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36U - 공기 배출 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 - Google Patents

공기 배출 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36U
KR20200002736U KR2020190002348U KR20190002348U KR20200002736U KR 20200002736 U KR20200002736 U KR 20200002736U KR 2020190002348 U KR2020190002348 U KR 2020190002348U KR 20190002348 U KR20190002348 U KR 20190002348U KR 20200002736 U KR20200002736 U KR 202000027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esh
fan member
fan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회
Original Assignee
김대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회 filed Critical 김대회
Priority to KR2020190002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736U/ko
Publication of KR202000027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sucked from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시트는 자동차의 좌석에 부착가능한 쿨링 시트로서,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이 용이한 상부 메쉬 망 부재; 바닥부, 중간 절곡부, 및 등판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장공의 타원 형상으로 함몰된 돌출부가 하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복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 블리스터; 상기 에어 블리스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기 매쉬 망 부재보다 공기가 용이한 큰 눈을 갖는 하부 매쉬 망 부재,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블로워 타입의 팬 부재로서 블로워 타입의 회전 날개, 상기 회전 날개를 복수개 수용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수용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덮어서 밀폐시키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 커버, 및 하부 본체와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커버의 형상에 맞게 내측에 벽 부재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부 커버에 형성된 구멍으로 90도 꺽여서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덮개를 포함하는 팬 부재; 및 상기 상부 매쉬 망부재, 상기 에어 블러스터, 상기 하부 메쉬 망 부재를 감싸는 공기가 잘 통과하지 못하는 섬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배출 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fan for cooling seat of air discharge or suction type and cooing seat adopting it}
본 고안은 차량의 운전석 등에 장착되는 쿨링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쿨링 시트의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사용자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쿨링 시트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사용자 주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기 배출 및/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에 관한 것으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고, 또한, 흡입이 가능한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바람 시트, 쿨링 시트 또는 통풍 시트(이하, 쿨링 시트이라 칭한다)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종래의 쿨링 시트는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선행기술문헌 1, 2를 포함하는 현재의 모든 형태의 쿨링 시트는 도 1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부재(50)에서 발생된 바람을 시트 내부 방향으로 전달하여 운전자 또는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바람이 배출되는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바람을 사용자를 향하여 배출하는 경우, 바람이 피부에 직접 닿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서는 사용을 기피하는 경우가 있을 뿐만아니라, 장시간 사용시에는 효과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KR 20-0295557 Y KR 20-0288175 Y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공기를 흡입이 가능하도록 선택 가능한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공기의 흡입 가능한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시트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블로워 타입의 팬 부재로서 블로워 타입의 회전 날개; 상기 회전 날개를 복수개 수용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수용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덮어서 밀폐시키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 커버; 및 하부 본체와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커버의 형상에 맞게 내측에 벽 부재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부 커버에 형성된 구멍으로 90도 꺽여서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시트는 자동차의 좌석에 부착가능한 쿨링 시트로서,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이 용이한 상부 메쉬 망 부재; 바닥부, 중간 절곡부, 및 등판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장공의 타원 형상으로 함몰된 돌출부가 하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복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 블리스터; 상기 에어 블리스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기 매쉬 망 부재보다 공기가 용이한 큰 눈을 갖는 하부 매쉬 망 부재,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블로워 타입의 팬 부재로서 블로워 타입의 회전 날개, 상기 회전 날개를 복수개 수용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수용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덮어서 밀폐시키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 커버, 및 하부 본체와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커버의 형상에 맞게 내측에 벽 부재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부 커버에 형성된 구멍으로 90도 꺽여서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덮개를 포함하는 팬 부재; 및 상기 상부 매쉬 망부재, 상기 에어 블러스터, 상기 하부 메쉬 망 부재를 감싸는 공기가 잘 통과하지 못하는 섬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메쉬 망 부재와 상기 에어 블러스터가 밀착되어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가 상기 에어 블러스터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에어 블리스터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흡입하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의 공기 유출구가 상기 에어 블러스터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공기 유입구가 상기 공기 유입구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 블리스터 쪽으로 공급하여 사용자의 신체쪽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의 공기 유입구가 상기 에어 블러스터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공기 유출구가 상기 공기 유입구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쿨링 시트 내부의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쪽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에 팬 부재를 수용하여 팬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ㄷ 자 형상의 행거 부재 및 회전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팬 부재의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의 공기 유출구가 상기 에어 블러스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팬 