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878A - 기지국 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878A
KR20200002878A KR1020197032249A KR20197032249A KR20200002878A KR 20200002878 A KR20200002878 A KR 20200002878A KR 1020197032249 A KR1020197032249 A KR 1020197032249A KR 20197032249 A KR20197032249 A KR 20197032249A KR 20200002878 A KR20200002878 A KR 20200002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e station
station apparatus
blocks
s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530B1 (ko
Inventor
다이키 타케다
히로키 하라다
사토시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0000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9Acquisition of downlink reference signals, e.g. detection of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8Variabl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유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유저 장치에 복수의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및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는 주기적인 블록을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무선 신호에 배치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시스템 용량의 더욱의 대용량화, 데이터 전송 속도의 더욱의 고속화, 무선 구간에 있어서의 더욱의 저지연화 등을 실현하기 위해, 5G 혹은 NR(New Radio)이라 불리는 무선 통신 방식(이하, 해당 무선 통신 방식을 'NR'이라고 한다.)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NR에서는, 10 Gbps 이상의 스루풋을 실현하면서 무선 구간의 지연을 1ms 이하로 한다는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무선 기술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NR에서는, 유저 장치와 기지국 장치가 접속을 확립할 때의 초기 액세스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에 따른 셀 검출 및 셀 동정(同定), 및 초기 액세스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의 일부의 취득이, 유저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또, NR에서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로서, 다른 서브 캐리어 간격(SCS: Subcarrier-Spacing)을 적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SCS는, 예를 들면, 15 kHz, 30 kHz, 60 kHz, 120 kHz 또는 240 kHz가 상정된다. 또, NR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동일한 낮은 주파수대로부터, LTE보다도 더 높은 주파수대까지의 폭넓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특히, 고주파수대에서는 전파 로스가 증대되기 때문에, 해당 전파 로스를 보충하기 위해, 빔폭이 좁은 빔 포밍을 적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3 V14.2.0(2017-03)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1 V14.2.0(2017-03)
NR에 있어서, 초기 액세스에 필요한 동기 신호 및 시스템 정보의 일부는, 연속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로 구성되는 SS block(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이라 불리는 리소스 유닛에서, 무선 프레임에 맵핑된다. 또, NR에 있어서는, 무선 프레임에 다른 SCS가 병렬로 적용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여기서, SS block은 반복해서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기 때문에, 다른 SCS가 적용되어 있는 무선 프레임에 대해, SS block이 맵핑되어 있는 기간에 있어서, DL(Downlink)/UL(Uplink) 제어 신호의 송신 기회를 저해하는 케이스를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기지국 장치와 유저 장치를 갖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가 무선 신호에 동기 신호 및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는 블록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효율적으로 리소스 배치를 실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유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저 장치에 복수의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및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는 주기적인 블록을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무선 신호에 배치하는 제어부를 갖는 기지국 장치가 제공된다.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기지국 장치와 유저 장치를 갖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가 무선 신호에 동기 신호 및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는 블록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효율적으로 리소스 배치를 실현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초기 액세스에 따른 SS block의 맵핑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다른 SCS에 있어서의 SS block의 맵핑의 예(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다른 SCS에 있어서의 SS block의 맵핑의 예(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S block이 무선 프레임에 맵핑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S block이 15 kHz SCS로 송신되는 경우의 맵핑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S block이 30 kHz SCS로 송신되는 경우의 맵핑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S block이 240 kHz SCS로 송신되는 경우의 맵핑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CS마다 설정하는 SS block 수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S block이 복수의 SCS의 무선 프레임에 병렬로 맵핑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기지국 장치(1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유저 장치(2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무선통신시스템이 동작하는 데 있어서는, 적절하게, 기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단, 해당 기존 기술은 예를 들면 기존의 LTE이지만, 기존의 LTE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LTE'는, 특히 언급이 없는 한, LTE-Advanced, 및, LTE-Advanced 이후의 방식(예: NR)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기존의 LTE에서 사용되고 있는 SS(Synchronization Signal), PSS(Primary SS), SSS(Secondary SS),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기재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들과 동일한 신호, 기능 등이 다른 명칭으로 불려도 좋다. 또, NR에 있어서의 상술한 용어를, NR-SS, NR-PSS, NR-SSS, NR-PBCH 등으로 표기한다.
이하에서는, 시스템 전체 구성, 초기 액세스의 예를 기본 예로서 설명하고, 그 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 예 1 및 2를 설명한다. 실시 예 1 및 2는, 기본 예를 베이스로 한다. 단, 실시 예 1 및 2는, 기본 예 이외의 시스템 또는 초기 액세스를 베이스로 해도 좋다.
