단말기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요청 송신 유닛 -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은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무선 링크 실패(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상기 RLF 리포트를 수신하는 리포트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태 식별자는 RLF 발생 시 무선 환경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 상태는 중계 연결 상태 및 직접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장치.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1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서빙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상기 단말기의 주소 정보;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1 링크 품질 정보; 및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2 링크 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장치.
  29.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2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인접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접 중계 기기는 상기 단말기와 인접하고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제 3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링크 품질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장치.
  31. 제 28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장치.
  32. 제 25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수신 장치는,
    무선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유닛 -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연결 상태의 각각의 단말기에 의해 리포팅되고,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제 1 무선 환경 정보 및 제 2 무선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무선 환경 정보는 단말기와 중계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상기 RLF 리포트와 상기 무선 환경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산출 유닛; 및
    상기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기에 중계 기기를 다시 할당하는 할당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트 수신 장치.
  33. 단말기로서,
    무선 링크 실패(RLF) 발생 시, RLF 리포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 상기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기 -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은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RLF 리포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태 식별자는 RLF 발생 시 무선 환경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 상태는 중계 연결 상태 및 직접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1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서빙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상기 단말기의 주소 정보;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1 링크 품질 정보; 및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2 링크 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7.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2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인접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접 중계 기기는 상기 단말기와 인접하고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제 3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링크 품질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9. 제 36 항 또는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0. 제 33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기는 또한,
    상기 단말기가 중계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접속망 기기에 무선 환경 정보를 리포팅하고,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제 1 무선 환경 정보 및 제 2 무선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무선 환경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중계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1. 접속망 기기로서,
    단말기에 단말기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기 -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은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무선 링크 실패(RLF)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LF 리포트는 RLF 발생 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상기 RLF 리포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연결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태 식별자는 RLF 발생 시 무선 환경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 상태는 중계 연결 상태 및 직접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1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서빙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 정보는,
    상기 서빙 중계 기기의 주소 정보;
    상기 단말기의 주소 정보;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1 링크 품질 정보; 및
    상기 서빙 중계 기기와 상기 접속망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제 2 링크 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45.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RLF 리포트는 제 2 중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RLF 발생 전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되는 인접 중계 기기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접 중계 기기는 상기 단말기와 인접하고 상기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계 정보는 제 3 링크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링크 품질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중계 기기 사이의 링크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47. 제 44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48. 제 42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또한,
    무선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연결 상태의 각각의 단말기에 의해 리포팅되며, 상기 무선 환경 정보는 제 1 무선 환경 정보 및 제 2 무선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선 환경 정보는 단말기와 중계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2 무선 환경 정보는 중계 기기와 접속망 기기의 연결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LF 리포트와 상기 무선 환경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환경의 유사도를 산출하며;
    상기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기에 중계 기기를 다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49.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단말기 및 접송망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포트 송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 25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포트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0.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단말기 및 접속망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제 33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 41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속망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197035300A 2017-05-04 2017-05-04 리포트 송신 방법, 리포트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39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3097 WO2018201407A1 (zh) 2017-05-04 2017-05-04 报告发送方法、报告接收方法、装置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095A true KR20200003095A (ko) 2020-01-08
