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478U -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 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 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478U
KR20200002478U KR2020200000717U KR20200000717U KR20200002478U KR 20200002478 U KR20200002478 U KR 20200002478U KR 2020200000717 U KR2020200000717 U KR 2020200000717U KR 20200000717 U KR20200000717 U KR 20200000717U KR 20200002478 U KR20200002478 U KR 202000024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enclosure
rod
management serv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066Y1 (ko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filed Critical 이재경
Publication of KR20200002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 E01F13/08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도로나 이면도로, 건물 등에 주차구획이 횡(차량과 차량이 앞뒤로 마주보며 주차를 할 수 있게 조성환 주차구획)이나 종(차량과 차량이 옆으로 주차를 할 수 있게 조성한 주차구획)으로 시설된 주차장이나 개인 사유지, 거주자 우선주차 등의 주차장을 지역주민 이웃이나, 외부 방문인 들에게 개방하여, 사용자들이 개방된 주차장을 이용하는데 따른 일정한 주차이용 요금을 주차장을 제공하는 원주인에게는 돌려주는 방식으로 개방된 주차장을 관리하는 처리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구획에 설치된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통해서 주차가 가능한 구획을 실시간으로 사용자들의 휴대전화 화면에 지도로 표시해주고, 사전예약이나 지정된 사람 구분 없이 모든 사용자가 원하는 주차구획을 지도상에 표시된 주차가능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주차할 때까지 이동중이나 차에서 내리지 않고 원격에서 직접 주차잠금장치를 제어해서 주차를 할 수 있으며, 주차비용은 사용자들이 사전에 등록한 선불, 후불카드로 자동결제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 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Remotely adjusted parking rod bi-directional (left, right) up and down automatic parking lock that combines a mobile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본 발명은 종래의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통신망) 위치기반기술과 지도플랫폼 기술을 결합하여 운전자의 목적지 주변에 주차할 수 있는 정보를 운전자의 휴대전화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20.02.12. 출원번호“10-2020-0016797“로 출원한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잠금장치와 그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할 수 있는 주차구획에 이동통신망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통신을 할 수 있는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통신 모듈이 장착된 주차잠금장치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주차 잠금상태를 주차잠금장치를 관리하는 잠금장치 관리서버;에 Polling(주기적으로 송신 요구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방식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주차잠금장치의 잠김과 열림 상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잠금장치 관리서버로 전송된 데이터를 위치기반 지도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잠금상태의 열림과 잠금 상태변화를 사용자의 휴대폰 지도화면에 주차할 수 있는 아이콘으로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지도화면에 표시되어있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사용자의 휴대폰과 이동통신모듈이 장착된 주차잠금장치가 상호 소켓 통신을 할 수 있게 연결하여, 사용자가 직접 주차잠금장치를 제어해서 주차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사용자들이 주차잠금장치가 설치된 주차구획을 이용함에 따른 주차비용을 자동정산하기 위한 선불 또는 후불카드 정보를 사전에 한 번만 입력하면, 주차부터 출차 할 때마다 자동으로 등록된 카드정보로 주차요금이 정산처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잠금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라고 명시한 주차 처리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주차장의 주차구획에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설치하여 주차장을 공유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직접 주차잠금장치를 제어하여 편리하게 주차를 할 수 있게 제공하고, 이용에 따른 주차비용을 사전에 등록된 카드(선불 또는 후불카드)에서 자동으로 정산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WAN:Widw area Network 광대역통신)을 결합한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개발된 주차잠금장치 대부분은 주차장 입구에 번호판 촬영 및 인식, 주차장 진입시간, 주차시간 및 정산 등의 자동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주차 관리원을 통한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주차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주차요금 정산은 자동결제 키오스크 시스템이나 주차 관리원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장소이며, 차량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주차장의 한계에 봉착되면서 도로 곳곳에 무분별하게 주차된 불법주차로 인한 사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교통체중의 원인으로도 사회적 문제로 남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차장의 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들을 통제하기 위한 각종 신기술이 접목된 장치들을 설치하는 사례가 많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중 종래의 출원된 주차관리 자동제어장치를 살펴보면 공고일자 2018.07.05일 특허 제10-1875334호 “주차관리 ARS 서버, 이를 이용한 주차관리방법, 및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한 상기 사용자는 주차하고 하는 상기 타겟 주차면에 설치된 상기 타겟 차단기(300)의 고유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타겟 차단기(300)의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주차관리 ARS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자동응답 기능을 통해, 상기 주차관리 ARS 서버(200), 상기 타겟 차단기의 고유번호, 차량번호, 및 단말기 식별번호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리 ARS서버(200)는, 상기 타겟 차단기의 고유번호, 상기 차량번호, 및 상기 단말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 매칭시켜, 사용자 로그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은 시간을 주차 시작시간으로 설정하여, 주차시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리 ARS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상기 타겟 차단기(300)에 접속 가능한 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차단기 개폐 링크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리 ARS (200)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타겟 차단기의 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타겟 차단기(300)에 접속할 수 있는 상기 차단기 개폐 링크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차단기 개폐 링크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차단기(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차단기 개폐 링크 메시지를 통해, 근거리 통신 방법으로, 상기 타겟 차단기(300)와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타겟 차단기(300)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타겟 차단기(300)가 블루투스 방법으로 서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차단기 개폐 링크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타겟 차단기(300)와 블루투스 통신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타겟 차단기(300)는 블루투스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타겟 차단기(300)와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타겟 차단기(300)로 주차 요청 메시지와 함께 차단 기 열림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타겟 차단기(300)는 열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한 상기 사용자는 차량 상기 타겟 주차면에 주차할 수 있다.”라고 명시한 부분에 있어서, 이용자들이 주차할 때마다 휴대전화로 음성통화망을 이용하여 ARS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ARS 서버에 접속하고, 단말기 식별번호, 차량번호, 타켓차단기 고유번호 등을 일일이 등록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ARS서버에 접속하면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URL 콜백 (universal resource locator Call back 인터넷접속 주소 전송)을 이용자들의 휴대전화으로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여 이용자들이 수신된 주소로 재접속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메시지 지연이나 도착이 안되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과, 블루투스나 RFID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처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전용 RFID칩이 내장된 단말기나 카드가 없으면 차단기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 블루투스의 경우 수신된 차단기 개폐 링크 메시지로 사용자 단말기와 타겟 차단기가 블루투스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링크주소를 저장해서 불법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문제점, 이용자들이 이동 중 잠금장치를 잠그지 못했을 경우, 리모콘이나 비콘통신이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에서만 잠가야 하기 때문에, 이동 중에 원거리(원격)에서 제어할 수 없어 다시 돌아가야 하는 문제점, 원거리(원격)에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과 전화를 걸어 ARS서버에 접속한 후 URL콜백 메시지를 수신해야 차단기를 제어할 수 있는 처리방법으로는 스마트폰의 지도 앱으로 보여주는 화면들이 실시간으로 주차를 할 수 있는지 없는지 정보를 관리해주지 못해 주차장까지 가야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공고일자 2018.07.05일 특허 제10-1875334호 “주차관리 ARS 서버, 이를 이용한 주차관리방법, 및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차단 개폐 링크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차단기 (300)에 접속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상기 타겟 차단기(300)는 근거리 통신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타겟 차단기(300)로 출차 요청 메시지와 함께 차단 열림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______ 주차 요금정산 요청 신호를 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상기 주차관리 ARS 서버(200)에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통해 비밀번호를 인증하는 방법으로 결제가 진행되거나,”라고 명시한 부분에 있어서, 출차를 위한 정산을 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차단기까지 가서 접속해서 출차신청을 해야 하기때문에, 사전에 이동 중(원거리)에서 출차신청을 할 수 없는 불편함, 수신된 개폐 링크메시지를 찾아 재접속해서 출차신청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 ARS서버에서 주차요금 정산요청 신호를 전달받아 또다시 재접속해서 신용 카드번호를 등록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하는 등, 사용자들이 직접 여러 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출차할 수 있는 불편한점들과 문제점들이 있다.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특허문헌 공고일자 2018.07.05일 특허 제10-1875334호 “주차관리 ARS 서버, 이를 이용한 주차관리방법, 및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 차단기(3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상 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차단봉(310)이 기립된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470)의 일측이 상기 차단봉(31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커버 (470)는 열려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 라고 명시한 부분에 있어서, 과속방지턱을 횡(차가 앞뒤로 마주보며 주차할 수 있게 길게 조성된 주차 구획)으로 조성된 주차구획에는 한(1)개의 주차구획에 과속방지턱을 2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과 주차를 하기 위하여 2개의 주차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자들이 블루투스를 번갈아 가면서 접속해서 제어해야 하는 문제점과 또한, 출차시 2개의 차단봉에 접속해서 출차신청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전방만 감시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후방은 감지가 안되는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횡(가로)으로 구성된 주차구획에 전방, 후방 정해진 방향 없이 무분별하게 진입하는 차량들에 대하여 제어를 못해 차단기 파손은 물론 차량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과 과속방지턱 끝이 막혀있기 때문에 차단봉이 세워져 있을 때 그루브내에 빗물이 고여 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과, 무분별하게 진입하는 불법 주차 차량으로부터 커버와 차단봉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차단봉이 파손될 경우 차단봉에 연결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공고일자 2018.07.05일 특허 제10-1875334호 “주차관리 ARS 서버, 이를 이용한 주차관리방법, 및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 과속 방지턱(400) 내부에 상기 주차관리 ARS (200) 통신하기 위한 통신선 및 상기 구동부(41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이 공급될 수 있다.___________
_________ 상기 차단봉(310)은 충격 감지 센서 및 경보음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차단봉(310)에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경보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봉(310)에 어안렌즈를 갖는 블랙박스 카메라가 내장되어, 상기 차단봉(310)과 접촉하는 객체를 촬영하거나, 주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라고 명시한 부분에 있어서 각각의 주차구획에 설치된 과속방지턱의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의 유선 통신케이블로 ARS서버에서 끌어와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콘통신으로만 차단봉이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블랙박스에 촬영된 영상이나, 주변 상황을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거리에 제한없이 휴대전화에서 직접 제어해서 볼 수 없으며, 주차잠금장치 자체에서 바로 촬영된 영상자료를 이용자의 휴대전화로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출원된 주차차단기와 주차시스템을 살펴보면 공고일자 2018.08.28. 특허문헌 제 10-1892565호 “플랩형 주차차단기 및 이를 이용한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 전원부(11)는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______ ______ 패킹부(8)는 탄성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커버(3)의 설치홈(331)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설치홈(331)의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설치홈(331)의 내부로 이물질 또는 수분의 유입을 차단시킨다. ________
또한, 고정플레이트(5)는 방수 및 완충 효과를 갖는 경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패드로 형성된다.____________ 또한 차단부(7)의 일면에는 카메라(9)가 설치된다. ___________ 또한 제어모듈(981)은 차단부상태 검출모듈(985)에 의해 차단부(7)의 상태가 개방상태인 경우, 카메라구동모듈(986)을 구동시키지 않되, 차단부(7)의 상태가 차단상태인 경우, 카메라 구동모듈(987)을 구동시킨 다. 또한 제어모듈(981)은 카메라 구동모듈(987)에 의해 영상이 촬영되면, 촬영영상을 영상분석모듈(987)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모듈(981)은 영상분석 모듈(987)에 의해 영상 내 차량번호판이 추출되면, 차량인식모듈 (988)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기 설정된 시간(T) 동안 비콘통신모듈을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모듈(981)은 비콘통신모듈(984)이 활성화되어 스마트폰(901)으로부터 접속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접속요청데이터를 번호비교모듈(989)로 입력한다. ___________________ _________ 통신 인터페이스모듈(983)은 통신망(910)에 접속하여 로컬서버(903)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__________
_________ 제어모듈(981)은 영상분석모듈(987)에 의해 차량번호판이 추출되지 않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라고 명시한 부분에 있어서, 1차전지 또는 2차전지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탄성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테두리에 설치함에 있어서, 주차차량들의 하중으로 고무나 실리 콘이 쉽게 훼손될 수 있으며, 훼손된 틈새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 내부에 자연방수가 될 수 있는 장치가 없음에 따라 일일 기온의 온도차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분으로 내부 기계장치들의 부식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
차단부가 지면에 바로 노출되어 있어 주차차량들이 밟고 올라갔을 때 차단부 좌측/우축 양옆에 차단부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 함체가 없어 차단부가 쉽게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가 장착된 차단부가 주차차량의 바퀴에 밟힐 수 있음에 따라 바퀴에 끼워져 있는 돌로 인하여 카메라 렌즈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 바퀴에 묻은 이물질이 카메라 렌즈에 묻게 되거나, 또는 카메라 렌즈에 빗물이나 눈이 묻어있을 경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이 선명하지 않아 영상분석모듈에서 차량번호판이 추출되지 않아 비콘통신모듈이 활성화되지 못해 이용자들이 주차를 못하는 문제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각각의 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차단기는 각 주차장별 별도의 로컬서버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선을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로컬서버에서는 관리서버와 연동할 수 있는 별도의 인터넷 설치가 필요하며, 비콘통신으로 전송할 경우, 비콘통신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거리의 제한으로 많은 공유기 설치와, 공유기에서 로컬서버까지 통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선통신망을 이용함에 있어서 장치간의 인식거리를 고려해서 이동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광역통신망)을 이용하는 장치, 비콘통신(Beacon:근거리통신)을 이용하는 장치 두 개의 분류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대부분의 주차잠금장치는 근거리통신망에서만 제어되는 비콘통신모듈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원거리(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주차상황을 확인할 수 없어 주차장까지 가야 주차를 할 수 있는지 없는지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과 주차장 이용에 따른 결제방법과 처리방법이 없어 결제 없이 출차하는 차량에 대하여 제재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차단기들은 한쪽방향으로만 구동되게 형성되어있어, 전방 한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인지할 수 있으나, 횡(차가 앞뒤로 마주보며 주차할 수 있게 길게 조성된 주차구획)으로 조성된 주차구획에서 후진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하여 촬영을 할 수가 없어, 번호판인식이 안되어 주차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방만 감시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후방, 좌측, 우측은 감지가 안되는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횡(가로)으로 구성된 주차구획에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정해진 방향 없이 무분별하게 진입하는 차량들에 대하여 제어를 못해 차단기 파손은 물론 차량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다.
