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065U - Electric type lifting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ic type lif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065U
KR20200002065U KR2020190001027U KR20190001027U KR20200002065U KR 20200002065 U KR20200002065 U KR 20200002065U KR 2020190001027 U KR2020190001027 U KR 2020190001027U KR 20190001027 U KR20190001027 U KR 20190001027U KR 20200002065 U KR20200002065 U KR 202000020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mounting groove
fence
work tab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0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3313Y1 (en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to KR2020190001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13Y1/en
Publication of KR20200002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6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1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한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로서, 지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하부면에는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고소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작업대를 연결하며,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부를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휀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의 측면에는 상기 휀스부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휀스부에는 상기 힌지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돌기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고소작업 진행 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휀스부가 작업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작업자가 작업대에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고, 휀스부의 장착돌기가 힌지돌기의 장착홈에 자중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휀스부를 작업대에 고정하기 위해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for a worker's high place work,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to move along the ground; A workbench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on which an operator performing high place work is boarded to perform work; A link portion disposed above the frame portion to connect the frame portion and the work table, and extending or fol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power unit provided in the link unit and providing power to expand or fold the link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 table, including a fence portion for preventing a worker aboard the work table from falling from the work table, wherein the side of the work table is provided with a hinge protrusion rotatably mounted to the fence portion , The fen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rotrusion rotatably mounted to the hinge protrusion, and the hinge protrusion provides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to be rotatably mounted to the mounting protrusion.
Therefore, the fence part that prevents the operator from falling during the high place work is rotatably mounted on the work table, so that the operator can smoothly board the work table, and the mounting protrusion of the fence part can be easily fixed by its own weight in the mounting groove of the hinge protrus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fix the fence part to the workbench and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Description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Electric type lifting device}Electric type lifting device}

본 고안은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건조 등의 고소작업을 진행 시 작업자를 고소작업이 진행되는 높이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킨 후 작업자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n electric type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operator to perform work after safely moving the operator to the height where the altitude work is progressed when performing high place work such as ship building. It relates to a type of lift device.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4-0003277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작업현장의 여러 공정에서 선박건조, 전기, 기계설비, 방수, 조적, 미장, 페인트 등 작업자 신장보다 높은 선박외판, 벽체, 천정, 화장실, 주차장, 건물의 외장, 청소 등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 발판으로 조립식 비계, 알루미늄 사다리 또는 리프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Referring to the background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Open Utility Model No. 2014-0003277, shipbuilding, electricity, mechanical equipment, waterproofing, masonry, plastering, paint, etc., in various processes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work on the ceiling, toilets, parking lots, exteriors of buildings, cleaning, etc., prefabricated scaffolds, aluminum ladders, or lifts are used as working scaffolds.

조립식 비계는, 자재를 올려야 하고, 조립식 비계의 수직으로 설치된 사다리의 상판에 올라가야 함으로써 추락의 위험이 뒤따르게 되며, 또한 알루미늄 사다리는 좁은 발판 및 고정의 불안정성과 자재를 들고 올라가야 하는 등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과중한 피로감과 취급 및 설치 시 난이점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The prefabricated scaffold requires the material to be raised and the risk of a fall is followed by the climb on the upper plate of the vertically installed ladder of the prefabricated scaffold.Also, the aluminum ladder has a narrow scaffold and the instability of fixing and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materials. As a result,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excessive fatigue of workers and difficulties in handling and installation, and exposure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상기와 같이 고소 작업자의 불편함과 고정의 불안정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준비 작업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리프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 lift for high place work, which solves the inconvenience and unstable problem of fixing, and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installed in the preparation work, has been widely used.

고소작업용 리프트는, 지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주행 휠이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부와, 작업자가 작업 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대가 캐리지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작업부와, 작업부를 이송부의 상부로 수직방향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승강부를 포함한다.The lift for high place work includes a transfer unit in which a traveling wheel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gie frame to move on the ground, a handrail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carriage base frame to prevent an operator from falling during work, and a transfer unit for the operation unit. It includes an elevating part that can be unfolded or fold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top of the.