(기본 예)
〈시스템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가 하나씩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이며, 각각 복수여도 좋다.
기지국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셀을 제공하고, 유저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100)는, 동기 신호 및 시스템 정보를 유저 장치(200)로 송신한다. 동기 신호는, 예를 들면, NR-PSS 및 NR-SSS이다. 시스템 정보는, 예를 들면, NR-PBCH에서 송신된다.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는 모두, 빔포밍을 수행하고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저 장치(200)는,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태블릿, 웨어러블 단말, M2M(Machine-to-Machine)용 통신 모듈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이며, 기지국 장치(100)에 무선 접속하고, 무선통신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다. 초기 액세스의 단계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 장치(200)는, 랜덤 액세스의 프리앰블 신호를 기지국 장치(100)로 송신한다. 해당 랜덤 액세스는, 기지국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NR-PBCH에 의한 시스템 정보에 더해, NR-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따른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중통신(Duplex) 방식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어도 좋으며,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어도 좋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송신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프리코딩 벡터가 승산된(프리코딩 벡터에서 프리코딩된)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수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소정의 무게 벡터를 수신한 신호에 승산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또, 송신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특정한 안테나 포트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표현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수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특정한 안테나 포트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표현되어도 좋다. 안테나 포트란, 3GPP의 규격에서 정의되어 있는 논리 안테나 포트를 가리킨다. 또한, 송신 빔 및 수신빔의 형성 방법은, 상기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에 있어서, 각각의 안테나의 각도를 바꾸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으며, 프리코딩 벡터를 이용하는 방법과 안테나의 각도를 바꾸는 방법을 조합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으며, 그 외의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고주파수대에 있어서, 복수의 서로 다른 송신 빔이 사용되어도 좋다. 복수의 송신 빔이 사용되는 것을, 멀티 빔 운용이라고 하며, 하나의 송신 빔이 사용되는 것을, 싱글 빔 운용이라고 한다.
〈초기 액세스의 예〉
도 2는, 초기 액세스에 따른 SS block의 맵핑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SS block'은, 서로 관련지어진 NR-PSS, NR-SSS 및 NR-PBCH를 하나씩 포함하는 리소스 유닛이다. NR-PSS는, 기지국 장치(100)로부터 유저 장치(200)로 송신되는 NR에 있어서의 PSS이며, 적어도 초기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에 사용된다. NR-SSS는, 기지국 장치(100)로부터 유저 장치(200)로 송신되는 NR에 있어서의 SSS이며, 적어도 셀 ID(identity)의 특정에 사용된다. NR-PBCH는, 기지국 장치(100)로부터 유저 장치(200)로 송신되는 NR에 있어서의 PBCH이며, NR-PSS 및 NR-SSS를 검출 후, 초기 액세스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의 일부, 예를 들면,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 System Frame Number) 및 다른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 등이 송신되는 채널이다. 도 2에 있어서, 하나의 SS block은, NR-PSS는 1 OFDM 심벌(이하, '심벌'이라고 한다.), NR-SSS는 1 심벌, NR-PBCH는 2 심벌의 합계 4 심벌로 구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SS block을 구성하는 심벌 수는, 4 심벌에 한정되지 않고, 5 심벌 또는 6 심벌 등이어도 좋다.
도 2에 도시되는 'SS burst set'는, 하나 또는 복수의 SS block을 포함하는 주기적인 리소스 군이다. 'SS burst set periodicity'는, SS burst set가 기지국 장치(100)로부터 유저 장치(200)로 송신되는 주기이다. 해당 주기는, 예를 들면 20ms이어도 좋으며, 5ms이어도 좋으며,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좋다.
도 2에 도시되는 'Slot'은, NR에 있어서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규정하는 하나의 단위이며, 예를 들면, 14 심벌로 구성된다. 또, 예를 들면, 1 Slot은, 7 심벌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2에 있어서, 멀티 빔 운용의 경우, 하나의 SS burst set가, SS block을 9개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SS block#0~#8은, 각각 다른 빔에 관련지어지는 SS block이다. 싱글 빔의 운용의 경우, 하나의 SS burst set가, SS block을 1개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반복해서 송신되는 복수의 SS block은, 8개 또는 64개 등이어도 좋다. 또,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Slot의 선두로부터 몇 심벌에는, DL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Slot의 최후의 몇 심벌에는, UL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도 좋다. 또, 무선 프레임에는, DL 데이터 및 UL 데이터가 배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멀티 빔 운용의 경우, 유저 장치(200)는, SS block#0~#8의 어느 하나의 SS block을 검출 및 취득하고, 해당 SS block에 관련지어진 리소스를 사용하여, 기지국 장치(100)로의 초기 액세스를 실행한다.
