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19U - 착즙 드럼 - Google Patents

착즙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19U
KR20200002719U KR2020200004362U KR20200004362U KR20200002719U KR 20200002719 U KR20200002719 U KR 20200002719U KR 2020200004362 U KR2020200004362 U KR 2020200004362U KR 20200004362 U KR20200004362 U KR 20200004362U KR 20200002719 U KR20200002719 U KR 202000027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lit
rib
juice
fl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279Y1 (ko
Inventor
김영기
이차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70005607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92833Y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to KR2020200004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7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 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 슬릿이 형성된 제1 모듈, 및 내주면에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 드럼{JUICE SQUEEZING DRUM}
본 고안은 착즙 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된 착즙 드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개인이 직접 야채, 곡물, 및 과일 등의 착즙 대상으로부터 즙을 만들어 내어 이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착즙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착즙기의 일반적인 작동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콩을 맷돌로 갈아서 그 즙을 짜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착즙 대상을 강판에 눌러 짜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착즙기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을 구비한 드럼 하우징과; 구동축과 연결되며, 그 일부에 형성된 스크류 나선에 의하여 착즙 대상을 압착 및 분쇄하는 스크류와; 그리고 스크류에 의하여 만들어진 즙을 분리하는 착즙 드럼이 구비되어 있다. 착즙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는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구동축은 드럼 하우징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류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착즙 드럼은 망공으로 이루어진 메시 구조(mesh structure)를 갖는다. 메시 구조를 갖는 착즙 드럼의 경우 착즙 대상에 의해서 막히기가 쉽기 때문에 착즙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시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시에 낀 착즙 대상을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 다양한 필터구조를 상정할 수 있으나 단순한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등 스크류를 이용한 압착방식의 착즙기에 적용하기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착즙 드럼을 두 개의 모듈로 구성하되 압착방식의 착즙기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세척이 간편하고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즙 드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된 제1 모듈, 및 상기 슬릿에 삽입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에 결합할 때 상기 리브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모듈 중 하나가 상기 제1, 2 모듈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며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모듈 중 하나의 각 부분의 내경이 상기 제1, 2 모듈 중 다른 하나의 대응하는 부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모듈 중 다른 하나의 내주면에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된 제1 모듈, 및 상기 슬릿에 삽입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에 결합할 때 상기 리브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압착 공간이 형성된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더 형성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모듈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에 보강링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은 보강링을 기준으로 나누어 형성되고, 상기 슬릿 사이에 제1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제1 모듈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가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된 제1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가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가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살과 상대적으로 넓은 살을 포함하고 상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에는 제1 모듈의 슬릿에 삽입되는 상기 리브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살과 상대적으로 넓은 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살의 내주면에 상기 제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상측보다 하측으로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은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이 하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도록 상기 제1 모듈의 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슬릿과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 사이에서 형성된 틈이 반경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된 제1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가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살의 폭은 상기 제1 모듈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살의 단면은 반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슬릿과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 사이에서 형성된 틈이 상기 착즙 드럼의 상부보다 하부가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된 제1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가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리브의 폭이 하부측의 리브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된 제1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가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리브의 폭이 하부측의 리브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하단에는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하단에는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듈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일부분에는 제1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1 단턱에 대응하는 제2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듈이 상기 제2 모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턱에 환상링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은 제1 단턱을 기준으로 나누어 형성되고, 상기 슬릿 사이에 상기 제1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은 그 하부에 형성된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 및 그 하단에 형성된 드럼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착즙 드럼은 상기 드럼홀의 외주면을 밀폐하도록 된 제1 스크류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내부 하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착즙 드럼은 상기 제2 모듈의 안착부 내측을 밀폐하도록 된 제2 스크류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상단과 하단을 포함하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의 하부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하측으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서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 가능한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설정 거리는 상기 슬릿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2 모듈이 제1 모듈을 둘러싸 결합하면, 상기 리브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는 소정 형상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착즙 드럼이 탈착 가능한 두 개의 모듈을 포함하므로, 세척 시 두 개의 모듈을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해질 뿐 아니라 종래 망드럼에서 망공이 막히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어 종래 수직형 착즙기가 갖추어야 했던 브러시가 필요 없게 되고 브러시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부품이 필요 없게 된다.