그러나, 종래의 고소작업용 리프트에서 난간대는 캐리지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난간대에 의해 작업자가 캐리지 베이스 프레임에 탑승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ift for work at high places, the handrail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rriage base fram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is not able to board the carriage base frame smoothly due to the handrail installed to secure the operator's stability.

이를 해결하기 위해 캐리지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난간대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였으며, 작업자가 작업 시 난간대가 회전하지 않도록 볼트를 이용하여 캐리지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하였으나, 작업자가 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난간대를 캐리지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볼트를 체결 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To solve this problem, a handrail wa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riage base frame, and the handrail was fixed to the carriage base frame using bolts so that the handrail does not rotate during work.However, the handrail was attached to the carriage base frame by rotating the bol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ook a lot of time to fix,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a worker fell when tightening the bol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휀스부를 작업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진행하는 작업대에 원활하게 탑승하도록 하고, 휀스부의 자중에 의해 간편하게 휀스부를 작업대의 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rotatably mounting a fence that prevents the operator from falling, the operator can smoothly board the workbench performing high place work, and by the weight of the fence unit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that can easily fix a fence part to the side of a work ta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한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로서, 지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하부면에는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고소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작업대를 연결하며,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부를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휀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의 측면에는 상기 휀스부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휀스부에는 상기 힌지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돌기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for working at a height of an operator, and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a frame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to move along the ground on the lower surface ; A workbench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on which an operator performing high place work is boarded to perform work; A link portion disposed above the frame portion to connect the frame portion and the work table, and extending or fol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power unit provided in the link unit and providing power to expand or fold the link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 table, including a fence portion for preventing a worker aboard the work table from falling from the work table, wherein the side of the work table is provided with a hinge protrusion rotatably mounted to the fence portion , The fen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rotrusion rotatably mounted to the hinge protrusion, and the hinge protrusion provides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to be rotatably mounted to the mounting protrusion.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고소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수단에 상기 프레임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부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고소작업 시 상기 프레임부가 지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부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면에 고정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수평을 조절하는 고정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type li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ame part,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rame part to a moving means to move the frame part to a place where high place work is performed, and a side part of the frame part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fixed support portion for preventing the operator from moving on the ground during high place work, and fixing the frame portion to the ground by supporting the frame portion from the lower portion to adjust the horizontal of the frame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는 사각형상을 가지는 상기 프레임부의 모서리와 인접한 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돌기에서 상하로 승하강하며 지면과 밀착되는 일단에는 밀착단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승하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lectric type li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support portion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provided on a side adjacent to the corner of the frame part having a quadrangular shape,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fastening protrusion. One e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vating bar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end.

