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56U -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 - Google Patents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56U
KR20200002756U KR2020190002396U KR20190002396U KR20200002756U KR 20200002756 U KR20200002756 U KR 20200002756U KR 2020190002396 U KR2020190002396 U KR 2020190002396U KR 20190002396 U KR20190002396 U KR 20190002396U KR 20200002756 U KR20200002756 U KR 202000027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ouch
spout
support
liquid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준
이경재
이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90002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756U/ko
Priority to CN202020730976.5U priority patent/CN212980999U/zh
Priority to JP2020002236U priority patent/JP3227848U/ja
Publication of KR20200002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25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not having a tub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는, 액상 파우치 유닛을 커버하는 포장부재; 및 상기 포장부재의 어느 일 측에 관통되는 구조로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재는,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의 일단인 주둥이를 고정하고,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장되되 절곡에 의해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을 지지면으로부터 직립시키도록 바닥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Supporter for liquid pouch and set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액상 파우치의 직립성이 향상되면서도 한 손 사용 등과 같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에 관한 것이다.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쓰레기 부피에 대한 소비자 관심 및 규제가 높아지면서, 포장 폐기물의 부피 축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도 가능한 리필 포장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포장 폐기물의 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장점으로 인해 소비가 늘고 있는 필름 형태의 액상 파우치가 널리 판매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액상 파우치는, 일반적으로 저부가 면적을 가지도록 봉합된 형태를 이루고 주둥이가 마련된 상부는 측면이 납작하게 봉합된 구조를 이루며, 상부의 주둥이에 뚜껑이 결합되어 플라스틱 용기를 충전하여 사용하거나, 액상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옮기지 않고 액상 파우치를 그대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데 액상 파우치는, 일반적으로 유동성 있는 유체물인 내용물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필름 형태로 제조 및 판매되므로 유통 중 여러 외부조건에 의해 충격 등이 가해지면, 액상 파우치의 직립성이 결여되어 진열 중 쉽게 넘어져 사용상의 불편이 발생하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액상 파우치 자체를 용기로 이용하면, 내용물의 점진적인 감소로 인해 액상 파우치는 지지력이 상실되어 내용물이 소진된 부분이 바닥을 향해 구부러지거나 쉽게 넘어질 수 있다.
게다가 액상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둥이에 체결된 뚜껑을 조작하여야 하는데, 액상 파우치를 이루는 필름 형태의 특성상 뚜껑에 결합된 주둥이가 뚜껑과 함께 회전되어 뚜껑이 주둥이에 대비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이루지 못하고 주둥이와 일체로 뒤틀리는 작동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주둥이 부분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뚜껑을 잡고 돌려야 하는 바와 같이, 액상 파우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손을 이용하여 하는 불편함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상 파우치의 직립성이 결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한 손 사용 등과 같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는, 액상 파우치 유닛을 커버하는 포장부재; 및 상기 포장부재의 어느 일 측에 관통되는 구조로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재는,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의 일단인 주둥이를 고정하고,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장되되 절곡에 의해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을 지지면으로부터 직립시키도록 바닥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 세트는, 상기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와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은, 하나 이상의 액상 파우치를 포함하도록 제1 액상 파우치와 제2 액상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재는,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의 주둥이를 포함하는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의 적어도 어느 일부가 노출되도록 이루거나,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이 분리되도록 이루는 절취선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장부재는, 상기 제1 액상 파우치의 제1 주둥이를 두르고 상기 제1 주둥이의 반대 일측을 감싸면서 상기 제1 액상 파우치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2 액상 파우치의 제2 주둥이를 두르고 상기 제2 주둥이의 반대 일측을 감싸면서 상기 제2 액상 파우치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가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제1 액상 파우치와 상기 제2 액상 파우치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가 절취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제1 액상 파우치 및 상기 제2 액상 파우치와 상기 연결부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가 절취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 커버부, 상기 제2 커버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각각에 쌍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1 주둥이와 상기 제2 주둥이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주둥이 및 상기 제2 주둥이의 측면을 간섭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체는, 절개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끼움홀이 형성되되, 전방의 상기 제1 커버부와 후방의 상기 제1 커버부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연결되고, 전방의 상기 제2 커버부와 후방의 상기 제2 커커부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서로 비대칭을 이루어 끼움되는 제2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와의 경계선에서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절취되어,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에 의해 구속이 해제된 상기 연결부에서 수평 또는 경사 구조의 단을 형성하는 층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손잡이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포장부재의 타단을 개구시키는 제3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재는, 상기 제3 절취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일 영역에서 상기 액상 파우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간섭되도록 접히는 접는선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둥이를 간섭하도록 상기 주둥이에 연결되며 다각형의 관통 구조를 이루는 보조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주둥이 둘레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주둥이를 고정하도록 내측 단부가 복수의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 날개부재를 구비하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둥이는, 상기 포장부재의 상단을 간섭하여 상기 포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포장부재의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주둥이의 둘레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는, 액상 파우치의 직립성이 결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액상 파우치를 지지하면서도, 복수의 액상 파우치를 하나의 지지대로 직립 보관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것은 물론, 지지대의 지지력 저하 없이 복수의 액상 파우치를 개별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보관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한 손 사용 등과 같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가 마련되는 액상 파우치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에서 주둥이가 결합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액상 파우치의 주둥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주둥이가 결합되는 부분의 변형된 제1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도 3a에서 주둥이가 결합되는 부분의 변형된 제2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는 도 3a에서 주둥이가 결합되는 부분의 변형된 제3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e는 도 3a의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가 결합되는 액상 파우치 유닛의 주둥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를 포함하는 액상 파우치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가 복수 개로 분리된 상태의 액상 파우치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를 포함하는 액상 파우치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를 포함하는 액상 파우치 세트가 분리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형태가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를 포함하는 액상 파우치 세트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c는 도 8b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d는 도 8b에서 포장부재가 제1 커버부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2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와 액상 파우치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e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와 액상 파우치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3e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 세트(1)는, 액상 파우치 유닛(10) 및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를 포함하여, 보관의 용이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차이는, 클립(113)의 부가 여부 및 클립(113)이 연결되기 위한 구조의 차이일 수 있으며, 이외에 하나 이상의 구성에 대한 형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형상 및 형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여러 실시예(제3 실시예 등) 및 공지된 다양한 형상 및 형태가 조합될 수 있음에 따라 특정한 형상 및 형태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더불어 클립(113)의 부가 여부는, 제2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실시예는 물론 제3 실시예 등에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여러 실시예 들이 서로 조합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편의상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나, 바닥면(111A)의 구조, 클립(113)의 구비 여부 등이 다양한 변형예를 가지며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이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조합에 따라 실시예는 증가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도록 하나 각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 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 유닛(10)은, 하나의 액상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하나의 액상 파우치 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는 제3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액상 파우치를 포함하도록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조의 용이성 등을 위해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2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액상 파우치로서 제1 액상 파우치(11) 또는 제2 액상 파우치(1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음을 언급하여 둔다.