특허문헌 2017.10.18.일자로 공개된 “제10-2017-0115981”에 의하면 “각 주차노면에 주차상황을 감지하는 고유일련번호를 갖는 무 급전 무선차량검지기를 주차위치면에 설치하여 주차여부를 감지데이터 신호를 중앙관제센터에서 받아 빈 주차공간을 실시간으로 제3의 시민의 주차장이용자 스마트폰 앱 지도상에 빈 주차장을 안내하여 주차장 이용시에 이용자 휴대폰으로 주차장 바닥에 색인된 고유번지 숫자를 ----- 중앙관제센터 대대표전화번호와 고유번지를 입력하던지 혹은 스마트폰 경우에는 NFC기능으로 주차위치에 붙어있는 고유RFID-Chip에 근접시켜 리딩하면”라고 명시한 부분과 “주차상황을 감지하는 지역별 고유번호가 부여된 무선차량검지기에서 감지신호를 주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중앙관제센터 DB에 주차장 이용등록회원과 주차장정보가 통합된 주차정보데이터를 유무선인터넷 망으로 전송”라고 명시한 부분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넷 공유기와 무선차량검지기에서 근거리 통신으로 인지할 수 있는 거리의 제한으로 건물내 지상, 지하 또는 외부에 많은 인터넷선과 무선공유기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용자들이 사용할 때마다 주차구획까지 가서 대대표전화번호와 고유번호를 확인 후 입력하던지. 또는, NFC기능으로 차에서 내려 RFID-Chip에 리딩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스마트폰의 지도 앱으로는 정보만 볼 수 있는 것이지, 지도 앱에서 주차구획을 직접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지도 앱을 보고 주차하러 가면, 다른 차가 먼저 와서 주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차장 바닥에 고유번호가 없는 주차장은 이용할 수 없으며, 이동 중 원격에서 제어를 할 수 없으며, 소규모(1~2개)의 주차구획이 있는 주차장에도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서버와 네트워크를 갖춰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018.04.04. 공고된 “제10-1831987호”에 의하면 “차단기가 설치된 주차장의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라디오 신호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라디오 신호 통신장치에서는 차량에서 제공하는 라디오 식별자를 수신하여 예약차량에 대한 1차적인 인증자료를 제공하고, 차단기에서는 OCR 판독을 통해 예약차량에 대한 2차적 인증자료를 제공하고, 예약서버에서는 상기 1차적인 인증자료와 2차적인 인증자료를 이용하여 차단기의 락-언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신호를 차단기에 제공한다.” 라고 명시한 부분에 있어서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라디오 수신장치를 거쳐야만 개별 주차구획에 설치된 차단기를 제어할 할 수 있음에 따라, 주차장 입구가 필요 없는 1(한)개의 주차구획에 설치하여도 라디오 수신장치와 비콘통신을 수신하여 예약서버까지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차장 입구가 없는 횡으로 된 주차장(예:거주자 우선 주차장, 노면 유료주차장)의 경우 각 주차구획별 라디오 수신장치와 비콘통신을 수신해서 처리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면 12에 도시된 차단기의 외형이 한쪽방향으로만 작동되게 돼 있어 주차구획에 후방에서 진입하는 주차하는 차들에 대하여 번호판이 촬영이 안되어 차단기가 제어를 못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형 카메라에 눈이나 빗물이 묻어있을 경우 인식률이 떨어져 차단기가 작동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특허문헌“제10-1831987호”의 주차장의 주차구획을 이용하려면 무조건 예약과 회원가입이 되어져야 이용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 급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비회원은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차요금 결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결제 없이 출차하는 차량에 대하여 제재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비콘통신을 이용한 주차구획의 불법주차를 예방하기 위한 차단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눌러 접속한 후 URL콜백으로 링크주소를 문자메시지로 수신받은 후 재접속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 이동 중에 원거리(원격)에서 제어할 수 없어 주차요금을 정산하기 위하여 차단기가 있는 곳까지 가서 수신받은 링크주소로 재접속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 스마트폰에서 지도 앱으로 주차정보를 볼 수 있으나, 이용자의 휴대전화의 비콘통신을 이용하여 차단기를 제어함에 따라 주차장까지 가야 주차를 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과 예약이나 회원가입 없이 불특정 다수인이 공유해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 차단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빗물이나 눈이 묻어있는 경우나 차량번호판에 주차차량의 바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묻어있을 경우 선명하게 촬영하지 못해 차량번호판과 사용자가 비콘통신이나, 사전에 차량번호 등을 입력해서 일치 여부를 판독하는 부분에 있어서, 오인식으로 차단기를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 주차장 입구에 차량감지 센서로 출입차량은 감지가 되나, 실시간으로 어느 주차구획에 주차할 수 있는지가 확인할 수 없어, 비어있는 주차구획을 찾기 위해 주차장을 빙빙 돌아야 하는 문제점, 주차장 입구에 라디오 통신장치를 설치해 라디오 식별자가 없는 차량이나 예약이 안된 차량들의 출입 제한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 주차장 입구가 없는 주차장 내 주차구획에 실시간으로 주차 확인을 할 수 없는 문제점, 주차요금을 정산하지 않고 출차 했을 경우 주차요금을 징수할 수 없는 문제점, 차량의 주차방법은 전방으로 정해진 방향으로만 하는게 아니라 후방, 좌측, 우측 무분별하게 진입하는 차량에 대하여 차단기 스스로 자체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구성되지 않음에 따라 차단기 파손과 차량 훼손에 따른 비용 처리가 발생 되는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 에서 차량 전방, 후방에 초음파 거리센서를 차량에 장착하여 차량이 후진 시 장애물이 근처에 있을 때 운전자에게 경보음으로 알려주는 기술이 탑재된 장치를 초음파로 큰 물체나 공간 탐색을 먼저 진행하여 장치 스스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움직여 자기 주변의 장치들을 보호할 수 있게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 전방, 후방에 각각 1(한)개씩 2개의 초음파 거리센서와 2개의 디지털카메라를 장착하여, 횡(가로)이나 종(세로)으로 조성된 주차구획에 전방, 후방, 좌측, 우측방향에 관계없이 주차잠금장치를 해제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진입하는 불법 차량이 있으면, 전방(또는 후방) 초음파 거리센서에서 주차잠금장치 내부에 있는 구동모터에 신호를 주어 주차봉이 자동으로 아래로 내려가게 해제하여 주차봉을 보호함과 동시에 디지털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자료를 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잠금장치에서 바로 이동통신망(광대역통신망)을 통해서 바로 사용자가 등록한 휴대전화나 인터넷주소로 영상정보를 데이터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잠금장치가 이동통신망(광대역통신망)과 바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주차장내 별도의 제어를 위한 인터넷선이나 서버와 차단기간 통신할 통신선이 구성된 네트워크가 필요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우천시 또는 낮과 밤의 온도차이로 주차잠금장치 내부에 물이 고여있을 경우, 주차잠금장치의 하부 중간에 고여있는 물이 자동으로 배출 또는 증발될 수 있는 다수개의 배수 구멍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주차잠금장치 내부에 이동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통신망)과 실시간으로 소켓 통신을 할 수 있는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칩이 탑재된 통신 모듈과 잠금장치를 제어할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 장치가 장착된 주차잠금장치를 지면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약 1~2cm 정도 크기의 볼트구멍을 다수개 드릴로 뚫어 주차잠금장치를 주차장 주차구획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20.02.12.일자로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20-0016797호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잠금장치와 그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잠금장치를 이동 중 또는 원격에서 관리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광역통신망)과 연동하기 위한 eSIM 통신모듈을 이동통신망에서 통상적으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개통처리하는 단계; 실시간으로 주차 잠금상태를 주차잠금장치를 관리하는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Polling(주기적으로 송신 요구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 방식으로 주차잠금장치의 잠김, 열림 상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종래의 위치기반 지도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휴대폰 화면에 지도로 주차잠금장치의 잠김과 열림상황을 보여주게 개발된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지도에 잠금상태의 열림과 잠금 상태를 업데이팅 시키는 단계; 위치기반 지도 관리서버에서 이용자의 주변 지역의 비어있는 주차구획을 쉽게 찾을 수 있게 이용자 휴대폰 화면의 지도에 주차가 가능한지, 안되는지를 아이콘으로 표시 해주는 단계; 이용자가 비어 있는 주차구획을 선택하면, 이용자가 회원에 가입한 가입자인지, 아니면 비회원 가입자인지 발신 CID를 관리하는 회원가입 관리서버에서 비교하는 단계; 회원가입자이면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이동통신망으로 이용자가 선택한 주차잠금장치와 이용자의 휴대폰과 직접 상호 소켓 통신을 할 수 있게 연결하는 단계; 비회원 가입자이면 주차요금 정산에 필요한 카드정보를 입력하게 하고, 입력된 카드정보는 종래의 카드 인증처리 기술을 반영하여 개발된 카드결제 관리서버;에서 카드사와 연동하여, 카드사로부터 사용 가능여부를 처리하는 단계; 승인된 비회원 이용자에게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비회원 이용자 휴대폰과 이동통신 모듈이 장착된 주차잠금장치간 소켓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게 데이터 In/Out channel를 연결하는 단계; 이용자가 주차를 하기 위하여 주차잠금장치를 열었을 때 자동 주차요금 시작과 소켓통신은 자동으로 끊어짐과 동시에 주차잠금장치 내부에 장착된 거리센서가 작동되어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Polling System(폴링방식)으로 거리센서에 출차 감시 여부를 주기적으로 신호를 보내어 감시하는 단계; 출차 시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회원가입 관리서버로 주차잠금 장치의 eSIM(또는 USIM) 제품번호 정보를 전송하고, 회원가입 관리서버에서 eSIM 제품번호를 점유한 발신CID번호와 이에 연결된 카드정보를 읽어와 결제카드 관리서버에 전송해서 주차요금이 자동 정산처리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방법으로 회원이든 비회원이든, 모든 이용자들이 제한 없이 원격 또는 이동 중에 쉽고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주차상황을 직접 모니터 또는 주차를 할 수 있게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한, 이용에 따른 주차요금 정산도 사전에 등록된 선불/후불 카드정보와 주차정산 요금정보를 결제카드 관리서버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카드사로 전송하여, 처리된 정보를 카드사로부터 받아 자동 결제처리하고, 그 결과를 카드사로부터 사용내역을 공지받거나, 사용자들이 사전에 회원가입시 등록한 휴대전화 번호로 메시지를 전송처리 하여,”라고 명시한 처리방법과 그 시스템에 적용하여, 저렴한 비용과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주차잠금장치를 차단기가 있는 고가의 주차 시스템이나, 고가의 키오스크 자동 결제시스템이 없이도 주차 차량의 주차제어와 자동 주차요금 정산을 할 수 있게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장치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20년 1월 20일자로 출원한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자동조절장치(10-2020-000706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자동조절장치는 이동통신 모듈장치와 전원장치, Wi-Fi 송수신장치, 디지털카메라 촬영, 파일 관리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주차차량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처럼 견고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한 함체1(도2-231)에 탑재한 단계;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된 주차봉(도2-200)을 주차차량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주차봉(도2-200)이 아래로 눕혀져 있을 때(도4-403) 좌.우로 한 개씩 주차봉 길이와 높이의 크기로 금속 처럼 견고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된 함체 2와(도4-401) 함체3(도4-402)을 장착한 단계;
우천시 빗물이나 이물질들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차봉의 상부에 위치한 함체2(도4-401)와 함체3(도4-402)의 끝에는 U자형으로 열려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라고 명시한 부분에 있어서, ”함체1”을 기존 함체 1쪽으로 내려가지 못해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반대쪽으로도 주차봉이 내려갈 수 있게 2개의 함체1(좌측)(도2-271), 함체2(우측)(도2-272)로 분리 설치하여 주차봉이 아래로 눕혀져 있을 때, 좌/우 양옆에 장착하여 주차봉을 불법 주차 차량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구성된 단계; 함체1(좌측), 함체2(우측)에 밑면은 길이 약 30~35cm, 앞부분의 폭이 약 4~7cm, 뒷부분의 폭은 약 10~13cm, 전체높이 약 3~5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8~33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바닥은 평평하고, 안쪽은 비어있고,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을 갖추어 주차차량들의 바퀴로부터 집중적으로 힘을 받지 않게 형성된 단계와; 윗면 안쪽에 지름 약 1.5~2cm 크기의 지면과 볼트로(도2-250,258)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과(도2-264,261) 함체 내부에 장착된 전기적 장치들을 주차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덮는 함체1 상부(도2-248), 함체2 상부(도2-255)와 연결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다수개 형성된(도2-251) 단계; 함체내부에 기온차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을 자연 증발할 수 있는 지름 약 0.5~1cm크기의 방수구멍을 밑면에서 약 1.5cm높이에 주차봉이 누워지는 방향쪽으로 다수개 형성된(도2-253) 단계; 주차봉을 좌/우, 상하로 원활히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체결되는 베이링을 장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도2-265) 단계와; 주차봉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동모터와(도2-254,260) 이동통신망(WAN:광역통신망)과 연동할 수 있는 eSIM통신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모듈장치와, 전방/후방으로 진입하는 주차들에 대하여 감시할 수 있게 주차봉에 탑재된 2개의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204)와 2개의 디지털카메라(도2-201,202)를 제어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적장치가 장착된 단계를 포함하는 함체1 하부(도2-252)와 함체2 하부(도2-262);에
상기 함체1 하부(도2-252), 함체2 하부(도2-262)에 장착된 전기적 장치들을 주차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덮개의 밑면이 길이 약 28~33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전체높이 약 5~8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5~28cm, 앞부분의 폭이 약 1~3cm, 뒷부분의 폭은 약 5~7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안쪽은 비어있고, 윗면은 막혀 있으며,윗면의 표면은 엠보싱을 주어 미끄럼을 최소화하고,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어 주차차량의 하중이 한곳으로 쏠리는 것을 최소화 하고,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이 형성된 단계와; 밑면 안쪽에 지름 약 0.25~0.5cm 크기의 볼트로(도2-246,257) 함체 1,2 하부(도2-252,262)와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도2-247,256)이 형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1 상부(도2-248), 함체2 상부(도2-255);를 결합함에 있어서, 함체1과 2의 하부와 함체1과 2의 상부의 이음새 틈으로 이물질이나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및 함체간 이격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함체1,2의 상부(도2-248,255)와 하부(도2-252,262) 테두리에
Figure utm00001
(도2-266)
Figure utm00002
(도2-267)암.수 모양의 홈이 형성된 단계와; 지면에 고정된 함체1과 2의 하부에
Figure utm00003
(도2-267) 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에 함체1과 2의 상부에
Figure utm00004
(도2-266)모양으로 볼록하게 나온 홈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1과 함체2의 하부(도2-252,262)와 함체1과 함체2의 상부(도2-248,255)가 결합된 함체1과 함체2;
또한, 반대편으로 주차봉이 내려갔을 때 주차봉을 주차 차량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주차봉이 아래로 눕혀져 있을 때(도3-317,318) 양옆 좌/우로 한 개씩 주차봉 길이와 높이의 크기로 금속처럼 견고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된 함체3(도2-273)와 함체4(도2-274)에 있어서, 함체3(좌측)(도2-273), 함체4(우측)(도2-274)에 밑면은 길이 약 27~32cm, 앞부분의 폭이 약 4~7cm, 뒷부분의 폭은 약 10~13cm, 높이 약 2~4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5~30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바닥은 평평하고, 안쪽은 비어있고,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을 갖추어 주차 차량들의 바퀴로부터 집중적으로 힘을 받지 않게 형성된 단계와; 윗면 안쪽에 지름 약 1.5~2cm 크기의 지면과 볼트로(도2-230,236)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과(도2-226,234) 주차 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덮는 함체3 상부(도2-223), 함체4 상부(도2-232)와 연결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다수개 형성된(도2-224,233) 단계; 함체내부에 기온차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을 자연 증발할 수 있는 지름 약 0.5~1cm크기의 방수구멍을 밑면에서 약 1.5cm높이에 주차봉이 누워지는 방향쪽으로 다수개 형성된(도2-228) 단계를 포함하는 함체3 하부(도2-223)와 함체4 하부(도2-232);에
상기 함체3 하부(도2-223), 함체4 하부(도2-232)에 주차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덮개의 밑면이 길이 약 27~32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높이 약 5~8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0~27cm, 앞부분의 폭이 약 1~3cm, 뒷부분의 폭은 약 5~7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안쪽은 비어있고, 윗면은 막혀 있으며,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이 형성된 단계와; 밑면 안쪽에 지름 약 0.25~0.5cm 크기의 볼트로(도2-222,231) 함체 3,4의 하부(도2-229,237)와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도2-227,235)이 형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함체3 상부(도2-223), 함체4 상부(도2-232);를 결합함에 있어서, 함체3과 4의 하부(도2-229,236)와 함체3과 4의 상부(도2-223,232)의 이음새 틈으로 이물질이나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및 함체간 이격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함체3,4의 상부(도2-223,232)와 하부(도2-229,236) 테두리에
Figure utm00005
(도2-266)
Figure utm00006
(도2-267)암.수 모양의 홈이 형성된 단계와; 지면에 고정된 함체3과 4의 하부(도2-229,236)에
Figure utm00007
(도2-267)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에 함체3과 4의 상부에(도2-223,232)
Figure utm00008
(도2-266) 모양으로 볼록하게 나온 홈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3과 함체4의 하부(도2-229,237)와 함체3과 함체4의 상부(도2-223,232)가 결합된 함체3(도2-273), 함체4(도2-274)에; 있어서,
함체1(도2-271)와 함체3(도2-273)이 함체2(도2-272)와 함체4(도2-274)가 원활한 연결과 함체간 이격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 뒷부분 중간에
Figure utm00009
ㄱ자 모양으로 홈이 들어가게 형성된(도2-268) 단계와; 함체3(도2-273)과 함체4(도2-274) 뒷부분 중간에
Figure utm00010
ㄴ자 (도2-269)모양으로 나오게 구성된 단계에서 지면에 고정된 함체1과 함체2에 구성된
Figure utm00011
ㄴ자 (도2-269) 홈에 맞게 함체 3와 함체 4를
Figure utm00012
ㄱ자(도2-268) 홈에 맞게 위에서 아래로 끼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함체1과 함체2, 함체3과 함체4 사이 중간에 우천시 물이 고여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함체의 좌우 앞부분은 U자모양으로 열려있게 하여 물이 지면으로 바로 흘러나갈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1(도2-271),함체2(도2-272),함체3(도2-273),함체4(도2-274)로 구성된 이동통신(WAN:Widw area Network 광대역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이다.
