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66A -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 - Google Patents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166A
KR20200002166A KR1020180075366A KR20180075366A KR20200002166A KR 20200002166 A KR20200002166 A KR 20200002166A KR 1020180075366 A KR1020180075366 A KR 1020180075366A KR 20180075366 A KR20180075366 A KR 20180075366A KR 20200002166 A KR20200002166 A KR 20200002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wrist
controller
user
gyro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재
손병욱
Original Assignee
장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재 filed Critical 장원재
Priority to KR102018007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166A/ko
Publication of KR20200002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05D1/101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B64C2201/1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쥐거나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으로 드론을 직관적으로 조종할 수 있는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는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조종명령을 드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와, 자이로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손목의 기울기를 산출한 후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명령을 생성하여 송신기를 통해 드론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종기는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에 착용되어 한 손으로 드론을 조종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의 움직임이 관측되는 벡터와 손목의 움직임의 벡터가 일치하여 사용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드론을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에 조작 미숙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인적 피해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Drone manipulation method and device using wrist inclination}
본 발명은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 쥐거나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으로 드론을 직관적으로 조종할 수 있는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인간이 타지 않는 비행기를 의미하는 무인항공기(UVA; Unmanned Aerial Vehicle)로서, 사이즈, 내구성, 최대고도, 최대거리, 배터리 수명, 데이터 다운링크, 최대 탑재량, 부가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드론은 날개의 형태에 따라 고정익기와 회전익기 그리고 두 가지 방식이 혼합된 복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익기는 날개가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익이 기체를 하늘로 띄우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흔히 ‘헬리콥터’로 알려져 있는 회전익기는 프로펠러라고도 불리는 로터가 회전하면서 양력을 발생시킨다. 회전익기는 프로펠러의 형태에 따라 크게 단일로터(헬리콥터), 멀티로터(멀티콥터)로 구분할 수 있다. 멀티콥터는 프로펠러의 숫자에 따라 바이콥터(2개), 트리콥터(3개), 쿼드콥터(4개), 헥사콥터(6개), 옥토콥터(8개)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드론은 조종기(Control1er)에 의해 조종하는데, 드론을 조종할 때는 사용자의 관점과 드론의 관점이 달라 사용자가 자신의 관점에서의 구성한 인지도를 기반으로 드론을 조종할 경우 드론 조종에 실패하게 되고 자칫 사고로 귀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을 처음 날릴 때 사용자는 자신과 동일한 방위에서 이륙시키지만, 드론이 사용자를 향해서 날아온다면 좌우측을 바꾸어 생각하며 조종해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기중심적인 인지도가 아니라, 드론의 관점, 즉 알로센트릭(allo-centric) 관점에서 인지도를 구성해서 드론을 조종해야 하므로 초보자에게는 드론 조종에 실수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드론 조종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레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조종기의 조작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가 드론을 조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는 조종기(10)의 좌측의 레버(12)로 드론(20)의 상승/하강(Throttle)과 좌회전/우회전(Yaw)을 제어하는 예이고, (b)는 조종기(10)의 우측의 레버(14)로 드론의 전진/후진(Pitch)과 '좌로 비행'/'우로 비행'(Roll)을 제어하는 예이다.
이러한 종래의 드론 조종기의 조작방식은 직관적이지 못하다. 즉, 사람은 드론의 움직임을 단일 방향의 벡터로 관찰하는데, 종래의 드론 조종기(10)는 두 개의 조이스틱(Lever)을 움직여 두 종류의 서로 다른 벡터를 만들어내고, 두 벡터의 입력이 지정된 조종명령(드론 커맨드)으로 변환되어 드론의 움직임을 구현한다.
