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17A -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17A
KR20200002717A KR1020190155617A KR20190155617A KR20200002717A KR 20200002717 A KR20200002717 A KR 20200002717A KR 1020190155617 A KR1020190155617 A KR 1020190155617A KR 20190155617 A KR20190155617 A KR 20190155617A KR 20200002717 A KR20200002717 A KR 20200002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eco
plastic film
biodegradation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692B1 (ko
Inventor
전병준
정병운
Original Assignee
(주)유니팩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팩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유니팩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5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6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접촉층, 중간 차단층 및 외층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로서, 상기 내부 접촉층은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중간 차단층은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 및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외층은 평량 35 g/m2 이상인 종이에서 선택되며, 상기 외층은 필요에 따라 친환경 인쇄층 및 코팅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성이 없고, 내용물을 변성시키지 않으며, 공기, 수분 및 향기 차단성이 있고, 기계적 물성(내인열성 등)이 우수할 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거나 일정한 조건 하에서는 분해될 수 있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ECO-FRIENDLY PACKING MATERIAL FOR MASK PACK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팩은 액상의 에센스 등의 화장품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피부 관리기구이다. 마스크팩은 부직포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시트 형태로 형성된 마스크 시트가, 다층필름 형태의 포장재로 형성된 파우치 내부에 밀봉 포장된다. 마스크팩의 사용시에는, 밀봉된 파우치를 개봉하여 마스크팩을 꺼내서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 파우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포장재는 마스크팩과 닿았을 때 독성이 없고 변성을 야기하지 않고, 공기, 수분 및 향기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견딜만큼 튼튼해야 하나, 이러한 성질을 두루 만족시키는 재질은 없기 때문에 서로 다른 재질의 필름들을 여러 겹 겹쳐서 다층필름 형태로 만들어 포장재로 사용한다.
대표적인 다층필름 포장재는 마스크팩과 접촉하는 내부 접촉층, 기체와 산소를 차단하는 중간 차단층 및 외부에 노출되는 외층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외층은 다시 인쇄층 및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접촉층 또는 내부층은 마스크팩 및 마스크팩 용액과 접하면서 이들을 둘러싸는 부분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주로 만들어지고, 열을 가하면 공기가 통할 수 없도록 밀봉되는 열실링성을 갖는다.
중간 차단층 또는 중간층은 공기, 빛, 수분 및 향기 등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알루미늄박이 가장 널리 사용되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어, 최근에는 공기나 빛의 차단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쓰는 경우도 있다.
외층 또는 외부층은 안쪽의 막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충격이나 열에 강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나일론을 많이 사용한다.
외층에는 제품의 내용물을 표시하는 인쇄층 및 외층의 손상(긁힘, 빛에 의한 변색 등)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층포장재는 기존의 식품 포장인 캔이나 병보다 가볍고, 납작한 봉지 모양이라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개봉하기 쉽고 포장이 가볍고 유연해서 다칠 위험이 적고, 공기와 세균을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밀봉되므로 보존료 등의 첨가물을 넣지 않아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포장비가 저렴하고 제조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가 캔이나 병보다 1/4 정도 밖에 들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포장지가 대부분 불투명해 변질된 제품 식별이 곤란하고,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포장이 쉽게 파손되어 내용물이 흘러나올 수 있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마스크팩 포장에는 이와 같은 장점을 가진 다층 포장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환경 문제에 대한 이슈가 많이 제기되면서 마스크팩 뿐만 아니라 마스크팩을 포장하는 포장재에 대해서도 친환경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마스크팩용 다층 포장재는 석유 유래의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한 것으로, 사용된 다층 포장재는 분리수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수거된 경우에도 재활용이 어려우며, 이를 소각, 매립하는 경우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매립공간의 부족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수분 및 공기차단성을 위해 금속층(예. 알루미늄 호일)에 중합체 필름(예. 