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576U -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 Google Patents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576U
KR20200002576U KR2020190002032U KR20190002032U KR20200002576U KR 20200002576 U KR20200002576 U KR 20200002576U KR 2020190002032 U KR2020190002032 U KR 2020190002032U KR 20190002032 U KR20190002032 U KR 20190002032U KR 20200002576 U KR20200002576 U KR 202000025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drug
diameter
support member
premi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재
윤영서
신명주
이긍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모스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모스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모스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190002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576U/ko
Publication of KR202000025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61M35/006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using sponges, foams, absorbent pads or swabs as spre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는: 다각기둥 형상을 갖고, 하부에 삽입부를 구비한 도포부;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제 1 직경을 갖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구비된 구형부재; 상기 구형부재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직경보다 큰 제 2 직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 상기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되고,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직경보다 큰 제 3 직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EQUIPMENT FOR APPLYING MEDICINES IN THE ORAL CAVITY}
본 개시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다각기둥 형상의 도포부를 포함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수년 전부터, 장기 입원 환자와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의 병원내 흡인성 폐렴의 발병 원인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그 결과 장기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인 구강 위생 관리를 통하여 병원내 흡인성 폐렴의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관련 논문에 의하여도 여러 차례 발표되었다.
전문적인 구강 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외의 많은 국가의 병원에서는 오래전부터 이에 대한 처치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많은 수의 병원에서 이와 같은 전문적인 구강 관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구강 관리를 진행함에 있어 전문적인 처치용 기자재가 허가된 바 없어 매우 적당하지 않은 방법의 처치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일례로,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처치 방법은 1회용 드레싱키트 내의 플라스틱 포셉에 거즈를 감아 처치를 진행하지만, 이는 포셉의 형상 때문에 구강내에 상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설압자의 끝부분에 거즈를 감아 처치를 진행하지만 설압자의 둔탁한 모양으로 인해 구강 내 미세한 부분의 관리는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소비자의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를 배경으로 구강 건강과 관련된 고기능 및 고부가가치 제품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고령자 인구의 증가, 재택 간병의 증가로 인해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고령층 간병용 구강 관리 용품의 시장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는 별도의 특화된 장비 없이, 구강 관리를 위해 환자의 구강 점막, 혀, 치아 및 잇몸 부위에 세척 용액을 도포 한 후, 해당 부위를 살균 세척한다. 예를 들어, 구강 관리를 위해 막대(예컨대, 의료용 포셉 또는 설압자 등)에 거즈를 말아 살균 세척을 진행한다.
이 경우, 거즈의 사이즈로 인해, 구강 내 점막 부, 어금니 부위의 잇몸 및 치아와 같이 개구부로부터 깊은 부분에 세척용액의 도포와 세척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막대에서 거즈가 쉽게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의료용 포셉의 뾰족한 끝부분 또는 설압자의 끝부분으로 인해 구강 내 점막이 손상되고, 이로 인한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입을 벌릴 수 없는 환자(예를 들어, 무의식 환자)의 경우, 별도의 개구기를 사용하여 처치하게 되며, 이 경우 기존의 방법으로는 세척 용액의 도포와 살균 세척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339호(2013.08.07)에서는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 기술은 일반적인 칫솔을 개선한 고안으로써 구강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자기 자신의 구강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는 의사 또는 간병인이 환자에게 처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 또는 간병인이 구강 관리를 위해 환자에게 수행하는 처치가 용이하도록 특화된 기구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 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고, 세밀한 처치가 가능한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는: 다각기둥 형상을 갖고, 하부에 삽입부를 구비한 도포부;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제 1 직경을 갖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구비된 구형부재; 상기 구형부재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직경보다 큰 제 2 직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 상기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되고,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직경보다 큰 제 3 직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하면의 정중앙에 일(一)자 모양을 갖도록 절개된 절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 홈의 깊이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상기 삽입부와 접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지지부의 직경보다 큰 제 4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파지 하였을 때, 회전을 방지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양측에 검지 및 엄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파지요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소재의 발포체(Form)로 이루어져, 상기 의약품의 용액을 흡수 및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60 중량부와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40 중량부로 배합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 홈은, 6.6mm 이상이고, 7.7mm 이하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139.5mm 이상이고, 170.5mm 이하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3.6mm 이상이고, 4.4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는, 5.4mm 이상이고, 6.6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3.6mm 이상이고, 4.4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형부재는, 5.4mm 이상이고, 6.6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5.4mm 이상이고, 6.6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7.2mm 이상이고, 8.8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는, 1.08mm 이상이고, 1.32mm 이하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안전하고, 편리하고, 세밀한 처치가 가능한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다른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에에 따른 지지부를 입체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에 포함된 도포부와 지지부가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 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는 도포부(100), 지지부(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는 장기 입원환자 및 인공호흡기 착용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세척과 보습제도포 등의 처치를 진행할 때 사용되는 기구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는 다양한 의약품을 구내에 도포할 때 사용되는 기구를 통칭할 수 있다.