여기서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각각은, 예를 들어 유동성 있는 유체물로서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데, 내용물은 세탁/세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세제일 수 있고,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각각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액상 파우치(11)에는 샴푸/세제가 수용되고 제2 액상 파우치(12)에는 트리트먼트/섬유유연제가 수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함께 판매 및 사용될 수 있는 제품이 묶음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거나,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각각에 동일한 제품이 수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더불어 내용물은 세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상 파우치에 수용되어 판매 및 사용될 수 있다면 화장을 위한 물질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는, 저부가 면적을 가지도록 봉합된 형태를 이루고 주둥이(10A)가 마련된 상부는 측면이 납작하게 봉합된 구조를 이루어 하단은 넓고 상단이 좁은 상협하광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구조 및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는, 서로 동일한 구조/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으로부터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각각에 마련되어 개방을 이루는 주둥이(10A)가 형성될 수 있고, 주둥이(10A) 이외의 부분(파우치 본체)은 유연하게 마련되어 자립 지지가 불가하거나 약한 충격에도 쉽게 쓰러지는 모든 구조/재질의 제품이 포괄될 수 있다.
그리고 주둥이(10A)는, 도 3d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파우치 본체에 결합되기 위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3e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연장된 구조의 양측으로는 숄더(10C)가 마련되어 파우치 본체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주둥이(10A)의 고정은, 즉 후술되는 삽입홀(111B)/클립(113) 등의 결합은, 주둥이(10A) 둘레에서 이루어짐을 언급하나 주둥이(10A)는 숄더(10C)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숄더(10C)에 삽입홀(111B)/클립(113) 등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고정을 위한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결합에 대하여 주둥이(10A)의 용어로 제한되지 않음을 언급하여 둔다.
더불어 도 3e를 참조하면,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에 의해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주둥이(10A)가 결합/고정 시, 주둥이(10A)로부터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감소되도록, 주둥이(10A)에는 제1 날개(1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날개(10B)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포장부재(111)의 상단을 간섭하여 포장부재(11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포장부재(111)의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주둥이(10A)의 둘레(숄더(10C)의 상부일 수 있음)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날개(10B)는, 도 3e의 (i)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주둥이(10A)의 하부에 마련되는 숄더(10C)에 대비하여 길이가 연장되어 숄더(10C)보다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주둥이(10A)에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가 연결 시(주둥이(10A)에 연결되는 구성은 포장부재(111) 또는 클립(113)일 수 있음), 도 3e의 (ii)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가 주둥이(10A)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밀어지면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도 3e의 (iii)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를 밀어내면, 제1 날개(10B)가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밀림에 대한 반작용으로 삽입홀(111B)의 상부로 밀쳐질 수 있으므로, 제1 날개(10B)의 하부에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날개(10B)에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상단이 간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날개(10B)의 하부에 배치된 액상 파우치 유닛(10)이, 제1 날개(10B)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제1 날개(10B)를 밀쳐내기 위한 힘 이상의 힘이 작용하여하므로, 제1 날개(10B)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액상 파우치 유닛(10)은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는, 주둥이(10A)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10D)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주둥이(10A)와 뚜껑(10D)은, 내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산의 결합에 의한 개폐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액상 파우치 유닛(10)은, 저부가 상부에 대비하여 넓은 면적을 이루어 개별적으로 직립 보관될 수는 있으나, 필름 형태의 특성에 따라 액상 내용물의 유동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작은 충격에도 쉽게 쓰러질 수 있어,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에 의해 지지력이 보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는,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직립을 보강하도록 지지력을 향상시키며, 주둥이(10A)로부터 뚜껑(10D)을 분리 시 한 손 조작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는, 포장부재(111), 손잡이(112), 클립(113)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부재(111)는,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지지력을 부가하면서도, 뚜껑(10D)이 주둥이(10A)로부터 결합이 풀리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즉 뚜껑(10D) 조작 시 주둥이(10A)에 연결된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필름 형태가 뒤틀리면서 결합이 해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커버하며, 삽입홀(111B)과 반접는 선(111C)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장부재(111)는, 주둥이(10A)에 대비하여 뚜껑(10D)이 상대회전을 이루어 뚜껑(10D)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뚜껑(10D)의 회전 시 주둥이(10A)가 결합된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결합 부분이 뚜껑(10D)의 회전에 딸려가 뒤틀리지 않도록 하여 주둥이(10A) 부분의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결합이 보강되게, 주둥이(10A) 둘레를 간섭/구속할 수 있다.