이러한 방식들은 사용자가 사전에 조종기의 조작방식을 숙지하고 훈련하지 않으면 드론의 조작에 제한이 생긴다. 즉, 일반적인 사용자들은 사전에 드론 조작을 훈련하지 않은 상태로 바로 드론 비행에 들어가게 되는데, 그 결과 미숙한 드론 조작에 의해 드론이 파손되거나 전깃줄, 조형물 등이 파손되는 이차적인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KR 10-2018-0066872 A KR 10-2018-0068771 A KR 10-2018-0064155 A
드론이 상업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 전문가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고, 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쉬운 상호작용 기술과 사용자 경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알로센트릭 관점과 자기중심적 관점에서의 인지도 차이를 극복하는 직관적인 조종방식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쥐거나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으로 드론을 직관적으로 조종할 수 있는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 예는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에 착용되어 한 손으로 드론을 조종할 수 있도록 된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장치를 개시한다. 본 구현 예의 드론 조종기는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조종명령을 드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와,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손목의 기울기를 산출한 후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를 통해 드론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구현 예의 드론 조종기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압센서를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조종 온 또는 오프로 토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센서는 바람직하게 x/y/z 3축의 자이로센서와 x/y/z 3축의 가속도센서가 결합된 6축의 MEMS 자이로센서일 수 있다.
다른 구현 예는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에 조종기를 착용하고 한 손으로 드론을 조종할 수 있는 드론 조종방법을 개시한다. 다른 구현 예의 드론 조종방법은 전원이 온되면 드론과 바인딩(Binding)되어 조종을 준비하는 단계와, 조종모드가 온되면, 자이로센서로부터 초기 기울기값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조종동작에 의해 발생된 손목 기울기값을 자이로센서로부터 입력받아 기울기 변화 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기울기 변화 값을 속도값으로 변환한 후 요잉, 롤링, 피칭을 위한 조종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조종명령을 바인딩된 드론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구현 예에 따르면, 드론의 움직임이 관측되는 벡터와 손목의 움직임의 벡터가 일치하여 사용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드론을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조작 미숙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인적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구현 예에 따르면, 단순히 드론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기계의 조작에도 연관시킬 수 있고, 예컨대 평면에서 움직이는 모든 기계에 직관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드론 조종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와 드론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의 착용 상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를 이용한 조종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알고리즘의 예,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의 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통상, 항공기는 가로, 세로, 수직의 3가지 운동축을 가진다. 이 세 축을 중심으로 비행기는 롤링(rolling), 피칭(pitching), 요잉(yawing)의 회전운동을 하는데, 항공기의 동체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롤링,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피칭,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요잉이라고 한다. 즉, 비행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것이 롤링(횡전),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기수를 치켜들거나 내리는 것이 피칭, 선회를 위해 좌우 지향점을 바꾸는 것이 요잉이다. 항공기는 이와 같은 롤링, 피칭, 요잉에 의해 비행하게 된다.
멀티콥터는 양력과 회전력이라는 2가지의 기본 힘을 사용하여 비행하는데, 헬리콥터의 경우 하나의 로터(메인 로터)가 동력장치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양력을 발생시켜 상승한다. 뉴턴의 운동 제3법칙에 의해 프로펠러가 회전하면 기체는 프로펠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단일로터는 기체의 회전을 막기 위해 작은 로터(테일로터)를 기체의 꼬리 부분에 만들어 메인로터에 의해 생기는 회전력을 상쇄시켜야 한다.
최근 드론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쿼드콥터는 프로펠러 1 내지 4로 이루어지는데, 프로펠러 1과 3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2와 4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2쌍씩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헬리콥터처럼 반토크를 막기 위한 꼬리날개 같은 장치를 만들 필요가 없다. 그리고 2,4의 프로펠러 회전속도가 1,3의 프로펠러 회전속도보다 빨라지면 반작용의 균형은 무너지고, 무너진 반작용의 균형은 쿼드콥터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쿼드콥터를 전진, 후진하게 하는 피칭은 뒤쪽에 위치한 프로펠러 2개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면 뒷부분이 앞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로 들리면서 쿼드콥터를 앞쪽으로 기울게 하고, 이 자세의 기울기에 의해 앞쪽으로 진행하는 추진력이 발생되어 쿼드콥터가 전진하게 된다. 후진이나 좌/우로의 이동도 모두 전진과 같은 원리이다. 쿼드콥터의 상승과 하강은 프로펠러를 모두 같은 속도로 빠르게 회전시키거나 느리게 회전시키면 간단히 해결된다.