나일론 필름)을 합지 또는 접합시킨 다층 포장재는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독성이 없고 내용물을 변성시키지 않아야 하며, 공기, 수분 및/또는 향기 차단성이 있고, 기계적 물성(내인열성 등)이 우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거나 일정한 조건 하에서는 분해될 수 있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성이 없고 내용물을 변성시키지 않아야 하며, 공기, 수분 및 향기 차단성이 있고, 기계적 물성(내인열성 등)이 우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거나 일정한 조건 하에서는 분해될 수 있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접촉층, 중간 차단층 및 외층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로서, 상기 내부 접촉층은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및 생분해성(Bio-degradable)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중간 차단층은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 및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외층은 평량 35 g/m2 이상인 종이에서 선택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 촉매제는 페릭 아세틸카바메이트, 알미늄 아세틸카바메이트 및 망간 아세틸카바메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아세틸카바메이트 금속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 촉매제는 첨가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나일론에 각각 0.01~0.1중량%가 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접촉층은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이고; 상기 중간 차단층은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이며; 상기 외층은 평량 70 g/m2 이상인 종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접촉층으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은 두께 80~135㎛를 가지며, 상기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은 두께 12~14㎛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접촉층과 중간 차단층은 무용제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1) 내부 접촉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2) 중간 차단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준비하거나,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3) 평량 35 g/m2 이상의 종이에, 상기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거나,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종이에 무용제 접합된 나일론 필름 또는 종이에 코팅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에,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a) 내부 접촉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2a) 중간 차단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3a) 평량 35 g/m2 이상의 종이에,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단계 4a) 상기 단계 3a에서 종이에 코팅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에, 상기 단계 1a에서 준비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 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b) 내부 접촉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2b) 중간 차단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3b) 평량 35 g/m2 이상의 종이에, 상기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 및 (단계 4b) 상기 단계 3b에서 종이에 무용제 접합된 나일론 필름에, 상기 단계 1b에서 준비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 상기 외층에 친환경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또는 (단계 5) 상기 외층에 보호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독성이 없고, 내용물을 변성시키지 않으며, 공기, 수분 및 향기 차단성이 있고, 기계적 물성(내인열성 등)이 우수할 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거나 일정한 조건 하에서는 분해될 수 있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내부 접촉층, 중간 차단층 및 외층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 접촉층은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중간 차단층은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 및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외층은 평량 35 g/m2 이상인 종이에서 선택될 수 있다.
(A) 내부 접촉층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접촉층(또는 내층)은 마스크팩 및 마스크팩 용액을 직접 둘러싸는 부분으로, 파우치 또는 봉지 형태로 제조하였을 때 내측에 위치하는 층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바람직하게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된 필름으로 제조되며, 열을 가하면 공기가 통할 수 없도록 밀봉되는 열실링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접촉층으로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또한 이용할 수 있다.
바이오베이스(Bio-based) 플라스틱은 바이오매스를 일정량 이상 함유하는 플라스틱을 말하며, 예를들면 사탕수수-유래 바이오PE, 바이오PP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은 탄소저감 효과가 우수하고 물성 등이 기존의 플라스틱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만, 생분해가 되지 않다는 단점이 있지만, 생분해 촉매제의 사용으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생분해성(Bio-degradable 또는 Bio-decomposable) 플라스틱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능한 플라스틱으로서, 예를 들면, PLA(Polylactide), TPS(열가소성 전분, Thermoplastic starch), PHA(Polyhydroxyalcanoate), PBA(Polybuthylene succinate), PVA(polyvinylalcohol), PCL(Polycarprolacton), PGA(Polyglycol acid), AP(aliphatic polyester, AP) 등이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자연계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능하므로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탄소저감효과가 우수하나, 고가이며, 물성이 낮고, 유통 중 분해가능성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파우치 내에서 살균 상태로 마스크팩과 접하기 때문에, 유통 중 분해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접촉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80~135㎛에서 선택될 수 있다.