즉 포장부재(111)는, 후술되는 클립(113) 및/또는 삽입홀(111B)이 형성되어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일단인 주둥이(10A)를 고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둥이(10A) 둘레 전체를 삽입홀(111B)/클립(113)이 두르거나 적어도 일부를 두르도록 형성되어, 뚜껑(10D)의 회전 시 주둥이(10A)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두르는 포장부재(111) 주변으로 힘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주둥이(10A)가 뚜껑(10D)에 딸려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주둥이(10A)를 고정하도록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뚜껑(10D)과 주둥이(10A) 각각을 잡고서 뚜껑(10D)을 조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한 손만으로 뚜껑(10D)을 조작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a, 도 2a, 도 2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포장부재(111)의 삽입홀(111B)은,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상단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고, 일측이 개구되는 홀 또는 홈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홈 또는 홈 구조는 주둥이(10A)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홀(111B)은, 포장부재(111)를 관통하거나 절개된 구조의 홀 또는 홈 구조를 이룰 수 있는데, 삽입홀(111B)의 단면적이 주둥이(10A)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주둥이(10A) 둘레가 맞닿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후술되는 클립(113)에 의해 주둥이(10A)가 고정되는 경우 삽입홀(111B)은 주둥이(10A) 둘레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으며, 삽입홀(111B)과 클립(113) 모두 주둥이(10A)의 둘레를 고정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주둥이(10A)의 고정은, 액상 파우치 유닛(10)에 마련되는 주둥이(10A)가 뚜껑(10D)의 개방동작인 회전에 연동하여 주둥이(10A)이 주변의 파우치가 뒤틀리면서 뚜껑(10D)이 개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상 파우치 유닛(10)과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액상 파우치 유닛(10)과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결합은, 후술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손잡이(112)를 이용해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들고서 기울일 경우,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로부터 액상 파우치 유닛(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홀(111B)은, 도 2a, 도 2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주둥이(10A)에서 돌출되는 구성(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끼워지도록 일자 형태로 홀/슬릿홀(111BB)이 연장되는 구조가 마련되어, 뚜껑(10D)이 헛도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삽입홀(111B)의 일측이 개구되는 것은, 개구된 일측으로 주둥이(10A)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되기 위함이다. 한편 주둥이(10A)가 슬라이딩될 필요없이 단순히 끼워져 결합을 이룰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삽입홀(111B)은, 일측이 개구되지 않는 홀 구조와 같이 상하로 관통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3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삽입홀(111B)의 형상이 주둥이(10A)의 형태에 대응될 필요없이 주둥이(10A)의 사방을 접점의 형태로 지지할 수도 있으므로 삽입홀(111B)의 형상이 다각형(예를 들어 사각형)일 수도 있으며, 일측에 주둥이(10A)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부가 개방된 슬릿구조(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포장부재(111)는,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주둥이(10A)가 마련되는 일단(상단일 수 있음)으로부터 타단(바닥면일 수 있음)으로 연장되되 절곡에 의해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지지면으로부터 직립시키도록 바닥면(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포장부재(111)는,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주둥이(10A)로부터 저부를 링 구조와 같이 폐쇄 구조의 형태로 감쌀 수 있는데(다만 측면은 개방된 구조일 수 있음), 포장부재(111)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판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즉 포장부재(111)가 사출 방식으로 이루어질 필요없이, 절취선(1114) 및 접는선(1115) 등을 포함하여 접기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다만 포장부재(111)의 재질이 종이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대비하여 친환경 재질로 이루어져 분해가 용이한 PEF(Polyethylene furandicarboxylate)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장부재(111)는, 판지 등과 같은 평면의 구조가 접기 등의 형태를 통해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평면으로 펼쳐진 전개도의 형태가 접혀지면서 결부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1, 2 실시예에의 포장부재(111)는, 바닥면(111A)이 결합되어 입체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a, 3a, 도 3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전개도의 형태에서는 바닥면(111A)이 양단에서 분리된 상태를 이루되 입체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게 간섭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111A)의 결합은, 후술되는 제1 끼움홀(1116A)/제2 끼움홀(1113A)과 유사하게 슬릿 형태의 절개 구조가 서로 겹쳐져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닥면(111A)의 결부 구조가 하나의 슬릿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슬릿 구조가 바닥면(111A)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도 1a를 참조시 2개의 결부 구조로 마련)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바닥면(111A)의 결합이, 단순히 끼움 결합을 통해 평면의 구조에서 입체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 등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포장부재(111)는, 바닥면(111A)의 반대편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와 달리 측면에 결부를 위한 슬릿 구조가 마련되어 측면이 결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 가능하다.
다만 포장부재(111)는, 측면에 손잡이(112)가 마련되므로, 손잡이(112)와 이격되게 포장부재(111)의 바닥면 또는 상부에 결합구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포장부재(111)가 커버하는 액상 파우치 유닛(10)은, 상부가 납작하게 이루어지고 저면의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부에 대비하여 하부의 부피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입체 구조에 액상 파우치 유닛(10)이 대응하도록,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커버하는 상태에서 바닥면(111A)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반접는 선(111C)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반접는 선(111C)은, 포장부재(111)의 측면에서 손잡이(112)의 반대편에 경사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후방에 한 쌍으로 마련된 손잡이(112)가 서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즉 손잡이(112)의 반대편 하부에서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부피가 충분히 형성되면서도 쌍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112) 측은 서로 모여 사용자가 손잡이(112)를 모아서 잡을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반접는 선(111C)은, 포장부재(111)가 완전히 접히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도 1b를 기준으로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전후 방향에서 쌍으로 마련되는 손잡이(112)가 용이하게 모이도록 하는 것이므로, 반접는 선(111C)을 기준으로 손잡이(112)를 향해 즉 포장부재(111)의 내측 방향을 향해 젖혀지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접는 선(111C)으로 인해 한 쌍의 손잡이(112)는 반접는 선(111C)이 마련되지 않는 구조에 대비하여 서로 모이는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를 사용 시마다 한 쌍의 손잡이(112)를 모을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손잡이(112)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b를 기준으로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전후 방향에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포장부재(111)의 어느 일 측에서 관통되는 구조로 마련되거나, 고정단을 기준으로 자유단이 접혀서 홀을 형성하도록 절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손잡이(112)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112)는 도 1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기울이기 용이하도록, 즉 한 손으로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바닥면을 받치고 다른 한 손으로 상부를 잡는 두 손 이용이 필요 없도록,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측면에 대응하여 포장부재(111)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112)는, 포장부재(111)의 제조 시, 절개 등의 방식으로 단순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의 용이성과 더불어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클립(113)은, 주둥이(10A)를 간섭하도록 주둥이(10A)에 연결되며,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삽입홀(111B)의 일측 또는 삽입홀(111B)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구조 또는 개별로 마련될 수 있는데, 연장된 구조일 경우에는 클립(113)이 개별로 제조될 필요없이 포장부재(111)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113)은, 포장부재(111)의 삽입홀(111B)에 대응되게 보조삽입홀(1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113)을 접어 포장부재(111)에 겹쳐지게 배치 시 보조삽입홀(1131)과 삽입홀(111B)이 일체로 관통되어 주둥이(10A)를 고정할 수 있다.