통상, 멀티콥터는 자이로, 가속도 등의 센서와 조종기로부터 전달된 명령의 입력으로 모터를 제어할 때 피드백 제어를 한다. 피드백 시스템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의 출력값(output)을 측정하여 이를 원하고자 하는 참조값(reference value) 혹은 설정값(setpoint)과 비교하여 오차(error)를 계산하고, 이 오차값을 이용하여 제어에 필요한 제어값을 계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멀티콥터의 고도가 원하는 고도보다 낮으면 설정된 고도값과 실제 고도값의 차이는 플러스가 될 것이고, 모터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서 멀티콥터를 상승시킨다. 멀티콥터는 기체 구조가 대칭적이어서 각 프로펠러의 속도제어만으로 충분히 방향 전환이 가능해 헬리콥터보다 구조적으로 단순하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와 드론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의 착용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10), 자이로센서(120), 감압센서(130), 마이크로 컨트롤러(MCU;140), 송신기(150)로 구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바닥이나 손목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100)에 의해 조종되는 드론(20)은 수신기(21), 비행제어기(FC; Flight Controller 22), 전자속도제어기(ESC; Electronic Speed Controller 23), BLDC 모터(24), 배터리(26), 카메라(27), 영상송신기(28)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에 따라 비행이 조종되며 카메라(27)가 촬영한 영상을 고글이나 모니터(미도시)로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론 조종기(100)는 밴드 형태로 구현되어 손목에 착용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에 착용되어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손으로 쥘 수 있는 구조에서는 감압센서(130)를 통해 조종기(100)를 손으로 쥐는 압력을 감지하여 조종 모드를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고, 손목에 착용하는 구조에서는 버튼 방식의 조작부(110)를 통해 조종 모드를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
조작부(110)는 버튼 외에 고도를 입력하기 위한 휠 등을 구비할 수도 있고,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 바인딩이나 아밍을 위한 버튼, 착륙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자이로센서(120)는 3축, 6축, 9축 자이로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x/y/z 3축의 자이로센서와 x/y/z 3축의 가속도센서가 결합된 6축의 MEMS 자이로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축의 자이로센서는 6축의 자이로 센서에 x/y/z 3축의 지자기센서가 결합된 것으로 드론의 자이로센서로 적합하다.
송신기(150)는 드론의 수신기(21)와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이나 WiFi 모듈 등 알려진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조종명령을 무선 RF신호에 실어 드론 측으로 송신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40)는 내부에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으며, 필요시 외부에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40)는 조작부(110)나 감압센서(130)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이 온되면 드론(20)과 바인딩되어 조종기(100)와 드론(20)이 통신할 수 있게 연결하고, 아밍 단계에서 드론의 모터(24)를 시동시켜 조종을 준비하게 한다. 조종모드가 온되면, 자이로센서(120)로부터 초기 기울기 값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의 조종동작에 의해 발생된 손목 기울기값을 자이로센서(120)로부터 입력받아 기울기 변화 값을 산출하며, 기울기 변화 값을 속도값으로 변환한 후 요잉, 롤링, 피칭을 위한 조종명령을 생성한다. 그리고 송신기(150)를 제어하여 생성된 조종명령을 바인딩된 드론(20)으로 송신하게 한다. 조종모드가 오프되면, 송신을 중지하여 드론(20)이 호버링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착륙버튼이 입력되면 설정된 착륙모드로 착륙하도록 착륙명령을 드론(20)으로 송신한다. 통상 착륙모드는 현재 조종기 위치로 착륙하거나 이륙위치로 귀환하는 착륙모드, 현재 위치에서 하강하는 착륙모드 등이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드론의 수신기(21)는 조종기의 송신기(150)가 송신한 무선신호를 수신한 후 복조하여 조종명령을 비행제어기(22)로 전달한다. 센서모듈(25)은 자이로센서, 온도센서, 기압센서, GPS수신기 등을 구비하여 비행에 필요한 각종 신호를 감지하여 비행제어기(22)로 전달한다.
