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354Y1 - 풀림방지효과를 갖춘 의료용 봉합사 - Google Patents

풀림방지효과를 갖춘 의료용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354Y1
KR200395354Y1 KR20-2005-0018327U KR20050018327U KR200395354Y1 KR 200395354 Y1 KR200395354 Y1 KR 200395354Y1 KR 20050018327 U KR20050018327 U KR 20050018327U KR 200395354 Y1 KR200395354 Y1 KR 200395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medical
projections
ski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선
Original Assignee
유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선 filed Critical 유동선
Priority to KR20-2005-0018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3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림방지효과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가늘고 긴 봉합사(1)는 그 외주면을 따라서 일직선방향 혹은 나선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다방향으로 형성된 가시모양의 돌기부와 이 봉합사의 양끝에는 가시모양의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연장부(110,120)로 이루어져 있다.
다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시모양의 돌기부가 시술부위를 당겨주고 조여주는 역할을 균일하게 수행하도록 시술한 후에, 바람직하기로 봉합사의 양끝에 구비된 연장부(110,120)로 묶어주어 피부조직을 원하는 만큼 봉합사의 양끝에 외력을 가해 잡아당겨 주어 고정한 다음에, 봉합사의 당김력이 점차 풀려져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방향의 돌기, 구체적으로 좌향돌기부(12a)와 우향돌기부(12b)를 구비하여 지속적으로 피부조직을 지지하게 할 뿐더러 시술부위에서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풀림방지효과를 갖춘 의료용 봉합사 {Surgical suture for preventing from getting loose}
본 고안은 풀림방지효과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가늘고 긴 봉합사는 그 외주면을 따라서 일직선방향 혹은 나선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다방향으로 형성된 가시모양의 돌기부와 이 봉합사의 양끝에는 가시모양의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연장부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자면, 종래의 얼굴 주름살 제거수술은 마취와 수술에 따른 통증을 수반하고 회복기간 및 부작용 등으로 수술을 하고 난 후에 즉시 일상생활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당한 문제점을 갖게 되고 보톡스(Botox) 또는 레스틸렌(Restylane)을 이용한 주사방식은 효능기간이 길지 못하므로 지속적인 관리 및 동일 시술을 수반하는 불편함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이를 위해서, 이원석이 출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3-0007014호는 "실의 표면에 가시돌기를 만든 의료용 실"을 기재하고 있다. 도 4로 도시된 가시돌기를 만든 의료용 실은 봉합사의 표면에 칼로 흠집을 내어 다수의 가시돌기를 형성시킨다. 이 돌기들은 한쪽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있거나 봉합사의 양끝에서 중심부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가시돌기를 만든 의료용 실은 통상적으로 부드러운 소재로 된 봉합사로 되어 있고 봉합사의 표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절삭함으로써 형성된 가시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되었듯이 가시돌기는, 예컨대 가시돌기가 실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거나 실의 중심을 향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가시돌기를 만든 의료용 실이 피부 속으로 일직선으로 삽입되어 장시간 피부를 지탱 또는 지지하면서 사용중에 가시돌기의 마모와 파쇄 등으로 일정한 당김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피부가 다시 처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종래의 가시돌기를 갖춘 의료용 실은 특히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가시돌기를 배열하였으며, 이러한 종래의 고안은 이완 혹은 축처진 피부를 서로 당겨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상호 마주보는 양방향으로 기울어진 가시돌기의 당김력만으로 피부를 지탱하도록 되어 있는 반면에 피부 속에 통상적으로 일직선으로 삽입되게 시술하되, 특정하게 피부 내로 삽입된 의료용 실의 고정수단 및 고정방법을 강구하지 못하므로 지속적인 힘의 작용을 유지하는데에는 한계를 갖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의료용 실로 시술한 후에, 일상생활 속에서 활동하게 되므로 겪게 되는, 예를 들자면 희로애락 및 음식물 등을 씹으면서 시술부위에 지속적인 움직임에 따른 외력이 가해지는 상황하에서 단순히 돌기의 당김력만으로 피부 내에서 일정한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다시 말하자면, 시술한 후 환자가 원하는 효과에 대한 지속기간이 짧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대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의료용 봉합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합사 외주면을 따라 중심부르 기준으로 좌향돌기부와 우향돌기부를 대칭되게 배치시켜 당김과 조임을 더욱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양끝을 매듭지어 오랜 시간 동안 다방향의 돌기부를 통해서 더욱 효과적으로 피부를 균일하게 당겨지게 하면서 피부가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한다.
