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36U - 결합 리프팅 실 - Google Patents

결합 리프팅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36U
KR20200001836U KR2020190000575U KR20190000575U KR20200001836U KR 20200001836 U KR20200001836 U KR 20200001836U KR 2020190000575 U KR2020190000575 U KR 2020190000575U KR 20190000575 U KR20190000575 U KR 20190000575U KR 20200001836 U KR20200001836 U KR 202000018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lifting
seal portion
combined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218Y1 (ko
Inventor
김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Priority to KR2020190000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21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2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결합 리프팅 실은 다수의 개별 리프팅 실을 구비한다. 개별 리프팅 실은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연장하는 제1,2,3 실부를 구비한다. 제1 실부는 단부 방향으로 벌어지는 제1 가시를 다수 구비한다. 제2 실부는 제1 실부 방향으로 벌어지는 제2 가시를 다수 구비한다. 제3 실부는 가시를 구비하지 않는다. 결합 리프팅 실은 제2 실부에 폭 방향으로 결합하는 브릿지를 다수 구비한다.

Description

결합 리프팅 실{Combined Suture for Lifting}
본 고안은 리프팅 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개별 리프팅 실을 폭 방향으로 결합한 결합 리프팅 실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마사지 등이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해 꾸준히 이용되어 왔고, 근래에는 피부주름 개선 시술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주름개선 시술 중 안면 리프트(Face lift)는 피부를 위로 끌어당겨 여분의 피부를 절제한 후 꿰매는 방식이다. 이 시술은 효과가 빠르기는 하나, 수술 위험도가 높고, 귀 앞이나 이마 라인에 흉터가 남을 수 있으며, 회복 기간도 1개월 넘게 걸려, 선뜻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노화된 피부는 주름이 계속 진행될 뿐 아니라 피부가 얇아져 노화 진행이 빨라지는 부작용도 있다.
이러한 수술적 시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체에 무해한 리프팅 실을 피부 내에 삽입하여 피부 조직에 자극을 줌으로써, 피부 수축, 재생을 촉진하고, 나아가 피부 조직과 유착된 리프팅 실을 상방으로 끌어당겨 고정함으로써 늘어진 피부 조직을 리프팅하는, 소위 리프팅 시술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리프팅 시술은 기존의 수술적 시술에 비해 시술이 간단하고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리프팅 시술에 사용되는 리프팅 실은 일반적인 의료용 실의 외주면에 가시를 형성하고 있다. 리프팅 실은 그 자체가 피부 조직을 고정, 유지할 뿐 아니라 리프팅도 가능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특허공개 제2017-0029444호는 입체형 리프팅 메쉬를 개시하고 있는데, 구성을 보면, 상하로 길게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입체 형태를 이루는 입체형 실, 입체형 실과 입체형 실의 사이에 부착되어 입체형 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피부 조직을 입체적으로 리프팅함으로써, 당겨지는 면적을 넓히고, 미끄러짐 발생을 최소화하며, 피부 당김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키는 효과를 달성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리프팅 실은 중앙부가 입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피부 지탱력이 높아지기는 하지만, 실제 시술에서는 하단부에서 피부 지탱력을 커야 하는데 종래기술의 입체형 구조로는 하단부의 피부 조직을 견고히 지탱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입체형 부분을 잡아당기는 타측 영역이 한가닥으로 구성되어 있어, 리프팅 실을 잡아당기는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시술 후 리프팅 실이 피부의 자연 복귀나 하중으로 인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종래기술은 이러한 리프팅 실의 하방 이동을 저지하는데 효과적인 구조를 취하고 있지 않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피부 조직을 상방으로 잡아당길 때 하방 영역에서 가능한 한 넓은 영역의 피부 조직을 잡아 당길 수 있고,
둘째, 리프팅 실을 상방으로 잡아당길 때 하방 리프팅 실에 대한 지탱력을 높일 수 있으며,
셋째, 시술 후에도 리프팅 실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는, 결합 리프팅 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은 제1,2 개별 리프팅 실의 일부를 폭 방향으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2 개별 리프팅 실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제1 실부, 제2 실부, 제3 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부는 제1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실부는 외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져 일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다수의 제1 가시를 이격 구비할 수 있다.