다만 삽입홀(111B)과 보조삽입홀(1131)은 동일 중심선을 가질 수 있으나, 삽입홀(111B)의 관통된 단면적은 보조삽입홀(1131)의 관통된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삽입홀(111B)이 주둥이(10A)와 밀착되는 경우 삽입홀(111B)의 관통된 단면적이 보조삽입홀(1131)의 관통된 단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클립(113)과 함께 주둥이(10A)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삽입홀(111B)이 주둥이(10A)에 밀착되지 않고 갭을 형성하는 경우 보조삽입홀(1131)의 내주면만 주둥이(10A)에 밀착되는 구조를 이루면 되므로, 삽입홀(111B)의 관통된 단면적은 보조삽입홀(1131)의 관통된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질 수 있다.
게다가 클립(113)은, 포장부재(111)에서 분리되지 않고 포장부재(111)의 상면으로 접혀진 구조로 삽입홀(111B)의 상부에 보조삽입홀(1131)이 대향되는 구조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는, 클립(113)이 포장부재(111)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클립(113)이 포장부재(111)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주둥이(10A)에 삽입된 클립(113)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즉 사용자가 클립(113)을 잡을 수 있도록 클립(113)의 일측에 연장 구조(113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연장 구조(1132)는 포장부재(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포장부재(111)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연장 구조(1132)를 잡을 수 있다.
한편 클립(113)은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2 날개부재(11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날개부재(1133)는 전후 및/또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한 쌍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113)의 보조삽입홀(1131)은, 다각형(일례로, 사각)의 관통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제2 날개부재(1133)는 보조삽입홀(1131)의 내주면 각각에서 연장된 구조를 가지면서 단부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클립(113)의 보조삽입홀(1131)에 주둥이(10A)가 끼워질 경우 제2 날개부재(1133)의 상면이 주둥이(10A) 둘레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주둥이(10A)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직립을 보강하면서도, 뚜껑(10D)의 분리 시 주둥이(10A)가 마련된 부분이 함께 뒤틀려 뚜껑(10D)의 개방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에 대하여 다른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중복되는 설명이 앞선 내용으로 갈음될 수 있음을 언급하여 둔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와 액상 파우치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 세트(1)는, 액상 파우치 유닛(10) 및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를 포함할 수 있고,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가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면서 주둥이(10A)를 고정시키는 점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유사하나,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포장부재(111)가 복수 개의 액상 파우치를 지지하는 것과 지지체(1116)가 마련되는 것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전개도의 상태에서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좌우 방향으로 마련되되,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전후방을 커버하는 영역이 도 4b를 기준으로 전개도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장부재(111)는, 제1 커버부(1111), 제2 커버부(1112) 및 연결부(1113)를 포함할 수 있고, 액상 파우치 유닛(10)이 분리되도록 이루는 절취선(1114)이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제1 커버부(1111)는, 제1 액상 파우치(11)의 제1 주둥이(10A)를 두르고 제1 주둥이(10A)의 반대 일측을 감싸면서 제1 액상 파우치(11)를 커버할 수 있으며, 제1 전방커버부(1111A)와 제1 후방커버부(1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방커버부(1111A)는, 제1 액상 파우치(11)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 커버부로서, 제1 액상 파우치(11)의 전방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면서 도 4b를 기준으로 하부로 연장되는 바닥면(111A)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후방커버부(1111B)는, 도 4a 및 도 4c를 기준으로 제1 전방커버부(1111A)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제1 액상 파우치(11)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1 커버부로서, 제1 액상 파우치(11)의 후방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면서 도 4b를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되는 바닥면(111A)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어, 바닥면(111A)을 통해 제1 전방커버부(1111A)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버부(1112)는, 제1 커버부(1111)와 동일/유사한 구조를 가지되 좌우 대칭을 이룰 수 있으며, 제2 액상 파우치(12)의 제2 주둥이(10A)를 두르고 제2 주둥이(10A)의 반대 일측을 감싸면서 제2 액상 파우치(12)를 커버할 수 있고, 제2 전방커버부(1112A)와 제2 후방커버부(1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방커버부(1112A)는, 제2 액상 파우치(12)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2 커버부이고, 제2 후방커버부(1112B)는 제2 액상 파우치(12)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 커버부로서 앞서 설명한 제1 커버부(1111)와 좌우 대칭을 이루는 것에 차이가 있고 구조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연결부(1113)는,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의 연결을 견고히 하고, 사용자가 한 번에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를 들어서 옮길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가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에 커버된 상태로 분리 사용될 수 있도록,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절취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절취선(1114)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좌우 대칭 구조를 이루면서 제1 커버부(1111)의 우측 단부와 제2 커버부(1112)의 좌측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될 수 있고,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의 상부에 연결부(1113)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다만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를 개별로 사용 및 보관이 필요한 경우,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의 경계선에 마련되는 절취선(1114)과 더불어, 제1 커버부(1111) 및 제2 커버부(1112)와 연결부(1113)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절취선(1114)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제1 커버부(1111), 제2 커버부(1112), 연결부(1113)가 절취선(1114)을 따라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절취선(1114)은, 마킹 등이 이루어져 사용자에 의해 가위 등과 같은 도구로 오려져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사용자가 단순히 절취선(1114)을 따라 찢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1114)이 복수의 타공(칼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며, 이는 후술되는 절취선(1114)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절취선(1114)은, 제1 절취선(1114A), 제2 절취선(1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취선(1114A)은,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가 분리 보관되도록,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절취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전방커버부(1111A)와 제2 전방커버부(1112A) 사이의 경계면, 제1 후방커버부(1111B)와 제2 후방커버부(1112B) 사이의 경계면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절취선(1114B)은, 제1 액상 파우치(11) 및 제2 액상 파우치(12)와 연결부(1113)가 분리되도록, 제1 커버부(1111) 및 제2 커버부(1112)와 연결부(1113)가 절취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전방커버부(1111A) 및 제2 전방커버부(1112A)와 연결부(1113) 사이의 경계면은 물론 제1 후방커버부(1111B) 및 제2 후방커버부(1112B)와 연결부(1113) 사이의 경계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포장부재(111)는, 전개된 상태에서 평면을 이룰 수 있으나, 접기를 통해 입체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변환과정에서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사이의 형상이 뒤틀리지 않도록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사이에서 제2 절취선(1114B)의 하부에 관통부(111AA)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부(111AA)는,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이나, 한 번의 관통 공정을 통해 제1 전방커버부(1111A)와 제2 전방커버부(1112A) 사이는 물론, 제1 후방커버부(1111B) 및 제2 후방커버부(1112B) 사이까지 관통되도록 포장부재(111)의 바닥면(111A) 일부가 함께 관통되어 도 4b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바닥면(111A)의 일부를 포함하는 관통부(111AA)를 통해,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제2 절취선(1114B)을 따라 분리 시, 바닥면(111A)을 추가로 분리할 필요가 없어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다만 관통부(111AA)는 바닥면(111A)을 포함하지 않고 이루어지고, 제2 절취선(1114B)이 바닥면(111A)까지 연장될 수도 있으며, 후술되는 제7 실시예의 액상 파우치 세트(1)에서 관통부(111AA)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손잡이(112)는, 제1 커버부(1111), 제2 커버부(1112) 및 연결부(1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커버부(1111), 제2 커버부(1112) 및 연결부(1113) 각각에 모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각각에 마련되는 손잡이(112)는,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각각을 개별로 사용하기 위해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제1 절취선(1114A)에 의해 분리되어 개별로 이용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각각을 잡아서 들 수 있기 위함이다.