내부 접촉층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경우에는 생분해 촉매제를 0.01~1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B) 중간 차단층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 차단층(또는 중간층)은 공기, 빛, 수분 및 향기 등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 또는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고 나노클레이가 분산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을 사용한다.
중간 차단층으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층으로 평량 35 g/m2 이상인 종이와 합지할 수 있고,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고 나노클레이가 분산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량 70 g/m2 이상인 종이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은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에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첨가 및 분산시켜 제조된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고 나노클레이가 분산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액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폴리올,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 및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N-메틸피놀리돈(NMP)용액에 희석시킨 중화제로 상기 프리폴리머를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프리폴리머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분산 시킨 후, 사슬 연장제를 첨가하여 수분산 폴리 우레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분산 폴리 우레탄에 아크릴 모노머, 생분해 촉매제 및 개시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에 유기화제로 처리된 클레이를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는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 15~25 중량부를 진공 오븐에서 60~80℃에 녹인 후, 내부 공기를 질소로 치환하여 교반하는 단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메틸올프로피온 산 15~25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50~65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온도를 45~55℃로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C) 외층
외층은 안쪽 막(즉, 내부 접촉층 및 중간 차단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충격이나 열에 강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나일론을 많이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층으로서 평량 35 g/m2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g/m2 이상의 종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노루지, 한지, 크라프트지, 백판지, 박엽지 또는 식품지 등을 언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산소차단성 및 수분차단성을 갖는 프로테고(Protego®, ㈜한솔제지)를 언급할 수 있다.
외층에는 제품의 내용물을 표시하는 인쇄층 및 외층의 손상(긁힘, 빛에 의한 변색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인쇄층은 외층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친환경 인쇄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수성 잉크, EB 경화 잉크, UV 경화 잉크, 생분해성 잉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EB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나일론 필름을 중간 차단층으로 적용하는 경우에, 종이의 평량은 35 g/m2 이상, 구체적으로는 35 내지 100 g/m2,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g/m2의 범위비용, 인쇄성, 포장특성 및 취급성 등을 감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을 중간 차단층으로 적용하는 경우에, 종이의 평량은 70 g/m2 이상, 구체적으로는 70 내지 200 g/m2,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 g/m2의 범위에서 비용, 인쇄성, 포장특성 및 취급성 등을 감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층으로 사용되는 종이의 평량은 상술한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중요하나,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중간 차단층 및/또는 내부 접촉층의 두께가 상술한 범위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종이의 평량을 상술한 범위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역으로도 선택가능하다.
(D) 생분해 촉매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생분해 촉매제는 산화 생분해제(oxo biodegradable agent)를 의미하며, 자연계에서 열, 광, 효소, 화학 반응 등의 복합적 분해 작용이 이루어져 1차적으로 산화분해가 이루어져 저분자화되고, 2차적으로 미생물에 의한 분해를 야기하는 물질이다.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플라스틱(산화 생분해 플라스틱으로도 칭함) 제품은 일상 사용 조건에서는 분해되지 않고, 일정 조건 하에서만 분해가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열 및 광분해는 열 및/또는 빛의 존재 하에 68℃ 이상 및 습도 85% 이상에서, 미생물 분해는 미생물의 존재 하에 37℃ 이상 및 습도 85% 이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분해 촉매제로는 페릭 아세틸카바메이트, 알미늄 아세틸카바메이트 및 망간 아세틸카바메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아세틸카바메이트 금속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분해 촉매제는 기재 플라스틱에 대해 0.01~1중량%, 바람직하게는 0.02~0.7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5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러한 함량은 엄밀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유형 또는 다른 종류의 "생분해 촉매제"를 사용하거나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포화 지방산은 고분자 자동산화 기능을 수행하여 고분자 분해에 기여할 수 있는데, 1 내지 5 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1 중량부 미만의 경우 고분자 분해시 자동 산화분해 기능이 약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고분자 물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불포화지방산으로는 올레산, 리놀레산, 아라키돈산, 리놀렌산 등 이중 결합이 2개 이상인 폴리엔지방산을 언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파 