한편, 도포부(100)는 의약품의 용액을 흡수 및 토출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포부(100)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포부(100)는 측면에 요철 패턴이 구비된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포부(100)는 측면에 요철 패턴이 구비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포부(100)는 원 기둥에 요철 패턴이 구비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포부(100)는 상면, 하면,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중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의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 각각에 요철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포부(100)의 중심부는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 각각에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100)는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 각각에 요철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철부는 세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부와 철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철부는, 도포부(100)의 중심부의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 각각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철부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의 크기는 중심부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철부의 높이는 중심부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포부(100)의 철부가 도포부(100)의 중심부의 4개의 측면 각각에 구비됨으로써 도포부(100)가 요철 패턴을 각각의 측면에 구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포부(100)는 측면을 제외한 상면 및 하면이 동일한 다각형상(예를 들어, 사각형)을 가질 수 있다. 즉, 도포부(100)의 다각기둥 형상은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사용하는 치료자는 환자의 구강 내 구석진 곳까지 세밀하게 의약품을 도포하거나 세척할 수 있다.
특히, 도포부(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구강 내 외측 잇몸에 대한 처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포부(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구강 내 외측 치아에 대한 처치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포부(100)는 하부에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포부(100)는 하부에 구비된 삽입부를 통해 지지부(200)에 끼워질 수 있다.
도포부(100)에 구비된 삽입부는 하면의 정중앙에 일(一)자 모양을 갖도록 절개된 절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개 홈(111)은 결합부(2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도포부(100)에 구비된 삽입부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도포부(1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소재의 발포체(Form)로 이루어져, 의약품의 용액을 흡수 및 토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포부(100)가 폴리우레탄 소재의 발포체로 이루어진 경우 의약품의 용액을 다른 재질부다 쉽게 흡수 및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포부(1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00)는 도포부(100)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일단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300)와 결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00)는 결합부 및 손잡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부(200)는 결합부 및 손잡이부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시 조립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지지부(200)에 구비된 결합부는 지지부재, 구형부재,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 걸림부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지지부(200)에 구비된 결합부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지지부(2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60 중량부와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40 중량부로 배합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부(20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가 폴리카보네이트 60 중량부와 ABS 수지 40 중량부로 배합된 플라스틱 수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플라스틱 소재의 탄성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는 도포부(100) 및 지지부(200) 각각이 멸균 포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00)는 결합부 및 손잡이부(300) 각각이 결합된 일체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지지부(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0)는 사용자가 파지 하였을 때, 회전을 방지하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처치방법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고, 세밀한 처치를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기 입원환자 및 인공호흡기 착용 환자의 흡인성 폐렴 발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포부(100)는 삽입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10)는 하면의 정중앙에 일(一)자 모양을 갖도록 절개된 절개 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개 홈(111)은 결합부(2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절개 홈(111)은, 6.6mm 이상이고, 7.7mm 이하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개 홈(111)은 7m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개 홈(111)의 길이는 도포부(100)와 결합되는 결합부(21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100)와 결합부(210)의 결합 시, 도포부(100)의 삽입부(110)와 지지부(200)의 결합부(210) 각각의 크기(여기서, 절개 길이 및 직경)가 달라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110)에 포함된 절개 홈(111)은 지지부(200)의 결합부(210)와 결합될 때, 벌어질 수 있다. 절개 홈(111)이 벌어지는 경우, 결합부(210)가 절개 홈(11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절개 홈(111)의 깊이는 지지부(200)에 구비된 결합부(210)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도포부(100)의 삽입부(110) 길이만큼, 지지부(200)의 결합부(210)가 절개 홈(11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10)가 도포부(100)를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의 일단이 도포부를 관통하여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포부(100)는 다각기둥 형상(바닥 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부(100)의 하면은 4개의 측면에 요철 패턴이 구비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포부(100)는 상면, 하면,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중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의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 각각에 요철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포부(100)의 중심부는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 각각에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100)는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 각각에 요철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철부는 세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면은 4개의 측면에 계단 형상의 요철 패턴이 구비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철부는, 도포부(100)의 중심부의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 각각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철부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의 크기는 중심부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철부의 높이는 중심부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포부(100)의 철부가 도포부(100)의 중심부의 4개의 측면 각각에 구비됨으로써 도포부(100)가 요철 패턴을 각각의 측면에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면은 4개의 측면에 계단 형상의 요철 패턴을 구비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포부(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사용하는 치료자는 환자의 구강 내 구석진 곳까지 의약품을 도포하거나 세척할 수 있다.