본 발명에 기술된 주차봉(도2-200)은 일반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밑지름이 8cm정도의 주차봉으로,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작되어서 차량과 부딪혀도 차량에 흠집이 안 나며, 또한 재질이 부드러워 복구가 잘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주차봉(도2-200)을 쉽게 일반 시중에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수리가 빠른 장점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봉(도2-200) 밑을 일자로 잘라낸 다음, 잘라낸 주차봉 하부에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도2-210)와 연결할 볼트 구멍을(도2-205) 다수개 형성시킨 단계와; 상기 주차봉(도2-200) 상부에서 약 5cm 아래에 전방 후방에 지름이 약 1~1.5cm 크기의 구멍을 뚫어, 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전방 디지털카메라(도2-201)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고,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후방 디지털카메라(도2-202)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는 단계와; 전/후방 디지털 카메라 (도2-201, 202)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선과 제어선(장치간 상호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전선)을 장착하는 단계;에 있어서, 전기적 장치(광대역통신모듈, 구동모터, 전원장치, 초음파 거리센서 작동장치, 디지털카메라 작동장치)를 탑재한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에 연결할 수 있는 제어선이나 전원선을 넣을 수 있는 홈이(도2-211)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도2-210)에 선을 넣어 전/후방 디지털카메라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주차봉(도2-200) 하부에서 약 10cm 위에 전방 후방에 지름이 약 1~2cm 크기의 구멍을 뚫어, 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고,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4)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는 단계와; 전/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 204)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선을 연결하는 단계;에 있어서 전기적 장치(광대역통신모듈, 구동모터, 전원장치, 초음파 거리센서 작동장치, 디지털카메라 작동장치)를 탑재한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에 연결된 제어선이나 전원선을 넣을 수 있는 홈이(도2-211)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도2-210)에 선을 넣어 전/후방 초음파 거리센서에 연결하는 단계;
밑에가 U자형 모양으로 약 5cm 길이로 나와 있고, U자형 밑에 2개의 고정핀(도2-215)을 끼울 수 있는 홈이(도2-214) 마련되고, 위에는 주차봉 연결 단자와(도2-210)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구멍(도2-212)이 마련돼 있는 지지대 (도2-263)와 주차봉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원형 모양의 홈이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도2-210) 밑에 마련된 볼트구멍(도2-211)에 볼트(도2-208)로 조여 고정 시키는 단계; 전.후방 디지털카메라와 초음파 거리센서 장착이 끝난 주차봉(도2-200)을 위에서 아래로 연결단자 원형 홈에 맞게 끼운 후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 마련된 볼트구멍(도2-206)과 주차봉 연결 볼트구멍에 (도2-205) 볼트(도2-207)로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 함체1(도2-271), 함체2(도2-272) 내부에 장착된 구동 모터와(도2-254,260) 연결하기 위한 주차봉이 상/하로 원활히 움직이게 하기 위한 베어링(도2-217)을 끼우는 단계; 주차봉이 장착된 지지대(도2-213)를 구동모터 연결철심(도2-213) 위에서 아래로 내려 끼우는 단계; 주차봉이 장착된 지지대가(도2-263) 구동 모터 연결철심 (도2-213)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U자형 지지대 밑에 마련된 2(두)개의 홈(도2-214)에 2(두)개의 고정핀을(도2-215)끼워 고정시키는 단계;
주차봉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한 받침대(도2-22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받침대(도2- 220)에 마련된 볼트구멍(도2-221)에 맞게 드릴로 구멍을 뚫는 단계; 지면에 마련된 볼트구멍에 주차봉 연결단자 받침대(도2-220)를 볼트(도2-218)로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
주차봉이 장착된 지지대와(도2-263) 구동 모터 연결철심(도2-213)이 연결된 장치를 주차봉 받침대에 끼울 수 있게 형성된 u자형 홈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봉 연결 모듈장치;와 함체1, 함체2, 함체3, 함체4로 구성된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이다.
상기 주차잠금장치를 주차장 주차구획에 설치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20.02.12. 출원번호“10-2020-0016797“로 출원한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잠금장치와 그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사 또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도5-555)에서 주차잠금장치에 장착된 eSIM 통신 모듈을 이동통신망에서 통상적으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개통처리 하는 단계(도5-548);에 있어서, 주차잠금장치 자체에서 촬영된 영상자료들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가입자의 휴대폰으로 직접 데이터 전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에는 데이터 전송에 따른 비용이 주차잠금장치에서 발생 될 수 있다. 상기 개통된 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잠금장치내에 장착된 eSIM 통신모듈 메인보드에 연결된 초음파 거리센서에 폴링방식(Polling System)으로 주차잠금장치의 잠금과 열림을 신호를 계속적으로 읽어와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관리서버(도5-534); 상기 잠금장치 관리서버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휴대폰을 통하여 주차가 가능한 주차잠금장치를 선택하면 (도5-524), 잠금장치 관리서버(도5-525)에서 사용자의 휴대폰이 client(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응용 소프트웨어)가(도5-526) 되고, 주차잠금장치가 Server (제어프로그램이 담긴 컴퓨터)가(도5-527) 되는 방식의 소켓통신을 할 수 있도록 In/Out 데이터 Channel을 연결하고, 사용자의 휴대폰에서 직접 주차잠금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도8-819)가 보여지는 단계;
사용자가 앱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주차잠금장치를 해제하면(도8-821) 주차구 획에 설치된 주차잠금장치(도8-823)내부에 장착된 eSIM 통신모듈 장치에서 사용자의 휴대폰에서 전송된 잠금해제(도8-821) 신호를 수신하여, 주차 잠금장 치의 본체 상부가 직방향으로 아래로 내려가게 (도8-823) 구동모터에 신호를 보내어 주차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주차를 할 수 있게 하는 단계;
주차가 완료 되면(도5-540) 소켓 통신이 끊어짐과 동시에 다시 잠금장치 관리서버와 주차잠금장치내에 장착된 초음파 거리센서와 폴링방식 (Pooling System)으로 연결돼서 초음파 거리센서로부터 출차 정보를 읽어와 위치기반 지도에 주기적으로 자동 업데이팅 시켜주는 잠금장치 관리서버(도5-520); 상기 잠금장치 관리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차가 출차를 하면(도5-541), 초음파 거리센서에서(도5-531) 본체 상부가 자동으로 위로 올라오게 (도7-702) 구동 모터에 신호를 주어 사용자의 휴대폰에서 어떠한 조작없이 자동으로 주차잠금 장치를 잠그고(도5-532), 바로 잠금장치 관리서버(도5-534)에서 잠금상태를 인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들의 휴대폰에서 직접 주차잠금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어플을 다운받아(도5-503) 휴대폰에 저장 관리하게 하는 앱다운 관리서버(도1-105); 상기 앱 다운 관리서버에서 접속 어플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 사용자들이 접속 어플을 실행하면 종래의 위치기반 지도기술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에 잠금장치 관리서버(도5-519)로부터 수신된 주차잠금장치의 실시간 주차잠금장치 위치와 주차를 할 수 있는 구획을 휴대폰에 지도로(도5-522) 보여주게 관리하는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도1-107);
주차잠금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이 접속 어플(도2-504)을 선택하면, 사용하는 발신 휴대폰 전화번호를 분석(도5-506)하여, 주차구획에 장치를 설치한 가입자인지(도5-509), 할인받는 회원인지(도5-538), 주차요금 정산할 신용카드 정보가(도5-512) 있는 회원인지, 없는 비회원인지(도5-516), 주차요금 요일, 시간, 금액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가입 관리서버 (도1-102); 상기 회원가입 관리서버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용한 휴대폰 전화번호가 사전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되는 번호가 없을 경우 비회원으로 분류하여 회원가입 또는 비회원으로 이용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앱브라우저로 연결되는 단계(도9-908); 상기 앱브라우저에서 회원가입을 선택하면 일반회원으로 가입할 것인지, 주차잠금장치를 설치할 가입자로 가입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로 연결되는 단계; 일반회원으로 가입할 경우 사용할 휴대 전화번호, 차량번호, 성명, 카드번호를 입력한 후 승인요청을 거쳐 결제카드 관리서버로부터 승인 결과값을 받는 단계; 승인된 결과에 따라 일반회원으로 가입된 경우 카드정보나, 전화번호, 차량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주차잠금장치가 설치된 원하는 주차구획을 선택해서 주차 및 출차를 하면 등록된 카드로 주차요금이 자동 정산처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입자를 선택한 경우 가입자가 사용할 정보를 등록할 앱 브라우저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앱 브라우저에서 차량번호(도4-401), 성명(도4-402), 카드번호(도4-403), 정산된 주차요금을 입금할 계좌번호(도4-404), 사용할 전화번호(도4-405), 주차 이용시간(도4-412), 이용요금(도4-416), 설치장소 정보(도4-419)를 등록하는 단계;에 있어서 사용할 전화번호(도4-405)는 주차잠금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전화번호(도-406), 무료로 이용할 전화번호(도4-407), 할인율을 적용해서 정산할 사용자 전화번호(도4-408), 원격에서 접속하여 등록된 정보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도4-450); 이용시간을 공휴일 제외할 것인지 포함할 것인지 선택하는 단계(도4-413); 임시 공휴일을 선택할 것인지 안할 것인지 선택하는 단계(도4-414); 공유시간대를 선택하는 단계(도4-415); 주차 이용시간에 따른 주차요금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도4-416); 할인율을 적용한 사용자에 대하여 적용할 주차 할인율을 선택하는 단계(더4-418); 주차잠금장치를 설치한 장소의 주소를 등록하는 단계(도4-419); 지상, 지하를 설정하는 단계(도4-421);에 있어서 지상을 선택하고 층수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층 숫자만큼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가 연결되는 단계 (도4-423); 해당 층수에 설치할 주차잠금장치와 위치를 등록하는 단계에 있어서 주차구획 수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층수와 세부번호가 보여지며, 가입자가 해당 층수의 번호에 주차잠금장치 제품번호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사용자의 휴대폰에(도4-428) 총설치대수와 주차가능대수가 보여지는(예: 총설치대수:15(주차가능대수:5) )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회원을 선택했을 경우 사용할 전화번호, 차량번호, 성명, 카드번호를 입력한 후 승인요청을 거쳐 결제카드 관리서버로부터 승인 결과값을 받는 단계; 승인된 비회원의 경우에 한하여 1회용으로 카드정보나, 전화번호, 차량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주차잠금장치가 설치된 원하는 주차구획을 선택해서 주차 및 출차를 하면 등록된 카드로 주차요금이 자동 정산처리되며, 향후 재사용할 경우 전화번호, 차량번호, 성명, 카드번호 입력 및 승인요청 등의 과정을 다시 하여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든 사용자들이 사전 예약없이 쉽게 비어 있는 주차잠금장치를 직접 제어해서 주차를 할 수 있으며, 주차 이용에 따른 비용이 자동 정산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들이 주차잠금장치를 이용함에 따른 주차요금을 사용자들이 등록한 신용카드로 자동결제 처리할 수 있게 회원가입 관리서버로부터 카드정보와 휴대폰 전화번호, 주차요금, 할인율 정보를 받아 자동으로 정산처리 할 수 있게 관리하는 결제카드 관리서버(도1-103);
