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669B1 - 매선용 로프 - Google Patents

매선용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669B1
KR101453669B1 KR1020130050715A KR20130050715A KR101453669B1 KR 101453669 B1 KR101453669 B1 KR 101453669B1 KR 1020130050715 A KR1020130050715 A KR 1020130050715A KR 20130050715 A KR20130050715 A KR 20130050715A KR 101453669 B1 KR101453669 B1 KR 101453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yarn
tissue
knot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집
이준길
Original Assignee
이준집
이준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집, 이준길 filed Critical 이준집
Priority to KR102013005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많은 수의 루프를 형성하여 체내 조직으로 주입된 상태에서 결합 및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내에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체내 조직이나 피부 또는 근육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하여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매선용 로프에 관한 것으로서;
체내 조직에 흡수가 가능한(Absorbable) 재료인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이나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과 같은 재질을 방사하여 얻어지고 탄성을 가지는 원사를 주입기에 형성되는 로프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주입기의 로프홀 외부에 위치하여 조직 내부에서 피부와 조직 또는 근육과 단단한 결속력을 유지하는 결합부로 구성하고;
상기 삽입부와 결합부의 경계지점에는 주입기 선단부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절곡부의 후방으로 원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루프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매선용 로프{EMBEDDING THERAPY ROPE}
본 발명은 매선용 로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선 시술시 주입기를 이용하여 체내 조직으로 삽입되는 로프를 개선하여 시술이 완료된 후 체내 조직과의 결합력을 높여 리프팅력을 높이면서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매선용 로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매선 시술은 매선 요법이라고도 불리워지는 것으로서 신체의 피부 등을 절개하지 않고 피부 또는 근육을 팽팽하게 당겨서 주름을 개선하거나 피부조직을 탄력있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인대가 늘어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매선 시술은 흡수가 가능한(Absorbable) 재료로 만들어지는 수술용 봉합사를 로프로 이용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이나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과 같이 생체 내로 흡수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시술 후 이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매선 시술은 체내에 시술된 후 3 ∼ 6개월이 경과 하면 로프가 흡수되는 데, 로프가 피부 내에서 상처 자극을 유발하는 인자가 되어 상처를 치유하는 면역 물질의 분비를 유도하게 되므로 로프가 경유한 신체 조직이 치유가 된 후에는 로프에 의하여 당김(리프팅)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늘어진 피부를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주름을 펴서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매선 시술은, 0.45㎜ 이하의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니들(Needle)과 같은 주입기에 형성되는 로프홀에 로프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로프를 삽입시킨 후 주입기를 시술하고자하는 조직으로 침투시킨 후 주입기를 이탈시키고 조직 외부로 노출된 로프를 절단함으로써 완료된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매선용 로프(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내에서 생체 내로 흡수가 되는 재질로 통상의 실을 뽑아서 제조하듯이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매선사를 방사하여 얻고, 이 매선사를 이용하여 1가닥 또는 1가닥 이상을 서로 꼬임 하여 매선용 로프(1)를 구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매선용 로프(1)는 단면 직경이 대체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필요한 경우 중간 중간에 매듭 또는 가매듭(2)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출원 제 10 - 2012 - 60475 호 특허 제 10 - 0473108 - 0000 호 특허 제 10 - 1040039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매선용 로프는, 매선사를 이용하여 그대로 매선용 로프를 구성한 상태에서 주입기를 이용하여 체내 조직으로 삽입시킬 경우에는 상처 없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체내 조직과 결합력이 떨어지는 현상에 의하여 매선 효과를 높이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매선사에 매듭 또는 가매듭을 형성한 매선용 로프를 이용할 경우에는 매듭 또는 가매듭이 주입기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체내 조직으로 삽입될 때 상처를 주게 되는 것은 물론, 고통을 수반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삽입 과정에서도 상처를 주고 고통을 수반하게 되고 체내 조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매듭 또는 가매듭에 의하여 조직과의 결합력은 우수할 수 있으나 안정화에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고, 체내와 체외의 경계지점에 발생한 상처를 통하여 세균의 감염우려가 높기 때문에 시술 후 부작용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매선용 로프는 체내 조직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직과 선 접촉이 이루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결합 또는 접촉면적이 작아서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하는 것이 힘들어 매선의 가장 특징적이라 할 수 있는 주름을 펴거나 처진 부위를 당겨 올리는 기능과 목적달성이 어렵게 된다.