특히, 도포부(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사용하는 치료자는 환자의 구강 내 외측 잇몸에 대한 처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사용하는 치료자는 환자의 구강 내 외측 치아에 대한 처치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다른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에에 따른 지지부를 입체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일단에 결합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이 손잡이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00)는 결합부(210) 및 손잡이부(3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부(200)는 결합부(210) 및 손잡이부(300)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시 조립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지지부(200)는 139.5mm 이상이고, 170.5mm 이하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200)는 153m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3.6mm 이상이고, 4.4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200)는 4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00)의 일단에 구비된 결합부(210)는 제 1 직경을 갖는 지지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211)는 3.6mm 이상이고, 4.4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재(211)는 4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지지부재(211)의 일단에 구형부재(2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11)의 일단에 구형부재(212)가 구비된 경우,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에 의약품을 도포할 때 환자의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210)에 결합되는 도포부(100)가 찢어지거나 분리되더라도, 결합부(210)의 일단에 구비된 구형부재(212)만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구형부재(212)에는 날카로운 부분이 없기 때문에, 구형부재(212)가 노출되더라도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에 의약품을 도포할 때 환자의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형부재(212)는 5.4mm 이상이고, 6.6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형부재(212)는 6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절개 홈(111)은, 6.6mm 이상이고, 7.7mm 이하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형부재(212)가 절개 홈에 삽입될 때 도포부(100)가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10)는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는 구형부재(212)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의 개수는 2개 내지 4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의 개수는 제작 난이도 또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의 전체 크기에 따라 더 많아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은 지지부재(211)의 제 1 직경보다 큰 제 2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은 지지부재(2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은 서로 특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은 1.08mm 이상이고, 1.32mm 이하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123) 각각은 1.2mm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어 결합부(210)의 지지부재(21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고 지지부재(2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결합부(210)는 도포부(100)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에서 쉽게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와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접착 결합될 때, 복수의 제 1 돌출부(213)가 지지부재(211)에 구비된 경우, 복수의 제 1 돌출부(213)가 지지부재(211)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보다 실리콘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와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와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접착 결합될 때, 상기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가 이격 배치되어 발생된 간격을 통해 지지부재(211) 상에서 실리콘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은 5.4mm 이상이고, 6.6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은 6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10)는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의 하방에 걸림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214)는 지지부재(211)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214)는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걸림부(214)는 삼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214)는 제 1 면과 제 2 면이 직각 삼각형인 삼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걸림부(214)는 제 1 면과 제 2 면이 직각 삼각형인 삼각기둥 형상이고, 상기 직각 삼각형 중 직각인 변을 포함하는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 존재하는 제 3 면이 결합부(210)의 지지부재(211) 상에서 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3 면에 대향하는 방향에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211)에 걸림부(214)가 구비되는 경우,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 처치 시,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당기는 힘이 가해져 발생될 수 있는 도포부(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10)는 도포부(100)의 이탈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환자의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11)에 걸림부(214)가 구비되는 경우,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 처치 시,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회전시킬 때, 지지부(200)가 도포부(100) 내에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11)에 걸림부(214)가 구비되는 경우, 도포부(100)와 지지부(200)가 항상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 처치 시, 환자의 구강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하거나, 환자의 구강 내 의약품 도포를 보다 꼼꼼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회전시킬 때 도포부(100)와 지지부(200)가 항상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걸림부(214)는 지지부재(211)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11)의 일 방향에 걸림부(214)가 하나 구비될 수 있고, 일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걸림부(214)가 하나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개 이상의 걸림부(214)가 지지부재(21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결합부(210)는 걸림부(214)의 하방에 제 2 돌출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215)는 지지부재(211)의 제 1 직경 및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의 제 2 직경보다 큰 제 3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돌출부(215)는 지지부재(2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돌출부(215)는 