상기 결제카드 관리서버에 있어서, 회원가입시 또는 비회원이 등록한 카드 정보가 유효한지를 종래의 카드 인증기술절차를 거치는 단계; 사용자들이 이용한 주차요금 정보와 카드정보, 휴대폰 전화번호 정보를 회원가입 관리서버 로부터 전송받아 카드사에 통보하고, 그 결과값을 카드사로부터 받아 자동으로 정산처리 됨과 동시에 회원가입 관리서버 (도5-535)로부터 전송된 휴대전화번 호로 정산 요금자료를 보내는 단계(도5-542);를 포함하는 처리방법으로 주차 차량들에 대하여 자동으로 주차요금을 자동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라고 명시한 처리방법과 그 시스템에 적용하여, 종래의 기술에서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URL콜백을 받아야 접속할 수 있는 문제점과 차단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빗물이나, 주차차량의 바퀴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묻어 있을경우, 선명하지 못한 영상으로 차량번호판을 비교하지 못해 차단기를 제어하지 못해 주차를 못하는 문제점을, 이용자의 휴대폰에 본 발명의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휴대폰에 설치한 후, 바로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실시간으로 이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주차가 가능한 주차구획을 이용자의 휴대폰의 지도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원하는 주차구획을 선택하면 바로 직접제어가 가능하여 쉽게 주차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주차요금도 사전에 등록한 카드로 자동정산처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주차장 입구가 없는 주차장의 입.출입 차량들에 대한 관제가 안되는 문제점, 주차장 입구에 출입 관제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주차구획에 주차가 되어있는지 비어있는지 확인이 안되는 문제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주차구획 중간에 설치함으로써 주차장 입구에 관계없이 주차잠금장치 내부의 이동통신망 통신모듈장치를 통해서 주차잠금장치가 열렸는지 잠겼는지 실시간으로 이동통신망의 위치기반 지도에 업데이팅 시켜줌으로써 주차상황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개별적으로 주차구획에 설치된 대부분의 주차잠금장치들이 전용 비콘통신 단말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공유해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과 비콘통신을 통해서 매번 이용할 때마다 고유번호나 이용자의 차량번호를 등록해야 하는 문제점, 주차요금을 정산없이 출차할 경우 주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는 이동통신망(광대역 통신망)과 연동할 수 있는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통신모듈을 통하여 거리의 제한 없이 휴대폰에서 직접 제어할 수 있으며, 회원과 비회원 두가지 분류로 구분하여 회원의 경우에는 회원가입시 등록한 정보를 이용할 때마다 자동으로 읽어와 주차요금정산처리 하며, 비회원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주차장의 차단기 앞에가서 고유번호나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원거리(원격)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를 검색해서 주차가 가능한 주차구획을 선택하면 그때 결제카드 정보를 등록하면, 주차요금 정산없이 출차 후 등록된 카드정보를 읽어와 자동정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주차구획에 설치된 차단기들의 전방, 후방, 좌측, 우측으로 무분별하게 진입하는 차량들에 대한 제어 방법이 없어 차단기 훼손은 물론 고가의 외제차들의 훼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그루브내에 물이 고일 수 있는 문제점에 있어서, 주차봉 전/후방에 초음파 거리센서가 장착되어 전방, 후방, 좌측, 우측으로 무분별하게 진입하는 차량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주차봉이 아래로 내려가게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주차봉을 자동으로 내려가지 않게 조정버튼을 조절해서 주차봉이 내려가지 않게 조정하며, 함체1과 함체2, 함체3과 함체4의 양끝에는 U자형으로 뚫려있어 우천시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며, 각 함체의 하부에 방수구멍이 형성되어있어, 일 기온차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이 방수구멍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증발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의 전기적 장치들의 부식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차단기가 또는 차단기 덮개가 주차차량의 바퀴에 직접 닿을 수 있음에 따른 카메라 훼손과 덮개의 훼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이 아래로 내려와 있을경우 주차봉의 전방/후방, 좌/우 양옆으로 주차봉의 길이와 높이보다 약간 큰 크기로 금속처럼 견고한 폴리카보네이트제질로 제작된 함체1과 함체2, 함체3과 함체4로 지면과 견고하게 고정되어있고, 주차봉이 주차차량의 바퀴에 닿는 면이 없어 파손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차단기를 제어할 로컬서버와 연결할 통신케이블과 로컬서버와 관리서버(또는 예약서버)와 연결할 인터넷 케이블이 구성되어야 하는 문제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는 주차잠금장치내 이동통신망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eSIM통신모듈장치가 탑재되어 있어 주차장내 별도의 인터넷 선이나 서버와 차단기간 통신할 통신케이블이 필요 없는 것을 특징으로 회원이든 비회원이든, 모든 사용자들이 원거리(원격) 또는 이동 중 거리에 제한 없이 쉽고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주차상황을 직접 모니터 또는 주차를 할 수 있게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한 이용에 따른 주차요금 정산도 사전에 등록된 선불/후불 카드정보와 주차요금정보를 결제카드 관리서버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카드사로 전송하여, 처리된 정보를 카드사로부터 받아 자동 결제처리하고, 그 결과를 카드사로부터 사용내역을 사용자들에게 공지받거나, 사용자들이 사전에 회원가입시 등록한 휴대전화 번호로 결제카드 관리서버에서 주차요금 정산메시지를 전송처리 하여, 차단기가 있는 고가의 주차 시스템이나, 고가의 키오스크 자동 결제시스템이 없이도 주차 관제를 할 수 있게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빌딩이나 이면도로, 주택가, 빌라단지, 사유지 등의 횡(차가 앞뒤로 마주보며 주차할 수 있게 길게 조성된 주차구획)이나 종(차가 한쪽방향으로만 바라보며 옆으로 주차할 수 있게 조성된 주차구획)으로 구획된 모든 주차장에 외부인의 주차를 제한하고자 하는 곳에 빠른 시간안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하여, 무분별한 불법주차로 인한 다툼을 예방하고, 실시간으로 휴대폰의 지도화면으로 주차가 가능한 주차구획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원하는 주차구획을 휴대폰 화면으로 볼 수 있으며,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 누구든지 쉽게 설치하고, 철거를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설치나 철거에 발생되는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주차 차단기를 설치하기에 좁은 공간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불법 주정차로부터 인한 불편한 주차문화를 편리하고, 안전한 주차문화로 생활의 변화를 바꿀 수 있는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장치와 그 시스템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20.02.12. 출원번호“10-2020-0016797“로 출원한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잠금장치와 그 시스템에 본 발명의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를 적용한 통신망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장치를 지면에 단계별 설치하는 예시도이다.
도4은 주차구획에 설치한 주차잠금장치를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흐름도이다.
도5는 사용자들의 휴대전화에 표시된 주차가능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 보여지는 앱 브라우저의 구성도이다.
도6은 횡(橫)(도6-608)으로 조성된 주차구획과, 종(縱)(도6-607)으로 조성된 주차구획에 설치되어있는 주차잠금장치에 주차차량이 불법으로 주차할 경우 주차봉 좌/우로 작동되는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복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 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당 업계의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도 1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20.02.12. 출원번호“10-2020-0016797“로 출원한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잠금장치와 그 시스템에 본 발명의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를 적용한 통신망 구성에 따른 제1(일) 실시 예이다.
서비스 제공사업자의 통합관리서버(도1-101)에 이동통신사업자의 통신망과(도1-113) 유선통신사업자 통신망(도1-115)에 데이터 전용회선으로 연결하는 단계;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횡으로 조성된 주차구획((도1-111)과 종으로 조성된 주차장 주차구획에(도1-110) 설치하는 단계; 이동통신사 또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도1-100)에서 주차잠금장치(도1-110,111)에 장착된 eSIM 통신 모듈을 이동통신망(WAN:광대역통신망)이 제공되는 모든 지역에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개통처리 하는 단계(도1-108); 상기 개통된 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잠금장치내에 장착된 eSIM 통신모듈 메인보드에 연결된 초음파 거리센서에 폴링방식(Polling System)으로 주차잠금장치의 잠금과 열림을 신호를 계속적으로 읽어와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관리서버(도1 -104); 상기 잠금장치 관리서버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휴대전화를 통하여 주차가 가능한 주차잠금장치를 선택하면(도1-112), 잠금장치 관리서버 (도1-104)에서 사용자의 휴대폰에서(도1-109) 직접 주차잠금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도1-109)가 보여지는 단계;
사용자가 앱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주차잠금장치를 해제하면(도5-521) 주차구 획에 설치된 주차잠금장치(도1-110,111)내부에 장착된 eSIM 통신모듈장치에서 사용자의 휴대전화에서 전송된 잠금해제(도5-521) 신호를 수신하여,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이 아래로 내려가게(도5-523) 구동모터에 신호를 보내어 주차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주차할 수 있게 하는 단계;
주차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휴대전화(도1-1-9)와 주차잠금장치(도1-110)간 이동통신망(도1-113)으로 직접제어하는 데이터 소켓 통신이 끊어짐과 동시에 다시 잠금장치 관리서버와 주차잠금장치내에 장착된 초음파 거리센서와 폴링방식 (Pooling System)으로 연결돼서 초음파 거리센서로부터 출차 정보를 읽어와 위치기반 지도에 주기적으로 자동 업데이팅 시켜주는 잠금장치 관리서버(도1-104);
또한, 사용자들의 휴대전화에서 직접 주차잠금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어플을 다운받아 휴대전화에 저장 관리하게 하는 앱다운 관리서버(도1-105); 상기 앱다운 관리서버에서 접속어플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 사용자들이 접속 어플을 실행하면 종래의 위치기반 지도기술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에 잠금장치 관리서버(도1-104)로부터 수신된 주차잠금장치의 실시간 주차잠금장치 위치와 주차를 할 수 있는 구획을 휴대전화에 지도로(도1-109) 보여주게 관리하는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도1-107);
주차잠금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이 접속어플을 선택하면, 사용하는 발신 휴대전화번호를 분석하여, 주차구획에 장치를 설치한 가입자인지, 할인받는 회원인지, 주차요금 정산할 신용카드 정보가 등록되어있는 회원인지, 없는 비회원인지, 주차요금 요일, 시간, 금액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가입 관리서버(도1-102);
또한, 사용자들이 주차잠금장치를 이용함에 따른 주차요금을 사용자들이 등록한 신용카드로 자동결제 처리할 수 있게 회원가입 관리서버로부터 카드정보와 휴대전화번호, 주차요금, 할인율 정보를 받아 자동으로 정산처리 할 수 있게 관리하는 결제카드 관리서버(도1-103);
상기 결제카드 관리서버에 있어서, 회원가입시 또는 비회원이 등록한 카드 정보가 유효한지를 종래의 카드 인증기술절차를 거치는 단계; 사용자들이 이용한 주차요금 정보와 카드정보, 휴대전화번호 정보를 회원가입 관리서버 로부터 전송받아 카드사(도1-114)에 통보하고, 그 결과 값을 카드사(도1-114) 로부터 받아 자동으로 정산처리 됨과 동시에 회원가입 관리서버(도1-102)로 부터 전송된 휴대전화번호로 정산 요금자료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방법으로 주차 차량들에 대하여 자동으로 주차요금을 자동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에 장착된 초음파 거리센서에 있어서 요즈음 대부분의 차량들이 후진 거리감지센서를 장착하고 있어 주차차량 자체의 경보음으로 인해 주차 차단기의 경보음이 안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더 많은 훼손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방(도2-203), 후방(도2-204)에 장착된 초음파 거리센서는 거리에 따라 경보음을 울려주는 센서가 아니라, 스스로 판단해서 장치보호는 물론 사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주차정보를 잠금장치 관리서버를 통해서 알려주는 기능과, 영상 촬영 및 촬영된 영상을 가입자(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주차구획에 설치한 사용자)의 휴대전화나 가입자가 자료를 전송하고자 하는 인터넷주소로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하여, 정상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주차하는 불법차량이 전방(도4-403) 또는 후방(도4-400) 방향에 관계없이 무분별하게 진입하면, 전방으로(도4-400) 진입하는 차량은 후방 초음파 거리센서에서(도2-204), 후방으로 진입하는 차량(도4-400)은 전방 초음파 거리센서에서(도2-203) 감지 후 eSIM 메인보드에 연결된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에 있는 전방 디지털카메라(도2-201)에서는 후방으로 진입하는 차량(도4-415)을, 후방 디지털카메라(도2-202)에서는 전방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이동통신망과 연동된 eSIM 메인보드를 통해서 영상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된 영상정보를 관리하는 영상 관리서버 (도1-106); 상기 영상 관리서버에서는 수신된 영상정보를 회원가입 관리서버 (도1-102)에 등록된 가입자의 휴대전화나 인터넷주소로 전송처리 함과 동시에,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 자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스로 잠금장치를 열게 구동모터에 신호를 주어 주차봉이 주차방향의 반대로 내려오면 주차차량과 부딪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주차봉을 주차차량과 같은 방향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처리하거나, 전기모듈장치(도2-243)에 조정버튼을 (도2-241) 조정하여 주차봉이 내려오지 않게 처리하는 것을 하는 영상관리서버를 포함한 회원가입관리서버, 결제카드관리서버, 잠금장치관리서버, 앱다운관리서버,위치기반지도관리서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에서 (도1-101) 유선(도1-115), 무선(이동)(도1-113) 통신망과 카드사 또는 결제대행사(도1-114)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각 서버에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관리하게 구성된 시스템의 제1(일) 실시예이다.