도 3은, 다른 SCS에 있어서의 SS block의 맵핑의 예(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 있어서, SCS는, 15 kHz, 30 kHz 및 60 kHz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15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SS block이 맵핑되어 있다. 또, 15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선두의 2 심벌에 DL 제어 신호가 맵핑되고, 최후의 1 심벌에 UL 제어 신호가 맵핑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S block#0이 맵핑되어 있는 기간에,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서 UL 제어 신호 및 DL 제어 신호가 맵핑되어 있다. 또, SS block#1이 맵핑되어 있는 기간에, 3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서 UL 제어 신호 및 DL 제어 신호가 맵핑되어 있으며, 더욱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서 UL 제어 신호 및 DL 제어 신호가 맵핑되어 있다. SS block이 송신되는 기간에 맵핑된 이들의 UL 제어 신호 및 DL 제어 신호는, 송신 기회가 저해된다. 도 4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3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는 4 심벌,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는 8 심벌이, SS block의 송신 기간과 오버랩되어 있다.
도 4는, 다른 SCS에 있어서의 SS block의 맵핑의 예(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과 마찬가지로, SCS는, 15 kHz, 30 kHz 및 60 kHz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15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SS block이 맵핑되어 있다. 또, 15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선두의 3 심벌에 DL 제어 신호가 맵핑되고, 최후의 1 심벌에 UL 제어 신호가 맵핑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S block#0이 맵핑되어 있는 기간에, 3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서 UL 제어 신호가 맵핑되어 있으며, 또한,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서 UL 제어 신호 및 DL 제어 신호가 맵핑되어 있다. 또, SS block#1이 맵핑되어 있는 기간에, 3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서 DL 제어 신호가 맵핑되어 있으며, 더욱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서 UL 제어 신호 및 DL 제어 신호가 맵핑되어 있다. SS block이 송신되는 기간에 맵핑된 이들의 UL 제어 신호 및 DL 제어 신호는, 송신 기회가 저해된다. 도 4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3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는 4 심벌,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는 11 심벌이, SS block의 송신 기간과 오버랩되어 있다.
(실시 예 1)
이하, 실시 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 1 및 2에 있어서는, 상술한 기본 예의 기술에 대한 개선 부분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특별히 설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본 예가 적용된다. 또, 실시 예 1 및 2는, 각각 단독으로 실시되어도 좋으며, 조합이 실시되어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S block이 무선 프레임에 맵핑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0)는, SS block을 무선 프레임에 SCS에 기초하여, 맵핑한다. 즉, 한 SCS에 대한 SS block의 맵핑과, 해당 SCS와는 다른 SCS에 대한 SS block의 맵핑은, 달라 있어도 좋다.
단계 S2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0)는, SS burst set 내의 SS block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SCS에 기초하여 배치한다. 해당 심벌의 수는, 0이어도 좋다. 또, 해당 심벌이 배치되어 있는 기간에 있어서, 제어 신호의 송신 기회가 증가되어도 좋다. 제어 신호의 송신 기회란, SS block이 송신되는 무선 프레임의 SCS와는 다른 SCS로 구성되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0) 또는 유저 장치(200)가 송신하는 제어 신호의 송신 기회를 말한다.
또한, 단계 S2는, 맵핑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100)는, 후술하는 실시 예 2와 같은 맵핑을 수행해도 좋으며, 그 외의 SCS에 기초한 맵핑을 수행해도 좋다.