제2 실부는 제1 실부의 일측에서 제2 길이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실부는 외면에 제1 실부 방향에서 반대편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제1 실부의 방향으로 벌어지는 다수의 제2 가시를 이격 구비할 수 있다.
제3 실부는 제2 실부의 반대편에서 제3 길이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실부는 외면에 가시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 리프팅 실은 제1,2 개별 리프팅 실의 제2 실부에만 폭 방향으로 결합하여 제1,2 개별 리프팅 실을 폭 방향으로 이격 고정하는 브릿지를 다수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은 제3 개별 리프팅 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별 리프팅 실은 제1 실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부의 일측은 다수의 브릿지 중 제1 실부 방향의 최외측 브릿지에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에서, 제1,2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에서, 제1~3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에서, 개별 리프팅 실은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에서, 제1 가시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에서, 제2 가시는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반대편 방향에서 제1 실부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반대편 방향으로 벌어지는 경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에서, 제1 실부는 타측의 단부에 일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폭 방향으로 벌어지는 절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에 의하면, 제1 실부가 자유롭게 폭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어, 하방에서 넓은 영역의 피부 조직과 결합할 수 있고, 그 결과 피부 조직을 상방으로 잡아당길 때 하방에서 넓은 피부 조직을 잡아당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리프팅 실이 하방으로 자연 이동하는 것을 저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에 의하면, 제2 실부를 폭 방향을 결합함으로써 제1 실부에 대한 인장 지탱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결합 리프팅 실에 의하면, 제1 실부의 단부 절개부는 벌어지면서 피부 조직에 걸려 결합할 수 있고, 그 결과 시술 후 자연 복귀나 하중에 의해 결합 리프팅 실이 하방으로 자연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은 제1 개별 리프팅 실(110), 제2 개별 리프팅 실(120), 제1 브릿지(21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개별 리프팅 실(110)은 제1 실부(111), 제2 실부(112), 제3 실부(113)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개별 리프팅 실(110)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개별 리프팅 실(110)은 제1~3 실부(111~113)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부(111)는 제1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길이는 결합 리프팅 실의 1/3 정도의 길이로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전체 길이를 180mm로 구성할 경우 60mm 정도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부(111)는 외면에 제1 가시(C1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시(C11)는 일측(도 1에서 오른쪽, 즉 제2 실부(112) 방향)에서 타측(도 1에서 왼쪽, 즉 단부)으로 하향 경사져 일측(도 1에서 오른쪽, 즉 제2 실부(112)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가시(C1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을 비스듬히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 제1 가시(C11)는 압착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리프팅 실의 외측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절삭 제거될 수 있다.
제2 실부(112)는 제1 실부(111)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2 실부(112)는 제2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제2 길이는 결합 리프팅 실의 1/3 정도의 길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전체 길이를 180mm로 구성할 경우 60mm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실부(112)는 외면에 제2 가시(C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가시(C12)는 제1 실부(111) 방향에서 반대편(도 1에서 오른쪽)으로 하향 경사져 제1 실부(111)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가시(C1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을 비스듬히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 제2 가시(C12)는 압착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프팅 실의 외측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절삭 제거될 수 있다.
제3 실부(113)는 제2 실부(112)의 반대편(도 1에서 오른쪽)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3 실부(113)는 제3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제3 길이는 결합 리프팅 실의 1/3 정도의 길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전체 길이를 180mm로 구성할 경우 60mm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3 실부(113)는 외면에 가시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은, 제1 개별 리프팅 실(110)과 같이, 제1 실부(121), 제2 실부(122), 제3 실부(123)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의 제1~3 실부(121~123)는 제1 개별 리프팅 실(110)의 제1~3 실부(111~113)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의 제1~3 실부(121~12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개별 리프팅 실(110)의 제1~3 실부(111~113)에 대한 위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위에서 설명한 제1,2 개별 리프팅 실(110,120)은 생체 흡수성 고분자, 예를들어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acid),폴리카브로락톤(polycaprolactone),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생체 비흡수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브릿지(210)는 제1 개별 리프팅 실(110)과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을 결합하여 결합 리프팅 실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 개별 리프팅 실(110)의 제2 실부(112)와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의 제2 실부(122) 사이에만 구비할 수 있다. 제1 브릿지(210)는 제2 실부(112)와 제2 실부(122)를 폭 방향에서 결합하여 제1 개별 리프팅 실(110)과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을 소정 간격만큼 이격 고정할 수 있다. 제1 브릿지(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를 이격시겨 구비할 수 있다.