비행제어기(22)는 센서모듈(25)로부터 자세신호나 기압신호, GPS 신호 등을 수신받아 조종명령에 따라 드론의 비행을 조종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자속도제어기(23)로 전송하고, 전자속도제어기(23)는 비행제어기(22)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26)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스위칭하여 전력의 세기를 가변하여 해당 BLDC 모터(24)의 회전속도(rpm)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드론에 적용할 수 있는데, 4개의 프로펠러를 갖는 쿼드콥터일 경우 4개의 BLDC 모터(24)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4개의 전자속도제어기(23)가 필요하다. 드론(20)에 장착된 카메라(27)가 촬영한 영상은 영상송신기(28)를 통해 고글이나 모니터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종기(100)와 드론(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100)를 이용한 조종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알고리즘의 예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종기(100)의 전원을 온시키고, 드론(20)의 전원을 온시킨 후, 바인딩(Binding) 절차를 통해 조종기(100)와 드론(20) 사이에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채널을 연결한다(S101,S102,S201,S202). 바인딩 후 아밍(Arming)을 통해 드론의 BLDC 모터(24)에 시동을 걸어 조종을 준비한다(S103,S203).
이어 감압센서(130)가 압력을 감지하거나 버튼 입력에 의해 조정모드가 온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40)가 자이로센서(120)로부터 초기 기울기 값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한다(S104,S105).
이후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을 움직여 조종 동작을 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40)가 6축 자이로센서(120)로부터 기울기 값을 입력받고, 이어 저장된 초기 기울기 값과 차이를 구해 기울기 변화값을 산출한 후 드론의 가속도 데이터(속도값)로 변환한다(S106~S108).
그리고 드론 가속도 데이터로 요잉, 롤링, 피칭을 위한 조종명령을 생성하여 드론측으로 송신한다(S109).
드론(20)은 전원이 온되고 조종기(100)와 바인딩된 후 아밍에 의해 비행을 준비하다가 조종기(100)로부터 조종명령이 수신되면 디코딩한 후 속도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자속도제어기(23)를 통해 해당 BLDC 모터(24)를 제어한다(S204,S205). 이에 따라 드론(20)은 조종명령에 의해 요잉, 롤링, 피칭 동작을 수행하여 비행하게 된다(S206).
이후 조종기(100)의 조종이 오프되면, 조종기(100)는 송신을 오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론(20)은 호버링을 수행한다(S110,S111,S207). 드론(20)의 호버링(Hovering)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드론 호버링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드론(20)은 호버링 중에 착륙명령이 수신되면, 착륙모드에 따라 이륙위치로 복귀하거나 조정기 위치로 착륙하게 된다(S208,S209).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손목에 따른 회전좌표계를 선택하여 조종하는데, 손목의 경우 드론의 움직임 중에 가장 중요한 피치(정면 앞뒤로 기울어짐)와 롤(좌우로 기울어짐)의 모든 범위를 구현할 수 있다. 피치와 롤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론적으로는 +90°~-90°의 범위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손목은 이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드론의 실질적인 움직임에서는 롤과 피치는 각각 +30°~ -30°사이에서 머무르는데, 실제 사람들이 손목을 꺽는 범위 역시 대략 -45°~ 75°로 서로 범위가 일치하여 손목을 사용한 조종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목 기울임에 의한 맵핑 함수를 살펴 보면, 다음 표 1과 같이 개략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X: 손목의 기울어짐으로 발생한 조종기의 기울어짐.
Y: 드론의 기울어짐과 변위 차.(드론의 가속도를 만들어내는 값들)
X(a, b, c, d) -> Y(a`, b`, c`, d`)
a: 손목의 롤
b: 손목의 피치
c: 손목의 요
d: 컨트롤러의 휠 버튼.