리놀레산과 아라키돈산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중탄산소다는 식물체 바이오매스의 가소제 및 금속염의 작용을 도와 분해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만일 1 중량부 미만 사용시 그 기능이 약할 수 있고, 5 중량부 초과 사용시 발포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접촉층은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이고; 상기 중간 차단층은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이고; 및 상기 외층은 평량 70 g/m2 이상인 종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두께 80~135㎛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은 두께 12~14㎛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간 차단층에 사용되는 나일론 필름은 두께 12~15㎛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평량 및 두께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적절한 비용으로 적절한 물성 및 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범위로서, 상술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접촉층과 중간 차단층은 무용제 방식으로 접합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용제형 에폭시계 접착제, 무용제형 우레탄계 접착제, 무용제형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무용제형 접착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LOCTITE LIOFOL LA 7735(Liofol UR 7735, 제조사:헨켈, 독일) 및 LOCTITE LIOFOL LA 7780(제조사: 헨켈, 독일)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술한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내부 접촉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2) 중간 차단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준비하거나,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3) 평량 35 g/m2 이상의 종이에, 상기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거나,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종이에 무용제 접합된 나일론 필름 또는 종이에 코팅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에,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차단층으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단계 1a) 내부 접촉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2a) 중간 차단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3a) 평량 35 g/m2 이상의 종이에,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단계 4a) 상기 단계 3a에서 종이에 코팅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에, 상기 단계 1a에서 준비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차단층으로 나일론 필름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단계 1b) 내부 접촉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2b) 중간 차단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3b) 평량 35 g/m2 이상의 종이에, 상기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 및
(단계 4b) 상기 단계 3b에서 종이에 무용제 접합된 나일론 필름에, 상기 단계 1b에서 준비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 상기 외층에 친환경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또는
(단계 5) 상기 외층에 보호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술한 친환경 인쇄층은 외층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성 잉크, EB 경화 잉크, UV 경화 잉크, 생분해성 잉크 등에서 선택되는 친환경 인쇄 잉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EB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보호 코팅층은 외층에 직접 형성되거나 친환경 잉크층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합은 무용제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사용된 용제의 방출로 인한 마스크팩 또는 마스크팩 용액의 오염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는 산소투과도가 종래의 차단성 중합체(barrier polymer)의 10~20 cc/m2·day에 비해 크게 감소하여 3 cc/m2·day 이하, 바람직하게는 1 cc/m2·day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cc/m2·day 이하이어서, 매우 높은 산소 차단성을 나타낸다.
또한 수분 투과도는 종래의 차단성 중합체(barrier polymer)의 10~20 g/m2·day에 비해 크게 감소하여 10 g/m2·day 이하, 바람직하게는 7 g/m2·day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g/m2·day 이하이어서, 매우 높은 수분 차단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산소 차단성 및 수분 차단성은 기존의 PET/NY/AL/PE 또는 PET/AL/PE 등과 같은 다층 필름에 필적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제조예 1(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의 제조)
(1) NCO-프리폴리머의 제조:
질소 분위기 하의 반응기에,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18중량부 및 디메틸올프로판 22중량부를 도입하고 10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N-메틸피롤리돈(NMP) 3중량부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57중량부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반응시키고, 온도를 50℃로 저하시켜 1시간 더 교반하여, NCO-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2)수용성 폴리우레탄 분산체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된 NCO-프리폴리머 34중량부에 N-메틸피롤리돈 2중량부 및 중화제 트리에틸아민 4중량부를 첨가하여 중화시키고, 300rpm의 교반 하에 물 50중량부를 적가하여 수분산시켰다. 그런 다음, 사슬연장제로서 에틸렌디아민 10중량부를 첨가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였다.
(3) 아크릴-우레탄 혼성 분산체의 제조:
상기 (2)에서 제조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분산체 78중량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0중량부를 질소 하에 도입하고, 1500rpm에서 30분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중량부를 첨가하고 300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액상의 수용성 아크릴-우레탄 혼성 분산체를 제조하였다.