상기 힌지돌기에 형성되는 상기 장착홈은, 상기 휀스부를 회전 시 상기 장착돌기가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원형 형상을 가지는 제1장착홈과, 삼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장착홈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휀스부를 상기 작업대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 시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돌기가 안착되는 제2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제2장착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hinge protrus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groove having a circular shape such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rotates inside when the fence portion is rotated, and has a triangular shape and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mounting groove. When the fence part is fixed to protrude to the top of the worktable, it may include a second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hinge protrusion is seated by its own weight, and the mounting protrusion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상기 힌지돌기에 형성되는 장착홈은, 상기 휀스부를 회전 시 상기 장착돌기가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원형 형상을 가지는 제3장착홈과,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3장착홈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휀스부를 상기 작업대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 시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돌기가 안착되는 제4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제4장착홈과 대응되는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formed on the hinge protrusion includes a third mounting groove having a circular shape such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rotates inside when the fence portion is rotated, and has a rectangular shape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mounting groove. When the fence part is fixed to protrude to the top of the work table, it may include a fourth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hinge protrusion is seated by its own weight, and the mounting protrusion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mounting groove.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는 고소작업 진행 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휀스부가 작업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작업자가 작업대에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고, 휀스부의 장착돌기가 힌지돌기의 장착홈에 자중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휀스부를 작업대에 고정하기 위해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electric type li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mounted on the work table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falling when working at high places, so that the operator can smoothly board the work table, and the mounting protrusion of the fence part is the mounting groove of the hinge protrusion. Since it can be easily fixed by its own weight, the time spent to fix the fence part to the work table can be shortened and the stability of the operator can be secur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링크부 및 동력부에 의해 작업대가 프레임부의 상부로 승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작업대에 장착되는 휀스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지지부가 동작하여 프레임부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힌지돌기에 장착된 휀스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휀스부가 회전 시 장착돌기가 장착홈 내에서 회전하면서 안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변형된 장착돌기가 힌지돌기의 장착홈에서 회전하면서 안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table is eleva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part by the link part and the power part shown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nce mounted on the worktable rotates.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support shown in FIG. 1 is operated to firmly fix the frame part to the ground.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nce mounted on a hinge protrusion rotates.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rotrusion is seated while rotating in the mounting groove when the fence shown in FIG. 5 is rotated.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ified mounting protrusion is seated while rotating in the mounting groove of the hinge protrus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designer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wn desig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that conforms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100)는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진행 시 사용되는 것으로, 프레임부(110)와, 작업대(120)와, 링크부(130)와, 동력부(140)와, 휀스부(150)를 포함하며, 체결부재(160)와, 고정 지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electric type lif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en a worker performs high place work, and the frame unit 110, the work table 120, and the link It includes a unit 130, a power unit 140, and a fence unit 150, and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mber 160 and a fixed support unit 170.

상기 프레임부(110)는 지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하부면에는 상기 프레임부(110)가 지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이동바퀴(112)가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부(110)가 사각형상을 가지는 바, 상기 복수개의 이동바퀴(112)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모서리부위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unit 110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112 are corresponding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frame unit 110 can move smoothly along the ground. The frame portion 11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moving wheels 112 are preferably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orner portions of the frame portion 110.

상기 프레임부(110)와 이격되게 작업대(120)가 구비되며, 상기 작업대(120)는 고소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업대(120) 역시 상기 프레임부(110)와 대응되는 사각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부(110)는 복수개의 프레임(110a)에 의해 중앙부가 밀폐되지 않은 중공된 형상을 가지나, 상기 작업대(120)는 중앙부가 별도의 판재 등에 의해 밀폐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worktable 120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ame unit 110, and the worktable 120 serves to provide a work space in which a worker performing high place work is on bo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work table 120 also has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ame portion 110, and the frame portion 110 has a hollow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not sealed by a plurality of frames 110a, It is preferable that the worktable 120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sealed by a separate plate or the like.

상기 프레임부(110)와 상기 작업대(120)는 링크부(1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13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120)를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frame unit 110 and the work table 120 are connected by a link unit 130, and the link unit 130 is disposed above the frame unit 110 to provide the work table 120 to the frame unit. It serves to unfold or fol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of (110).

상기 링크부(130)는 제1링크부(131)와 제2링크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부(131)와 상기 제2링크부(미도시)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 양측면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후술되는 동력부(140)에 의해 절첩되면서 상기 작업대(120)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ink unit 130 includes a first link unit 131 and a second link unit (not shown), and the first link unit 131 and the second link unit (not shown) include the frame unit ( It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110) and is folded by the power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serves to elevate the worktable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링크부(131)는 제1전단 링크(132)와 제1후단 링크(133)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전단 링크(132)와 상기 제1후단 링크(133)은 복수개의 제1링크단(134)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링크단(134)는 일단이 힌지체결된다.The first link unit 131 is composed of a first front link 132 and a first rear link 133, and the first front link 132 and the first rear link 133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links. Consisting of a link end 134,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link ends 134 is hinged.