a`:드론의 롤 변화
b`:드론의 피치 변화
c`:드론의 요 변화
d`:드론의 높이 변화

Y(a`, b`, c`, d`) -> Z(p1, p2, p3, p4)
위 표 1과 같은 함수에 의해 드론(20)의 각 모터(24)의 rpm을 변화시켜 드론의 상승/하강, 직진/후진, 좌회전/우회전 등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손목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종기(100)의 자이로센서(120)가 기울기를 감지하여 드론(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손목을 우로 이동시켜 조종기(100)의 자이로센서(120)가 이를 감지하여 드론(20)을 우로 이동(비행)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c)는 손목을 좌로 이동시켜 조종기(100)의 자이로센서(120)가 이를 감지하여 드론(20)을 좌로 이동(비행)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d)는 손목을 뒤로 후진시켜 조종기(100)의 자이로센서(120)가 이를 감지하여 드론(20)을 후진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드론(20)의 움직임이 관측되는 벡터와 손목의 움직임의 벡터가 일치하여 사용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드론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100: 조종기 12,14: 레버
110: 조작부 120: 자이로센서
130: 감압센서 140: 마이크로 컨트롤러
150: 송신기 20: 드론
21: 수신기 22: 비행제어기
23: 전자속도제어기 24: BLDC 모터
25: 센서모듈 26: 배터리
27: 카메라 28: 영상송신기

Claims (5)

  1.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조종명령을 드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및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손목의 기울기를 산출한 후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를 통해 드론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조종기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압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압센서를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조종 온 또는 오프로 토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센서는
    x/y/z 3축의 자이로센서와 x/y/z 3축의 가속도센서가 결합된 6축의 MEMS 자이로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조종기는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에 착용되어 한 손으로 드론을 조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기.
  5. 전원이 온되면 드론과 바인딩되어 조종을 준비하는 단계;
    조종모드가 온되면, 자이로센서로부터 초기 기울기값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종동작에 의해 발생된 손목 기울기값을 자이로센서로부터 입력받아 기울기 변화 값을 산출하는 단계;
    기울기 변화 값을 속도값으로 변환한 후 요잉, 롤링, 피칭을 위한 조종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조종명령을 바인딩된 드론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방법.
KR1020180075366A 2018-06-29 2018-06-29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 KR20200002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66A KR20200002166A (ko) 2018-06-29 2018-06-29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66A KR20200002166A (ko) 2018-06-29 2018-06-29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66A true KR20200002166A (ko) 2020-01-08

Family

ID=6915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366A KR20200002166A (ko) 2018-06-29 2018-06-29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16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55A (ko)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헥사팩토리 드론의 추락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6872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통신망을 통해서 제어되는 드론 및 드론의 제어 방법
KR20180068771A (ko) 2016-12-14 2018-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론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55A (ko)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헥사팩토리 드론의 추락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6872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통신망을 통해서 제어되는 드론 및 드론의 제어 방법
KR20180068771A (ko) 2016-12-14 2018-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론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4526B1 (en) Assisted takeoff
US20190318637A1 (en) Deep stall aircraft landing
US9522732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perching maneuver
EP3269640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0812756B1 (ko) 요잉제어가 용이한 쿼드로콥터
US11599107B2 (e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 or onboard control of flights
KR101554487B1 (ko) 멀티 로터 비행체
US8200375B2 (en) Radio controlled aircraft, remote controll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140008496A1 (en) Using handheld device to control flying object
EP3397552B1 (en) A multirotor aircraft
JP4012749B2 (ja) 遠隔操縦システム
US9908614B2 (en) Crew seat integral inceptor system for aircraft
JP2001209427A (ja) 無人飛行機の遠隔操縦装置
US10974825B2 (en) Aerial system including foldable frame architecture
TW200838595A (en) Remote-controlled motion apparatus with acceleration self-sense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therefor
US11267568B2 (en) Aerial system including foldable frame architecture
WO2010105638A1 (en) Teleoperation method and human robot interface for remote control of a machine by a human operator
WO2018040006A1 (zh) 控制方法、装置和系统、飞行器、载体及操纵装置
EP3269639B1 (en) Aircraft and roll method thereof
CN110770123A (zh) 便携式一体化uav
JP2022509697A (ja) 分離した自由度を有する航空機
CN109606674A (zh) 尾坐式垂直起降无人机及其控制系统与控制方法
WO2017047546A1 (ja) マルチコプターの制御方法、マルチコプター用コントローラおよびマルチコプター玩具
JP2017055911A (ja) マルチコプター用コントローラおよびマルチコプターの制御方法
KR20200002166A (ko) 손목의 기울기를 이용한 드론 조종 방법 및 조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