(4)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의 제조:
상기 (3)에서 제조된 수용성 아크릴-우레탄 혼성 분산체 100중량부에 유기화제로 표면이 개질된 몬모릴로나이트(Cloisite 30B 또는 Cloisite 25A) 4중량부 및 생분해 촉매제 페릭아세틸카바메이트 0.3중량부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코팅액을,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고 나노클레이가 분산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식품지/PU코팅/ LLDPE필름의 3층 포장재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코팅액(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고 나노클레이가 분산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평량 70 g/m2 이상인 식품지(상표명:노루지, 제조사:한솔제지)에 12~14㎛의 두께로 코팅하여,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PU코팅)을 형성하였다.
또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상표명:LLDPE UF914, 제조사: 롯데케미칼)에 생분해 촉매제로서 페릭 아세틸카바메이트 0.3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50~80㎛의 두께를 갖는 필름(LLDPE필름)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식품지에 형성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PU코팅) 위에, 상술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E필름)을 합지하고 무용제 적층하여, 식품지/PU코팅/LLDPE필름의 3층 구조 포장재를 수득하였다.
얻어진 3층 포장재의 평량, 두께, 인장강도, 산소투과도 및 수분투과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식품지/PU코팅/ BB필름의 3층 포장재의 제조)
내부 접촉층으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E필름) 대신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BB필름)을 50~80㎛의 두께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식품지/PU코팅/BB필름의 3층 구조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다층 포장재의 평량, 두께, 인장강도, 산소투과도 및 수분투과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식품지/PU코팅/ BD필름의 3층 포장재의 제조)
내부 접촉층으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E필름) 대신에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BD필름)을 50~80㎛의 두께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식품지/PU코팅/BD필름의 3층 구조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다층 포장재의 평량, 두께, 인장강도, 산소투과도 및 수분투과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외층 하이배리어지
(평량 70g/m2)
좌동 좌동
중간 차단층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
(두께 12~14㎛)
좌동 좌동
내부 접촉층 LLDPE 필름
(두께 50~80㎛)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두께 50~80㎛)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
(두께 50~80㎛)
포장재의 물성
평량(g/m2) 120~150 120~150 120~150
두께(㎛) 116~143 116~143 116~143
인장강도(MD) 50.0±6.0 48.0±6.0 47.0±6.0
인장강도(TD) 62.0±6.0 59.0±6.0 56.0±6.0
산소투과도(OTR)
cc/㎡·day(23℃, 0%RH)
0.58 0.51 0.65
수분투과도(MVTR)
g/㎡·day(38℃, 90%RH)
1.07 0.97 1.25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종이-코팅-필름의 3층 구조 포장재는 산소투과도가 0.7 cc/m2·day 이하이고 수분투과도가 1.3 g/m2·day 이하이어서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식품지/NY필름/ LLDPE필름의 3층 포장재의 제조)
나일론(상표명:CNB01, 제조사:코오롱인더스트리)에 생분해 촉매제로서 페릭 아세틸카바메이트를 0.2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12~15um의 두께를 갖는 필름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나일론 필름(NY필름)을 평량 약 35 g/m2의 식품지(상표명:노루지, 제조사:한솔제지)에 무용제 합지하였다.
상기 식품지/NY필름의 2층 구조물에, 생분해 촉매제로서 페릭 아세틸카바메이트를 0.1중량부 함유하는 두께 50~80㎛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E필름)을 합지하고 무용제 적층하여, 식품지/NY필름/LLDPE필름의 3층 구조 포장재를 수득하였다.