상기 제1전단 링크(132)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전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V"자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후단 링크(133)는 상기 제1전단 링크(13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전단 링크(132)와 상기 제1후단 링크(133) 역시 힌지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ront link 132 has a “V” shape in a direction from a front end to a rear end of the frame unit 110, and the first rear link 133 includes the first front link 132 and It has a corresponding shape, and the first front link 132 and the first rear link 133 are also preferably hinged.

상기 제1링크부(131)와 대응되게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상기 제2링크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링크부(미도시)는 제2전단 링크(미도시)과 제2후단 링크(미도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링크부(미도시)는 상기 제1링크부(131)와 구성이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link unit (not shown) is provided above the frame unit 110 to correspond to the first link unit 131, and the second link unit (not shown) is a second front link (not shown). ) And a second rear-end link (not shown), and the second link unit (not show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link unit 13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링크부(130)에는 동력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140)는 상기 링크부(130)를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link unit 130 is provided with a power unit 140, and the power unit 140 generates power so that the link unit 130 can be vertically unfolded or folded from the top of the frame unit 110. Serves to provide.

상기 동력부(140)는 제1동력부재(미도시)와 제2동력부재(미도시)로 구성되며, 상기 제1동력부재(미도시)와 제2동력부재(미도시)는 각각 상기 제1링크부(131)와 제2링크부(135)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링크부(131)와 제2링크부(135)를 절첩시켜 상기 제1링크부(131)와 제2링크부(135)에 연결되는 상기 작업대(120)를 승하강 시키게 된다. 상기 동력부(140)로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압 실린더와 대응되게 일단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다른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The power unit 140 is composed of a first power member (not shown) and a second power member (not shown), and the first power member (not shown) and the second power member (not shown) are respectively The first link part 131 and the second link part 135 ar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first link part 131 and the second link part 135 to fold the first link part 131 and the second link part 135 to The worktable 120 connected to the unit 135 is raised and lowered. It is preferable that a hydraulic cylinder is used as the power unit 14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equipment whose one end is protruded or inser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hydraulic cylinder may be used.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대(120)의 상부에는 상기 작업대(120)에 탑승한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12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휀스부(15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휀스부(150)는 상기 작업대(12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바(152)와, 상기 안전바(152)를 상기 작업대(12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돌기(15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6, a fence unit 15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work table 120 to prevent a worker from falling from the work table 120. The fence unit 150 is equipped with a safety bar 152 that prevents a worker who works on the work table 120 from falling, and the safety bar 15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ide of the work table 120 It includes a protrusion 154.

상기 작업대(120)의 측면 또는 둘레면에는 상기 안전바(152)에 구비되는 상기 장착돌기(15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힌지돌기(12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A plurality of hinge protrusions 122 to which the mounting protrusions 154 provided on the safety bar 152 are rotatably mounted are provided on the side o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k table 120 to protrud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바(152)는 양단이 하부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절곡된 절곡단(152a)의 내측에는 상기 장착돌기(154)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힌지돌기(122)에는 상기 장착돌기(15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124)이 형성된다.5 and 6, the safety bar 152 has a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bent downward, and the mounting protrusion 154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inside the bent end 152a. The hinge protrusion 122 of the dog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124 in which the mounting protrusion 154 is rotatably mounted.

상기 장착홈(124)는 제1장착홈(124a)과, 제2장착홈(124b)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장착홈(124a)은 상기 휀스부(150)의 안전바(152)가 회전 시 상기 장착돌기(154)가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groove 124 includes a first mounting groove 124a and a second mounting groove 124b, and the first mounting groove 124a rotates the safety bar 152 of the fence unit 150 It is preferable to have a circular shape such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154 rotates inside.