더불어 연결부(1113)에 마련되는 손잡이(112)는, 제2 절취선(1114B)에 의해 제1 커버부(1111) 및 제2 커버부(1112)와 연결부(1113)가 절취되기 이전에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연결부(1113)에 의해 한 번에 들어 올려질 수 있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112)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지지체(1116)는, 제1, 2 실시예의 포장부재(111)에 마련되는 삽입홀(111B) 및 또는 클립(113)이 주둥이(10A)를 고정하는 것과 동일/유사하게 주둥이(10A)를 고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2 실시예의 포장부재(111)와 동일/유사하게 삽입홀(111B)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지지체(1116)는, 제1, 2 실시예의 포장부재(111)의 바닥면이 연결되는 구조(슬릿 형태의 결부 구조)와 동일/유사하게 마련되어 분리된 구조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1116)는,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각각에 쌍으로 마련되되, 제1 주둥이(10A)와 제2 주둥이(10A) 각각에 삽입 및/또는 맞닿게 마련되어 제1 주둥이(10A) 및 제2 주둥이(10A)의 측면 둘레를 간섭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1116)는, 절개 구조(슬릿 형태일 수 있음)로 이루어진 제1 끼움홀(1116A)이 형성되되, 전방의 제1 커버부(1111)인 제1 전방커버부(1111A)와 후방의 제1 커버부(1111)인 제1 후방커버부(1111B)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연결되고, 전방의 제2 커버부(1112)인 제2 전방커버부(1112A)와 후방의 제2 커버부(1112)인 제2 후방커버부(1112B)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지지체(1116)는, 도 4a, 도 4c 그리고 후술되는 실시예의 도 5b 도 7b 등을 참조 시, 주둥이(10A)의 경사에 대응되게 경사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사각 형태의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주둥이(10A)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 시 모서리 단부를 통해 내용물이 용이하게 모이도록, 주둥이(10A)가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단부에 형성되는 꼭짓점 영역에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사 형태의 주둥이(10A)에 맞닿게 지지체(1116)가 경사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체(1116)는, 주둥이(10A)의 전체 둘레를 막거나 일부는 개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사용자가 손잡이(112)를 잡고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주둥이(10A) 방향으로 기울일 때, 지지체(1116)로부터 주둥이(10A)가 이탈되지 않도록 주둥이(10A)의 하측을 막고 주둥이(10A)의 상측은 개방 또는 막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각각에 지지체(1116)가 형성되고,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지지체(1116)가 풀리는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지체(1116)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에 형성되는 제1 끼움홀(1116A)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지체(1116)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2 실시예의 포장부재(111)와 동일/유사하게 삽입홀(11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주둥이(10A)의 상측 개방은 도 4b 등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삽입홀(111B)의 상측 영역이 개방되는 형태를 통해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 2 실시예의 포장부재(111)에 형성된 삽입홀(111B)에서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 1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2 실시예의 포장부재(111)의 삽입홀(111B)에서 주둥이(10A)의 상측이 개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직립을 보강하면서도, 뚜껑(10D)의 분리 시 주둥이(10A)가 마련된 부분이 함께 뒤틀려 뚜껑(10D)의 개방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복수 개의 액상 파우치가 하나의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에 보관되어 운반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실시예의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에 커버되는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각각의 주둥이(10A)가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좌우로 나란히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각각의 주둥이(10A)가 나란히 함께 마련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에 커버되는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와 액상 파우치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포장부재(111)는, 제3 실시예의 포장부재(111)와 동일/유사하게 액상 파우치 유닛(10)이 분리되도록 이루는 절취선(1114)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3 실시예와 달리, 제4 실시예의 액상 파우치 유닛(10)은, 도 5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전개도의 상태에서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전후방을 커버하는 영역이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각각의 전후방 모두가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전방커버부(1111A)의 우측으로 바닥면(111A)이 일체로 연결되고, 바닥면(111A)의 우측으로 제1 후방커버부(1111B)가 일체로 연결되는 바와 같이, 연결부(1113), 제1 전방커버부(1111A), 제1 커버부(1111)의 바닥면(111A), 제1 후방커버부(1111B), 연결부(1113), 제2 전방커버부(1112A), 제2 커버부(1112)의 바닥면(111A), 제2 후방커버부(1112B), 연결부(1113)가 일렬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는, 연결부(1113)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3 실시예와 달리 제1 절취선(1114A)이 생략될 수 있고,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사이에 연결부(1113)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3 실시예와 달리 제1 후방커버부(1111B)와 제2 전방커버부(1112A) 사이에 마련된 연결부(1113)와의 경계면에 제2 절취선(1114B)이 마련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연결부(1113)는, 도 5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를 커버하도록 조립되어 입체 구조를 이루는 경우,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의 상부에 위치되어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손잡이(112)가 상부에 마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와 달리,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113)는, 도 5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는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와 더불어 좌우에서 일렬로 마련되는 것이 차이가 있다.
