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20U - 가변형 안전 난간대 - Google Patents

가변형 안전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220U
KR20200002220U KR2020190001322U KR20190001322U KR20200002220U KR 20200002220 U KR20200002220 U KR 20200002220U KR 2020190001322 U KR2020190001322 U KR 2020190001322U KR 20190001322 U KR20190001322 U KR 20190001322U KR 20200002220 U KR20200002220 U KR 202000022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ipe
length
horizontal
rail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송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진 filed Critical 송유진
Priority to KR2020190001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220U/ko
Publication of KR20200002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2Railings extensi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딩 등과 같은 고층 건물의 시공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의 설치부위에 대응하여 길이조절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변형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공형의 제1수평 파이프와, 이 제1수평 파이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중공형의 제2수평 파이프와, 상기 제1수평 파이프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편과, 이 고정편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이어져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의 중공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와, 이 와이어의 끝단부에 끼워넣어져 제2수평 파이프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이탈방지 안전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고층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설계사양에 따라 정해지는 개구부의 넓이에 맞춰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한 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안전 난간대 {Safety guard railing for extension type}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딩 등과 같은 고층 건물의 시공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의 설치부위에 대응하여 길이조절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변형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시공시에 기초를 이루는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에는 발코니(balcony)나 엘리베이터(elevator) 등을 설치하기 위한 다양한 크기의 개구부가 설계된 사양에 따라 내부 벽면이나 외벽에 형성된다.
즉, 개구부는 발코니의 설치 구역과 같이 외부를 향해 개방된 상태이거나 혹은 엘리베이터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벽면 등에 형성되며,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구조를 갖추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에 위치하는 장소에 현장 작업자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 또는 차단시설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개구부를 통해 추락하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에는 임시로 가설되는 별도의 안전 난간대가 설치된다.
이 안전 난간대는 상기와 같은 작업자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에 임시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건축 공사의 완료시 모두 제거되어야 하는 부자재이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설치 또는 해체작업이 용이하고, 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공사현장의 규모 및 건축물에 설치되는 베란다의 사양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해당 길이에 맞춰 난간대를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다른 현장에서는 난간대를 재 활용할 수 없으며, 난간대의 길이가 조절되지 않아 발코니의 길이에 맞춰 건설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길어지고 설치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 제1003348호나 등록실용신안 제0223203호, 제0395096호 등의 여러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축 공사시에 개구부에 설치되는 난간대의 길이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대의 구조 자체가 복잡하여 실제 적용함에 있어서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앵커볼트나 지주 등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 작업을 행해야만 하므로 건물의 콘크리트 벽면을 손상시키게 됨은 물론 일차 사용된 부자재들을 다시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난간대의 길이 조절시 고정력이 약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3348호(2010.12.16 등록)- 길이조절기능을 갖는 건축공사용 난간. 실용신안공고 제1992-0007983호(1992.10.22 공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난간. 등록실용신안 제0223203호(2001.02.26 등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대. 등록실용신안 제0395096호(2005.09.01 등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층 건물의 시공시에 개구부의 설치부위에 대응하여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변형 안전 난간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공형의 제1수평 파이프와, 이 제1수평 파이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중공형의 제2수평 파이프와, 상기 제1수평 파이프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편과, 이 고정편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이어져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의 중공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와, 이 와이어의 끝단부에 끼워넣어져 제2수평 파이프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이탈방지 안전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에는 표시공이 형성되어 파이프의 결속상태를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각각 수직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클램프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이탈방지 안전장치는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 및 이 플랜지로부터 일체로 연이어져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상단 중앙부에는 고정볼트가 장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고층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설계사양에 따라 정해지는 개구부의 넓이에 맞춰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한 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의 개구부 보호기구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등록실용신안 제0223203호에 개시된 안전 난간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난간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난간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난간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난간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난간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8은 난간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9는 난간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일반적인 건축물의 개구부 보호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개구부(S) 주위로 벽면에 복수의 앵커볼트(11)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앵커볼트(11)를 연결하여 와이어(13)가 개구부(S)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주위에 아일렛(21)이 구비된 차단막(20)을 