상기 제2장착홈(124b)은 삼각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1장착홈(124a)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작업자가 상기 안전바(152)를 회전시켜 상기 휀스부(150)를 상기 작업대(120)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 시 상기 휀스부(15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장착돌기(154)가 상기 제2장착홈(124b)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안전바(152)가 상기 작업대(120)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장착돌기(154)는 삼각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2장착홈(124b)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장착돌기(154)가 상기 제2장착홈(124b)에 안착 시 상기 안전바(152)가 상기 작업대(120)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된다.The second mounting groove 124b has a triangular shape and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groove 124a. When an operator rotates the safety bar 152 to fix the fence part 150 to protrude to the upper part of the work table 120, the mounting protrusion 154 is formed by the self-weight of the fence part 150. By being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124b, the safety bar 152 is fixed so as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 table 120. The mounting protrusion 15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124b having a triangular shape, so that when the mounting protrusion 154 is seat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124b, the safety bar 152 Is fix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worktable 120.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홈(124)는 제3장착홈(124c)과, 제4장착홈(124d)를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3장착홈(124c)은 상기 휀스부(150)의 안전바(152)가 회전 시 상기 장착돌기(154)가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7, the mounting groove 124 may be modified to include a third mounting groove 124c and a fourth mounting groove 124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mounting groove 124c has a circular shape such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154 rotates inside when the safety bar 152 of the fence part 150 rotates.

상기 제4장착홈(124d)은 직사각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3장착홈(124c)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작업자가 상기 안전바(152)를 회전시켜 상기 휀스부(150)를 상기 작업대(120)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 시 상기 휀스부(15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장착돌기(154)가 상기 제4장착홈(124d)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안전바(152)가 상기 작업대(120)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장착돌기(154)는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4장착홈(124d)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장착돌기(154)가 상기 제4장착홈(124d)에 안착 시 상기 안전바(152)가 상기 작업대(120)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된다.The fourth mounting groove 124d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mounting groove 124c. When an operator rotates the safety bar 152 to fix the fence part 150 to protrude to the upper part of the work table 120, the mounting protrusion 154 becomes the fourth by the weight of the fence part 150. By being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124d), the safety bar 152 is fixed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 table 120. The mounting protrusion 15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mounting groove 124d having a rectangular shape, so that when the mounting protrusion 154 is seated in the fourth mounting groove 124d, the safety bar 152 Is fix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worktable 12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단에는 체결부재(16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재(160)는 상기 프레임부(110)를 고소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수단(미도시)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부재(160)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10)가 이동수단(미도시)에 체결됨으로써 무게가 무거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100)를 고소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로 원활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160)를 이동수단(미도시)에 체결하지 않고 작업자가 체결수단(160)를 파지한 후 인력에 의해 가까운 거리는 이동시킬 수 있다.1 to 3, a fastening member 16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ame part 110, and the fastening member 160 smoothly moves the frame part 110 to a place where high place work is performed. It serves to fasten to a moving means (not shown) to move. The frame part 110 is fastened to a moving means (not shown) by the fastening member 160, so that the electric type lif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heavy weight is moved to a place where high place work is performed. It will move smoothly. Without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160 to the moving means (not shown), after the operator grips the fastening means 160, the close distance may be moved by manpower.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10)의 측면부에는 고정 지지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지지부(170)는 작업자가 고소작업 시 상기 프레임부(110)가 지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부(110)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1 and 6, a fixed support part 170 is provided on a side part of the frame part 110, and the fixed support part 170 does not allow the frame part 110 to flow on the ground when an operator works at a height. It serves to securely fix the frame unit 110 to the ground so as not to be used.

상기 고정 지지부(170)는 복수개의 체결돌기(172)와, 복수개의 승하강바(17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돌기(172)는 사각형상을 가지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모서리와 인접한 측면에 구비되며,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고 내측면에는 나사홈(172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바(174)은 원통형상으로 그 둘레면에는 나사산(174a)이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바(17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172)의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승하강바(174)의 일단에 구비되는 밀착단(174b)이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부(110)의 수평을 조절하면서 상기 프레임부(110)가 유동하지 않도록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바(174)의 타단에는 상기 승하강바(174)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막대(RB)가 삽입되는 삽입홀(174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막대(RB)를 상기 삽입홀(174c)에 삽입시킨 후 상기 회전막대(RB)를 회전시킴으로 인해 상기 승하강바(174)를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체결돌기(172) 내에서 상기 승하강바(174)가 승하강하게 된다.The fixed support 170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172 and a plurality of elevating bars 174. The fastening protrusion 172 is provided on a side adjacent to the corner of the frame portion 1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screw groove 172a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The elevating bar 174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174a is formed on its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s the elevating bar 174 rotates, the elevating bar 174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fastening protrusion 172 to move the elevating bar ( A close contact end (174b) provided at one end of the 17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s firmly fixed to the ground so that the frame section 110 does not flow while adjusting the level of the frame section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bar 174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174c into which a rotating rod (RB) is inserted in order to smoothly rotate the elevating rod 174, and the rotating rod (RB)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74c, the elevating bar 174 is smoothly rotated by rotating the rotating rod RB, so that the elevating bar 174 moves up and down within the fastening protrusion 172. do.