상기 소정 형상은 상기 제2 모듈과 제1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할 수 있다.
상기 슬릿들은 환형의 보강링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슬릿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각 슬릿은 상단과 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의 보강링은 상기 슬릿의 상단과 하단 사이 또는 상기 슬릿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각 슬릿은 상기 제1 단턱의 상측에 형성된 상부 슬릿과, 상기 제1 단턱의 하측에 형성된 하부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제1 단턱에 대응되는 제2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릿은 상기 하부 슬릿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은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과 교대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릿의 길이 이하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리브와, 상기 슬릿의 길이보다 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리브들과 상기 제2리브들 중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살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마주하는 제2 모듈의 내주면에는 상기 리브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의 외주면과,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마주하는 제2 모듈의 내주면에는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고정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 가능한 고정 수단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에는 그 직경이 줄어드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길이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경방향으로도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상부보다 하부가 더 좁을 수 있다.
상기 슬릿의 폭은 하부쪽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리브의 폭이 하부측의 리브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은 상측보다 하측이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은 그 하부에 형성된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내부에는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모듈의 하단에는 드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홀에는 상기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착즙 드럼은 상기 드럼홀의 외주면을 밀폐하도록 된 제1 스크류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내부 하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착즙 드럼은 상기 제2 모듈의 안착부 내측을 밀폐하도록 제2 스크류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상단과 하단을 포함하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하측으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그들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슬릿들은 환형의 보강링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슬릿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환형의 보강링에 의하여 슬릿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압착/착즙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슬릿의 폭이 변화되어 찌꺼기가 상기 틈을 통해 제1 모듈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모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결합할 수 있도록 제2모듈의 각 부분의 내경이 제1 모듈의 대응하는 부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에서 반경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각 슬릿은 상단과 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의 보강링은 상기 슬릿의 상단과 하단 사이 또는 상기 슬릿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상단과 하단을 포함하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하측으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그들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듈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각 슬릿은 상기 제1 단턱의 상측에 형성된 상부 슬릿과, 상기 제1 단턱의 하측에 형성된 하부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다양한 재료의 착즙 효율과 설계조건을 고려하여 상부 슬릿과 하부 슬릿의 치수, 크기, 폭 등을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제1 단턱에 대응되는 제2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릿은 상기 하부 슬릿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상단과 하단을 포함하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의 하부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이 교대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그들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살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는 착즙 대상을 아래로 안내하고, 제1 모듈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의 회전 시 충분한 압착력 또는 분쇄력이 발생하도록 하며, 제1 모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찌꺼기와 즙을 분리하는 필터의 역할뿐만 아니라 압착 실린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살의 내주면에는 하나의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살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는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의 길이는 상기 슬릿의 길이 이하이고, 상기 제2 리브의 길이는 상기 슬릿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살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스크류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으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이 교대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원통으로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살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에 의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찌꺼기와 즙을 분리하는 필터의 역할뿐만 아니라 압착 실린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살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살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는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의 길이는 상기 슬릿의 길이 이하이고, 상기 제2 리브의 길이는 상기 슬릿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살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에 삽입되어 그들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마주하는 제2 모듈의 내주면에는 상기 리브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모듈의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의 외주면과,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마주하는 제2 모듈의 내주면에는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고정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 가능한 고정 수단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의 외주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마주하는 제2 모듈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 홈에 결합 가능한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슬릿과 제2 모듈의 리브 사이의 틈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틈은 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스크류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으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이 교대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원통으로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리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슬릿에 인접하게 형성하면, 제1 모듈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의 회전 시 찌꺼기가 상기 리브에 의하여 슬릿을 건너뛰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모듈의 리브와 제1 모듈의 슬릿 사이에 형성된 틈에 상기 찌꺼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착즙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의 길이는 상기 슬릿의 길이 이하이고, 상기 제2 리브의 길이는 상기 슬릿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살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의 돌출 높이는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제2 리브에는 그 직경이 줄어드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스크류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으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이 교대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원통으로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살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의 적어도 일부에는 그 직경이 줄어드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듈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의 직경이 단차에 의하여 줄어들기 때문에, 다양한 재료의 착즙 효율과 설계조건을 고려하여 상기 리브의 돌출 높이를 상부와 하부를 달리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살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살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가 형성된 리브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스크류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으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이 교대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원통으로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살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살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살을 포함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 및 상기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에 마주하는 제2 모듈의 내주면에는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고정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 가능한 고정 수단들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과 결합 돌기가 결합함으로써 제1 모듈에 대한 제2 모듈의 상대 위치가 정해지고, 틈의 크기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들은 제1 모듈의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 홈, 그리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마주하는 제2 모듈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과 결합 가능한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고정 수단들은 제1 모듈의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 그리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과 마주하는 제2 모듈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과 결합 가능한 결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은 그 내주면에서 반경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 가능한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듈의 리브가 상기 제1 모듈의 슬릿에 삽입되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은 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상부보다 하부가 더 좁을 수 있다.