와이어(13)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차단막(20)의 설치에 있어서는 아일렛(21)에 고정끈(23)을 관통시켜 와이어(13)에 고정하고, 상기 앵커볼트(11)가 설치된 벽면에 또 다른 복수의 앵커볼트(17)를 개구부(S)의 상하, 좌우로 설치하고, 상기 앵커볼트(17)에 결속끈(19)으로 복수의 가로봉(33)을 결속한 상태에서 가로봉(33)에 하나 이상의 세로봉(31)을 결속하여 보강한 것으로, 미설명 부호 U는 천정, B는 바닥면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는, 복수의 앵커볼트(11,13)를 건축물 벽면에 삽입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작업 자체가 까다롭게 이루어짐은 물론 건축물 벽면을 손상시키게 되며, 개구부(S)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다른 크기의 차단막(20)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호환성이 떨어지고, 사용된 자재들을 재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0223203호에 개시된 안전 난간대에 있어서는 설치장소에 따라 난간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난간기둥과 난간대로 분리하여 구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난간기둥(200)은 건물 난간부분에 클램핑되는 클램프(100)와 연결편으로 구성되고, 난간대(500)는 쐐기(320)를 구비한 연결부(300)와 일정 길이를 갖는 인출관(400) 및 이 인출관(40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100)는 난간기둥(200)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건물 난간부분에 고정되며, 하측에 건물난간의 하면에 밀착되는 받침판(110)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받침판(110)의 상측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건물 난간에 삽입되는 압착판(130)이 구비된다.
또, 압착판(130)에는 일정길이의 리드스크류(120)가 브라켓을 매개체로 난간기둥(200)에 나사결합되고, 리드스크류(120)에는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손잡이(1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난간기둥(200)은 받침판(110)이 최 하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가 빈 중공형태의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작업시 부주의로 인한 추락을 방지할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의 난간대를 형성하도록 하는 일정 길이를 가진다.
상기 난간기둥(200)의 상측부 양측면과 중앙부 양측면에는 ⊂자형태의 연결편(210)이 일체로 구비되고, 이 연결편(210)에는 쐐기(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홈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난간기둥(200)에 설치되는 연결편(210)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2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난간기둥에 연결편(210)을 임의 위치에 부착시키거나 가변시킬수 있도록 하여 난간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3열, 4열로 설치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난간기둥(200)의 ⊂자형태의 연결편에 암수구조로서 삽입될수 있도록 ⊃자 형태의 상호 대응되는 연결편(310)이 구비되며, 이 연결편(310)의 일정 부위에는 연결편(210)의 홈부(211)에 대응되는 홈부(311)에 삽입된 후 하측부에 형성된 빠짐방지턱(321)에 의해 걸림유지되는 쐐기(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쐐기(320)는 하측에 빠짐방지턱(32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측부에 걸림턱(322)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관(400)은 쐐기(320)와 연결편(310)으로 이루어진 연결부(300)가 일측단에 구비되어 난간대(500)에 삽입됨과 동시에 길이가 가변될수 있도록 구성된다.
난간대(500)는 일측단에 인출관(400)이 가이드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510)이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단에는 연결부(300)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측 일정부위에는 인출관(400)을 조임/풀림하여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나비너트(5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나비너트(520)는 인출관(400)의 일측단에 장착되며, 난간대(500)는 발코니와 계단등의 난간부분에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난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선 등록공보에 나타나 있는 기술에 있어서는 난간대(50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길이를 가변하기 위하여 가이드홈(510)으로부터 인출관(400)이 돌출된 상태에서 연결편(310)에 별도의 쐐기(320)를 장착하여 고정시켜야만 한다.
더구나, 나비너트(520)에 의해 인출관(400)을 조임/풀림하여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난간대(500)와 인출관(400) 사이의 길이 조절시에 고정력이 약해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용 안전 난간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공형의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40A,40B)와, 제1수평 파이프(40A)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편(41) 및 이 고정편(41)에 결속된 와이어(42)를 포함하여 제2수평 파이프(40B)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이탈방지 안전장치(4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수평 파이프(40B)는 제1수평 파이프(40A)의 중공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상기 고정편(41)에 결속된 와이어(42)는 제1수평 파이프(40A) 측으로부터 연이어져 제2수평 파이프(40B)의 중공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40A,40B)에는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공(44a,44b)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양 파이프(40A,40B)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하는 것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 안전장치(43)는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45a) 및 이 플랜지(45a)에 일체로 형성된 몸체(45b)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몸체(45b)의 상단 중앙부에는 고정볼트(46)가 장착되는 나사공(45c)이 형성되어 와이어(42)의 끝단부에 끼워넣어진다.
또, 상기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40A,40B)는 개구부(T)에 설치된 수직프레임(5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클램프(51)에 의해 결속된다. 이 클램프(51)의 경우 U자형 조임편(52a)과 너트(52b)를 이루어져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40A,40B)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층 건물의 시공시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설계 사양에 따라 개구부(T)의 넓이가 설정되면, 제1수평 파이프(40A)로부터 제2수평 파이프(40B)를 빼내어 길이를 맞춘 상태에서 고정편(41)을 제1수평 파이프(40A)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이탈방지 안전장치(43)의 플랜지(45a)를 제2수평 파이프(40B)에 밀착시킨 후 이탈방지 안전장치(43)의 고정볼트(46)를 조여줌에 따라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40A,40B)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 제2수평 파이프(40A,40B)에는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표시공(44a,44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수평 파이프(40A)로부터 제2수평 파이프(40B)가 과다하게 빠져나와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40A,40B)의 조립상태가 해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40A,40B)를 수직프레임(50)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51)의 U자형 조임편(52a) 내로 끼우고 너트(52b)를 조여 고정시킴으로써 안전 난간대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난간대에 의하면, 고층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설계사양에 따라 정해지는 개구부의 넓이에 맞춰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한 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40A: 제1수평 파이프 40B: 제1수평 파이프
41: 고정편 42: 와이어
43: 이탈방지 안전장치 44a,44b: 표시공
45a: 플랜지 45b: 몸체
45c: 나사공 46: 고정볼트
50: 수직프레임 51: 클램프
52a: U자형 조임편 52b: 너트