따라서, 고소작업 진행 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휀스부(150)가 작업대(1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작업자가 작업대(120)에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고, 휀스부(150)의 장착돌기(154)가 힌지돌기(122)의 장착홈(124)에 자중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휀스부(150)를 작업대(120)에 고정하기 위해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the fence unit 150 that prevents the operator from falling during the high place operation is rotatably mounted on the work table 120 so that the operator can smoothly board the work table 120, and the mounting protrusion of the fence unit 150 Since 154 can be easily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124 of the hinge protrusion 122 by its own weight, the time used to fix the fence unit 150 to the work table 120 can be shortened and the stability of the operator can be secured. I can.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시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ttached utility proposal claims.

100 :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110 : 프레임부
112 : 이동바퀴 120 : 작업대
122 : 힌지돌기 124 : 장착홈
130 : 링크부 140 : 동력부
150 : 휀스부 152 : 안전바
154 : 장착돌기 160 : 체결부재
170 : 고정 지지부 172 : 체결돌기
174 : 승하강바
100: electric type lift device 110: frame portion
112: moving wheel 120: worktable
122: hinge protrusion 124: mounting groove
130: link unit 140: power unit
150: fence part 152: safety bar
154: mounting protrusion 160: fastening member
170: fixed support 172: fastening protrusion
174: elevating bar

Claims (6)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한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로서,
지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하부면에는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고소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작업대를 연결하며,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부를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휀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의 측면에는 상기 휀스부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휀스부에는 상기 힌지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돌기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As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for workers at high places,
A frame portion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on a lower surface thereof to be movable along the ground;
A workbench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on which an operator performing high place work is boarded to perform work;
A link portion disposed above the frame portion to connect the frame portion and the work table, and extending or fol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power unit provided in the link unit and providing power to expand or fold the link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 table, and includes a fence portion that prevents a worker aboard the work table from falling from the work table,
A hinge protrusion for rotatably mounting the fence portio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orktable,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wherein a mounting protrusion rotatably mounted to the hinge protrusion is provided in the fence portion, and a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mounting protrusion is rotatably mounted is formed in the hinge protru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고소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수단에 상기 프레임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tha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ame unit and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rame unit to a moving means in order to move the frame unit to a place where an aerial work is per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부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고소작업 시 상기 프레임부가 지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부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면에 고정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수평을 조절하는 고정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rame part, and prevents the frame part from flowing on the ground when the operator works at height, and further comprises a fixed support part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of the frame part while supporting the frame part from the bottom to fix the frame part Electric type lift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는,
사각형상을 가지는 상기 프레임부의 모서리와 인접한 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돌기에서 상하로 승하강하며 지면과 밀착되는 일단에는 밀착단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승하강바를 포함하는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ed support part,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provid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corner of the frame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 electric type lif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vating bars that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elevating up and down from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having a close contact end at one e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돌기에 형성되는 상기 장착홈은,
상기 휀스부를 회전 시 상기 장착돌기가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원형 형상을 가지는 제1장착홈과,
삼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장착홈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휀스부를 상기 작업대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 시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돌기가 안착되는 제2장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제2장착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groove formed on the hinge protrusion,
A first mounting groove having a circular shape such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rotates inside when rotating the fence unit,
It has a triangular shape and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groove, and includes a second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hinge protrusion is seat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fence portion is fixed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table,
The electric type lift device, wherein the mounting protrus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돌기에 형성되는 장착홈은,
상기 휀스부를 회전 시 상기 장착돌기가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원형 형상을 가지는 제3장착홈과,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3장착홈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휀스부를 상기 작업대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 시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돌기가 안착되는 제4장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제4장착홈과 대응되는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groove formed on the hinge protrusion,
A third mounting groove having a circular shape such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rotates inside when rotating the fence unit,
It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mounting groove, and includes a fourth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hinge protrusion is seat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fence portion is fix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work table,
The electric type lift device, wherein the mounting protrusion has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mounting groove.
KR2020190001027U 2019-03-13 2019-03-13 Electric type lifting device KR2004933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27U KR200493313Y1 (en) 2019-03-13 2019-03-13 Electric type lif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27U KR200493313Y1 (en) 2019-03-13 2019-03-13 Electric type lif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65U true KR20200002065U (en) 2020-09-23
KR200493313Y1 KR200493313Y1 (en) 2021-03-10