특별하기로, 시술부위를 당겨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중심부에 인접하게 좌향돌기부(11a)와 우향돌기부(11b)를 구비하는 한편, 충분히 피부를 당긴 후에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향돌기부(11a)와 우향돌기부(11b)와 역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우향돌기부(12b)와 좌향돌기부(12a)를 구비한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에 대해 더욱 구체적이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1)는 이 봉합사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되, 봉합사의 좌측에는 좌향돌기부(11a)와 우향돌기부(12b) 및 이 봉합사의 좌측 끝에는 연장부(110)를 그리고 봉합사의 우측에는 우향돌기부(11b)와 좌향돌기부(12a) 및 봉합사의 우측 끝에는 연장부(120)를 구비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1)는 기존의 의료용 실과는 달리 봉합사의 양끝에 형성된 2개의 연장부(110,120)를 구비하여 서로 매듭지도록 되어 있는바, 더욱 구체적으로 의료용 봉합사(1)는 시술부위의 피부 내에 U자형상 또는 환형상으로, 바람직하기로 피부를 잡아당기는 부위에 맞혀지게 삽입하고 표피 밖으로 뻗어나온 2개의 연장부(110,120)로 묶여져 봉합사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로 피부를 당기면서 연장부(110,120)로 더욱 확실히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1)는 시술부위에 따라 일직선으로, 바람직하게는 U자형상 또는 환형상으로 삽입되되, 이를 위해서 돌기부의 방향과 배치를 특정하게 한다. 가늘고 긴 봉합사(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기술되었듯이 봉합사(1)의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대칭되게 다수의 돌기부들을 구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의 좌측은 중심부에서 좌측 끝쪽을 향해 좌향돌기부(11a)로 당겨진 피부를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좌향돌기부(11a)의 좌측면에는 우향돌기부(12b)를 배치하는 한편, 이와 반대로 봉합사(1)의 우측은 중심부에서 우측 끝쪽을 향해 우향돌기부(11b)의 우측면에는 좌향돌기부(12a)를 배치시킨다.
제1실시예의 경우에서, 봉합사(1)의 일부, 즉 좌측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일련의 좌향돌기부(11a)와 일련의 우향돌기부(12b)는 시술자가 피부 속에 삽입된 채로 장력을 제거하면 돌기부들을 매개로 한번의 당김과 조임으로 축처진 피부를 잡아당길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서 우측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일련의 우향돌기부(11b)와 일련의 좌향돌기부(12a)에도 장력을 제거함으로써 피부에 당김과 조임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시술부위가 길어지거나 만곡되어져 있어도 피부를 균일하게 지지 및 지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1)는 하나의 긴 실이 중심부를 경계로 각각의 좌·우측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향해 있는 2개의 돌기부들로서 최소 2번의 당김효과를 갖는바, 전술되었듯이 피부 속으로 일직선뿐만 아니라 만곡되게 삽입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일련의 좌향돌기부와 일련의 우향돌기부를 연속되게 배열함으로써 축처진 두피와 직선보다 만곡부가 많은 턱 부위 피부 둘레를 균일하게 잡아당기거나 속궁합성형술(일명 예쁜이 수술)과 같이 고리형상으로 질 주위를 효과적으로 조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합사(1)는 가늘고 길게 길이연장되어 있는 한편, 그 외주면을 따라 일직선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B선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로 하면, 의료용 봉합사는 그 외주면에서 연장부(110,120)를 제외한 길이방향의 외주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다방향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도 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봉합사(1)의 외주면을 따라서 (물론, 연장부(110,120)를 제외한다) 180°간격을 두고 돌기부들이 배열된다.
제2실시예에서, 의료용 봉합사(1)는 외주면을 따라 돌기부들이 휘감겨져 있으므로 국부적으로 피부조직의 한쪽 방향만을 잡지 않고 피부 속에서 봉합사와 맞닿는 상하방향으로 걸쳐지게 되어 더욱 확실하고 견고하게 봉합사와 피부조직과의 결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선택가능하기로, 의료용 봉합사(1)에 형성된 돌기부는 외주면에 일직선방향(도 1참조)으로 뻗어 있거나 나선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 돌기부는 배치 간 각도(0°~360°)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서 결정지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도 3b의 단면도는 봉합사의 외주면 둘레에 90°간격을 두고 돌기부들이 배열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1)는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면서 대향되게 우선적으로 좌측으로 좌향돌기부와 우측으로 우측돌기부를 형성하고 최종좌측에는 우향돌기부를 최종우측에는 좌측돌기부를 형성시켜 피부조직을 충분히 잡아당기면서 처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양끝에 형성된 각 2개의 연장부들이 서로 매듭지어져 의료용 봉합사가 풀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는 수술부위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할 수 있고, U자형상 또는 환형상으로 봉합사가 부드러우면서 신체에 특별한 영향을 끼치지 않고 우수한 장력을 갖는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소재를 선택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효과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는 첨부도면과 명세서상으로 기술된 실시예로만으로 국한되지 않고, 다수의 돌기부의 배치 및 돌기부의 배열방향 등의 조합을 통해 변형이 가능하데, 이는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봉합사의 외주면 자체에 다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돌기부들이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됨으로써 피부조직과 다방향으로 견착되어 골고루 피부조직에 일직선, 바람직하기로 U자형상 또는 환형상으로 봉합사를 배열시켜 더욱 강력한 당김력을 제공하고 양끝을 매듭지어 장시간 사용되어도 풀리지 않고 당김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선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B-B선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C-C선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합사, 11a,12a ----- 좌향돌기부,
11b,12b ----- 우향돌기부 110,120 ----- 연장부.