또한, 유저 장치(200)는, 상술한 단계에 의해 무선 프레임에 맵핑된 SS block을 수신함으로써, 동기를 수행하고, 랜덤 액세스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 초기 액세스를 실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S block이 15 kHz SCS로 송신되는 경우의 맵핑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6에 있어서의 무선 프레임에, 15 kHz SCS, 30 kHz SCS, 60 kHz SCS 세 가지의 SCS가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S block이, 15 kHz SCS로 송신되는 경우, SS block#0과 SS block#1은, 연속하여 맵핑되지 않고, 2 심벌 띄고 맵핑된다. 해당 맵핑에 의해, 30 kHz SCS 또는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2 심벌의 기간에 맵핑되는 제어 신호는, 송신 기회를 잃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3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는 1 심벌,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는 8 심벌, SS block과 오버랩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되는 SS block의 맵핑보다도, 도 6에 도시되는 SS block의 맵핑에 있어서, SS block과 오버랩되는 제어 신호의 심벌 수가 감소되어 있다. 즉, 제어 신호의 송신 기회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유저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SS block이 무선 프레임으로 맵핑된 경우, SS block 사이에 마련된 SS가 배치되지 않는 심벌의 기간에,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S block이 30 kHz SCS로 송신되는 경우의 맵핑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7에 있어서의 무선 프레임에, 15 kHz SCS, 30 kHz SCS, 60 kHz SCS 세 가지의 SCS가 사용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S block이, 30 kHz SCS로 송신되는 경우, SS block#0과 SS block#1은, 연속하여 맵핑되지 않고, 1 심벌 띄고 맵핑된다. 마찬가지로, SS block#2와 SS block#3은, 연속하여 맵핑되지 않고, 1 심벌 띄고 맵핑된다. 해당 맵핑에 의해, 15 kHz SCS 또는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1 심벌의 기간에 맵핑되는 제어 신호는, 송신 기회를 잃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15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는 2 심벌,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는 4 심벌, SS block과 오버랩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SS block#0과 SS block#1이 연속하여 맵핑된 경우를 상정하면,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더욱 DL 제어 신호가 4 심벌만큼 SS block과 오버랩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저 장치(200)는, 도 6과 동일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SS block이 무선 프레임으로 맵핑된 경우, SS block 사이에 마련된 SS가 배치되지 않는 심벌의 기간에,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S block이 240 kHz SCS로 송신되는 경우의 맵핑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8에 있어서의 무선 프레임에, 60 kHz SCS, 120 kHz SCS, 240 kHz SCS 세 가지의 SCS가 사용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S block이, 240 kHz SCS로 송신되는 경우, 도 6 및 도 7과는 다르게, SS block#0과 SS block#1은, 연속하여 맵핑되고, SS block#2~#7까지 마찬가지로 2개의 SS block이 연속하여 맵핑된다. 이때, 6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DL 제어 신호는 2 심벌, 120 kHz SCS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DL 제어 신호는 2 심벌 오버랩되지만, 상대적으로 오버랩되는 제어 신호의 심벌은 적다.
SS block을 이산적으로 맵핑함으로써 SS block과 제어 신호와의 오버랩을 피해 제어 신호의 송신 기회를 배려한 경우, 유저 장치(200)측에서는, 이산적으로 맵핑된 SS block을 관찰하기 위해 SS의 Search window를 길게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전력 소비가 우려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CS에 따라 SS block의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SS block을 연속하여 송신해도 제어 신호와의 오버랩이 적은 경우는, SS block을 연속하여 송신함으로써, 유저 장치(200)는, SS의 Search window를 길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 1에 의해, 기지국 장치(100)가 SCS에 기초하여 무선 프레임에 SS block의 적절한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제어 신호의 송신에 관해 효율적인 리소스 배치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 예 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CS마다 설정하는 SS block 수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100)는, SS block이 송신되는 SCS에 기초하여, SS burst set periodicity의 기간에 존재하는 SS block의 최대 수를 설정하여 맵핑을 수행한다. 도 9의 예에서는, SCS가 15 kHz인 경우, SS block의 최대 수는 4, SCS가 30 kHz인 경우, SS block의 최대 수는 8, SCS가 120 kHz 및 240 kHz인 경우, SS block의 최대수는 64이다.
여기서, 유저 장치(200)가 통신을 개시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하나의 빔에 관련지어지는 특정한 SS block의 취득에 관해, SCS에 따라 슬롯당 배치가 필요한 SS block의 수가 다르다. 여기서, SCS에 따라 슬롯당 SS block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유저 장치(200)는, Measurement를 완료하기 위해 수신이 필요한 SS block을, SCS에 상관없이 동일한 기간에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 장치(200)는, Measurement 기간을 SCS에 상관없이 통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 장치(200)는, 효율적인 Measurement가 가능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S block이 복수의 SCS의 무선 프레임에 병렬로 맵핑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 있어서는, SCS가, 15 kHz, 30 kHz, 120 kHz 및 240 kHz인 경우의 무선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SCS 공통으로, DL/UL 제어 신호가 맵핑되는 기간과, SS block이 맵핑되는 기간이 배치된다.