도2는 주차장 주차구획에 주차하는 차량들에 대하여 감시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의 전체 구성도에 대하여 제2(이)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2(이) 실시 예에 있어서, 주차봉이 좌/우, 아래로 눕혀져 있을 때, 불법 주차 차량으로부터 밟혀 훼손되지 않게 보호하기 위하여, 주차봉 좌/우 양옆에 한 개씩 주차봉 길이와 높이보다 약간 큰 크기로 금속처럼 견고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된 함체1(도2-271)와 함체2(도2-272)에 있어서, 주차봉 좌측에 함체1(도2-271), 주차봉 우측에 함체2(도2-272)를 밑면 길이 약 30~35cm, 앞부분의 폭은 약 4~7cm, 뒷부분의 폭은 약 10~13cm, 전체높이 약 3~5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8~33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바닥은 평평하고, 안쪽은 비어있게 형성된 단계;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을 갖추어 주차차량들의 바퀴로부터 집중적으로 힘을 받지 않게 형성된 단계; 윗면 안쪽에 지름 약 1.5~2cm 크기의 지면과 볼트로(도2-250,258)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과(도2-264,261) 함체 내부에 장착된 전기적 장치(도2-243)들을 주차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덮는 함체1 상부(도2-248), 함체2 상부(도2-255)와 연결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다수개 형성된(도2-251) 단계; 함체내부에 기온차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을 자연 증발할 수 있는 지름 약 0.5~1cm크기의 방수구멍을 밑면에서 약 1.5cm높이에 주차봉이 누워지는 방향쪽으로 다수개 형성된(도2-253) 단계; 주차봉을 좌/우, 상하로 원활히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지름 1.5~2cm, 폭 2~3cm 정도 크기의 베이링(도2-217)을 장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도2-265)단계와; 주차봉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동모터와(도2-254,260) 이동통신망(WAN:광역통신망)과 연동할 수 있는 eSIM통신모듈이 장착된 통신모듈장치와, 전방/후방으로 진입하는 주차들에 대하여 감시할 수 있게 주차봉에 탑재된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204)와 디지털카메라(도2-201,202)를 제어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적장치(도2-243)를 함체1하부와 함체2하부와 전기적장치에 형성된 볼트구멍에(도2-275,276,245) 볼트로(도2-244,251)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전기적장치(도2-243)에 형성된 조절버튼(도2-241)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옮기면 불법주차로 무분별하게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주차봉(도2-200)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주차봉이 아래로 내려가게 하고, 조절버튼(도2-241)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옮기면 주차봉이 자동으로 내려가지 않고 서 있게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함체1 하부(도2-252)와 함체2 하부(도2-262);에 있어서 함체1의 하부(도2-252)는 주차봉(도2-200) 좌측에 위치하며, 함체1 하부(도2-252)에 장착된 전기적 장치들은 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감지와 영상촬영으로 주차봉이 우측으로 내려가고 올라오게(도3-317) 작동되고, 함체2의 하부는(도2-262) 주차봉(도2-200) 우측에 위치하며, 함체2의 하부에 장착된 전기적 장치들은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감지와 영상 촬영으로 주차봉이 좌측으로 내려가고 올라오게(도3-318) 작동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1 하부(도2-252), 함체2 하부(도2-262)에 장착된 전기적 장치들을 주차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덮개에 있어서, 밑면 길이가 약 28~33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전체높이 약 5~8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5~28cm, 앞부분의 폭이 약 1~3cm, 뒷부분의 폭은 약 5~7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안쪽은 비어있고, 윗면은 막혀 있으며, 윗면의 표면은 엠보싱처리하여 미끄럼을 최소화하고,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어 주차차량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하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이 형성된 단계와; 밑면 안쪽에 지름 약 0.25~0.5cm 크기의 볼트로(도2-246,257) 함체1,2의 하부(도2-252,262)와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도2-247,256)이 형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함체1 상부(도2-248), 함체2 상부(도2-255);에 있어서,
함체1과 2의 하부(도2-252,262)와 함체1과 2의 상부(도2-248,255)의 이음새 틈으로 이물질이나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및 함체간 이격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함체1,2의 상부(도2-248,255)와 하부(도2-252,262) 테두리에
Figure utm00013
(도2-266) 모양으로 불록하게 튀어나온 홈과
Figure utm00014
(도2-267)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이 형성된 단계와; 함체1 하부(도2-252)에
Figure utm00015
(도2-267) 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에 함체1 상부(도2-248)에
Figure utm00016
(도2-266)모양으로 볼록하게 나온 홈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어 연결하고, 함체2 하부에
Figure utm00017
(도2-267) 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에 함체2 상부(도2-256)에
Figure utm00018
(도2-266)모양으로 볼록하게 나온 홈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어 연결하는 단계; 함체1과 함체2의 상부(도2-248,255) 윗면에 형성된 함체간 연결구멍(도2-247,256)에 연결볼트(도2-246,257)로 조여 견고하게 결합된 함체1과 함체2;를
또한, 반대편으로 주차봉이 내려갔을 때 주차봉을 주차 차량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주차봉이 아래로 눕혀져 있을 때(도3-317) 양옆 좌/우로 한 개씩 주차봉 길이와 높이의 크기로 금속처럼 견고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된 함체3(도2-273)와 함체4(도2-274)에 있어서, 함체3(주차봉 좌측)(도2-273), 함체4(주차봉 우측)(도2-274)에 밑면은 길이 약 27~32cm, 앞부분의 폭이 약 4~7cm, 뒷부분의 폭은 약 10~13cm, 높이 약 2~4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5~30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바닥은 평평하고, 안쪽은 비어있고,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을 갖추어 주차 차량들의 바퀴로부터 집중적으로 힘을 받지 않게 형성된 단계와; 윗면 안쪽에 지름 약 1.5~2cm 크기의 지면과 볼트로(도2-230,236)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과(도2-226,234) 주차 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덮는 함체3 상부(도2-223), 함체4 상부(도2-232)와 연결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다수개 형성된(도2-224,233) 단계; 함체내부에 기온차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을 자연 증발할 수 있는 지름 약 0.5~1cm크기의 방수구멍을 밑면에서 약 1.5cm높이에 주차봉이 누워지는 방향쪽으로 다수개 형성된(도2-228) 단계를 포함하는 함체3 하부(도2-223)와 함체4 하부(도2-232);
상기 함체3 하부(도2-223), 함체4 하부(도2-232)에 주차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덮개의 밑면이 길이 약 27~32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높이 약 5~8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0~27cm, 앞부분의 폭이 약 1~3cm, 뒷부분의 폭은 약 5~7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안쪽은 비어있고, 윗면은 막혀 있으며,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이 형성된 단계와; 밑면 안쪽에 지름 약 0.25~0.5cm 크기의 볼트로(도2-222,231) 함체 3,4의 하부(도2-229,237)와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도2-227,235)이 형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함체3 상부(도2-223), 함체4 상부(도2-232);
함체3과 4의 하부(도2-229,236)와 함체3과 4의 상부(도2-223,232)의 이음새 틈으로 이물질이나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및 함체간 이격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함체3,4의 상부(도2-223,232)와 하부(도2-229,237) 테두리에
Figure utm00019
(도2-266) 모양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형성된 홈과,
Figure utm00020
(도2-267) 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홈이 형성된 단계와; 함체3과 4의 하부(도2-229,236)에
Figure utm00021
(도2-267)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에 함체3과 4의 상부에(도2-223,232)
Figure utm00022
(도2-266) 모양으로 볼록하게 나온 홈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3과 함체4의 하부(도2-229,236)와 함체3과 함체4의 상부(도2-223,232)가 결합된 함체3(도2-273), 함체4(도2-274);와
함체1(도2-271)와 함체3(도2-273)이 함체2(도2-272)와 함체4(도2-274)가 원활한 연결과 함체간 이격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 뒷부분 중간에
Figure utm00023
ㄱ자 모양으로 홈이 들어가게 형성된 단계와; 함체3(도2-273)과 함체4(도2-274) 뒷부분 중간에
Figure utm00024
ㄴ자 (도2-217)모양으로 나오게 구성된 단계에서 지면에 고정된 함체1과 함체2에 구성된
Figure utm00025
ㄴ자 (도2-269) 홈에 맞게 함체 3와 함체 4를
Figure utm00026
ㄱ자(도2-268) 홈에 맞게 위에서 아래로 끼우게 형성된 단계와;
우천시 함체1과 함체2, 함체3과 함체4 사이에 물이 고여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함체의 앞부분은 U자모양으로 열려있게 하여 우천시 빗물이 지면에 고이지 않고 바로 흘러나갈 수 있게 형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함체1,함체2,함체3,함체4로 구성된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에
본 발명에 기술된 주차봉(도2-200)은 일반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주차봉으로,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작되어서 차량과 부딪혀도 차량에 흠집이 안 나며, 또한 재질이 부드러워 복구가 잘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주차봉(도2-200)을 쉽게 일반 시중에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수리가 빠른 장점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봉(도2-200) 밑을 일자로 잘라낸 다음, 잘라낸 주차봉 하부에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도2-210)와 연결할 볼트 구멍을(도2-205) 다수개 형성시킨 단계와; 상기 주차봉(도2-200) 상부에서 약 5cm 아래에 전방 및 후방에 지름이 약 1~1.5cm 크기의 구멍을 각각 뚫어, 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전방 디지털 카메라(도2-201)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고,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후방 디지털카메라(도2-202)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는 단계와; 전/후방 디지털 카메라 (도2-201, 202)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선과 제어선(장치간 상호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전선)을 연결하는 단계;에 있어서 전기적 장치(광대역통신모듈, 구동모터, 전원장치, 초음파 거리센서 작동장치, 디지털카메라 작동장치)를 탑재한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에 연결할 수 있는 제어선이나 전원선을 넣을 수 있는 홈이(도2-211)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도2-210)에 선을 넣어 전/후방 디지털카메라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주차봉(도2-200) 하부에서 약 10cm 위에 전방 후방에 지름이 1~2cm 크기의 구멍을 각각 뚫어, 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고,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4)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는 단계와; 전/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 204)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선에 연결하는 단계;에 있어서 전기적 장치(광대역통신모듈, 구동모터, 전원장치, 초음파 거리센서 작동장치, 디지털카메라 작동장치)를 탑재한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에 연결된 제어선이나 전원선을 넣을 수 있는 홈이(도2-211)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도2-210)에 선을 넣어 전/후방 초음파 거리센서에 연결하는 단계;
밑에가 U자형 모양으로 약 5cm 길이로 나와 있고, U자형 밑에 2개의 고정핀(도2-215)을 끼울 수 있는 홈이(도2-214) 마련되고, 위에는 주차봉 연결 단자와(도2-210)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구멍(도2-212)이 마련돼 있는 지지대 (도2-263)와 주차봉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원형 모양의 홈이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도2-210) 밑에 마련된 볼트구멍(도2-211)에 볼트(도2-208)로 조여 고정 시키는 단계; 전/후방 디지털카메라와 초음파 거리센서 장착이 끝난 주차봉(도2-200)을 위에서 아래로 연결단자 원형 홈에 맞게 끼운 후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 마련된 볼트구멍(도2-206)과 주차봉 연결 볼트구멍에 (도2-205) 볼트(도2-207)로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 함체1(도2-271), 함체2(도2-272)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도2-254,26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동력을 주차봉(도2-200)에 전달하기 위한 연결철심(도2-213)에 베어링(도2-216)에 형성된 연결철심 홈에(도2-217) 을 끼우는 단계; 주차봉이 장착된 지지대(도2-213)를 구동모터 연결철심(도2-213) 위에서 아래로 내려 끼우는 단계; 주차봉이 장착된 지지대가(도2-263) 구동 모터 연결철심 (도2-213)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U자형 지지대 밑에 마련된 2(두)개의 홈(도2-214)에 2(두)개의 고정핀을(도2-215)끼워 고정시키는 단계;
주차봉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한 주차봉 받침대(도2-22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주차봉 받침대(도2-220)에 마련된 볼트구멍(도2-221)에 맞게 드릴로 구멍을 뚫는 단계; 지면에 마련된 볼트구멍에 주차봉 연결단자 받침대(도2-220)를 볼트(도2-218)로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
주차봉이 장착된 지지대와(도2-263) 구동 모터 연결철심(도2-213)이 연결된 장치를 주차봉 받침대에 끼울 수 있게 형성된 u자형 홈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봉 연결 모듈장치(도2-270);를 포함하여 함체1(도-271), 함체2(도2-272), 함체3(도2-273), 함체4(도2-274)로 구성된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에 대한 제2(이) 실시 예이다.
도3은 상기 제2(이) 실시 예에 있어서, 함체1,2,3,4 하부와 함체1,2,3,4 상부, 주차봉 연결모듈장치(도2-270)로 구성된 주차잠금장치를 단계별로 지면에 조립한 구성도를 제3(삼)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3(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이) 실시 예에서 설명된바 있는 주차봉 받침대를(도3-300)를 주차구획선의 4개의 꼭지점을 대각선 방향으로 직선(도3-319,321)을 그어 2개의 직선이 교차되는 점(도3-320)을 장치를 설치할 중심점으로 주차봉 받침대의 중심 볼트구멍(도3-328)에 맞춰 지면에 올려놓는 단계; 주차봉 받침대 (도3-300)에 형성된 지면 고정 볼트구멍(도3-328)에 맞게 드릴로 지면에 구멍을 뚫는 단계; 지면에 형성된 구멍에 맞게 주차봉 받침대(도3-300)를 볼트(도2-218)로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 지면에 고정된 주차봉 받침대(도3-300) 끝부분과 함체1하부(도3-301)과 함체2하부(도3-302)의 끝부분을 맞추어 함체1하부(도3-301)과 함체2하부(도3-302)에 형성된 볼트구멍(도2-264,261)에 맞게 지면에 드릴로 구멍을 뚫는 단계; 함체1하부(도3-301)과 함체2하부(도3-302)에 형성된 볼트구멍(도2-264,261)에 볼트(도3-304)로 조여 지면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해서 주차봉 받침대와 함체1,2 하부를 지면에 고정된 제1(일) 설치단계(도3-303);
상기 제1(일) 설치단계에서 지면에 고정된 함체1,2하부(도3-301,302)와 함체3,4 하부(도3-305,307)를 연결하기 위하여 각 함체1,2,3,4 끝부분 중간에 형성된
Figure utm00027
ㄴ자 (도2-269)
Figure utm00028
ㄱ자(도2-268) 홈에 맞게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춘 후, 함체3,4 하부(도3-305,307)와 지면과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구멍을 뚫는 단계; 함체3,4하부를 볼트(도3-304)로 조여 지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이) 설치단계(도3-308);
상기 제1(일) 설치단계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된 주차봉 받침대에 함체1(도2-271), 함체2(도2-272)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도2-254,260)에 베어링이 끼워져 있는 연결철심을 연결하는 단계(도3-314); 주차봉이 장착된 지지대가(도2-263) 구동모터 연결철심 (도3-314)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U자형 지지대 밑에 마련된 2(두)개의 홈(도2-214)에 2(두)개의 고정핀을(도2-215)끼워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3(삼) 설치단계(도3-315);
상기 제2(이) 설치단계에서 지면에 고정된 함체1,2,3,4하부 위에 함체 내부에 장착된 전기적 장치들을 주차차량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덮개 함체1,2,3,4 상부(도3-310,311,312,313)를
Figure utm00029
(도2-266) 모양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형성된 홈과,
Figure utm00030
(도2-267) 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과
Figure utm00031
ㄴ자 (도2-269)
Figure utm00032
ㄱ자(도2-268)에 맞추는 단계; 함체1,2,3,4 상부에 형성된 함체간 결합 볼트구멍(도3-329)에 볼트(도3-309)로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4(사) 설치단계(도3-316);
상기 제1(일) 설치단계부터 제4(사) 설치단계까지의 과정으로 주차구획(도3-322)에 설치한 주차잠금장치(도3-323)가 좌측(도3-318)/우측(도3-317) 진입방향에 따라 주차봉이 작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3(삼) 실시 예이다.