이러한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는,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각각의 주둥이(10A)가 나란히 함께 마련될 수 있고,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의 측면이 서로 대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및 연결부(1113)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후방커버부(1111B)와 제2 전방커버부(1112A) 사이에 마련된 연결부(1113)에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비하여 손잡이(112)가 추가로 마련되면서, 연결부(1113)의 중심을 가로질러 절취선이 마련되어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를 분리하여 이용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부(1113)의 중심을 가로질러 절취선이 마련되지 않고,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개별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 5 실시예와 같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직립을 보강하면서도, 뚜껑(10D)의 분리 시 주둥이(10A)가 마련된 부분이 함께 뒤틀려 뚜껑(10D)의 개방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복수 개의 액상 파우치가 하나의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에 보관되어 운반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할 수 있으며,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생산 과정에서 일체화되어 하나의 제품 생산을 통해 복수 개의 액상 파우치가 보관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접착제 등과 같은 별도의 제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는, 전개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좌우 나란히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분리된 형태로 제조된 이후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 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 5 실시예와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포장부재(111)는, 제4 실시예와 형상 및 형태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다만 제5 실시예의 포장부재(111)의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서로 분리된 형태로 제조된 이후 결합을 이루는 것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사이의 연결부(1113)가 일체화 되나, 제5 실시예의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각각은 좌우 양측에 연결부(1113)가 마련되고 연결부(1113) 각각 모두에 손잡이(11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체(1116)의 제1 끼움홀(1116A)과 동일/유사하게 연결부(1113)에 제2 끼움홀(1113A)이 형성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끼움홀(1113A)은, 연결부(1113)에서 서로 비대칭을 이루어 끼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는 하나의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 구조를 가지면서 필요에 따라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보관 및 지지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는, 하나의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에 복수 개의 파우치가 수용되어 보관되되, 동일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파우치일 경우 복수 개의 파우치인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사용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는, 판매/운반 시에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에 함께 보관되는 구조를 가지고, 사용 시에는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에 연결하고, 먼저 사용된 파우치가 소진된 이후 나머지 제1 액상 파우치(11) 또는 제2 액상 파우치(12)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는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를 모두 보관하지 않을 경우 일부가 분리되어 제거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와 액상 파우치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손잡이(112)가 포장부재(111)의 측면에 마련되고 주둥이(10A)를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포장부재(111)는, 포장부재(111)가 분리되기 전과 포장부재(111)의 일부가 절취되는 상태에서의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두르는 형태가 변동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a를 기준으로 포장부재(111)의 좌우 폭의 길이는, 제1 액상 파우치(11)/제2 액상 파우치(12)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절개되어 삭제되는 영역의 높이는 제1 액상 파우치(11)/제2 액상 파우치(12)의 너비를 제외한 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절취선(1114)은, 제3 실시예의 절취선(1114)과 달리,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주둥이(10A)를 포함하는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적어도 어느 일부가 노출되도록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취선(1114)은, 손잡이(112)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포장부재(111)의 타단을 개구시키는 제3 절취선(1114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3 절취선(1114C)은, 손잡이(112)의 반대편에서 포장부재(111)의 저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한 일부 영역(제1 액상 파우치(11)/제2 액상 파우치(12)의 너비를 제외한 면적일 수 있음)이 제거되도록 하여 손잡이(112)의 반대편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절취선(1114C)은, 액상 파우치 유닛(10)에서 경사면에 마련되는 주둥이(10A)에 대응하여 경사를 가지면서 주둥이(10A)를 구속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제3 절취선(1114C)의 일부가 접는선(1115)으로 마련되고, 접는선(1115)으로부터 하부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1116)가 동일/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a를 참조하면, 액상 파우치 유닛(10)으로서의 제1 액상 파우치(11)/제2 액상 파우치(12)의 상단은 주둥이(10A)에서 포장부재(111)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액상 파우치(11)/제2 액상 파우치(12)의 하단은, 포장부재(111)의 일부가 내측으로 접히는 구조로 간섭되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부재(111)는, 제3 절취선(1114C)으로부터 연장되는 일 영역에서 액상 파우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간섭되도록 접히는 접는선(1115)이 마련되어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직립성이 결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지지하면서도, 복수의 액상 파우치를 하나의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로 직립 보관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것은 물론,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지지력 저하 없이 복수의 액상 파우치를 개별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보관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한 손 사용 등과 같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와 액상 파우치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 세트(1)는, 앞서 설명한 제3, 4, 5 실시예(도 4a 내지 도 6 참조)와 같이, 하나의 액상 파우치 세트(1)에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가 보관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제1 액상 파우치(11)가 제2 액상 파우치(12)가 개별로 이용되되 액상 파우치 세트(1)에 의해 보관 및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개별로 이용될 수 있도록 분리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 세트(1)는, 본 고안의 제3, 4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 세트(1)와 유사하게 액상 파우치 유닛(10)이 분리되기 위한 절취선(1114)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7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 세트(1)는,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 각각의 주둥이(10A)가 도 8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어, 제4 실시예의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의 측면이 서로 맞닿게 구비되는 구조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제7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 세트(1)는, 도 8a를 기준으로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의 전후방이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3 실시예의 액상 파우치 세트(1)와 달리 반접는 선(111C)이 생략될 수 있고, 연결부(1113)의 구조가 일부 차이가 있으며, 제1 끼움홀(1116A)과 제2 끼움홀(1113A)에 의한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의 연결구조가 아닌 접착제 등에 의해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서로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으나, 본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 및 이해를 위해,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7 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치 세트(1)는, 액상 파우치 유닛(10) 및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를 포함할 수 있고,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가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면서 주둥이(10A)를 고정시키는 점이 앞서 설명한 제3 실시예 등과 동일/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달리 바닥면(111A)이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구조가 차이가 있다.