부재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쿨링 시트 내부로 공급하여 공기를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배출하게 하는 배출 방식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의 공기 유출구를 180도 회전시켜 공기 유입구가 상기 에어 블러스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쿨링 시트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 방식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쿨링 시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공기를 흡입이 가능하도록 선택 가능한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 제공함으로써, 공기 배출 방식으로 공기가 직접 피부에 공급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빠른 시간내에 내릴 수 있게 할 수 있고,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팬 부재의 방향을 변경하여, 공기 흡입 방식으로 전환하여 공기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피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청량감 및 쾌적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쿨링 시트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공기의 흡입 가능한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청량감 및 쾌적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쿨링 시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쿨링 시트 내부의 에어 블리스터 및 팬 부재 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팬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팬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팬 부재의 바람 유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한 팬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에어 블리스터 및 팬 부재를 밑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흡입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팬 부재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공기 흡입 방식의 공기 흡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공기 흡입 방식의 공기 흡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 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에 대해서 설명함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공기 배출 방식의 쿨링 시트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 후,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공기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 배출 방식의 쿨링 시트의 구조 및 동작>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 시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쿨링 시트 내부의 에어 블리스터 및 팬 부재 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팬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팬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팬 부재의 바람 유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한 팬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에어 블리스터 및 팬 부재를 밑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 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의 외관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쿨링 시트(100)은 자동차의 좌석 등에 탈부착가능하게 이루어져 있고, 등판 부재(150), 바닥판 부재(160), 팬 부재의 수용부(1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쿨링 시트(100)은 전원 공급 및 팬 부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110)를 더 포함한다. 팬부재의 수용부(170)는 바닥판 부재(160)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쿨링 시트가 자동차의 의자에 설치시 바닥판과 대략 9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쿨링 시트(100)는 내부에 도 3에 도시한 에어 블리스터(300) 및 팬 부재(200)을 포함하고 있고, 이 에어 블리스터(3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메쉬 망 부재(110)가 형성되어 등판 부재(150), 바닥판 부재(160)를 형성한다. 에어 블리스터(300) 및 팬 부재(20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리스터(300)의 하부에 공기의 흐름이 원할할 정도의 메쉬 눈금이 큰 메쉬 망 부재(600)과 함께 매쉬 망 부재(110)과 공기가 잘 통하지 않는 섬유 부재(500)에 의해 둘러싸인 주머니 형상의 내부에 삽입된다.
에어 블리스터(300)은 도 3 및 도 7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340) 및 통기 구멍(350)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이다. 에어 블리스터(300)은 바닥부(310), 중간 절곡부(320), 및 등판부(330)을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바닥부(310), 중간 절곡부(320), 등판부(330)를 분리 성형할 수도 있다. 에어 블리스터(300)는 또한,돌출부(340) 및 통기 구멍(350)을 포함한다. 돌출부(340)은 도 3에서, 뒷쪽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팬 부재(200)으로 부터 발생되는 바람을 넓게 퍼지게 하는 바람의 통로 또는 유도로의 역할을 하고, 통기 구멍은 돌출부(340)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서, 팬 부재(200)에서 발생되는 바람은 에어 블리스터의 돌출부(350)을 따라 흐르다가, 통기 구멍(340)을 통해 전면 즉, 사용자의 신체 쪽으로 배출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팬 부재(2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서 팬 부재(200)는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람을 유입구(280)를 통해 유입시켜, 유출구(290)을 통해 배출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부재(200)은 블로워 타입의 팬 부재로서 하부 본체(210), 회전 날개(220), 회전 날개(220)의 덮개(230), 상부 커버(240)을 포함한다. 하부 본체(210)는 2개의 회전 날개(220)을 포함하고, 회전 날개(220)의 상부를 덮개(230)으로 덮어서 결합된다. 회전 날개(220)은 복수의 날개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 날개와 90도 방향으로 회전한다. 덮개(230)은 바람의 유입구 역활을 하는 구멍(260)이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블로워 타입의 팬 부재(상부 커버(240)을 제외한 형태)는 하부 본체(210), 회전 날개(220), 및 덮개(230)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유입구(280)와 유출구(290)는 90 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통상적인 블로워 타입의 팬 부재는 유입구 역활의 구멍(26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 날개(220)의 회전에 의해 압축하여 유출구(290)을 통해 배출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팬 부재에 비해, 풍량이 많고, 토출구의 공기 유속이 빠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 방석(100)에서 채택되는 팬 부재(200)은 풍량이 많고, 풍속이 빨라야 하기 때문에, 블로워 타입의 팬 부재가 채택되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 방석(100)에서 채택되는 팬 부재(2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280)와 유출구(290)이 일직선 상에 있고, 즉, 180도를 유지하고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팬 부재(200)에서, 상부 커버(240)은 일반적인 블로워 타입의 팬 부재가 유입구와 유출구가 90도의 각도를 갖는 것을 공기 유입구(280)와 유출구(290)이 일직선 상에 있고, 즉, 180도를 유지하도록 공기 유로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덮개(230)의 외곽과 같은 형상으로 상부 커버(240)의 벽 부재(250)을 형성하여 공간을 형성하여 유입구(28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덮개(230)에 형성된 구멍(260)으로 90도 꺽여서 유입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팬 부재(200)는 유입구(280)와 유출구(290)가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되고, 공기 유로는 180도를 이루게 된다.