7.2mm 이상이고, 8.8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돌출부(215)는 8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절개 홈은,6.6mm 이상이고, 7.7mm 이하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돌출부(215)가 8mm의 직경을 갖는 경우, 도 2에서 상술한 절개 홈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 2 돌출부(215)가 상술한 바와 같은 직경을 갖는 경우,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 처치 시,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구강 내에 밀어 넣는 힘을 가하더라도, 도포부(100)가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의 하방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림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관통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0)는 사용자가 파지 하였을 때, 회전을 방지하는 그립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300)는 5.4mm 이상이고, 6.6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300)는 6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그립부(310)는 양측에 검지 및 엄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파지요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10)는 함몰된 형태를 갖는 제 1 파지요부(311) 및 제 2 파지요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립부(310)는 제 1 파지요부(311) 및 제 2 파지요부(312)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3.6mm 이상이고, 4.4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립부(310)는 제 1 파지요부(311) 및 제 2 파지요부(312)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4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그립부(310)는, 제 1 파지요부(311) 및 제 2 파지요부(312)의 말단 사이의 거리가 5.4mm 이상이고, 6.6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립부(310)는, 제 1 파지요부(311) 및 제 2 파지요부(312)의 말단 사이의 거리가 6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립부(310)는 중심점이 가장 얇고, 중심점으로부터 양측의 말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립부(310)는,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 처치 시, 제 1 파지요부(311) 및 제 2 파지요부(312) 각각에 상기 치료자의 검지 및 엄지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가 치료자의 의도와 다르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310)는, 치료자가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회전시키는 경우, 파지요부를 통해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보다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에 포함된 도포부와 지지부가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포부(100)는 지지부(200)의 결합부(2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포부(100)는 삽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포부(100)의 삽입부(110)는 삽입 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포부(100)의 삽입 홈(111)에 지지부(200)의 결합부(210)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포부(100)의 절개 홈(111)의 깊이는 지지부(200)에 구비된 결합부의 길이(L3)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개 홈(111)의 깊이는 결합부의 길이(L3)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도포부(100)의 삽입부(110) 길이만큼, 지지부(200)의 결합부(210)가 절개 홈(11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10)가 도포부(100)를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의 일단이 도포부를 관통하여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200)의 일단에 구비된 결합부(210)는 제 1 직경을 갖는 지지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10)는 지지부재(211)의 일단에 구형부재(212)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재(211)의 일단에 구형부재(212)가 구비된 경우,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에 의약품을 도포할 때 환자의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210)에 결합되는 도포부(100)가 찢어지거나 분리되더라도, 결합부(210)의 일단에 구비된 구형부재(212)만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구형부재(212)에는 날카로운 부분이 없기 때문에, 구형부재(212)가 노출되더라도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에 의약품을 도포할 때 환자의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10)는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는 구형부재(212)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의 개수는 2개 내지 4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의 개수는 제작 난이도 또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의 전체 크기에 따라 더 많아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은 지지부재(211)의 제 1 직경보다 큰 제 2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은 지지부재(2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은 서로 특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고 지지부재(2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결합부(210)는 도포부(100)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에서 쉽게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결합부(210)는 도포부(100)의 삽입 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상기 삽입부(110)와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 접착제는 메틸폴리실록산에 이산화규소를 기 설정된 비율로 배합된 접착제일 수 있다. 이 경우, 실리콘 접착제는 내한성, 내수정, 절연성, 내오존성, 저연소성, 화학적 불활성, 비오염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와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접착 결합될 때, 복수의 제 1 돌출부(213)가 지지부재(211)에 구비된 경우, 복수의 제 1 돌출부(213)가 지지부재(211)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보다 실리콘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와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와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접착 결합될 때, 상기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가 이격 배치되어 발생된 간격을 통해 지지부재(211) 상에서 실리콘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의 하방에 걸림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214)는 지지부재(211)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214)는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걸림부(214)는 삼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214)는 제 1 면과 제 2 면이 직각 삼각형인 삼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걸림부(214)는 제 1 면과 제 2 면이 직각 삼각형인 삼각기둥 형상이고, 상기 직각 삼각형 중 직각인 변을 포함하는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 존재하는 제 3 면이 결합부(210)의 지지부재(211) 상에서 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3 면에 대향하는 