상기 슬릿의 폭은 하부쪽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모듈의 슬릿의 폭은 일정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제2 모듈의 리브의 폭은 상부쪽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리브의 폭이 하부측의 리브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상단과 하단을 포함하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하측으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그들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틈의 크기는 길이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결합한 상태에서는 그 크기가 유지되는 틈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찌꺼기가 상기 틈을 통해 제1 모듈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모듈의 변형을 방지하는 반면에, 상기 틈의 크기를 길이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재료에 상관 없이 높은 착즙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재료의 압축에 따른 압축력이 하부로 갈수록 커지는 현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경방향으로도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틈은 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상부보다 하부가 더 좁을 수 있다.
상기 슬릿의 폭은 하부쪽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모듈의 슬릿의 폭은 일정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제2 모듈의 리브의 폭은 상부쪽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리브의 폭이 하부측의 리브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상단과 하단을 포함하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하측으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그들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듈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듈의 외주면과 제2 모듈의 내주면 사이에 즙이 흘러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즙이 방해 없이 아래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상측보다 하측으로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은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듈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슬릿과 교대로 살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이 하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도록 상기 제1 모듈의 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상단과 하단을 포함하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하측으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그들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틈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틈의 최상단의 크기는 상기 틈의 최하단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료의 압축에 따른 압축력이 하부로 갈수록 커지는 현상에 대응할 수 있고, 즙이 상부측 틈을 통해 넘쳐 나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경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틈은 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상부보다 하부가 더 좁을 수 있다.
상기 슬릿의 폭은 하부쪽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모듈의 슬릿의 폭은 일정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제2 모듈의 리브의 폭은 상부쪽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리브의 폭이 하부측의 리브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스크류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하측으로 형성된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그들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 모듈은 그 하부에 형성된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을 드럼 하우징으로 사용함으로써 착즙 드럼의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하단에는 드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홀에는 상기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착즙 드럼은 상기 드럼홀의 외주면을 밀폐하도록 된 제1 스크류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내부 하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즙 드럼은 상기 제2 모듈의 안착부 내측을 밀폐하도록 된 제2 스크류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된 제1 모듈, 및 상기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결합하고, 상기 리브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모듈의 각 부분의 내경이 상기 제1 모듈의 대응하는 부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는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의 길이는 상기 슬릿의 길이 이하이고, 상기 제2 리브의 길이는 상기 슬릿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착즙 드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과정에서 스크류에 의한 재료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재료의 미세한 분쇄와 압축을 통해 착즙률을 높이며, 재료의 투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즙 과정에서 착즙 드럼에 찌꺼기가 끼는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찌꺼기가 착즙된 즙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즙 드럼을 단단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착즙 과정에서 착즙 드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릿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즙이 배출되는 슬릿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고안의 실시예들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착즙 드럼이 적용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또는 이에 대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상측','상부', '상단'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재료가 투입되는 측 또는 이에 가까운 부 또는 단을 지칭하며, '하측', '하부', '하단'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재료가 투입되는 측의 반대측 또는 이에 가까운 부 또는 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착즙드럼이 적용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400)이 적용되는 착즙기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착즙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400)이 적용되는 착즙기는 본체부(1), 호퍼(100), 스크류(300), 착즙 드럼(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착즙기는 착즙 드럼(400)이 수용될 수 있는 드럼 하우징(200)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착즙 드럼(400)의 제2 모듈(20)이 드럼 하우징(200)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즉, 제2 모듈(20)의 하부에는 즙 배출구(220)와 찌꺼기 배출구(230)가 형성되고, 제2 