도 4는 제3(삼) 실시 예에서 설명한 설치단계로 주차구획에 설치한 주차잠금장치를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흐름도를 제4(사)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4(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발명의 출원인이 2020.02.12. 출원번호“10-2020-0016797“로 출원한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잠금장치와 그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이(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처음으로 사용하는 사람을 말함) 본 발명의 잠금장치와 그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사용자들이 지니고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구글스토어나 애플스토어 또는 직접 본 발명의 접속 어플을 관리하는 앱다운 관리서버(도4-402)에 접속해서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받은 후 휴대폰에 설치하는 단계(도4-401);
사용자들이 휴대폰에 새로 설치된 접속 어플을 실행하면 사용자의 휴대폰에 가입된 이동통신망(도1-113)을 통하여 본 발명의 통합관리서버(도1-101)에 있는 회원가입 관리서버(도1-102,도4-405)에 접속되는 단계;에서 이동통신망 에서 전송된 사용자의 휴대폰 전화번호(발신 CID:Caller Identification)를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인지(도4-410), 비회원인지(도4-416), 주차잠금장치를 설치한 가입자 인지(도4-411)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도4-406);에서 일치하는 번호가 없으면 회원가입 할 것인지, 비회원으로 이용할 것인지 선택할 (도4-410)수 있는 앱 브라우저(도7-708)로 연결되는 단계;에서 비회원을 선택하면, 사용할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등록되고, 추가로 이용할 차량번호, 결제할 카드번호를 입력하게(도4-416) 하여, 차량번호는 전체번호(예: 00누0000)로 주차요금 정산자료에 포함되어 전송되며, 결제할 카드는 카드번호를 입력 후 승인요청을(도7-706) 하면, 회원가입 관리서버 (도4-405)에서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07)로 정보를 전송하고,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07)에서 카드사(도4-449)와 연동된 통신망을 통하여 카드가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이(도4-450) 이루어지고, 승인이 거절된 경우 카드사에서 새로운 카드를 입력할 수 있게 요청하고(도4-451), 승인이 난 경우에(도4-418)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주차가 가능한 주차잠금장치 정보가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에 업데이팅된 위치기반 지도 앱 브라우저로 연결되는(도4-422, 도7-702) 단계;에서 주차가 가능한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4-423,도8-805) 주차관련 요금정보와 주차가능시간(도4-443) 정보를 보는 정보보기(도4-443), 주변보기(도4-444), 다른장소보기(도4-453), 주차 확약하기(도4-454)를 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도8-825)로 연결되는 단계;에서 정보보기를 선택하면, 주차요금정보, 주소정보, 주차이용가는 시간대 정보를 보여주는 단계(도8-800); 다른곳보기(도4-453)를 선택하면 위치기반 지도 앱브라우저로(도8-803) 연결되는 단계; 주변보기를 선택하면 주차잠금장치의 본체 상부에 있는 디지털카메라를 통하여 전방, 후방 두 개의 화면이 휴대폰에 보여지는(도8-818) 단계;에서 비회원이 주차확약을(도4-424) 선택하면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25)에서 발신휴대폰(도4-426)에서 직접 주차잠금 장치(도4-427)를 소켓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게 발신휴대폰 (클라이언트: Client)(도4-426)과 주차잠금장치(서버)(도4-427)가 데이터 In/Out Channel을 연결해주는(도4-428, 도8-821) 단계;에서 비회원이 주변보기를 선택하면 주차 잠금장치의 본체 상부에 있는 디지털카메라를 통하여 전방, 후방 두 개의 화면이 휴대폰에 보여지는(도8-818) 단계; 비회원이 잠금해제를(도4-430, 8-821)선택하면, 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잠금장치가 아래로 내려가(도8-823) 주차를 할 수 있으며,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19)에서 주차잠금장치의 열림 정보를(도4-433)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도4-422)에 제공해 위치기반 지도에 주차할 수 있는 아이콘이 없어지게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에 결제카드 관리서버 (도4-442)로 주차요금을 계산할 수 있는 주차 시작시간(도4-441)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회원이 회원에 가입하지 않고 주차잠금장치를 직접 제어해서 비회원이 원하는 주차구획에 주차하기까지의 처리 흐름에 대한 실시 예이며, 비회원의 차가 출차 시 주차요금 정산없이 그냥 출차를 하는 단계(도4-456);에 있어서, 출차를하면(도4-456) 주차잠금장치 내부에 장착된 초음파 거리센서(도4-431)에서 구동모터에 잠금신호를 보내어 주차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잠기게 하는 단계(도4-432);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34)에서 주차잠금장치의 거리센서에 폴링방식으로 잠금장치의 잠김신호를 주기적으로 보내어 잠김이 확인되면,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34)에서 회원가입 관리서버(도4-435)에 비회원 전화번호 정보와 잠김시간정보(주차종료시간)를 전송하고, 회원가입 관리서버(도4-435)에서 휴대폰 전화번호와 비회원이 등록한 카드정보와 주차종료시간 정보를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36)에 전송하여 등록된 카드에서 자동으로 주차요금이 정산처리됨과 동시에 주차정산 요금정보를 회원가입 관리서버로(도4-435)부터 전송된 휴대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도4-417)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회원들의 출차처리방법에 대한 실시 예이다.
회원가입을 선택하면(도4-410), 일반회원으로 가입할 것인지, 주차장에 주차잠금장치를 설치한 가입자로 가입할 것인지(도4-409) 선택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로 연결되는(도7-711) 단계;에서 일반가입을 선택한(도4-414) 경우 사용할 전화번호는 자동으로 수신된 전화번호로 자동 등록이 되며, 추가로 이용할 차량번호, 결제할 카드번호 정보를 입력하는 (도4-415)단계;에서 결제할 카드번호를 입력 후 승인요청을(도7-706) 하면 회원가입 관리서버 (도4-405)에서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07)로 정보를 전송하고,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07)에서 카드사(도4-449)와 연동된 통신망을 통하여 카드가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이(도4-450) 이루어지고, 승인이 거절된 경우 카드사에서 새로운 카드를 입력할 수 있게 요청하고(도4-451), 승인이 난 경우에(도4-418)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도4-419) 주차가 가능한 주차잠금장치 정보가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도4-421)에 업데이팅된 위치기반 지도 앱 브라우저로 연결되는(도4-422, 도7-702) 단계;에서 주차가 가능한 아이콘을 선택하면(도4-423,도8-805) 주차관련 요금정보와 주차가능시간(도4-443) 정보를 보는 정보보기(도4-443), 주변보기(도4-444), 다른장소보기(도4-453), 주차 확약하기(도4-454)를 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도8-825)로 연결되는 단계;에서 정보보기를 선택하면, 주차요금정보, 주소정보, 주차이용가능 시간대 정보를 보여주는 단계(도8-800); 다른곳보기(도4-453)를 선택하면 위치기반 지도 앱 브라우저로(도8-803) 연결되는 단계; 주변보기를 선택하면 주차잠금장치의 본체상부에 있는 디지털카메라를 통하여 전방, 후방 두 개의 화면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휴대폰에 보여지는(도8-818) 단계;에서 회원이 주차확약을(도4-424) 선택하면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25)에서 발신휴대폰(도4-426)에서 직접 주차잠금장치(도4-427)를 소켓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게 발신휴대폰 (클라이언트: Client)(도4-426)과 주차잠금장치(서버)(도4-427)가 이동통신 데이터 In/Out Channel을 연결해주는(도4-428, 도8-821) 단계;에서 회원이 주변보기를 선택하면 주차잠금장치의 본체상부에 있는 디지털카메라를 통하여 전방, 후방 두 개의 화면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휴대폰에 보여지는(도8-818) 단계; 회원이 잠금해제를(도4-430, 8-821)선택하면, 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잠금장치가 아래로 내려가(도8-823) 주차를 할 수 있으며,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19)에서 주차잠금장치의 열림 정보를(도4-433)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도4-422)에 제공해 위치기반 지도에 주차할 수 있는 아이콘이 주차불가 아이콘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에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42)로 주차요금을 계산할 수 있는 주차 시작시간(도4-441)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원이 원하는 주차구획에 주차하기까지의 처리 단계와; 회원의 차가 출차 시 주차요금 정산없이 그냥 출차를 하는 단계(도4-456);에 있어서, 출차를 하면(도4-456) 주차잠금장치 내부에 장착된 초음파 거리센서(도4-431)에서 구동모터에 잠금신호를 보내어 주차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잠기게 하는 단계(도4-432);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34)에서 주차잠금장치의 거리센서에 폴링방식으로 잠금장치의 잠김신호를 주기적으로 읽어와 잠김이 확인되면,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34)에서 회원가입 관리서버(도4-435)에 비회원 전화번호 정보와 잠김시간정보(주차종료시간)를 전송하고, 회원가입 관리서버(도4-435)에서 휴대폰 전화번호와 회원이 등록한 카드정보와 주차종료시간 정보를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36)에 전송하여 등록된 카드에서 자동으로 주차요금이 정산처리됨과 동시에 주차정산 요금정보를 회원가입 관리서버로(도4-435)부터 전송된 휴대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도4-417)하는 출차 단계를; 포함하는 회원들의 출차처리방법에 대한 실시 예이다. 가입자를 선택한 경우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주차장 주차구획에 직접 설치하여 일반회원이나 비회원들의 휴대폰에서 직접 제어할 수 있게 제공하기 위한 기본 정보인 사용할 전화번호, 제품번호, 차량번호, 카드번호, 공유시간설정, 설치장소, 메시지 정보, 입금계좌번호, 이용요금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처리방법으로 도5의 실시 예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회원이 휴대폰에 설치된 접속 어플을 실행하면 사용자의 휴대폰에 가입된 이동통신망(도1-113)을 통하여 본 발명의 통합관리서버(도1-101)에 있는 회원가입 관리서버(도1-102,도4-405)에 접속되는 단계;에서 이동통신망에서 전송된 사용자의 휴대폰 전화번호(발신 CID:Caller Identification)를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인지(도4-410), 비회원인지(도4-416), 주차잠금장치를 설치한 가입자 인지(도4-411)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도4-406);에서 회원이면 비회원처럼 카드정보나 차량번호, 휴대전화번호를 등록하지 않고, 바로 위치기반 지도화면을 볼 수 있는 앱 브라우저로 연결되는 단계;와 시스템 내부적으로 회원관리서버에서 등록된 카드정보를 읽어와 결제카드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등록된 카드가 사용가능한 카드인지를 시스템 내부에서 사전조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방법으로 주차잠금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라고 명시한 사용자들의 사용에 대한 실시 예와 같이 본 발명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휴대전화에 설치된 접속 어플을 실행하면 휴대전화의 발신 CID(Caller Identification:발신전화번호)를 분석하여 회원, 비회원, 가입자로 분리하는 단계;에서 비회원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할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등록되고, 추가로 이용할 차량번호, 결제할 카드번호를 입력하게(도4-416) 하여, 승인이 난 카드의 경우에(도4-418)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주차가 가능한 주차잠금장치 정보가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에 업데이팅된 위치기반 지도 앱 브라우저로 연결되는(도4-422) 단계;
회원가입 아이콘을 선택하면(도4-410),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도4-421)에 업데이팅된 위치기반 지도 앱 브라우저로 바로 연결되는(도4-422) 단계;에서 주차가 가능한 아이콘을 선택하면(도4-423,도5-505) 주차관련 요금정보와 주차가능시간정보를 보는 정보보기(도4-443), 주변보기(도4-444), 다른장소보기(도4-453), 주차 확약하기(도4-454)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도5-525)로 연결되는 단계;에서 정보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주차요금정보, 주소정보, 주차이용가능 시간대 정보를 보여주는 단계(도5-500); 다른곳보기(도4-453)아이콘을 선택하면 위치기반 지도 앱 브라우저로(도5-503) 연결되는 단계; 주변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에 있는 디지털카메라를 통하여 전방, 후방 두 개의 화면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휴대전화에 보여지는(도5-518) 단계;에서 회원이 주차확약 아이콘을(도4-424) 선택하면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25)에서 발신휴대전화(도4-426)에서 직접 주차잠금장치(도4-427)를 소켓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게 발신 휴대전화 (클라이언트: Client)(도4-426)와 주차잠금장치(서버)(도4-427)가 이동통신 데이터 In/Out Channel을 연결해주는(도4-428, 도5-521) 단계;에서 회원이 주변보기아이콘을 선택하면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에 있는 디지털카메라를 통하여 전방, 후방 두 개의 화면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휴대전화에 보여지는(도5-518) 단계; 회원이 잠금해제 아이콘을(도4-430, 도5-521) 선택하면, 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이 아래로 내려가(도5-523) 주차를 할 수 있으며,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19)에서 주차잠금장치의 열림 정보를(도4-433)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도4-422)에 제공해 위치기반 지도에 주차할 수 있는 아이콘이 사라지게 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에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42)로 주차요금을 계산할 수 있는 주차 시작시간(도4-441)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원이 원하는 주차구획에 주차하기까지의 처리 단계와; 회원의 차가 출차 시 주차요금 정산없이 그냥 출차를 하는 단계(도4-456);에 있어서, 출차를 하면(도4-456)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에 장착된 초음파 거리센서(도4-431)에서 구동모터에 잠금신호를 보내어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이 자동으로 잠기게 하는 단계(도4-432);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34)에서 주차잠금장치의 거리센서에 폴링방식으로 잠금장치의 잠김신호를 주기적으로 읽어와 잠김이 확인되면,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34)에서 회원가입 관리서버(도4-435)에 비회원 전화번호 정보와 잠김시간정보(주차종료시간)를 전송하고, 회원가입 관리서버(도4-435)에서 휴대전화번호와 회원이 등록한 카드정보와 주차종료시간 정보를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36)에 전송하여 등록된 카드에서 자동으로 주차요금이 정산처리됨과 동시에 주차정산 요금정보를 회원가입 관리서버로(도4-435)부터 전송된 휴대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도4-417)하는 출차 단계를; 포함하는 회원들의 출차처리방법에 대한 제4(사) 실시 예이다.