즉 제3 실시예의 액상 파우치 세트(1)는,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의 바닥면(111A)이 제조과정에서 분리된 구조를 이루도록 관통부(111AA)가 형성되나, 제7 실시예의 액상 파우치 세트(1)는 바닥면(111A)에 절취선(1114)이 마련되는 것이 제3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커버부(1111)는 제1 전방커버부(1111A)와 제1 후방커버부(1111B)를 포함하고, 제2 커버부(1112)는 제2 전방커버부(1112A)와 제2 후방커버부(1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도 8a를 기준으로 포장부재(111)의 전후방 각각에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사이에 절취선(1114)이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제7 실시예는, 포장부재(111)에 절취부(1110)와 가이드홈(111E)과 층부재(111F)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각각이 상부면(111D)과 연결날개(1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절취부(1110)는, 절취선(1114)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절개되는 것과 달리, 제조 과정에서 칼 등에 의해 절취되어, 사용자가 별도로 절개하는 조작과정이 생략될 수 있고, 연결부(1113)의 입체 구조를 형성하거나 연결날개(11110)의 절개를 편리하게 하도록 V컷선(111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연결부(1113)는, 절취선(1114)과 더불어 절취부(1110)가 함께 형성될 수 있는데, 연결부(1113)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1 커버부(1111)/제2 커버부(1112)와 분리되도록 연결부(1113)와 제1 커버부(1111)/제2 커버부(1112) 사이에서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절취선(1114)이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절취부(111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절취부(1110)는, 사용자의 절취 과정을 일부 생략하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층부재(111F)가 형성되도록 연결부(1113)를 입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연결부(1113)는, 상부면(111D)이 연장되는 영역에 절취선(1114)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절취선(1114)을 절취하기 전까지,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연결된 구조를 이루면서도, 도 8a를 기준으로 연결부(1113)의 전후방은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연결되는 하단부(절취선(1114)이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절취)를 제외하고 연결부(1113)의 하단부에서 상부까지, 즉 제1 커버부(1111)/제2 커버부(1112)와 연결부(1113) 사이의 경계선에서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곡선(직선 등도 가능)의 형태로 절취된 절취부(1110)가 형성되어 판매 시 이미 연결부(1113)의 일부가 절취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113)는, 절취부(1110)에 의해 양측이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로부터 구속이 해제되므로 접힘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포장부재(111)에는 층부재(111F)가 형성될 수 있으며, 층부재(111F)는 연결부(1113)의 상하 길이 방향에서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수평 또는 경사 구조로 절곡된 형태로 단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층부재(111F)에 의해 연결부(1113)는 바닥면(111A) 및/또는 상부면(111D)에 대비하여 앞뒤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111A)이 액상 파우치 유닛(10)을 충분히 커버하도록 앞뒤 방향의 폭이 충분히 크게 형성는 단면적을 이루어도, 바닥면(111A)의 반대편에서 연결부(1113)에 형성된 손잡이(112)를 사용자가 잡을 때 손을 과도하게 벌릴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가 절취되어 분리 시, 바닥면(111A)과 겹침 구조를 가지는 연결날개(11110)에 의해 바닥면(111A)의 두께가 증가하여 절취가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절취부(1110)의 V컷선(1110A)은, 연결날개(11110)의 절개를 편리하게 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선(1114)을 꼭짓점으로 하여 삼각형의 V컷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111A)이 연결날개(11110)에 의해 겹침 구조를 가져 두께가 증가되더라도, V컷선(1110A)에 의해 바닥면(111A)의 절취영역은 두께가 증가되지 않아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를 절개하는 힘과 동일한 힘으로 절취선(1114)을 절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111E)은, 사용자가 가위 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절취선(1114)을 절취 시, 가위가 용이하게 포장부재(111)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가이드홈(111E)은 연결부(1113)와 상부면(111D) 사이를 따라 어느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부면(111D)에서 절곡되는 지점인 꼭짖점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면(111D)은, 바닥면(111A)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포장부재(111)의 상면을 이룰 수 있으며,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각각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면(111D)으로부터 주둥이(10A)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지지체(1116)가 일체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날개(11110)는, 평면 형태의 포장부재(111)가 입체구조로 형성되거나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바닥면(111A)을 연결하거나,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지지체(1116)의 고정을 지지할 수 있다.
먼저 연결날개(11110)가 바닥면(111A)을 연결하는 구조는,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 각각이 바닥면(111A)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에서 바닥면(111A)이 연결되는 나머지 구성에 연결날개(11110)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전방커버부(1111A)와 제2 전방커버부(1112A)에 연결날개(11110)가 연장된 구조로 마련되고, 제1 후방커버부(1111B)와 제2 후방커버부(1112B)에 바닥면(111A)이 연결된 구조로 마련되어, 연결날개(11110)가 바닥면(111A)에 겹쳐져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날개(11110)는, 바닥면(111A)과 겹쳐지는 면에 접착제가 마련되거나 양면 테이프가 마련되어, 바닥면(111A)과 접착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연결날개(11110)가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을 이룰 필요가 없으며, 단순히 접기를 통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날개(11110)는, 도 8c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바닥면(111A)의 좌우 양측에 마련될 수 있고, 연결날개(11110)가 반으로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도 8c를 기준으로 바닥면(111A)으로부터 수직하게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부 방향으로 꺾여서, 바닥면(111A)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2중의 겹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연결날개(11110)의 단부가 바닥면(111A)에 고정되도록, 연결날개(11110)의 단부에는 제1 돌출부재(11110A)가 마련될 수 있고, 바닥면(111A)과 연결날개(11110)의 사이에는 제1 돌출부재(11110A)가 끼움되는 홀(11110B)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바닥면(111A)에서 연장된 연결날개(11110)와 제1 커버부(1111)/제2 커버부(1112)사이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는 보조연결날개(11110C)가 형성될 수 있고, 보조연결날개(11110C)는 바닥면(111A)에서 연장된 연결날개(11110)에 끼워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111A)의 양측에서 연장된 연결날개(11110)와 연결날개(11110)를 간섭하는 보조연결날개(11110C)는, 포장부재(111)의 좌우에서 개방된 구조를 가로질러 제1 액상 파우치(11)와 제2 액상 파우치(12)가 포장부재(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날개(11110)가 지지체(1116)의 고정을 지지하는 구조는, 예를 들어 연결날개(11110)가 도 8c를 기준으로 지지체(1116)의 전후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결날개(11110)는, 제1 커버부(1111)와 제2 커버부(1112)로부터 연장되고, 그 사이에 후술되는 절취부(1110) 또는 바닥면(111A)의 홀(11110B)과 같은 홀 등이 형성되어 제2 돌출부재(1134)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돌출부재(1134)는, 제1 돌출부재(11110A)와 유사하게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클립(113)에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클립(113)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삽입홀(111B)에 대응되는 보조삽입홀(1131)이 형성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지지체(1116)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체(1116)로부터 연장된 구조에서 지지체(1116)와의 경계선이 접히는 구조로 마련되어, 지지체(1116)와 함께 이중의 겹침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클립(113)의 접힘 구조가 펼쳐지지 않도록, 클립(113)에 제2 돌출부재(1134)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제2 돌출부재(1134)가 연결날개(11110)에 형성된 절취부(1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액상 파우치 유닛(10)의 직립성이 결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액상 파우치를 지지하면서도,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100)의 지지력 저하 없이 복수의 액상 파우치를 개별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보관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액상 파우치 세트 10: 액상 파우치 유닛