모듈(20)의 하단에는 드럼홀(2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드럼 하우징(20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스크류(300) 및 착즙 드럼(4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모듈(20)의 상부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돌기(28)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모듈(20)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스크류(300), 및 착즙 드럼(400)의 제1 모듈(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럼 하우징(200) 또는 제2 모듈(20)의 하부 중앙에는 드럼홀(260)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은 드럼홀(260)에 삽입되어 스크류(300)와 연결되고, 스크류(3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드럼홀(260)의 내주면은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동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300)는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며,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크류(300)의 하부에는 스크류축(320)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상부는 상기 스크류축(32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스크류(300)의 외주면에는 착즙 드럼(400)과 접촉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 나선(310)이 형성된다. 스크류 나선(310)에 의해 착즙 대상은 하부로 이송되며 스크류(300)와 착즙 드럼(400) 사이의 좁은 틈새에 의하여 착즙 대상이 압착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류(300)의 상부에서 이웃하는 스크류 나선(310) 사이의 간격은 스크류(300)의 하부에서 이웃하는 스크류 나선(310)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착즙 드럼(400)은 중공의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서 스크류(30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4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즙 드럼은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모듈(10)은 상하로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게 형성된 슬릿(slit)(12)을 포함한다. 상기 슬릿(12)은 제1 모듈(10)의 상단의 하부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하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릿(12)의 하단은 개구될 수도 있고, 보강링(16) 등에 의하여 막힐 수도 있다. 제2 모듈(20)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1 모듈(10)에 형성된 슬릿(12)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rib)(22)를 포함한다. 제2 모듈(20)과 제1 모듈(10)이 결합할 때 제1 모듈(10)의 슬릿(12)과 제2 모듈(20)의 리브(22)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고, 재료를 착즙할 때 발생하는 찌꺼기로부터 분리된 즙이 상기 틈을 통하여 착즙 드럼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슬릿(12)과 리브(22) 사이의 틈은 종래 메시구조의 망공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착즙 드럼이 적용되는 착즙기의 타입에 따라서, 상기 착즙 드럼은 도 1a 내지 도 6b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4 및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의 길이가 비슷하거나, 도 5a 및 5b와 같이 제2 모듈(20)의 길이가 제1 모듈(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슬릿(12)이 제1 모듈(10)의 전체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슬릿(12)의 길이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 도 5a 및 5b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는 슬릿(12)이 제1 모듈(10)의 하부에만 형성(슬릿(12)의 길이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모듈(10)의 상부에는 압착 공간이 형성된 실린더(101)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12)은 상기 제1 모듈(10)의 하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서는 슬릿(12a, 12b)은 제1 모듈(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슬릿(12a)과 제1 모듈(1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슬릿(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릿(12a)은 상기 하부 슬릿(12b)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모듈(10)의 중앙 부분에는 제1 단턱(103)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모듈(20)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제1 단턱에 대응하는 제2 단턱(203)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듈(10)이 상기 제2 모듈(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턱에 보강링(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12a, 12b)은 제1 단턱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된 상부 슬릿(12a)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 슬릿(12b)으로 구분된다.
한편, 슬릿(12)은 스크류(300)가 착즙 드럼에 수용될 때 스크류(300)의 나선과 교차하게 보이는 구멍이라면 사각 형상의 구멍이든 타원형의 구멍이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리브(22)는 슬릿(12)에 상응하여 삽입되어 슬릿(12)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모듈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슬릿(12)이 형성된 구멍 부분과 슬릿(12)이 형성되지 않은 판 부분을 포함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 상 슬릿(12)이 형성되지 않은 판 부분(11)을 "살"이라고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제1 모듈(10)은, 도 1a 내지 도 6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300)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이면서 전체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크류(300)가 회전함에 따라 재료가 위치할 수 있는 제1 모듈(10)과 스크류(300) 사이의 체적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고 재료에 가해지는 압축력도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재료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압착되어 입자가 작아지게 되거나 분쇄된다. 그러나 스크류(300)의 형상과 크기는 하부로 갈수록 재료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강해지는 형상과 크기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여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들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a 내지 도 6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모듈(20)은 제1 모듈(10)을 감싸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모듈(20)의 각 부분의 내경이 제1 모듈(10)의 대응하는 부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모듈(20)의 형상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리브(22)가 제1 모듈(10)의 슬릿(12)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22)와 슬릿(12) 사이의 틈이 스크류 나선(310)과 교차될 수 있는 어떠한 임의의 형상도 가능하다.