Claims (3)

  1. 중공형의 제1수평 파이프(40A)와,
    이 제1수평 파이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중공형의 제2수평 파이프(40B)와,
    상기 제1수평 파이프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편(41)과,
    이 고정편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이어져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40A,40B)의 중공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42)와,
    이 와이어의 끝단부에 끼워넣어져 제2수평 파이프(40B)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이탈방지 안전장치(4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전 난간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평 파이프(40A,40B)에는 표시공(44a,44b)이 형성되어 파이프의 결속상태를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각각 수직프레임(5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클램프(51)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전 난간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안전장치(43)는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45a) 및 이 플랜지로부터 일체로 연이어져 형성된 몸체(45b)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상단 중앙부에는 고정볼트(46)가 장착되는 나사공(45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전 난간대.
KR2020190001322U 2019-04-01 2019-04-01 가변형 안전 난간대 KR202000022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22U KR20200002220U (ko) 2019-04-01 2019-04-01 가변형 안전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22U KR20200002220U (ko) 2019-04-01 2019-04-01 가변형 안전 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20U true KR20200002220U (ko) 2020-10-12

Family

ID=7280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322U KR20200002220U (ko) 2019-04-01 2019-04-01 가변형 안전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220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983A (ko) 1990-10-16 1992-05-27 펭첸 밍 수율이 우수한 글리신의 제조방법
KR100223203B1 (ko) 1995-03-20 1999-10-15 가네꼬 히사시 개량된 절연 특성을 가진 전계 방출 냉음극 및 그 제조방법
KR100395096B1 (ko) 1996-11-26 2003-11-20 주식회사 포스코 갈탄을이용한고로미분탄취입방법
KR101003348B1 (ko) 2010-04-05 2010-12-22 (주)종합건축사사무소건원 길이조절기능을 갖는 건축공사용 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983A (ko) 1990-10-16 1992-05-27 펭첸 밍 수율이 우수한 글리신의 제조방법
KR100223203B1 (ko) 1995-03-20 1999-10-15 가네꼬 히사시 개량된 절연 특성을 가진 전계 방출 냉음극 및 그 제조방법
KR100395096B1 (ko) 1996-11-26 2003-11-20 주식회사 포스코 갈탄을이용한고로미분탄취입방법
KR101003348B1 (ko) 2010-04-05 2010-12-22 (주)종합건축사사무소건원 길이조절기능을 갖는 건축공사용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4681B2 (en) Guardrail stanchion and system
US3747898A (en) Guard rail post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120001521U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KR20140040580A (ko) 건설용 안전벨트 걸이구
KR101005071B1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KR20200002220U (ko) 가변형 안전 난간대
KR20200098233A (ko) 신축건물 공사용 추락방지 안전지지대
KR200232471Y1 (ko) 벽체 부착용 안전난간 클램프
KR200489666Y1 (ko)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20090057825A (ko) 길이 조절형 안전망 구조물
KR20120001132A (ko) 가설 안전 난간대
KR101576542B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
JP2014043678A (ja) 安全支柱用の型枠取付け金具
KR101609508B1 (ko) 신축가능한 안전 난간대용 조절대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102027572B1 (ko) 거푸집용 안전 난간대 체결장치
CA2278086C (en) Adaptable safety rail system for flat roofs and parapets
KR101854159B1 (ko) 외부 비계 결합구조
KR200349955Y1 (ko) 안전난간대 설치용 강관고정장치
KR101578763B1 (ko) 계단용 임시난간
KR200223203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102197342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이용한 고성능 울타리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