Family

ID=7266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027U KR200493313Y1 (en) 2019-03-13 2019-03-13 Electric type lif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13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375A (en) * 1999-03-25 2000-10-16 김기삼 Multistage Lifting Apparatus Driving With Air Spring
KR200435429Y1 (en) * 2006-08-30 2007-01-22 (주)한성티앤아이 High place works vehicles
JP2007197176A (en) * 2006-01-27 2007-08-09 Netsukoo Kk Carriage for high lift work
KR20070001269U (en) * 2007-11-16 2007-12-05 김용직 Apparatus for high place works
KR20160068355A (en) * 2014-12-05 2016-06-15 평화산업 (주) Working platform towed by tractor for fruit tree 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375A (en) * 1999-03-25 2000-10-16 김기삼 Multistage Lifting Apparatus Driving With Air Spring
JP2007197176A (en) * 2006-01-27 2007-08-09 Netsukoo Kk Carriage for high lift work
KR200435429Y1 (en) * 2006-08-30 2007-01-22 (주)한성티앤아이 High place works vehicles
KR20070001269U (en) * 2007-11-16 2007-12-05 김용직 Apparatus for high place works
KR20160068355A (en) * 2014-12-05 2016-06-15 평화산업 (주) Working platform towed by tractor for fruit tree 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13Y1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US3902700A (en) Step ladder supported portable bridge-crane structure for lifting materials to the top of an adjacent building
KR102028043B1 (en) safety ladders for preventing overturn
CN206205415U (en) A kind of climbing frame
KR101332763B1 (en) Working rack of safety net for box type structure
JP6709089B2 (en) Quick assembly scaffolding
KR200493313Y1 (en) Electric type lifting device
KR102050843B1 (en) Movable scaffold frame
CN110259095A (en) A kind of folding high-altitude lift work stage apparatus
KR200497253Y1 (en) Foothold for ladder
JP3950800B2 (en) Suspension scaffold
AU649856B2 (en) Cantilever scaffold device
JP2002046951A (en) Scaffold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elevator
JPH08100517A (en) Vertically movable scaffold
KR102027845B1 (en) Foldable scaffold frame
JPH01226687A (en) Elevator scaffolding device
CN214364852U (en) Integrated device for mounting steel jacking structure of high and large concrete column
CN220791116U (en) But automatically regulated stretches out and draws back and folding guardrail ladder
KR102230963B1 (en) Variable Type boarding box of high place works car
CN220769345U (en) Telescopic and folding guardrail ladder
KR101552245B1 (en) High-place worktable
CN219096949U (en) Dock operation platform with hanging basket expanding function
CN217173203U (en) Novel frame structure of aerial work vehicle
CN220133460U (en) Automatic lifting scaffold for building construction
CN218862071U (en) Elevator shaft construction equipment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