제1 브릿지(210)는 열압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1 개별 리프팅 실(110)의 제2 실부(112)와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의 제2 실부(122)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브릿지(210)는, 제1,2 개별 리프팅 실(110,120)과 같이,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acid) 등의 생체 흡수성 고분자로 구성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생체 비흡수성 고분자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에서, 제1 실부(111,121)는 폭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시술에서 제1 실부(111,121) 영역은 넓은 면적의 피부 조직과 결합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실부(111,121)는, 하방으로 가면서 벌어져 피부 조직에 결합하므로, 시술 후에 결합 리프팅 실이 하방으로 자연 이동되는 것을 저지 내지 최소화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에서, 제2 실부(112,122)는 제1 브릿지(21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실부(111,121)에 대한 길이 방향의 지탱력을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결합 리프팅 실을 상방으로 잡아당길 때 결합 리프팅 실을 보다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은 제1,2 개별 리프팅 실(110,120)에 제3 개별 리프팅 실(130)을 추가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3 개별 리프팅 실(130)은, 제1,2 개별 리프팅 실(110,120)과 같이, 제1 실부(131), 제2 실부(132), 제3 실부(133)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1~3 실부(131~133)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3 개별 리프팅 실(130)의 제1~3 실부(131~133)는 제1 개별 리프팅 실(110)의 제1~3 실부(111~113)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3 개별 리프팅 실(130)의 제1~3 실부(131~13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개별 리프팅 실(110)의 제1~3 실부(111~113)에 대한 위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2 브릿지(220)는 제2 개별 리프팅 실(120)과 제3 개별 리프팅 실(130)을 폭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의 제2 실부(122)와 제3 개별 리프팅 실(130)의 제2 실부(132)에만 결합할 수 있다. 제2 브릿지(220)는 제2 실부(122)와 제2 실부(132)를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 고정할 수 있다. 제2 브릿지(2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를 이격시겨 구비할 수 있다.
제2 브릿지(220)는 열압착 등을 통해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의 제2 실부(122)와 제3 개별 리프팅 실(130)의 제2 실부(132)에 결합할 수 있다. 제2 브릿지(220)는 제1 브릿지(210)과 동일 공정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2 브릿지(220)는 제1 브릿지(210)과 일체형일 수 있다.
제2 브릿지(220)는, 제1 브릿지(210)과 같이,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acid) 등의 생체 흡수성 고분자로 구성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생체 비흡수성 고분자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에서, 제1 실부(111,121)는 물론 제1 실부(131)도 자유롭게 폭 방향으로 벌어지므로, 시술에서 제1 실부(111,121,131) 영역과 결합하는 피부 조직의 면적을 더 넓힐 수 있다. 나아가, 제1 실부(111,121) 외에 제1 실부(131)까지 추가적으로 벌어져 피부 조직에 결합하므로, 시술 후에 결합 리프팅 실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저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에서, 제2 실부(112,122,132)가 제1,2 브릿지(210,22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실부(111,121,131)에 대한 길이 방향의 지탱력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3개의 개별 리프팅 실(110,120,130)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4개 이상의 개별 리프팅 실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은 제2 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 제2 실시예에서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의 일부, 즉 제2 실부(122)와 제3 실부(123)를 제거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브릿지(230)는 제1 개별 리프팅 실(110)의 제2 실부(112)와 제3 개별 리프팅 실(130)의 제2 실부(132)에 결합하는 형태일 수 있고, 제2 개별 리프팅 실(120)의 제1 실부(121)은 제3 브릿지(230) 중 제1 실부(121) 방향의 최외측 브릿지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구성을 통해, 제3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은 제1 실부(111,121,131) 영역의 피부 조직 결합력을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제2,3 실부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은 제4 개별 리프팅 실(140), 제5 개별 리프팅 실(150), 제4 브릿지(24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4 개별 리프팅 실(140)은 제1 실부(141), 제2 실부(142), 제3 실부(143)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4 개별 리프팅 실(1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4 개별 리프팅 실(140)은 제1~3 실부(141~143)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부(141)는 외면에 제1 변형 가시(C4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변형 가시(C41)는 일측(도 4에서 오른쪽, 즉 제2 실부(142) 방향)에서 타측(도 4에서 왼쪽, 즉 단부)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태, 예를들어 전체 형상이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되 비스듬히 경사지는 경사 돌출부일 수 있다. 제1 변형 가시(C41)는 압착 등의 방법으로 개별 리프팅 실의 외측 일부를 절삭 제거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변형 가시(C4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되되 폭 방향으로는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실부(142)는 외면에 제2 변형 가시(C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변형 가시(C42)는 폭 방향 외측으로 가면서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변형 가시(C42)는 제1 실부(141) 방향과 제3 실부(143) 방향에 모두 경사부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실부(141) 방향의 경사부는 제1 실부(141) 방향 측면이 제1 실부(141) 방향에서 제3 실부(143) 방향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고, 제3 실부(143) 방향의 경사부는 제3 실부(143) 방향 측면이 제3 실부(143) 방향에서 제1 실부(141) 방향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제2 변형 가시(C42)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폭 방향 외측면은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제2 변형 가시(C42)는 압착 등으로 리프팅 실의 외측 일부를 절삭 제거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변형 가시(C4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하되, 폭 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위치할 수 있다.