또, 기지국 장치(100)는, 도 9와 마찬가지로 SCS에 기초하는 슬롯당 SS block 수에 기초하여,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심벌 배치를 갖는 무선 프레임에 SS block을 맵핑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100)는, DL/UL 제어 신호가 배치 가능한 기간과, SS block과 배치 가능한 기간을 분리하여 맵핑한다. 해당 맵핑에 의해, DL/UL 제어 신호의 스케줄링의 자유도가 유지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되는 SCS마다 설정하는 SS block 수를 설정하고 있으며, 유저 장치(200)에서의 Measurement 기간은, 어느 하나의 SCS에 있어서도, 4ms로 통일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 예 2에 의해, SCS에 기초하여 기지국 장치(100)가 무선 프레임에 SS block의 적절한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제어 신호의 스케줄링의 자유도가 유지되고, 유저 장치(200)는, SCS가 달라도 공통의 Measurement 기간에서 Measurement를 완료할 수 있다.
(장치 구성)
다음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처리 및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의 기능 구성예를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는 각각, 적어도 실시 예 1 및 2를 실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단,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는 각각, 실시 예 1 및 2 중의 일부의 기능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기지국 장치(100)〉
도 11은, 기지국 장치(1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100)는, 송신부(110)와, 수신부(120)와, 설정 정보 관리부(130)와, 리소스 맵핑 제어부(140)를 갖는다. 도 11에 도시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송신부(110)는, 유저 장치(200) 측으로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수신부(120)는, 유저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예를 들면 보다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 송신부(110)는, 유저 장치(200)로 NR-PSS, NR-SSS, NR-PBCH, DL/UL 제어 신호 등을 송신하는 가능을 갖는다.
설정 정보 관리부(13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 및, 유저 장치(200)로 송신하는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설정 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NR-PSS 및 NR-SSS의 신호에 관한 정보, NR-PBCH에 포함되는 정보, SCS에 관한 정보, SS burst set 내에 포함되는 SS block의 구성 및 송신 주기에 관한 정보, DL/UL 제어 신호에 관한 정보 등이다.
리소스 맵핑 제어부(140)는, 기본 예, 실시 예 1 및 2에 있어서 설명한, 기지국 장치(100)에 있어서의 SS block의 무선 프레임으로의 맵핑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 리소스 맵핑 제어부(140)는, 제어 신호, 데이터 등도 무선 프레임에 맵핑한다. 리소스 맵핑 제어부(140)에서 맵핑된 무선 프레임은, 송신부(110)에서 사용된다.
〈유저 장치(200)〉
도 12는, 유저 장치(2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 장치(200)는, 송신부(210)와, 수신부(220)와, 설정 정보 관리부(230)와,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를 갖는다. 도 12에 도시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송신부(210)는, 송신 데이터로부터 송신 신호를 작성하고, 해당 송신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수신부(220)는, 각종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수신한 물리 레이어의 신호로부터 보다 상위 레이어의 신호를 취득한다. 또, 수신부(220)는, 기지국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NR-PSS, NR-SSS, NR-PBCH, DL/UL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하는 가능을 갖는다.
설정 정보 관리부(230)는, 수신부(220)에 의해 기지국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 설정 정보 관리부(23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도 저장한다. 설정 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NR-PSS 및 NR-SSS의 신호에 관한 정보, NR-PBCH에 포함되는 정보, SCS에 관한 정보, SS burst set 내에 포함되는 SS block의 구성 및 송신 주기에 관한 정보, DL/UL 제어 신호에 관한 정보 등이다.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는, 기본 예, 실시 예 1 및 2에 있어서 설명한, 유저 장치(200)에 있어서의 초기 액세스에 관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에 있어서의 신호 송신에 관한 기능부를 송신부(210)에 포함시키고,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에 있어서의 신호 수신에 관한 기능부를 수신부(220)에 포함시켜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기능 구성도(도 11 및 도 12)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복수 요소가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는 모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 또는 유저 장치(200)인 무선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는 각각,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1001~1006으로 도시되는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이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데이터를,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기지국 장치(100)의 송신부(110), 수신부(120), 설정 정보 관리부(130), 리소스 맵핑 제어부(140)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유저 장치(200)의 송신부(210)와, 수신부(220)와, 설정 정보 관리부(230), 초기 액세스 제어부(240)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상술한 각종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1001)에서 실행되는 취지를 설명했으나, 2개 이상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시 또는 축차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프로세서(1001)는, 하나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 ROM) 등의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플렉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상술한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002) 및/또는 스토리지(1003)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매체여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100)의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는 통신장치(10044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 유저 장치(200)의 송신부 및 수신부(220)는,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및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는 각각,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로 실장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유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저 장치에 복수의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및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는 주기적인 블록을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무선 신호에 배치하는 제어부를 갖는 기지국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인해, 기지국 장치와 유저 장치를 갖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가 무선 신호에 동기 신호 및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는 블록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효율적인 리소스 배치를 실현한다.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배치는, 상기 기지국 장치 또는 상기 유저 장치가 송신하는 제어 신호의 송신 기회가 증가하도록 실행되어도 좋다. 해당 구성으로 인해, 제어 신호의 송신 기회가 증대되고,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해진다.