한편, 제1 모듈(10)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rib)(13, 14)를 이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브(13, 14)는 제1 모듈(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의 기재 및 후술되는 기재를 통하여, 제1 모듈(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리브(13, 14)와 제1 모듈(10)의 슬릿(12)에 삽입되는 제2 모듈(20)의 리브(22)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리브(13, 14)가 없다면 착즙 대상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정체되거나, 압착력 또는 분쇄력이 낮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크류(300)의 나선(310)에 의해 재료가 이송 및 압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의하여 제1 모듈(10)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제1 모듈(10)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1 모듈(10)에는 리브(13, 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살에는 하나의 리브(13, 14)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리브(13, 14)는 제1 모듈(10)의 슬릿(12)이 형성되지 않은 살(11)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슬릿(12)의 길이보다 짧거나 비슷한 길이를 가진 리브(13)(이하 "제1 리브"라고 지칭한다)와, 슬릿(12)이 형성되지 않은 살(11)의 내주면에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형성되며 슬릿(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리브(14)(이하 "제2 리브"라고 지칭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로 리브(13, 14)는 착즙 드럼(400)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가 스크류(300)와 맞닿는 좁은 부분에 끼어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리브(13, 14)는 재료를 아래로 내려가게 하면서 스크류(300)와 함께 재료를 잘 으깨어 짜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리브(13, 14)는 반드시 착즙 드럼(4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스크류(300)의 나선(310)과 교차되는 형태로서 재료의 효율적인 이송 및 압착을 위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진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또한 도 2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리브(13)는 제1 모듈(10)의 살(11)에서 슬릿(12)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13)가 슬릿(12)에 인접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제1 리브(13)가 살(1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경우와 비교할 때, 틈에 찌꺼기가 끼는 것이 줄어든다.
한편 제2 리브(14)는 살(11)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재료를 안내하고 압착하는 기능은 물론 스크류(300)의 나선에 의해 재료가 이송 및 압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착력에 의한 제1 모듈(1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기능과 착즙 드럼(400) 내에 스크류(300)의 수용 위치를 조정하고 착즙 공간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리브(14)의 돌출높이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1a, 2a, 2c, 3a 및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낮아지거나 제2 리브(14)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적어도 그 직경이 줄어드는 하나 이상의 단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a, 2a, 2c, 3a 및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살(11)은 그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살(11)과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살(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브(13)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살(1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제2 리브(14)는 폭이 상대적으로 넒은 살(1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이 결합되었을 때 제1 모듈(10)의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11)의 외주면에 맞닿는 제2 모듈(20)의 내주면에는 리브(22)를 형성하지 않는 대신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듈(10)의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11)의 외주면에는 결합 홈(19)이 형성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11)과 마주하는 제2 모듈(20)의 내주면에는 결합 홈(19)에 결합 가능한 결합 돌기(29)가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모듈(10)의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11)의 외주면에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살(11)과 마주하는 제2 모듈(20)의 내주면에는 결합 돌기에 결합 가능한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19)과 결합 돌기(29)가 결합함으로써, 제1 모듈(10)에 대한 제2 모듈(20)의 상대 위치가 정해지고, 이에 따라 틈의 크기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위에서 기재한 결합 홈과 결합 돌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2 모듈(20)에서 리브(22)가 형성되지 않은 내주면과 이에 대응되는 제1 모듈(10)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서로 맞닿게 할 수도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제2 모듈(20)에서 리브(22)가 형성되지 않은 내주면과 이에 대응되는 제1 모듈(10)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면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과의 사이에서 즙이 흘러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즙이 방해 없이 아래로 흐르게 된다.