10A: 주둥이 10B: 제1 날개
10C: 숄더 10D: 뚜껑
11: 제1 액상 파우치 12: 제2 액상 파우치
100: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111: 포장부재
111A: 바닥면 111B: 삽입홀
111C: 반접는 선 111D: 상부면
111E: 가이드홈 111F: 층부재
1110: 절취부 1110A: V컷선
11110: 연결날개 1111: 제1 커버부
1111A: 제1 전방커버부 1111B: 제1 후방커버부
1112: 제2 커버부 1112A: 제2 전방커버부
1112B: 제2 후방커버부 1113: 연결부
1113A: 제2 끼움홀 1114: 절취선
1114A: 제1 절취선 1114B: 제2 절취선
1114C: 제3 절취선 1115: 접는선
1116: 지지체 1116A: 제1 끼움홀
112: 손잡이 113: 클립
1131: 보조삽입홀 1132: 연장 구조
1133: 제2 날개부재

Claims (14)

  1. 액상 파우치 유닛을 커버하는 포장부재; 및
    상기 포장부재의 어느 일 측에 관통되는 구조로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재는,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의 일단인 주둥이를 고정하고,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장되되 절곡에 의해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을 지지면으로부터 직립시키도록 바닥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은,
    하나 이상의 액상 파우치를 포함하도록 제1 액상 파우치와 제2 액상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재는,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의 주둥이를 포함하는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의 적어도 어느 일부가 노출되도록 이루거나,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이 분리되도록 이루는 절취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재는,
    상기 제1 액상 파우치의 제1 주둥이를 두르고 상기 제1 주둥이의 반대 일측을 감싸면서 상기 제1 액상 파우치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2 액상 파우치의 제2 주둥이를 두르고 상기 제2 주둥이의 반대 일측을 감싸면서 상기 제2 액상 파우치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가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제1 액상 파우치와 상기 제2 액상 파우치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가 절취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제1 액상 파우치 및 상기 제2 액상 파우치와 상기 연결부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가 절취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 커버부, 상기 제2 커버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각각에 쌍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1 주둥이와 상기 제2 주둥이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주둥이 및 상기 제2 주둥이의 측면을 간섭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절개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끼움홀이 형성되되, 전방의 상기 제1 커버부와 후방의 상기 제1 커버부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연결되고, 전방의 상기 제2 커버부와 후방의 상기 제2 커커부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서로 비대칭을 이루어 끼움되는 제2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와의 경계선에서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절취되어,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에 의해 구속이 해제된 상기 연결부에서 수평 또는 경사 구조의 단을 형성하는 층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손잡이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포장부재의 타단을 개구시키는 제3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재는, 상기 제3 절취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일 영역에서 상기 액상 파우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간섭되도록 접히는 접는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를 간섭하도록 상기 주둥이에 연결되며 다각형의 관통 구조를 이루는 보조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주둥이 둘레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주둥이를 고정하도록 내측 단부가 복수의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 날개부재를 구비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 세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와 상기 액상 파우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 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는,
    상기 포장부재의 상단을 간섭하여 상기 포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포장부재의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주둥이의 둘레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치 세트.
KR2020190002396U 2019-06-12 2019-06-12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 KR20200002756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396U KR20200002756U (ko) 2019-06-12 2019-06-12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
CN202020730976.5U CN212980999U (zh) 2019-06-12 2020-05-07 液体袋用支架及液体袋组件
JP2020002236U JP3227848U (ja) 2019-06-12 2020-06-10 液体パウチ用支持台及び液体パウチセ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396U KR20200002756U (ko) 2019-06-12 2019-06-12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56U true KR20200002756U (ko) 2020-12-22

Family

ID=7242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396U KR20200002756U (ko) 2019-06-12 2019-06-12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27848U (ko)
KR (1) KR20200002756U (ko)
CN (1) CN212980999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7848U (ja) 2020-09-17
CN212980999U (zh)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8984B2 (ja) ディスペンサ付カートン
HUE028826T2 (en) Dispenser, paper plate, process
CA2731575A1 (en) Paperboard bin-cube
BR112014015690B1 (pt) método para misturar substâncias para o tratamento de substratos queratinosos, kit de tratamento de substrato queratinoso, e, recipiente de acondicionamento de papelão
ES2761350T3 (es) Caja de cartón y piezas en bruto de caja de cartón
KR101983549B1 (ko)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
KR100906301B1 (ko) 포장박스
US20130112742A1 (en) Packaging container and blank thereof
JP5285932B2 (ja) 包装容器
ES2277109T3 (es) Envase para tubos.
KR20200002756U (ko) 액상 파우치용 지지대 및 액상 파우치 세트
JP5948331B2 (ja) たばこ容器
RU2196090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EP0379209B1 (en) Container for accommodating string-like articles and taking out the same
KR20110030018A (ko) 삼각형상의 조립식 포장가방
JP2013538161A5 (ko)
KR102379361B1 (ko) 스틱형 밀봉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EP3067287B1 (en) Cardboard box
JP5608438B2 (ja) 包装容器
JP7326654B2 (ja) 包装容器
CA2791845C (en) Tray, with improved rigidity, for transporting and displaying items such as yogurt containers
EP2890615A1 (fr) Boite pour emballage et/ou de distribution de produits
JP3236551U (ja) シート収納容器
JP7471259B2 (ja) 外装容器、包装箱及びブランクシート
JP7011398B2 (ja) 化粧品収納用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