상기 주기적인 블록이 배치되는 무선 신호에 있어서,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의 직후에 배치되는 제2 블록이, 이산적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해당 구성으로 인해, 리소스 배치의 자유도가 향상하고, 제어 신호와의 오버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기적인 블록이 배치되는 무선 신호에 있어서, 제3 블록과, 상기 제3 블록의 직후에 배치되는 제4 블록과의 사이에, 동기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이, 상기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해당 구성으로 인해,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블록과 다른 블록이 배치되는 사이에 마련되는 블록이 송신되지 않는 심벌 수가 변경되고, 해당 심벌의 기간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배치는, 상기 블록이 배치되는 기간과, 상기 기지국 장치 또는 상기 유저 장치가 송신하는 제어 신호가 배치되는 기간이 분리되도록 실행되어도 좋다. 해당 구성으로 인해, 다른 서브 캐리어 간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사이에서, 공통의 갭이 마련되고, 제어 신호의 배치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상기 주기적인 블록이 배치되는 무선 신호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에 배치되는 상기 블록의 수 및 상기 블록이 배치되는 심벌 위치는, 상기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주기적인 블록이 배치되는 복수의 무선 신호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장치가 통신을 개시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하나의 빔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블록의 수가, 소정의 기간에서 동일해도 좋다. 해당 구성으로 인해, 다른 서브 캐리어 간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무선 신호에 있어서, 유저 장치(200)는, 통일된 공통의 기간에서 통신을 개시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효율적인 초기 액세스 동작이 가능한다.
(실시형태의 보충)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개시되는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2 이상의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서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좋으며, 어느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다른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모순되지 않는 한) 적용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도에 있어서의 기능부 또는 처리부의 경계는 반드시 물리적인 부품의 경계에 대응된다고는 할 수 없다. 복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부품에서 수행되어도 좋으며, 혹은 하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처리 수순에 대해서는, 모순이 없는 한 처리의 순서를 바꿔도 좋다. 처리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 장치(100) 및 유저 장치(200)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기지국 장치(100)가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유저 장치(200)가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는 각각,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HDD), 리무버블 디스크, CD-ROM,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어떠한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도 좋다.
또,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고,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SUPER 3G, IMT-Advanced, 4G, 5G, FRA(Future Radio Access), W-CDMA(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 장치(100)를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유저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장치(100) 및/또는 기지국 장치(100)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 또는 S-GW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0)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했으나,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조합(예를 들면, MME 및 S-GW)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 예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유저 장치(200)는,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 장치(100)는, 당업자에 따라, NB(NodeB), eNB(enhanced NodeB), gNB,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판단(determining)','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 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 '결정'은,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on),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 '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on),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 '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단', '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 및 이들의 변형이,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본 개시의 전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어로의 a, an 및 the와 같이, 번역으로 인해 관사가 추가된 경우, 이들의 관사는, 문맥에서 명백하게 그렇지 않은 것이 나타내어져 있지 않으면,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SCS로 구성되고, 시간 방향으로 복수의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신호는, 무선 신호의 일 예이다. 리소스 맵핑 제어부(140)는, 제어부의 일 예이다. 하나의 SS block이 맵핑되는 복수의 심벌, 또는 하나의 SS block은, 블록의 일 예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100 기지국 장치
200 유저 장치
110 송신부
120 수신부
130 설정 정보 관리부
140 리소스 맵핑 제어부
200 유저 장치
210 송신부
220 수신부
230 설정 정보 관리부
240 초기 액세스 제어부
1001 프로세서
1002 메모리
1003 스토리지
1004 통신장치
1005 입력장치
1006 출력장치

Claims (6)

  1. 복수의 유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저 장치에 복수의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및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는 주기적인 블록을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무선 신호에 배치하는 제어부;를 갖는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배치는, 상기 기지국 장치 또는 상기 유저 장치가 송신하는 제어 신호의 송신 기회가 증가하도록 실행되는 기지국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블록이 배치되는 무선 신호에 있어서,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의 직후에 배치되는 제2 블록이, 이산적으로 배치되는 기지국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블록이 배치되는 무선 신호에 있어서, 제3 블록과, 상기 제3 블록의 직후에 배치되는 제4 블록과의 사이에, 동기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이, 상기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배치되는 기지국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배치는, 상기 블록이 배치되는 기간과, 상기 기지국 장치 또는 상기 유저 장치가 송신하는 제어 신호가 배치되는 기간이 분리되도록 실행되는 기지국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블록이 배치되는 무선 신호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에 배치되는 상기 블록의 수 및 상기 블록이 배치되는 심벌 위치는, 상기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주기적인 블록이 배치되는 복수의 무선 신호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장치가 통신을 개시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하나의 빔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블록의 수가, 소정의 기간에서 동일한 기지국 장치.