이하, 도 2,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팬 부재(200)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토출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에어 블리스터(300)은 상부에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메쉬 망 부재(110)와 밀착 접착되어 있고, 하부에는 그물 망이 더 큰 다른 형태의 하부 메쉬 망 부재(600)을 더 포함하고, 이 메쉬 망 부재(110), 에어 블리스터(300), 및 하부 메쉬 망 부재(600)을 공기가 잘 투과하지 못하는 섬유 부재(500)으로 감싸서 밀봉한다. 또한, 팬 부재(200)도 하부에 하부 메쉬 망 부재(600)와 함께 섬유 부재(500)에 의해 감싸서 밀봉한다. 여기서, 팬 부재(200)을 감싸는 섬유 부재(500)과 에어 블리스터(300)를 감싸는 섬유 부재(500)은 동일한 재질의 섬유로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팬 부재(2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의 유입구(280)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유출구(290)로 배출한다. 다시 말하면, 팬 부재(200)로부터 발생 배출되는 압축 공기는 에어 블리스터(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40)과 매쉬 망 부재(600)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를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된다. 쿨링 시트(100)은 메쉬 망 부재(110)을 제외하고 측면, 외부 및 바닥면이 바람이 잘통과하지 못하는 섬유 부재(500)으로 감써서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팬 부재(200)로부터 발생되는 압축 공기는 에어 블리스터를 따라 하부로 흐르게 되고,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40)에 의해 에어 블리스터(300)의 뒤쪽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퍼져 흐르게 된다. 한편, 에어 블러스터(300)에는 관통 구멍(3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통 구멍(350)에 도달한 공기는 외부(즉, 사용자의 신체 방향, 도 8에서 상부 방향)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 시트(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를 향하여 바람을 배출하게 된다.
<공기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의 구조 및 동작>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공기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공기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설명 중 별도의 도면부호를 들어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경우 외에는 전술한 공기 배출 방식의 쿨링 시트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것으로서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흡입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팬 부재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공기 흡입 방식의 공기 흡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공기 흡입 방식의 공기 흡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쿨링 시트(10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팬 부재(2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팬 부재(200)의 행거 부재(291)을 더 포함한다. 행거 부재(291)은 대략 ㄷ 자 형상의 금속, 플라스틱 부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팬 부재(200)의 외측에서 팬 부재(20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행거 부재(291)은 내측에 팬 부재(200)이 축으로 고정되어 있고, 회전 손잡이(293)은 팬 부재(2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10에 있어서, 회전 손잡이(293)은 팬 부재(200)을 회전시켜, 공기 유입구(280)과 공기 배출구(290)을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회전 손잡이(293)을 180도 회전시키면, 공기 유입구(280)과 공기 배출구(290)이 반대로 변경되어, 공기 유입구(280)가 상부 방향으로 향하고, 공기 배출구(290)가 하부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또한, 행거 부재(291)은 차단 막(295)를 더 포함하여, 공기 유입구(280)가 상부 방향으로 향하고, 공기 배출구(290)가 하부 방향으로 향한 경우에, 외부로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게 하는 얇은 플렉시블한 공기 차단 막의 역할을 하는 판 부재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100)은 팬 부재(200)가 도 10에서 공기 유입구(280)가 상부 방향으로 향하고, 배출구(290)가 하부 방향으로 향한 경우, 팬 부재(200)은 쿨링 시트(100)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에어 블러스터(30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35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 블러스터(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40)을 통해, 공기가 흐르게 되고, 팬 부재(200)의 공기 유입구(280)을 통해 유출구(290)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공기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100)은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공기 배출 방식과는 반대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공기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100)은 공기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의 동작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는 기존의 배출 방식의 쿨링 시트에 비해 배출 공기가 사용자를 향하여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배출 공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딪치는 불쾌감을 감소시켜,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땀을 식혀줄 수 있게 되어 청량감과 신선함을 느끼게 된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공기 배출 방식을 선호하고, 흡입 방식을 선호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쿨링 시트(100)은 사용자의 선택하여, 배출 방식 또는 흡입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고안의 개념의 범위, 전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쿨링 시트
200 : 팬 부재
280 : 공기 유입구
290 : 공기 유출구
300 : 에어 블리스터

Claims (9)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블로워 타입의 팬 부재에 있어서,
    블로워 타입의 회전 날개,
    상기 회전 날개를 복수개 수용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수용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덮어서 밀폐시키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 커버, 및
    하부 본체와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커버의 형상에 맞게 내측에 벽 부재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부 커버에 형성된 구멍으로 90도 꺽여서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덮개
    를 포함하는 블로워 타입의 팬 부재.