얻어진 다층 포장재의 평량, 두께, 인장강도, 산소투과도 및 수분투과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식품지/NY필름/ BB필름의 3층 포장재의 제조)
내부 접촉층으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E필름) 대신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BB필름)를 50~80㎛의 두께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식품지/NY필름/BB필름의 3층 구조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포장재의 평량, 두께, 인장강도, 산소투과도 및 수분투과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6(식품지/NY필름/ BD필름의 3층 포장재의 제조)
내부 접촉층으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E필름) 대신에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BD필름)을 50~80㎛의 두께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식품지/NY필름/BD필름의 3층 구조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다층 포장재의 평량, 두께, 인장강도, 산소투과도 및 수분투과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외층 식품지(평량 약 35g/m2) 좌동 좌동
중간 차단층 NY 필름
(두께 12~14㎛)
좌동 좌동
내부 접촉층 LLDPE 필름
(두께 50~80㎛)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두께 50~80㎛)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
(두께 50~80㎛)
3층 포장재의 물성
평량(g/m2) 101.8~133.3 101.8~133.3 101.8~133.3
두께(㎛) 94~124 94~124 94~124
인장강도(MD) 70.0±6.0 68.0±6.0 65.0±6.0
인장강도(TD) 68.0±6.0 63.0±6.0 62.0±6.0
산소투과도(OTR)
cc/㎡·day(23℃, 0%RH)
2.3 2.5 3.4
수분투과도(MVTR)
g/㎡·day(38℃, 90%RH)
3.4 3.8 5.7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6에서 제조된 종이-필름-필름의 3층 구조 포장재는 산소투과도가 4 cc/m2·day 이하이고 수분투과도가 6 g/m2·day 이하이어서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내부 접촉층, 중간 차단층 및 외층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로서,
    상기 내부 접촉층은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중간 차단층은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 및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외층은 평량 35 g/m2 이상인 종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 촉매제는 페릭 아세틸카바메이트, 알미늄 아세틸카바메이트 및 망간 아세틸카바메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아세틸카바메이트 금속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 촉매제는 첨가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및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에 각각 0.01~0.1중량%가 되는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차단층은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이고,
    상기 외층은 평량 70 g/m2 이상인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접촉층으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은 두께 80~135㎛를 가지며,
    상기 중간 차단층으로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은 두께 12~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접촉층과 중간 차단층은 무용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7. (단계 1) 내부 접촉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2) 중간 차단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준비하거나,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3) 평량 35 g/m2 이상의 종이에, 상기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거나,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종이에 무용제 접합된 나일론 필름 또는 종이에 코팅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에,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의 제조 방법.
  8. (단계 1a) 내부 접촉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2a) 중간 차단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3a) 평량 35 g/m2 이상의 종이에, 상기 생분해 촉매제 및 나노클레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단계 4a) 상기 단계 3a에서 종이에 형성된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층에, 상기 단계 1a에서 준비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의 제조 방법.
  9. (단계 1b) 내부 접촉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2b) 중간 차단층으로서,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단계 3b) 평량 35 g/m2 이상의 종이에, 상기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하는 나일론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 및
    (단계 4b) 상기 단계 3b에서 종이에 무용제 접합된 나일론 필름에, 상기 단계 1b에서 준비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무용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의 제조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
    (단계 4) 상기 외층에 친환경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단계 5) 상기 외층에 보호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의 제조 방법.