도5는 사용자들의 휴대전화에 표시된 주차가능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 보여지는 앱 브라우저의 구성도에 대하여 제5(오)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5(오)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본 발명의 장치와 처리방법을 이용하고자 회원에 가입한 사람을 회원, 회원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을 비회원으로 명시함)가 휴대전화에 설치된 어플을 선택한 후 위치기반 지도 앱 브라우저에 접속(도5-503)하면 보여지는 아이콘에 있어서, 사용자들에게 주차가 안되는 장소 정보를 보여줄 필요 없으며, 사용자의 주변에(도5-504) 실질적으로 주차가 가능한 아이콘이 표시된(도5-502,505) 지도가 보여지는 단계(도5-503);에서 주차가능 아이콘을 선택하면 주차잠금장치의 주변을 볼 수 있는 “주변보기”(도5-508)와 사용자가 다른 곳 보기를 원하면 이전 앱 브라우저로 돌아갈 수 있게 “다른장소보기”(도5-509)와 사용자가 선택한 주차구획에 확실히 주차를 하고자 할 때 “주차확약하기”(도5-510)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가 보여지는 (도5-507)단계;에서, 주변보기 아이콘을(도5-508) 선택하면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에 장착된 전방, 후방 디지털카메라를 통하여 2개의 영상이 보여지는 (도5-516,517)단계; 사용자가 “다른장소보기”(도5-509)아이콘을 선택하면 전(前) 앱 브라우저로 연결되는 (도5-500)단계; 사용자가 “주차확약하기”(도5-510) 아이콘을 선택하면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사용자의 휴대전화와 주차잠금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 소켓통신로 In/Out channel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로(도5-519) 연결되는 단계에서; 잠금해제 아이콘을(도5-521) 선택하면 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이 아래로 내려(도5-523)가고, 주변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면(도5-522)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에 장착된 전방, 후방 디지털카메라를 통하여 2개의 영상이 보여지는 (도5-516,51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오) 앱 브라우저 실시 예이다.
도6은 횡(橫)(도6-608)으로 조성된 주차구획과, 종(縱)(도6-607)으로 조성된 주차구획에 설치되어있는 주차잠금장치에 주차차량이 불법으로 주차할 경우 주차봉 좌/우로 작동되는 제6(육) 실시 예이다.
제6(육) 실시예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주차장의 주차구획은 횡(차가 앞뒤로 마주보며 주차할 수 있게 길게 조성된 주차구획)(도6-608)이나 종(차가 한 방향으로만 바라보며 옆으로 주차할 수 있게 조성된 주차구획)(도6-607)으로 조성되어있으며, 종으로 구획된 주차장(도6-607)은 전면 또는 후면 한 방향으로만 주차하게 되어있으나, 옆 주차공간이 비어 있을 경우에 주차공간을 넘어와서 주차하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횡으로 주차구획이(도6-608) 조성된 주차장에는 앞, 뒤 관계없이 운전자가 편한데로 주차를 한다. 이러한 주차장 주차구획에 주차잠금장치를 해제하지 않고 무단으로 주차를 하기 위해 주차구획에 횡(차가 앞뒤로 마주보며 주차할 수 있게 길게 조성된 주차구획)이나 종(차가 한쪽방향으로만 바라보며 옆으로 주차할 수 있게 조성된 주차구획)으로 조성된 주차구획에 관계없이, 설치된 주차잠금장치를 해제하지 않고 무단으로 주차를 하기 위해 주차구획에 직진(도6-603) 또는 후진(도6-600)을 해서 진입하면, 전방, 후방 초음파 거리센서에서 감지를 하여 전방(도6-601), 후방(도6-602) 디지털카메라를 작동시켜 영상 촬영과 동시에 구동모터에 잠금해제 신호를 보내는 단계에; 있어서, 구동모터가 장착된 전기모듈장치(도2-243)에 설치된 주차봉 작동 조정버튼(도2-241)을 좌측으로 옮겼을 때 주차봉(도2-200)이 자동으로 내려가지 않고 그대로 멈춰 있는 단계(도6-604);와 조정버튼(도2-241)을 우측으로 옮겼을 때 주차봉이 자동으로 내려가게 하는 단계(도6-605);에서 초음파 거리센서를 통해 잠금해제 신호를(도6-605) 받았을 때 사용자가 조정버튼을 선택한 정보대로 주차잠금장치 주차봉이(도2-212) 작동되는 단계; 촬영된 영상자료를 주차잠금장치 자체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영상자료를 영상관리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영상 관리서버에서는 영상정보를 회원가입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회원가입 관리서버에서 제품번호에 연결된 가입자의 등록된 메시지 전송 정보를 읽어와 영상관리서버로 전송된 영상자료를 URL 인터넷주소로 전송하거나, 휴대전화 전송, E-Mail전송을 하는 단계와;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주차잠금장치의 상태정보를 위치기반 관리서버에 전달하여 지도화면에서 주차가능 아이콘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차차량에 대한 처리방법의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권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사업자
101: 본 발명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서버를 통합관리하는 서버
102: 본 발명의 처리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관리하는 회원가입 관리서버
103: 사용자들이 주차요금을 자동정산하기 위해 등록한 카드관리 및 주차요금 자동정산을 관리하는 결제카드 관리서버
104: 본 발명의 처리방법으로 제공되는 주차잠금장치를 제어 및 관리하는 잠금장치 관리서버
105: 본 발명의 처리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휴대전화에 설치되는 접속 어플을 관리하는 앱 다운 관리서버
106: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에 장착된 디지털커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관리서버
107: 사용자들의 현재의 위치주변으로 주차가 가능한 주차잠금장치를 사용자들의 휴대전화에 보여지게 관리하는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
108: 이동통신 모듈이 장착된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
109: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와 처리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휴대전화
110: 주차장 입구가 없는 종으로 구성된 주차구획에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설치한 주차장
111: 주차장 입구가 없는 횡으로 구성된 주차구획에 본 발명의 주차잠금장치를 설치한 주차장
112: 사용자의 휴대전화에 보여지는 위치기반 지도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표시
113: 주차잠금장치에 장착된 eSIM 이동통신모듈과 연동된 이동통신망
114: 사용자들이 결제카드 관리서버에 등록한 카드정보를 실시간 인증관리 및 주차요금을 정산하기 위하여 유선 인터넷 또는 데이터 전용회선으로 연결된 카드사 또는 결제대행사
115: 카드사 또는 결제대행사와의 인터넷선 또는 데이터 전용회선으로 본 발명의 통합관리서버와 연결된 통신망
200: 주차봉 201,202:전방/후방 디지털카메라
203,204: 전방/후방 초음파 거리센서
205,206: 주차봉과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와 연결할 볼트 구멍
207: 주차봉과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와 연결할 볼트
208: 주차봉 연결단자와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볼트
209: 주차봉 연결단자에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볼트구멍
210: 주차봉 연결단자
211: 초음파거리센서, 디지털카메라 전원선 삽입구
212: 지지대에 주차봉 연결단자를 결합할 볼트구멍
213: 구동모터의 동력을 주차봉에 전달하는 연결철심
214: 지지대가 연결철심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핀을 삽입하는 구멍
215: 고정핀 216: 베어링
217: 베어링에 연결철심을 삽입하는 구멍
218: 주차봉 받침대 고정볼트
219: 주차봉 받침대에 연결철심 삽입구
220: 주차봉 받침대
221: 주차봉 받침대를 지면에 고정하는 볼트구멍
222,231,246,257: 함체상부와 함체 하부를 연결하는 볼트
223: 함체3 상부
224,233,247,256: 함체상부와 하부를 연결할 볼트구멍
225,259,266,267,268,269: 함체와 함체간 연결 홈
226,264: 함체 하부를 지면에 고정할 연결볼트구멍
227,251: 함체 하부를 함체상부와 연결할 볼트구멍
228,253: 함체하부에 형성된 방수구멍
229: 함체3 하부
230,236,250,258: 함체하부를 지면에 고정시킬 볼트
232: 함체4 상부 237: 함체4 하부
239, 240; 구동모터에 연결철심이 연결되게하는 기어
241: 주차봉 자동조절 버튼 242,254,260: 구동모터
243: 전기적장치 244: 함체하부와 연결할 볼트
245,275,276: 함체 하부에 전기적장치를 연결할 볼트구멍
248: 함체1 상부 249: 함체1 상부 어링 연결 홈
252: 함체1 하부 255: 함체2 상부
262: 함체2 하부 263: 주차봉 지지대
265: 함체1,2 하부에 베어링을 연결할 홈
270: 주차봉이 연결된 주차봉 연결모듈장치
271: 함체1 272: 함체2 273: 함체3 274: 함체4

Claims (4)

  1. 주차봉이 좌/우 아래로 눕혀져 있을 때, 불법 주차 차량으로부터 밟혀 훼손되지 않게 보호하기 위하여, 주차봉 좌/우 양옆에 한 개씩 주차봉 길이와 높이의 크기로 금속처럼 견고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된 함체1(도2-271)와 함체2(도2-272)에 있어서, 주차봉 좌측에 함체1(도2-271), 주차봉 우측에 함체2(도2-272)를 밑면 길이 약 30~35cm, 앞부분의 폭은 약 4~7cm, 뒷부분의 폭은 약 10~13cm, 전체높이 약 3~5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8~33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바닥은 평평하고, 안쪽은 비어있게 형성된 단계;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을 갖추어 주차차량들의 바퀴로부터 집중적으로 힘을 받지 않게 형성된 단계; 윗면 안쪽에 지름 약 1.5~2cm 크기의 지면과 볼트로(도2-250,258)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과(도2-264,261) 함체 내부에 장착된 전기적 장치(도2-243)들을 주차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덮는 함체1 상부(도2-248), 함체2 상부(도2-255)와 연결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다수개 형성된(도2-251) 단계; 함체내부에 기온차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을 자연 증발할 수 있는 지름 약 0.5~1cm크기의 방수구멍을 밑면에서 약 1.5cm높이에 주차봉이 누워지는 방향쪽으로 다수개 형성된(도2-253) 단계; 주차봉을 좌/우, 상하로 원활히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지름 1.5~2cm, 폭 2~3cm 정도 크기의 베이링(도2-217)을 장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도2-265)단계와; 주차봉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동모터와(도2-254,260) 이동통신망(WAN:광역통신망)과 연동할 수 있는 eSIM통신모듈이 장착된 통신모듈장치와, 전방/후방으로 진입하는 주차들에 대하여 감시할 수 있게 주차봉에 탑재된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204)와 디지털카메라(도2-201,202)를 제어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적장치(도2-243)를 함체1하부와 함체2하부와 전기적장치에 형성된 볼트구멍에(도2-275,276,245) 볼트로(도2-244,251)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체1 하부(도2-252)와 함체2 하부(도2-262);와
    상기 함체1 하부(도2-252), 함체2 하부(도2-262)에 장착된 전기적 장치들을 주차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덮개에 있어서, 밑면 길이가 약 28~33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전체높이 약 5~8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5~28cm, 앞부분의 폭이 약 1~3cm, 뒷부분의 폭은 약 5~7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안쪽은 비어있고, 윗면은 막혀 있으며,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이 형성된 단계와; 밑면 안쪽에 지름 약 0.25~0.5cm 크기의 볼트로(도2-246,257) 함체1,2의 하부(도2-252,262)와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도2-247,256)이 형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함체1 상부(도2-248), 함체2 상부(도2-255);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1, 2 하부(도2-252,262)와 함체1,2 상부(도2-248,255)의 이음새 틈으로 이물질이나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및 함체간 이격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함체1,2의 상부(도2-248,255)와 하부(도2-252,262) 테두리에
    Figure utm00033
    (도2-266) 모양으로 불록하게 튀어나온 홈과
    Figure utm00034
    (도2-267)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이 형성된 단계와; 함체1 하부(도2-252)에
    Figure utm00035
    (도2-267) 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에 함체1 상부(도2-248)에
    Figure utm00036
    (도2-266)모양으로 볼록하게 나온 홈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어 연결하고, 함체2 하부에
    Figure utm00037
    (도2-267) 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에 함체2 상부(도2-256)에
    Figure utm00038
    (도2-266)모양으로 볼록하게 나온 홈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어 연결하는 단계; 함체1, 함체2의 상부(도2-248,255) 윗면에 형성된 함체간 연결구멍(도2-247,256)에 연결볼트(도2-246,257)로 조여 견고하게 결합된 함체1과 함체2와;
    반대편으로 주차봉이 내려갔을 때 주차봉을 주차 차량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주차봉이 아래로 눕혀져 있을 때(도3-317) 양옆 좌/우로 한 개씩 주차봉 길이와 높이의 크기로 금속처럼 견고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된 함체3(도2-273)와 함체4(도2-274)에 있어서, 함체3(주차봉 좌측)(도2-273), 함체4(주차봉 우측)(도2-274)에 밑면은 길이 약 27~32cm, 앞부분의 폭이 약 4~7cm, 뒷부분의 폭은 약 10~13cm, 높이 약 2~4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5~30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바닥은 평평하고, 안쪽은 비어있고,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을 갖추어 주차 차량들의 바퀴로부터 집중적으로 힘을 받지 않게 형성된 단계와; 윗면 안쪽에 지름 약 1.5~2cm 크기의 지면과 볼트로(도2-230,236)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과(도2-226,234) 주차 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덮는 함체3 상부(도2-223), 함체4 상부(도2-232)와 연결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다수개 형성된(도2-224,233) 단계; 함체내부에 기온차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을 자연 증발할 수 있는 지름 약 0.5~1cm크기의 방수구멍을 밑면에서 약 1.5cm높이에 주차봉이 누워지는 방향쪽으로 다수개 형성된(도2-228) 단계를 포함하는 함체3 하부(도2-223)와 함체4 하부(도2-232);와
    상기 함체3 하부(도2-223), 함체4 하부(도2-232)에 주차차량들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덮개의 밑면이 길이 약 27~32cm, 앞부분의 폭이 약 2~5cm, 뒷부분의 폭은 약 8~11cm, 높이 약 5~8cm 정도의 크기와 윗면은 길이 약 20~27cm, 앞부분의 폭이 약 1~3cm, 뒷부분의 폭은 약 5~7cm 정도의 크기에 밑면의 안쪽은 비어있고, 윗면은 막혀 있으며, 밑면에서 윗면까지 약 45°~50° 정도의 경사를 갖추며, 바깥 테두리는 약 1cm~2cm 정도의 부드러운 굴곡이 형성된 단계와; 밑면 안쪽에 지름 약 0.25~0.5cm 크기의 볼트로(도2-222,231) 함체 3,4의 하부(도2-229,237)와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구멍(도2-227,235)이 형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함체3 상부(도2-223), 함체4 상부(도2-232);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3, 4 하부(도2-229,236)와 함체3, 4 상부(도2-223,232)의 이음새 틈으로 이물질이나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및 함체간 이격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함체3,4의 상부(도2-223,232)와 하부(도2-229,237) 테두리에
    Figure utm00039
    (도2-266) 모양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형성된 홈과,
    Figure utm00040
    (도2-267) 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홈이 형성된 단계와; 함체3과 4의 하부(도2-229,236)에
    Figure utm00041
    (도2-267)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에 함체3과 4의 상부에(도2-223,232)
    Figure utm00042
    (도2-266) 모양으로 볼록하게 나온 홈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어 연결하는 단계; 함체1(도2-271)와 함체3(도2-273)이 함체2(도2-272)와 함체4(도2-274)가 원활한 연결과 함체간 이격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 뒷부분 중간에
    Figure utm00043
    ㄱ자 모양의 홈에 끼워 결합한 단계와; 함체3(도2-273)과 함체4(도2-274) 뒷부분 중간에
    Figure utm00044
    ㄴ자 (도2-217)모양으로 나오게 구성된 단계에서 지면에 고정된 함체1과 함체2에 구성된
    Figure utm00045
    ㄴ자 (도2-269) 홈에 맞게 끼워 맞추는 단계;
    함체3, 함체4의 상부(도2-223,232) 윗면에 형성된 함체간 연결구멍(도2-224,233)에 연결볼트(도2-222,231)로 조여 견고하게 결합된 함체3과 함체4를 포함한 함체1, 함체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잠금장치에 있어서,