KR102339471B1 KR102339471B1 (ko) 2021-12-15

Family

ID=6401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300A KR102339471B1 (ko) 2017-05-04 2017-05-04 리포트 송신 방법, 리포트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33978B2 (ko)
EP (1) EP3611966B1 (ko)
JP (1) JP2020519107A (ko)
KR (1) KR102339471B1 (ko)
CN (1) CN110574428A (ko)
WO (1) WO20182014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507B1 (ko) 2021-02-05 2022-07-18 배용중 톱밥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2178A1 (en) * 2017-06-23 2020-04-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Unified rlf detection, multi-beam rlm, and full-diversity bfr mechanisms in nr
BR112020013936A2 (pt) * 2018-01-11 2020-1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s para tratamento de falhas em enlace de rádio e implementado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equipamento de usuário, estação base, e, sistema de comunicação
US10869255B2 (en) * 2018-06-22 2020-12-15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s between remote terminal and relay terminal
KR20200091274A (ko) 2019-01-22 2020-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rlm 및 rlf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77705B2 (en) * 2019-08-21 2022-10-18 Lenovo (Singapore) Pte. Ltd. Radio link failure recovery
EP4193680A4 (en) * 2020-08-07 2024-04-17 Qualcomm Inc RADIO LINK FAILURE IN A SIDELINK RELAY
CN112003373B (zh) * 2020-08-20 2022-08-3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分布式馈线系统和配电系统
WO2022096458A2 (en) * 2020-11-03 2022-05-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link failure (rlf) recovery for remote user equipment (ue)
CN115226121A (zh) * 2021-04-17 2022-10-21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上报方法、装置及系统
CN113328898B (zh) * 2021-08-02 2021-11-09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一种具有自主学习能力的故障诊断方法和系统
CN115884157A (zh) * 2021-09-24 2023-03-3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方法及装置
CN116634455A (zh) * 2022-02-14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自组织网络报告的发送方法和装置
WO2023178478A1 (en) * 2022-03-21 2023-09-28 Nec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WO2023211327A1 (en) * 2022-04-28 2023-1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sidelink commun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1821A (zh) * 2010-06-18 2011-12-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恢复rrc连接的方法及中继设备rn
KR20120121692A (ko) * 2011-04-27 2012-11-06 주식회사 팬택 무선 링크 실패 보고 장치 및 방법
JP5809647B2 (ja) * 2011-02-15 2015-11-1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報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3658B (zh) * 2010-04-19 2016-06-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无线链路失败的方法和中继节点
CN101827428B (zh) * 2010-04-22 2012-11-14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减小无线链路失败时数据丢失的方法及中继
CN102469536B (zh) * 2010-11-05 2015-12-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类型信息上报及中继节点类型确定方法、系统和设备
JP2013544474A (ja) * 2010-11-30 2013-12-1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リンク障害情報を報告する方法、端末設備および基地局
JP5785452B2 (ja) * 2011-07-08 2015-09-30 株式会社Nttドコモ 中継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制御方法
US10292191B2 (en) * 2014-03-25 2019-05-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plane for D2D communications
WO2016163823A1 (ko) 2015-04-08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단말 선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1821A (zh) * 2010-06-18 2011-12-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恢复rrc连接的方法及中继设备rn
JP5809647B2 (ja) * 2011-02-15 2015-11-1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報告方法
KR20120121692A (ko) * 2011-04-27 2012-11-06 주식회사 팬택 무선 링크 실패 보고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2 Meeting #78, R2-122156, 2012.05.14. *
3GPP TSG-RAN WG3 Meeting #77bis, R3-122182, 2012.09.2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507B1 (ko) 2021-02-05 2022-07-18 배용중 톱밥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7762A1 (en) 2020-02-27
JP2020519107A (ja) 2020-06-25
EP3611966B1 (en) 2021-03-03
US11133978B2 (en) 2021-09-28
WO2018201407A1 (zh) 2018-11-08
CN110574428A (zh) 2019-12-13
EP3611966A4 (en) 2020-02-19
EP3611966A1 (en) 2020-02-19
KR102339471B1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471B1 (ko) 리포트 송신 방법, 리포트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624146B2 (en) Radio link failure handl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200383035A1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US20180317218A1 (en) Data scheduling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US11711711B2 (en) Method for configuring measurement gap,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US2021005898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20230156564A1 (en) Communication path switch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180030470A (ko) 데이터 전송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EP292233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adio bearer control
US20170171694A1 (en) Access network node, core network node, and paging method
TW201840218A (zh) 處理雙連結中的通訊的裝置及方法
US11006478B2 (en) Enhanced procedure transaction ID handling
CN111050332B (zh) 通信方法、辅网络节点和终端
US11510257B2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US2023026257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07534853A (zh) 一种启动中继功能的方法及设备
WO2018121231A1 (zh) 一种重连小区方法及装置
US11368949B2 (en)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1197029A1 (zh) 一种先听后说lbt失败指示方法及装置
CN108064088B (zh) Rrc连接释放方法、终端、接入网设备及存储介质
CN108200661B (zh) Rrc连接释放方法、终端、接入网设备及存储介质
KR20170062985A (ko) 사용자 협력 통신을 통한 wlan 통신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단말간 연결생성 기법
US20240137745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1128069A1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15915202A (zh) 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