제5 개별 리프팅 실(150)은 제4 개별 리프팅 실(140)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1 실부(151), 제2 실부(152), 제3 실부(153)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4 브릿지(240)는 제4 개별 리프팅 실(140)의 제2 실부(142)와 제5 개별 리프팅 실(150)의 제2 실부(152)를 폭 방향으로 결합하여 제4 개별 리프팅 실(140)과 제5 개별 리프팅 실(150)을 소정 간격만큼 이격 고정할 수 있다. 제4 브릿지(2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를 이격시겨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결합 리프팅 실은 제1 실부(141,151)의 단부, 즉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에 절개부(S)를 형성할 수 있다. 절개부(S)는 단부를 길이 방향으로 일부 절개하여 폭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절개부(S)는, 시술 후에 결합 리프팅 실이 자연 복귀나 하중으로 하방 이동할 때, 벌어지면서 피부 조직에 걸릴 수 있고, 그 결과 결합 리프팅 실이 하방으로 추가 이동하는 것을 저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절개부(S)는 위에서 설명한 제1~3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동일한 형태를 갖는 개별 리프팅 실을 다수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개별 리프팅 실을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제1 개별 리프팅 실(110)과 제5 개별 리프팅 실(150)을 제2 실부에서 폭 방향으로 결합하여 결합 리프팅 실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에 기초하여 그 형태를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아래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10,120,130,140,150 : 제1,2,3,4,5 개별 리프팅 실
111,121,131,141,151 : 제1 실부
112,122,132,142,152 : 제2 실부
113,123,133,143,153 : 제3 실부
210,220,230,240 : 제1,2,3,4 브릿지
C11,C21,C31,C41,C51 : 제1 가시
C12,C22,C32,C42,C52 : 제2 가시
S : 절개부

Claims (8)

  1. 제1 길이를 갖고, 외면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져 상기 일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다수의 제1 가시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시켜 구비하는 제1 실부;
    상기 제1 실부의 일측에서 제2 길이로 연장하고, 외면에는 상기 제1 실부 방향에서 반대편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상기 제1 실부의 방향으로 벌어지는 다수의 제2 가시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시켜 구비하는 제2 실부; 및
    상기 제2 실부의 반대편에서 제3 길이로 연장하고, 외면에는 가시를 구비하지 않는 제3 실부를 갖는 제1,2 개별 리프팅 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개별 리프팅 실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실부에만 폭 방향으로 결합하는 다수의 브릿지에 의해 폭 방향으로 이격 결합하는, 결합 리프팅 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부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부의 일측이 상기 다수의 브릿지 중 상기 제1 실부 방향의 최외측 브릿지에 결합하는 제3 개별 리프팅 실을 포함하는, 결합 리프팅 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길이는
    동일한, 결합 리프팅 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길이는
    동일한, 결합 리프팅 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리프팅 실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결합 리프팅 실.
  6. 제5항에 있어서, 제1 가시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결합 리프팅 실.
  7. 제6항에 있어서, 제2 가시는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반대편 방향에서 상기 제1 실부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상기 반대편 방향으로 벌어지는 경사부를 더 구비하는, 결합 리프팅 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부는
    상기 타측의 단부에 상기 일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폭 방향으로 벌어지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결합 리프팅 실.