    우천시 함체1과 함체2, 함체3과 함체4 사이에 물이 고여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함체의 앞부분은 U자모양으로 열려있게 하여 우천시 빗물이 지면에 고이지 않고 바로 흘러나갈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에 종래의 기술에서 쉽게 취득할 수 있는 주차봉(도2-200) 밑을 일자로 잘라낸 다음, 잘라낸 주차봉 하부에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도2-210)와 연결할 볼트 구멍을(도2-205) 다수개 형성시킨 단계와; 상기 주차봉(도2-200) 상부에서 약 5cm 아래에 전방 및 후방에 지름이 약 1~1.5cm 크기의 구멍을 각각 뚫어, 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전방 디지털카메라(도2-201)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고,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후방 디지털카메라(도2-202)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는 단계와; 전/후방 디지털카메라 (도2-201, 202)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선과 제어선(장치간 상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전선)을 연결하는 단계;에 있어서 전기적 장치(광대역통신모듈, 구동모터, 전원장치, 초음파 거리센서 작동장치, 디지털카메라 작동장치)를 탑재한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에 연결할 수 있는 제어선이나 전원선을 넣을 수 있는 홈이(도2-211)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도2-210)에 선을 넣어 전/후방 디지털카메라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주차봉(도2-200) 하부에서 약 10cm 위에 전방 후방에 지름이 1~2cm 크기의 구멍을 각각 뚫어, 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고,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4)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는 단계와; 전/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 204)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선에 연결하는 단계;에 있어서 전기적 장치(광대역통신모듈, 구동모터, 전원장치, 초음파 거리센서 작동장치, 디지털카메라 작동장치)를 탑재한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에 연결된 제어선이나 전원선을 넣을 수 있는 홈이(도2-211)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도2-210)에 선을 넣어 전/후방 초음파 거리센서에 연결하는 단계;
    밑에가 U자형 모양으로 약 5cm 길이로 나와 있고, U자형 밑에 2개의 고정핀(도2-215)을 끼울 수 있는 홈이(도2-214) 마련되고, 위에는 주차봉 연결 단자와(도2-210)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구멍(도2-212)이 마련돼 있는 지지대 (도2-263)와 주차봉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원형 모양의 홈이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도2-210) 밑에 마련된 볼트구멍(도2-211)에 볼트(도2-208)로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 전방/후방 디지털카메라와 초음파 거리센서 장착이 끝난 주차봉(도2-200)을 위에서 아래로 연결단자 원형 홈에 맞게 끼운 후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 마련된 볼트구멍(도2-206)과 주차봉 연결 볼트구멍에 (도2-205) 볼트(도2-207)로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 함체1(도2-271), 함체2(도2-272)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도2-254,26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동력을 주차봉(도2-200)에 전달하기 위한 연결철심(도2-213)에 베어링(도2-216)에 형성된 연결철심 홈에(도2-217)을 끼우는 단계; 주차봉이 장착된 지지대(도2-213)를 구동모터 연결철심(도2-213) 위에서 아래로 내려 끼우는 단계; 주차봉이 장착된 지지대가(도2-263) 구동 모터 연결철심 (도2-213)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U자형 지지대 밑에 마련된 2(두)개의 홈(도2-214)에 2(두)개의 고정핀을(도2-215)끼워 고정시키는 단계;
    주차봉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한 주차봉 받침대(도2-22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주차봉 받침대(도2-220)에 마련된 볼트구멍(도2-221)에 맞게 드릴로 구멍을 뚫는 단계; 지면에 마련된 볼트구멍에 주차봉 연결단자 받침대(도2-220)를 볼트(도2-218)로 조여 고정시키는 단계;
    주차봉이 장착된 지지대와(도2-263) 구동 모터 연결철심(도2-213)이 연결된 장치를 주차봉 받침대에 끼울 수 있게 형성된 u자형 홈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봉 연결 모듈장치(도2-270);와 함체1(도-271), 함체2(도2-272), 함체3(도2-273), 함체4(도2-274)로 구성된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
  2. 위 청구항 1에 있어서,
    횡(차가 앞뒤로 마주보며 주차할 수 있게 길게 조성된 주차구획)이나 종(차가 한쪽방향으로만 바라보며 옆으로 주차할 수 있게 조성된 주차구획)으로 조성된 주차구획에 관계없이, 설치된 주차잠금장치를 해제하지 않고 무단으로 주차를 하기 위해 주차구획에 직진(도6-603) 또는 후진(도6-600)을 해서 진입하면, 전방, 후방 초음파 거리센서에서 감지를 하여 전방(도6-601), 후방(도6-602) 디지털카메라를 작동시켜 영상 촬영과 동시에 구동모터에 잠금해제 신호를 보내는 단계에; 있어서, 구동모터가 장착된 전기모듈장치(도2-243)에 설치된 주차봉 작동 조정버튼(도2-241)을 좌측으로 옮겼을 때 주차봉(도2-200)이 자동으로 내려가지 않고 그대로 멈춰 있는 단계(도6-604);와 조정버튼(도2-241)을 우측으로 옮겼을 때 주차봉이 자동으로 내려가게 하는 단계(도6-605);에서 전방/후방에 장착된 초음파 거리센서를 통해 잠금해제 신호를(도6-605) 받았을 때 사용자가 조정버튼을 선택한 정보대로 주차잠금장치 주차봉이(도2-212) 작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
  3. 위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차봉(도2-200) 상부에서 약 5cm 아래에 전방 및 후방에 지름이 약 1~1.5cm 크기의 2개의 구멍을 각각 뚫어, 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전방 디지털카메라(도2-201)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고,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후방 디지털카메라(도2-202)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는 단계와;
    전방/후방 디지털카메라 (도2-201, 202)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선과 제어선(장치간 상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전선)을 연결하는 단계;에 있어서 전기적 장치인 광대역통신모듈, 구동모터, 전원장치, 초음파 거리센서 작동장치, 디지털카메라 작동장치를 탑재한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에 연결할 수 있는 제어선이나 전원선을 넣을 수 있는 홈이(도2-211)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도2-210)에 선을 넣어 전방/후방 디지털카메라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주차봉(도2-200) 하부에서 약 10cm 위에 전방 후방에 지름이 1~2cm 크기의 2개의 구멍을 각각 뚫어, 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고,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너트 체결식 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4)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 주차봉 안쪽에서 조임 너트를 조여 장착하는 단계와; 전/후방 초음파 거리센서(도2-203, 204)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선에 연결하는 단계;에 있어서 전기적 장치(광대역통신모듈, 구동모터, 전원장치, 초음파 거리센서 작동장치, 디지털카메라 작동장치)를 탑재한 함체1(도2-271)과 함체2(도2-272)에 연결된 제어선이나 전원선을 넣을 수 있는 홈이(도2-211) 마련된 주차봉 보호 연결단자에(도2-210)에 선을 넣어 전/후방 초음파 거리센서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
  4. 본 발명의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회원, 비회원 구분없이 모든사용자들이 휴대전화에 설치된 접속 어플을 실행하면,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휴대전화의 발신 CID(Caller Identification:발신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회원, 비회원, 가입자로 분리하는 단계;에 있어서, 분석한 전화번호가 사전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일치한 번호가 없으면, 사용할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등록되고, 추가로 이용할 차량번호, 결제할 카드번호를 입력하게(도4-416) 하여, 잠금장치 관리서버에서 주차가 가능한 주차잠금장치 정보가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에 업데이팅된 위치기반 지도 앱 브라우저로 연결되는(도4-422) 단계;와
    분석한 전화번호가 일치하면,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도4-421)에 업데이팅된 위치기반 지도 앱 브라우저로 바로 연결되는(도4-422) 단계;에서
    주차가 가능한 아이콘을 선택하면(도4-423,도5-505) 주차관련 요금정보와 주차가능시간정보를 보는 정보보기(도4-443), 주변보기(도4-444), 다른장소보기(도4-453), 주차 확약하기(도4-454)를 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도5-525)로 연결되는 단계;
    정보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주차요금정보, 주소정보, 주차이용가능 시간대 정보를 보여주는 단계(도5-500);
    다른곳보기(도4-453) 아이콘를 선택하면 위치기반 지도 앱 브라우저로(도5-503) 연결되는 단계;
    주변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에 있는 디지털카메라를 통하여 전방, 후방 두 개의 화면이 휴대전화에 보여지는(도5-518) 단계;
    사용자가 주차확약(도4-424) 아이콘을 선택하면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25)에서 발신휴대전화(도4-426)에서 직접 주차잠금장치(도4-427)를 소켓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게 발신휴대전화 (클라이언트: Client)(도4-426)과 주차잠금장치(서버)(도4-427)가 이동통신 데이터 In/Out Channel을 연결해주는(도4-428, 도5-521) 단계;에서 사용자가 주변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에 있는 디지털카메라를 통하여 전방, 후방 두 개의 화면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휴대전화에 보여지는(도5-518) 단계; 사용자가 잠금해제(도4-430, 도5-521) 아이콘을 선택하면, 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이 아래로 내려가(도5-523) 주차를 할 수 있으며,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19)에서 주차잠금장치의 열림 정보를(도4-433) 위치기반 지도관리서버(도4-422)에 제공해 위치기반 지도에 주차할 수 있는 아이콘이 휴대전화의 지도화면에서 사라지게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에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42)로 주차요금을 계산할 수 있는 주차 시작시간(도4-441)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주차구획에 주차하기까지의 처리 단계와;
    사용자의 차가 출차 시 주차요금 정산없이 그냥 출차를 하는 단계(도4-456);에 있어서, 출차를 하면(도4-456)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에 장착된 초음파 거리센서(도4-431)에서 구동모터에 잠금신호를 보내어 주차잠금장치의 주차봉이 자동으로 위로 올라가게 하는 단계(도4-432);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34)에서 주차잠금장치의 초음파 거리센서에 폴링방식으로 주차잠금장치의 잠김신호를 주기적으로 읽어와 잠김이 확인되면, 잠금장치 관리서버(도4-434)에서 회원가입 관리서버(도4-435)로 전화번호 정보와 잠김시간정보(주차종료시간)를 전송하고, 회원가입 관리서버(도4-435)에서 휴대전화번호에 등록된 카드정보를 읽어와 결제카드 관리서버(도4-436)로 카드정보와 주차시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된 카드에서 자동으로 주차요금이 정산처리됨과 동시에 주차정산 요금정보를 회원가입 관리서버로(도4-435)부터 전송된 휴대전화번호로 전송(도4-417)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주차구획에서 출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
KR2020200000717U 2019-05-03 2020-03-02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 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 KR20049406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2127 2019-05-03
KR1020190052127 2019-05-03
KR1020200025632 2020-02-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632 Division 2019-05-03 2020-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78U true KR20200002478U (ko) 2020-11-11
KR200494066Y1 KR200494066Y1 (ko) 2021-07-26

Family

ID=7319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717U KR200494066Y1 (ko) 2019-05-03 2020-03-02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 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0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061A (ko) * 2019-08-25 2021-12-07 이재경 주차차량의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판독하여 주차제어를 할 수 있는 주차잠금장치와 이용방법
CN117944586A (zh) * 2024-03-22 2024-04-30 江苏零浩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通信的车辆调度用车载定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580B1 (ko) * 2021-09-08 2024-01-19 이재경 주차차량의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판독하여 주차제어를 할 수 있는 주차잠금장치와 그 처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59U (ko) * 2015-07-10 2017-01-18 김영진 스마트기능이 장착된 주차금지봉
KR20200009446A (ko) * 2018-07-19 2020-01-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주차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59U (ko) * 2015-07-10 2017-01-18 김영진 스마트기능이 장착된 주차금지봉
KR20200009446A (ko) * 2018-07-19 2020-01-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주차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061A (ko) * 2019-08-25 2021-12-07 이재경 주차차량의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판독하여 주차제어를 할 수 있는 주차잠금장치와 이용방법
CN117944586A (zh) * 2024-03-22 2024-04-30 江苏零浩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通信的车辆调度用车载定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066Y1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066Y1 (ko)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원격 조정 주차봉 양방향(좌,우) 상(上),하(下) 자동조절 주차잠금장치
KR102436475B1 (ko)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잠금장치와 그 처리방법
KR100383870B1 (ko)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리 방법
KR20170024615A (ko) 공유경제 실현을 위한 주차장 예약방법, 및 시스템
EP1207656A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CN106297402A (zh) 一种大型地下停车场智能管理系统
CN105227903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变电站专用报警视频监控系统
CN101303761A (zh) 一种手机拍摄并上传取证照片或视频的车险理赔集成系统
CN103646452A (zh) 车库管理控制系统
CN107578640A (zh) 一种基于移动网络的停车位共享系统
CN101367349A (zh) 一种移动应急指挥车装置
KR102472140B1 (ko) 주차차량의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판독하여 주차제어를 할 수 있는 주차잠금장치와 이용방법
WO2021080228A1 (ko) 주차 공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281813B1 (ko) 이동통신을 결합한 원격 조정 주차봉 자동조절장치와 이용방법
CN101169460A (zh) 高压架空输电线路远程电子巡线方法
KR102627580B1 (ko) 주차차량의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판독하여 주차제어를 할 수 있는 주차잠금장치와 그 처리방법
KR102464111B1 (ko) 빌딩 주차장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8860A (ko) 이동통신(WAN:Wide Area Network:광대역통신망)을 결합한 주차봉 자동제어 주차잠금장치와 그 처리방법
KR20230039284A (ko)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봉 자동제어 주차잠금장치와 그 처리방법
KR20230148874A (ko) 전기차량 유선,무선충전기에 이동통신용 주차잠금장치를 결합한 주차 제어장치와 그 처리방법
KR20230130323A (ko)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잠금장치와 그 처리방법
KR20240068822A (ko) 주차구역 주차잠금장치를 이용한 주차할 주차위치 자동안내 주차관제시스템과 그 처리방법.
CN110555994A (zh) 基于网络流量准确获取车辆进出数据的系统及其工作方法
CN206313886U (zh) 便携式巡回法庭摄录终端
KR100795141B1 (ko) 무선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