  2. 자동차의 좌석에 부착가능한 쿨링 시트에 있어서,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이 용이한 상부 메쉬 망 부재,
    바닥부, 중간 절곡부, 및 등판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장공의 타원 형상으로 함몰된 돌출부가 하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복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 블리스터,
    상기 에어 블리스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기 매쉬 망 부재보다 공기가 용이한 큰 눈을 갖는 하부 매쉬 망 부재,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팬 부재, 및
    상기 상부 매쉬 망부재, 상기 에어 블러스터, 상기 하부 메쉬 망 부재를 감싸는 공기가 잘 통과하지 못하는 섬유 부재
    를 포함하는 쿨링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메쉬 망 부재와 상기 에어 블러스터가 밀착되어 접속되어 있는 쿨링 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가 상기 에어 블러스터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에어 블리스터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흡입하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쿨링 시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의 공기 유출구가 상기 에어 블러스터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공기 유입구가 상기 공기 유입구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 블리스터 쪽으로 공급하여 사용자의 신체쪽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쿨링 시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의 공기 유입구가 상기 에어 블러스터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공기 유출구가 상기 공기 유입구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쿨링 시트 내부의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쪽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쿨링 시트.
  7.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에 팬 부재를 수용하여 팬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ㄷ 자 형상의 행거 부재 및 회전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팬 부재의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쿨링 시트.
  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의 공기 유출구가 상기 에어 블러스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팬 부재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쿨링 시트 내부로 공급하여 공기를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배출하게 하는 배출 방식인 쿨링 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의 공기 유출구를 180도 회전시켜 공기 유입구가 상기 에어 블러스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쿨링 시트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 방식인 쿨링 시트.
KR2020190002348U 2019-06-10 2019-06-10 공기 배출 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 KR202000027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348U KR20200002736U (ko) 2019-06-10 2019-06-10 공기 배출 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348U KR20200002736U (ko) 2019-06-10 2019-06-10 공기 배출 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36U true KR20200002736U (ko) 2020-12-18

Family

ID=7408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348U KR20200002736U (ko) 2019-06-10 2019-06-10 공기 배출 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73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536B1 (ko) * 2021-09-30 2022-11-17 안병의 흡입형 휴대용 선풍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175Y1 (ko) 2002-06-22 2002-09-09 조규호 냉각성능이 크게 향상된 바람방석용 송풍기
KR200295557Y1 (ko) 2002-08-12 2002-11-21 김정호 차량용 통풍방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175Y1 (ko) 2002-06-22 2002-09-09 조규호 냉각성능이 크게 향상된 바람방석용 송풍기
KR200295557Y1 (ko) 2002-08-12 2002-11-21 김정호 차량용 통풍방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536B1 (ko) * 2021-09-30 2022-11-17 안병의 흡입형 휴대용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2165B2 (en) Vehicle seat
JP3675976B2 (ja) ヘルメット
EP2444114B1 (en) Apparatus for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therapy
CN111936190B (zh) Cpap装置
CN111120369A (zh) 脖戴风扇
JP2007023418A (ja) フルフェイス型ヘルメット
TWI755225B (zh) 口罩裝置
KR20200002736U (ko) 공기 배출 또는 흡입 방식의 쿨링 시트용 팬 및 이를 채택한 쿨링 시트
WO2006068072A1 (ja) 背負具
WO2005000054A1 (ja) ファン露出型空調服用のファン取付装置及びファン露出型空調服用の送風装置
CN106232994B (zh) 用于吹风机的降噪系统
JP2019163556A (ja) 手術用マスクの吸気構造
KR102425539B1 (ko) 강제 송풍식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호흡용 공기 순환 방법
JP2023115920A (ja) 装着型送風機
TWI795168B (zh) 口罩裝置
CN112081763B (zh) 鼓风机
KR102099649B1 (ko) 공기조화기
KR102242417B1 (ko) 미세먼지필터를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CN107405511A (zh) 供气式面甲
KR102493267B1 (ko) 마스크 장치
JP3245285U (ja) 送風機能付きハンドマッサージャー
TWM515888U (zh) 面罩
CN105927512A (zh) 风扇及其用于风扇的喷嘴
KR102497328B1 (ko) 마스크 장치
EP4122542B1 (en) Mas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