KR1020197032249A 2017-05-02 2017-05-02 기지국 장치 KR102324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7317 WO2018203418A1 (ja) 2017-05-02 2017-05-02 基地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878A true KR20200002878A (ko) 2020-01-08
KR102324530B1 KR102324530B1 (ko) 2021-11-10

Family

ID=6401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249A KR102324530B1 (ko) 2017-05-02 2017-05-02 기지국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799603B2 (ko)
EP (1) EP3641435A4 (ko)
JP (1) JP6768151B2 (ko)
KR (1) KR102324530B1 (ko)
CN (1) CN110612760B (ko)
BR (1) BR112019022700A2 (ko)
CO (1) CO2019013174A2 (ko)
RU (1) RU2751217C2 (ko)
WO (1) WO2018203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4315A (ja) * 2017-06-15 2019-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320A (ko) * 2017-02-06 2018-08-16 주식회사 아이티엘 Nr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경계 타이밍 획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2696B4 (de) * 2006-01-19 2008-05-15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Kg Verfahren zur Codierung von Datensymbolen
JP4773564B2 (ja) * 2006-10-31 2011-09-1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及び装置
US9137075B2 (en) * 2007-02-23 2015-09-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bcarrier spacing identification
JP4362141B2 (ja) * 2007-10-05 2009-11-11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等化器
US8472374B2 (en) * 2007-11-07 2013-06-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stinguishing between synchronized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JP2009253548A (ja) * 2008-04-03 2009-10-29 Sharp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US8050343B2 (en) * 2008-04-14 2011-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receiver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multiple component carrier signals
WO2010110588A2 (ko) 2009-03-23 2010-09-30 엘지전자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참조신호 전송방법 및 장치
KR101574191B1 (ko) * 2010-01-07 2015-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740221B1 (ko) * 2010-01-18 2017-05-29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채널상태정보-기준신호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585447B1 (ko) * 2011-02-15 201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옵셋 보상을 고려한 엠엠에스이 채널추정 장치 및 방법
WO2013125887A1 (ko) * 2012-02-24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방법 및 전송 장치
CN103428143B (zh) * 2012-05-22 2016-09-21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同步信号发送方法
US9462520B2 (en) 2013-01-21 2016-10-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enhanced receiver and gaps when handling interference
GB2512395A (en) * 2013-03-28 2014-10-01 Sony Corp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US20140294124A1 (en) * 2013-03-28 2014-10-02 Sony Corporation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er and method of detecting ofdm signals
KR102281343B1 (ko) * 2013-10-28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6000258A1 (zh) * 2014-07-04 2016-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Lte同步方法和相关设备及系统
WO2016004634A1 (en) * 2014-07-11 2016-01-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enb, ue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KR102322769B1 (ko) 2014-08-18 2021-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탐색 신호 송신방법
US10038581B2 (en) * 2015-06-01 2018-07-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scheme of scalable OFDM numerology
US10333738B2 (en) * 2015-06-04 2019-06-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6208962A1 (ko) * 2015-06-22 2016-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영구 스케줄링 기반의 통신 기법
US10117199B2 (en) * 2015-09-24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10256955B2 (en) * 2015-09-29 2019-04-09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signals for narrowband operation
CN106559206B (zh) * 2015-09-30 2019-04-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同步信号的传输方法及装置
US10742465B2 (en) * 2015-10-29 2020-08-11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hysical structure system
US10193656B2 (en) * 2015-10-30 2019-01-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set for wireless transmissions
JP2018207137A (ja) * 2015-11-02 2018-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547427B2 (en) * 2015-12-24 2020-0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narrow band IoT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ame
US10848356B2 (en) * 2016-02-02 2020-1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M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B-IoT and apparatus therefor
JP2019057747A (ja) * 2016-02-04 2019-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19057745A (ja) * 2016-02-04 2019-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19057746A (ja) * 2016-02-04 2019-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624604B2 (ja) * 2016-02-05 2019-12-25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アップリンクサブキャリア間隔指示方法、基地局および端末
US10694453B2 (en) * 2016-02-26 2020-06-23 Apple Inc. Discovery and network access procedures for 5G things communication system
CN116170264A (zh) * 2016-03-03 2023-05-2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滤波的信号发送、接收方法及相应的发射机与接收机
WO2017155239A2 (ko) * 2016-03-11 201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임의 접속 채널 신호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임의 접속 채널 신호 수신 방법 및 기지국