방향에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211)에 걸림부(214)가 구비되는 경우,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 처치 시,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당기는 힘이 가해져 발생될 수 있는 도포부(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10)는 도포부(100)의 이탈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환자의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11)에 걸림부(214)가 구비되는 경우,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 처치 시,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회전시킬 때, 지지부(200)가 도포부(100) 내에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11)에 걸림부(214)가 구비되는 경우, 도포부(100)와 지지부(200)가 항상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 처치 시, 환자의 구강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하거나, 환자의 구강 내 의약품 도포를 보다 꼼꼼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회전시킬 때 도포부(100)와 지지부(200)가 항상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걸림부(214)의 하방에 제 2 돌출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215)는 지지부재(211)의 제 1 직경 및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213) 각각의 제 2 직경(L1)보다 큰 제 3 직경(L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돌출부(215)는 지지부재(2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절개 홈(111)은, 6.6mm 이상이고, 7.7mm 이하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 2 돌출부(215)가 8mm의 직경을 갖는 경우, 상술한 절개 홈(11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 2 돌출부(215)가 상술한 바와 같은 직경을 갖는 경우, 치료자가 환자의 구강 처치 시,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를 구강 내에 밀어 넣는 힘을 가하더라도, 도포부(100)가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1000)의 하방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10)가 도포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림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관통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로서,
    다각기둥 형상을 갖고, 하부에 삽입부를 구비한 도포부;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제 1 직경을 갖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구비된 구형부재;
    상기 구형부재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직경보다 큰 제 2 직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
    상기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되고,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직경보다 큰 제 3 직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된 제 2 돌출부;
    를 포함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하면의 정중앙에 일(一)자 모양을 갖도록 절개된 절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 홈의 깊이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상기 삽입부와 접착 결합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지지부의 직경보다 큰 제 4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파지 하였을 때, 회전을 방지하는 그립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양측에 검지 및 엄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파지요부를 형성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소재의 발포체(Form)로 이루어져, 상기 의약품의 용액을 흡수 및 토출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60 중량부와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40 중량부로 배합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홈은,
    6.6mm 이상이고, 7.7mm 이하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139.5mm 이상이고, 170.5mm 이하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3.6mm 이상이고, 4.4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는,
    5.4mm 이상이고, 6.6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3.6mm 이상이고, 4.4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형부재는,
    5.4mm 이상이고, 6.6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5.4mm 이상이고, 6.6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7.2mm 이상이고, 8.8mm 이하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는,
    1.08mm 이상이고, 1.32mm 이하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KR2020190002032U 2019-05-20 2019-05-20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KR202000025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32U KR20200002576U (ko) 2019-05-20 2019-05-20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32U KR20200002576U (ko) 2019-05-20 2019-05-20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76U true KR20200002576U (ko) 2020-11-30

Family

ID=7357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32U KR20200002576U (ko) 2019-05-20 2019-05-20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57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3018B1 (en) Oral care implement
JP5632478B2 (ja) 消毒薬塗布具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6884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ssue rinse
EP1729671A1 (en) Flexible dental floss applicator and interdental gum stimulator
JP2017512086A (ja) 抗菌薬ディスペンシングアプリケータ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30245687A1 (en) Teething Tip
WO2016130416A1 (en) Dental finger gloves
MX2007001257A (es) Implemento para el cuidado oral.
KR20200002576U (ko)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KR20200002578U (ko)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US6358221B1 (en) Disposable cleaning apparatus for pierced human body parts
KR20200002577U (ko) 의약품 구내 도포 기구
KR102542048B1 (ko) 영아용 구강관리기
JP3212229U (ja) 医療用洗浄用具
CN114271597A (zh) 一种牙齿护理装置
AU2014268187B2 (en) Oral care implement
JP2004159851A (ja) 安全鍼管及びその安全鍼管に用いる指ガード
AU2013205860B2 (en) Oral care implement
WO2007075868A2 (en) Hygiene for body piercings
US20170319832A1 (en) Devices for hydrating patients
US20110087239A1 (en) Device for Hygienic Extraction of an Acne Related Impaction
WO2015089258A1 (en) Alcohol pad system, alcohol pad, and method for cleaning a medicine vial
AU2006100629A8 (en) Microdermabrasion Devices,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05350545A (ja) 吸水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