KR1020190155617A 2019-11-28 2019-11-28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617A KR102374692B1 (ko) 2019-11-28 2019-11-28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617A KR102374692B1 (ko) 2019-11-28 2019-11-28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17A true KR20200002717A (ko) 2020-01-08
KR102374692B1 KR102374692B1 (ko) 2022-03-15

Family

ID=6915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617A KR102374692B1 (ko) 2019-11-28 2019-11-28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6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01B1 (ko) * 2020-03-03 2020-05-26 (주)바인컴퍼니 친환경 종이 아이스팩
KR20210092019A (ko) * 2020-01-15 2021-07-23 양재형 산화 생분해성 지퍼 형 파우치
KR20210092016A (ko) * 2020-01-15 2021-07-23 양재형 산화 생분해성 캡 형 파우치
KR20210092021A (ko) * 2020-01-15 2021-07-23 양재형 산화 생분해성 포장용기 파우치
KR20210115230A (ko) * 2020-03-12 2021-09-27 차진혁 아이스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24086A (ko) * 2021-03-02 2022-09-13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5709A (ja) * 2006-10-25 2008-05-08 Nihon Tetra Pak Kk 紙積層包装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66206A (ko) * 2011-08-31 2014-05-30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라미네이트 조성물, 필름 및 관련 방법
US20170369708A1 (en) * 2014-12-22 2017-12-2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Degradable composite structures
KR101860675B1 (ko) * 2017-06-27 2018-05-23 주식회사 오리온 친환경 잉크를 이용한 포장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9042B1 (ko) * 2018-06-15 2019-08-08 (주)바이오소재 폴리에틸렌 대체용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한 친환경 나노 클레이 분산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 및 코팅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5709A (ja) * 2006-10-25 2008-05-08 Nihon Tetra Pak Kk 紙積層包装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66206A (ko) * 2011-08-31 2014-05-30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라미네이트 조성물, 필름 및 관련 방법
US20170369708A1 (en) * 2014-12-22 2017-12-2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Degradable composite structures
KR101860675B1 (ko) * 2017-06-27 2018-05-23 주식회사 오리온 친환경 잉크를 이용한 포장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9042B1 (ko) * 2018-06-15 2019-08-08 (주)바이오소재 폴리에틸렌 대체용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한 친환경 나노 클레이 분산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 및 코팅지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19A (ko) * 2020-01-15 2021-07-23 양재형 산화 생분해성 지퍼 형 파우치
KR20210092016A (ko) * 2020-01-15 2021-07-23 양재형 산화 생분해성 캡 형 파우치
KR20210092021A (ko) * 2020-01-15 2021-07-23 양재형 산화 생분해성 포장용기 파우치
KR102114801B1 (ko) * 2020-03-03 2020-05-26 (주)바인컴퍼니 친환경 종이 아이스팩
KR20210115230A (ko) * 2020-03-12 2021-09-27 차진혁 아이스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24086A (ko) * 2021-03-02 2022-09-13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692B1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692B1 (ko) 마스크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A2239671C (en) Waterborne primer and oxygen barrier coating with improved adhesion
JP5639898B2 (ja) プラスチック箔または金属箔を含む多層複合材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AU6988398A (en) Waterborne primer and oxygen barrier coating with improved adhesion
JP5888323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成形容器
EP2658906B1 (en) Eco-friendly foaming sheet
CN110382232A (zh) 具备具有呋喃二甲酸单元的聚酯膜和热密封性树脂层的层叠体以及包装袋
KR102274458B1 (ko)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 방법 및 수득된 친환경 식품 포장지
JP2014133797A (ja) ガスバリア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KR102009042B1 (ko) 폴리에틸렌 대체용 생분해 촉매제를 함유한 친환경 나노 클레이 분산 수용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코팅액 및 코팅지 제조방법
KR102513459B1 (ko) 아이스팩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ES2935744T3 (es) Material compostable, en particular destinado al embalaje,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de material compostable
JP2018001574A (ja) 多層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包装材および製品、ならびに電子デバイスの保護シート
JP7358400B2 (ja) コーティングされたフィルム
JP5640698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16059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245984A1 (en) Slitting machines and methods for forming rolls of coated films therewith
KR102430977B1 (ko) 친환경 아이스팩 포장지
JP2007030309A (ja) 生分解性積層フィルム、この生分解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生分解性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生分解性容器
EP3802655B1 (en) Processes for making coated films and solventless polyurethane precursors that may be used to make coated films
KR102321693B1 (ko) 압착 가열에 의해 자체밀봉이 가능한 적층시트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재
KR102460102B1 (ko) 친환경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9218439A (ja) 押し出しラミネート用アンカーコート剤、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材
WO2022137992A1 (ja) 缶用ラベル
JP2004322624A (ja) 生分解性剥離フィルム状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