다른 하나의 양상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착즙된 즙이 모일 수 있도록 제2 모듈(20)에서 리브(22)가 형성되지 않은 내주면과 이에 대응되는 제1 모듈(10)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 공간은 하부로 갈수록 더 커질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2 모듈(20)에서 리브(22)가 형성되지 않은 내주면과 이에 대응되는 제1 모듈(10)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모듈(10)의 외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제1 모듈(10)의 외주면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 그 외경이 줄어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를 둘 수도 있다.
또한 도 1a, 2a, 2c, 3a, 및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듈(10)의 슬릿(12) 사이에 형성된 살(11)의 폭(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의 슬릿과 이웃하는 슬릿 사이의 거리)이 대체로 반경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즙 드럼(400)의 제1 모듈(10)의 슬릿(12)과 제2 모듈(20)의 리브(22) 사이에 형성된 틈이 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에 의하여 상기 틈이 막히거나 즙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반경 반향 중심으로 갈수록 살(11)의 폭이 넓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모듈(10)에 형성된 살(11)의 단면을 대체로 반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착즙 드럼(400)의 제1 모듈(10)의 내부에서 스크류(300)의 회전에 의해 재료가 하측으로 이송되고, 스크류(300)와 제1 모듈(1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므로 재료가 서서히 압축되어 알갱이가 더 작아지고, 재료의 압축에 따른 압축력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진다. 따라서 즙이 걸러져 나오는 착즙 드럼의 하부측 틈이 상부측 틈에 비하여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료에 따라 착즙 과정에서 발생된 찌꺼기에 의하여 하부측 틈을 통한 즙의 배출이 방해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즙이 상부측 틈을 통해 넘쳐 나오도록 착즙 드럼의 상부측 틈은 하부측 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착즙 드럼의 제1 모듈(10)의 슬릿(12)과 제2 모듈(20)의 리브(22) 사이에 형성된 틈은 상부보다 하부가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양상에서, 도 1a, 1b, 2a, 2c, 3a 및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듈(10)의 슬릿(12)의 폭을 하부 쪽으로 갈수록 더 넓게 할 수 있고 제1 모듈(10)의 슬릿(12)의 폭을 상부 쪽으로 갈수록 더 좁게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하나의 양상에서, 제1 모듈(10)의 슬릿(12)의 폭은 일정하게 형성하고 제2 모듈(20)의 리브(22)의 폭을 상부 쪽으로 갈수록 더 좁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도 1a, 1b, 2a, 2c, 3a, 및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듈(10) 또는 제2 모듈(20)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단차(121, 221)를 두고 그 단차(121, 221)를 기준으로 제1 모듈(10)의 슬릿(12)과 제2 모듈(20)의 리브(22) 사이에 형성된 틈은 상부측이 하부측보다 더 넓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단차(221)를 기준으로 제2 모듈(20)의 리브(22)의 폭을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착즙 드럼(400)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착즙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충분히 견디고 슬릿들(12)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고강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착즙 드럼(400)은 고강도 재질로 된 하나의 얇은 판재(plate)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은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를 사용하여 일체로 만들 수 있다.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은 사출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착즙 드럼(400)의 하부로 갈수록 재료가 받는 압축력이 점점 증가되므로, 제1 모듈(10)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거나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 사이에 형성된 틈이 벌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a 내지 3b 및 6a 내지 6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듈(10)의 슬릿(12)을 고정할 수 있도록 환형의 보강링(1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링(16)은 제1 모듈(10)의 하단 또는 상단과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슬릿(12)을 잡아줄 수 있으며, 하단 개구부에 환형의 플랜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착즙 과정에서 슬릿(12)이 벌어지거나 그 폭이 변경되지 않게 된다.