WO2017171398A1 (en) * 2016-03-29 2017-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frame structure for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294674B (zh) * 2016-03-31 2020-11-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传输方法、设备及系统
US10069607B2 (en) 2016-04-06 2018-09-04 Nxp Usa, Inc.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 lan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WO2017179784A1 (ko) * 2016-04-14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적 서브밴드 구성에 기반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73970B2 (en) * 2016-04-26 2020-12-22 Lg Electronics Inc. Downlink signal receiv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downlink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ase station
WO2017188733A1 (en) * 2016-04-26 2017-1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frame structure for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12061B2 (en) * 2016-04-28 2019-12-17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agnostic tone mapping
EP3449679B1 (en) * 2016-04-28 2020-06-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tracking area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764914B2 (en) * 2016-05-09 2023-09-19 Qualcomm Incorporated Numerology dependent signal transmission
US10756838B2 (en) * 2016-08-02 2020-08-25 Ne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umerology multiplexing
US10862662B2 (en) 2016-08-10 2020-1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echanisms for flexible duplex operations at symbol lev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16720B2 (en) * 2016-09-30 2024-02-27 Sony Group Corporation Subcarrier spacing selection for synchronization signals
CN106376050B (zh) * 2016-09-30 2022-03-1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子载波间隔的设置/确定方法、装置、基站和终端
MX2019005830A (es) * 2016-11-18 2019-07-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odo para transmitir se?al de referencia y dispositivo de comunicacion.
CN106455040B (zh) * 2016-11-30 2019-12-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传输信息的方法、基站及终端
JP7233366B2 (ja) * 2016-11-30 2023-03-06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情報伝送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11165550B2 (en) * 2016-12-16 2021-11-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esource mapp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0100419B (zh) * 2016-12-26 2022-01-0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在nr中隐式指示系统信息的方法
US11178696B2 (en) * 2017-01-03 2021-1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ss and user equipment
US20180198594A1 (en) * 2017-01-06 2018-07-12 Nokia Technologies Oy User device signal processing based on triggered reference signals for wireless networks
CN108282859B (zh) * 2017-01-06 2020-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US20190380067A1 (en) * 2017-02-03 2019-12-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mmunication system
EP3944528A1 (en) * 2017-03-15 2022-01-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8173162A1 (ja) * 2017-03-22 2018-09-2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8631982B (zh) * 2017-03-24 2021-07-2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5g系统中同步信号块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US11696287B2 (en) * 2017-04-27 2023-07-04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8809551B (zh) * 2017-04-27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同步信号的发送方法及设备
JP6973502B2 (ja) * 2017-04-28 2021-12-01 日本電気株式会社 ランダムアクセスプロセスの方法、端末デバイス、ネットワーク要素、および装置
BR112019022416A2 (pt) * 2017-04-28 2020-05-19 Ntt Docomo Inc terminal, estação base e método de radiocomunicação
JP7141393B2 (ja) * 2017-06-16 2022-09-22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320A (ko) * 2017-02-06 2018-08-16 주식회사 아이티엘 Nr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경계 타이밍 획득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1 V14.2.0(2017-03)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3 V14.2.0(2017-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99603B2 (en) 2023-10-24
CO2019013174A2 (es) 2020-01-17
US20200099567A1 (en) 2020-03-26
JPWO2018203418A1 (ja) 2020-03-12
CN110612760B (zh) 2023-12-05
RU2019136832A3 (ko) 2021-06-02
WO2018203418A1 (ja) 2018-11-08
RU2751217C2 (ru) 2021-07-12
KR102324530B1 (ko) 2021-11-10
RU2019136832A (ru) 2021-06-02
CN110612760A (zh) 2019-12-24
BR112019022700A2 (pt) 2020-05-19
EP3641435A4 (en) 2021-02-17
JP6768151B2 (ja) 2020-10-14
EP3641435A1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1906B2 (ja) 端末、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JP7141393B2 (ja) 端末及び通信方法
US20210298089A1 (en)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apparatus
KR102401433B1 (ko)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US11419144B2 (en) Us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11357040B2 (en) Us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20210112547A1 (en) Base station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11930553B2 (en) Terminal and measurement method
KR102324530B1 (ko) 기지국 장치
US11405960B2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JP7245891B2 (ja) 基地局及び通信方法
US11575477B2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11445554B2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11388756B2 (en)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apparatus
JPWO2019203242A1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