Claims (4)

  1.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측의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부를 형성한 가늘고 긴 봉합사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1)의 중심부에서 좌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일련의 좌향돌기부와 일련의 우향돌기부를 배치하고, 이와 대칭되게 중심부의 우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일련의 우향돌기부와 일련의 좌향돌기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효과를 위한 의료용 봉합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봉합사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봉합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봉합사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소정의 각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봉합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양끝은 연장부(110,12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2개의 연장부가 묶여져 매듭고정되어 풀림을 방지하되, 바람직하기로 상기 봉합사를 U자형상 또는 환형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봉합사.
KR20-2005-0018327U 2005-06-24 2005-06-24 풀림방지효과를 갖춘 의료용 봉합사 KR200395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327U KR200395354Y1 (ko) 2005-06-24 2005-06-24 풀림방지효과를 갖춘 의료용 봉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327U KR200395354Y1 (ko) 2005-06-24 2005-06-24 풀림방지효과를 갖춘 의료용 봉합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354Y1 true KR200395354Y1 (ko) 2005-09-08

Family

ID=4369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327U KR200395354Y1 (ko) 2005-06-24 2005-06-24 풀림방지효과를 갖춘 의료용 봉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354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409B1 (ko) 2012-11-14 2013-06-20 강윤규 봉합사가 내장된 바늘
WO2013168932A1 (ko) * 2012-05-07 2013-11-14 Jeong Chang Wook 결찰 장치
KR101452340B1 (ko) * 2011-12-16 2014-10-21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수술용 봉합사
KR101455683B1 (ko) * 2013-06-28 2014-11-04 엔파인더스 주식회사 양방향 가시 봉합사
WO2016167571A1 (ko) * 2015-04-14 2016-10-20 윤지혜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KR101935681B1 (ko) * 2017-07-14 2019-01-04 남성한 수술사 및 그 수술사 제조방법
WO2019177405A1 (ko) * 2018-03-15 2019-09-19 (주)제테마 신규한 형태의 돌기를 포함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
KR20200001836U (ko) * 2019-02-11 2020-08-20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결합 리프팅 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340B1 (ko) * 2011-12-16 2014-10-21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수술용 봉합사
WO2013168932A1 (ko) * 2012-05-07 2013-11-14 Jeong Chang Wook 결찰 장치
KR101277409B1 (ko) 2012-11-14 2013-06-20 강윤규 봉합사가 내장된 바늘
WO2014077498A1 (ko) * 2012-11-14 2014-05-22 Kang Yun Gyu 봉합사가 내장된 바늘
KR101455683B1 (ko) * 2013-06-28 2014-11-04 엔파인더스 주식회사 양방향 가시 봉합사
WO2016167571A1 (ko) * 2015-04-14 2016-10-20 윤지혜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KR101935681B1 (ko) * 2017-07-14 2019-01-04 남성한 수술사 및 그 수술사 제조방법
WO2019177405A1 (ko) * 2018-03-15 2019-09-19 (주)제테마 신규한 형태의 돌기를 포함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
KR20200001836U (ko) * 2019-02-11 2020-08-20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결합 리프팅 실
KR200492218Y1 (ko) 2019-02-11 2020-08-31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결합 리프팅 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354Y1 (ko) 풀림방지효과를 갖춘 의료용 봉합사
RU2139734C1 (ru) Хирургическая нить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KR101241955B1 (ko) 상처봉합, 조직밀착, 조직지지, 부유 및/또는 고정을 위한 봉합사
US7972362B2 (en) Wound closure product
US9039682B2 (en) Suture securement apparatus
JP5006871B2 (ja) 結び目を結び易くするために縫合糸端を保持する装置
JP2006513818A (ja) 横手根靭帯のフレキシブルワイヤによる横断
US20080269785A1 (en) Suture securement apparatus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JP2017527360A (ja) 閉鎖器
US20220257282A1 (en) Skin Lifting Thread Inserting Device
KR200320005Y1 (ko) 실의 표면에 가시돌기를 만든 의료용 실
KR100679160B1 (ko) 성형수술용 수술실
KR20170029444A (ko) 입체형 리프팅 메쉬
US20220047426A1 (en) Bandaging device
KR101453669B1 (ko) 매선용 로프
KR19990037878A (ko) 결속이용이한수술용봉합사구조
KR20180134483A (ko) 성형수술용 실 구조체
KR101568995B1 (ko) 성형수술용 탄력실
KR20190059673A (ko) 피부 리프팅용 수술 도구
KR102632653B1 (ko) 피부 주름제거 성형용 실
KR20200111377A (ko) 리프팅 시술용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시술세트 및 이를 이용한 리프팅 시술방법
KR20150057125A (ko) 매선용 로프
EP1226771B1 (en) Anti-drip hair styling device
KR102610210B1 (ko) 탄성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