상기 보강링(16)이 제1 모듈(10)의 하단에 형성된 경우, 상기 보강링(16)의 내주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환형의 돌출링(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링(16)의 일측에는 찌꺼기 배출구(230)와 연통되는 보강링 찌꺼기 배출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a 내지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듈(20)의 하단에는 환형의 플랜지(27)가 형성되어 제1 모듈(1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축(320)의 외주면에는 제1 스크류 패킹(330)이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축(320)이 드럼홀(260)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스크류 패킹(330)이 드럼홀(260)의 외주면을 밀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 과정에서 즙이 드럼홀(26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류(300)의 하부 외주면에는 패킹홈(34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패킹홈(340)에는 제2 스크류 패킹(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될 수 있다. 패킹홈(340)이 제2 모듈(2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제2 스크류 패킹이 상기 안착부의 내측을 밀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가 즙 배출구(2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된 착즙 드럼(400)을 구성함으로써 세척이 간편하고,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제1 모듈(10)에 슬릿이 형성되고 제2 모듈(20)에 리브(22)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제1 모듈(10)에 반경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가 형성되고 제2 모듈(20)에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슬릿을 형성하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착즙 대상의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착즙 드럼으로,
    상기 스크류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의 하부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길이방향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을 감싸서 제1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형성된 제2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을 감싸 결합하도록, 제2 모듈의 각 부분의 내경이 제1 모듈의 대응하는 부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이 제1 모듈을 감싸 결합하면, 상기 리브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슬릿의 길이방향의 고정된 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모듈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모듈의 대응하는 내주면은 경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모듈은 슬릿의 하단에 환형의 보강링을 형성하여 슬릿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착즙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의 하단 및/또는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되는 착즙 드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는 리브가 형성되는 착즙 드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착즙 드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리브는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제2 리브의 길이는 제1 리브의 길이보다 긴 착즙 드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살과 상대적으로 넓은 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살의 내주면에 상기 제2 리브가 형성된 착즙 드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착즙 드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은 상측보다 하측으로 더 넓어지는 착즙 드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슬릿과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 사이에서 형성된 틈이 반경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는 착즙 드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폭은 제1 모듈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착즙 드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의 단면은 반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착즙 드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슬릿과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 사이에서 형성된 틈은 상기 착즙 드럼의 상부보다 하부가 좁은 착즙 드럼.
  13. 제1항에 있어서,
    제2 모듈의 하단에는 상기 제1 모듈을 지지하도록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되는 착즙 드럼.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모듈의 하부에는 즙 배출구와 찌거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의 플랜지의 중앙에는 드럼홀이 형성되는 착즙 드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의 내주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환형의 돌출링이 형성되어 있는 착즙 드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의 일측에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보강링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착즙 드럼.
KR2020200004362U 2017-10-31 2020-11-30 착즙 드럼 KR200494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362U KR200494279Y1 (ko) 2017-10-31 2020-11-30 착즙 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07U KR200492833Y1 (ko) 2017-10-31 2017-10-31 착즙 드럼
KR2020200004362U KR200494279Y1 (ko) 2017-10-31 2020-11-30 착즙 드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07U Division KR200492833Y1 (ko) 2017-10-31 2017-10-31 착즙 드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19U true KR20200002719U (ko) 2020-12-15
KR200494279Y1 KR200494279Y1 (ko) 2021-09-08

Family

ID=7378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362U KR200494279Y1 (ko) 2017-10-31 2020-11-30 착즙 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27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306708U (zh) * 2015-12-04 2016-06-15 廖玉连 原汁机的压榨筒组件
KR20170095641A (ko) * 2016-02-15 2017-08-2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원액기
JP2017529926A (ja) * 2014-09-23 2017-10-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モジュール式漉し器及び搾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9926A (ja) * 2014-09-23 2017-10-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モジュール式漉し器及び搾汁装置
CN205306708U (zh) * 2015-12-04 2016-06-15 廖玉连 原汁机的压榨筒组件
KR20170095641A (ko) * 2016-02-15 2017-08-2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원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279Y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601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200490466Y1 (ko) 착즙기
KR200488915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102465519B1 (ko) 분리 스크류 및 분리 스크류를 사용한 착즙기
KR102390736B1 (ko)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0492833Y1 (ko) 착즙 드럼
KR200493287Y1 (ko) 착즙 드럼
KR200489360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200002719U (ko) 착즙 드럼
KR20200002720U (ko) 착즙 드럼
KR20200002766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050034883A (ko) 착즙 분쇄기
KR200489359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CN211022123U (zh) 榨汁机
KR200495755Y1 (ko) 착즙 드럼
KR200497404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0494673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220001672U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TWM571708U (zh) 榨汁桶
KR20240000421U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200001877U (ko) 착즙기 망드럼 및 상기 망드럼을 포함하는 착즙기
KR20220002630U (ko) 착즙기
KR20200002389U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