KR2020190000575U 2019-02-11 2019-02-11 결합 리프팅 실 KR200492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75U KR200492218Y1 (ko) 2019-02-11 2019-02-11 결합 리프팅 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75U KR200492218Y1 (ko) 2019-02-11 2019-02-11 결합 리프팅 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36U true KR20200001836U (ko) 2020-08-20
KR200492218Y1 KR200492218Y1 (ko) 2020-08-31

Family

ID=7223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575U KR200492218Y1 (ko) 2019-02-11 2019-02-11 결합 리프팅 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21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301B1 (ko) * 2021-05-24 2021-10-18 박재영 수술용 실 구조체
KR102411629B1 (ko)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411627B1 (ko)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11628B1 (ko)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411630B1 (ko) 2021-12-02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461560B1 (ko) 2022-01-12 2022-10-31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536890B1 (ko) * 2021-12-09 2023-05-26 장두열 개량형 리프팅실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005Y1 (ko) * 2003-03-10 2003-07-16 이원석 실의 표면에 가시돌기를 만든 의료용 실
KR200395354Y1 (ko) * 2005-06-24 2005-09-08 유동선 풀림방지효과를 갖춘 의료용 봉합사
KR20130105236A (ko) * 2012-03-13 2013-09-25 류시대 주름 제거 시술용 가시매선
KR20140030648A (ko) * 2012-09-03 2014-03-12 구태훈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이를 연조직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 기구 및,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기구를 포함하는 수술기구 세트
KR101401840B1 (ko) * 2013-01-14 2014-05-29 김태원 거상 수술용 메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005Y1 (ko) * 2003-03-10 2003-07-16 이원석 실의 표면에 가시돌기를 만든 의료용 실
KR200395354Y1 (ko) * 2005-06-24 2005-09-08 유동선 풀림방지효과를 갖춘 의료용 봉합사
KR20130105236A (ko) * 2012-03-13 2013-09-25 류시대 주름 제거 시술용 가시매선
KR20140030648A (ko) * 2012-09-03 2014-03-12 구태훈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이를 연조직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 기구 및,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기구를 포함하는 수술기구 세트
KR101401840B1 (ko) * 2013-01-14 2014-05-29 김태원 거상 수술용 메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301B1 (ko) * 2021-05-24 2021-10-18 박재영 수술용 실 구조체
KR102411629B1 (ko)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411627B1 (ko)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11628B1 (ko)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411630B1 (ko) 2021-12-02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536890B1 (ko) * 2021-12-09 2023-05-26 장두열 개량형 리프팅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1560B1 (ko) 2022-01-12 2022-10-31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218Y1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218Y1 (ko) 결합 리프팅 실
US11903586B2 (en) Compressible adjunct with crossing spacer fibers
US7601164B2 (en) Surgical thread
US11712244B2 (en) Implantable layer with spacer fibers
US8236027B2 (en) Surgical thread
CN101808587B (zh) 自锚式组织提拉装置、制造该装置的方法以及使用该装置进行面部整形手术的方法
RU2535616C2 (ru) Шовные нити с зазубринами и стопорами для тампонов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JP5506383B2 (ja) 創傷縫合、組織近置、組織支持、組織懸下、および/または組織固定用の縫合糸
RU2573804C2 (ru) Имплантат для подтяжки ткани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KR100679160B1 (ko) 성형수술용 수술실
KR100545105B1 (ko) 수술용 실
WO2009003726A1 (de) Dreidimensionales herniennetz
US8585774B2 (en) Temporal brow lifting and fixation device
KR102307404B1 (ko) 수술용 및 안면 거상술용 봉합사
CN110099610A (zh) 针与网状缝线的间接附接
KR20180134483A (ko) 성형수술용 실 구조체
KR200491562Y1 (ko) 리프팅 실
WO2014077498A1 (ko) 봉합사가 내장된 바늘
KR20190053495A (ko) 콘타입 관형봉합사 및 이를 결합한 니들 조립체
WO2006015465A1 (en) Threads used in aesthetic surgery and surgical interventions
RU2609057C1 (ru) Шов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JPS62194854A (ja) 生物適合性、長期生物分解性網状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