또한 매선용 로프가 체내 조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에는 로프 자체가 조직의 움직임을 따라 쉽게 변형되어 의도한 형태로의 긴장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매선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체내 조직에 흡수가 가능한(Absorbable) 재료인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이나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과 같은 재질을 방사하여 얻어지고 탄성을 가지는 원사를 주입기에 형성되는 로프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주입기의 로프홀 외부에 위치하여 조직 내부에서 피부와 조직 또는 근육과 단단한 결속력을 유지하는 결합부로 구성하고;
상기 삽입부와 결합부의 경계지점에는 주입기 선단부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절곡부의 후방으로 원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루프를 형성하여 구성하여;
결합부에 많은 수의 루프를 형성하여 체내 조직으로 주입된 상태에서 결합 및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내에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체내 조직이나 피부 또는 근육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하여 강화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주입기 외부에 위치하는 로프에 다수개의 탄력 있는 루프를 형성하여 체내 조직에 주입되면서 늘어나고 주입된 후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힘과 더불어 루프에 의하여 피부나 조직 또는 근육과 접촉면적을 넓혀 조직과의 결합력을 높이고, 체내 조직에서 매선용 로프가 조직과 단단한 결속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매선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매선용 로프의 품질을 높여 대외적인 경쟁력의 우위에 있을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를 도시한 1 실시예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를 도시한 결합부의 선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를 도시한 결합부의 후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를 니들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를 도시한 1 실시예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를 도시한 결합부의 선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를 도시한 결합부의 후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를 니들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매선용 로프(100)는, 체내 조직에 흡수가 가능한(Absorbable) 재료인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이나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과 같은 재질을 방사하여 얻어진 탄성 재질의 원사(101)를 니들과 같은 주입기(102)에 형성되는 로프홀(103)에 삽입되는 삽입부(104)와 로프홀(103)의 외부에 위치하여 실제 조직 내부에서 피부와 조직 또는 근육과 단단한 결속력을 유지하는 결합부(105)로 구성한다.
상기 삽입부(104)는 원사(101) 그대로 로프홀(103)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결합부(105)와 경계지점에는 주입기(102)의 선단부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절곡부(106)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결합부(105)는, 절곡부(106)의 후방으로는 원사(101)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루프(107,108)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107,108) 중 최선측과 최후미에 위치한 루프에는 형성된 루프(107,108)가 당겨짐이나 주입과정에서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매듭(109)을 형성한다.
상기 루프(107,108)의 길이는 주입하고자 하는 위치 등에 따라 주입기(102)보다 짧게 또는 주입기(102) 보다 길게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것으로 국한되지 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루프(107,108) 후미에 남는 원사(101)는 주입기(102)를 한바퀴 또는 두바퀴 감아서 체내 조직으로 주입후 주입기(102)를 이탈할 때 삽입부(104)와 가매듭 또는 매듭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사(101)의 끝단부에는 매듭(110)을 형성하여 주입기(102)를 이용하여 로프(100)를 주입할 때 걸림되어 외측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주입 완료 후 로프(100)를 당겨 결합부(105)를 팽팽한 상태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프(107,108)는, 원사(101)를 원형상(111)이 되도록 만들고 원형상(111)의 시작부위(112)에 대하여 원형상(111)의 끝부위(113)가 외측에 위치하면서 연접된 상태에서 원형상(111)의 내측으로 들어가 1회 꼬임(114)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원형상(111)의 내측으로 들어간 원사(101)를 시작부위(112)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시켜 개략 ⊃형상의 돌출부(115)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115)와 원형상(111)에 걸쳐져 있는 원사(101)를 다시 돌출부(115) 내측으로 삽입시켜 또 다른 돌출부(116)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형태로 완성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는 결합부(105)에 형성되는 각각의 루프(107,108)에 매듭을 형성하여 루프(107,108)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도면이나 설명에서는 예시하고 있지 않으나 원사(101)의 굵기와 가닥의 수 또는 원사(101) 자체로만 하거나 한 가닥 이상의 원사(101)를 꼬임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 루프(107,108)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는 등 본 발명의 설명과 도면을 통하여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주 내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매선용 로프(100)를 이용하여 매선 시술을 수행하는 과정은 널리 알려진 주지의 사실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선용 로프(100)를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장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매선용 로프(100)를 구성하는 삽입부(104)를 주입기(102)에 형성되는 로프홀(103)에 삽입시키고 절곡부(106)에 의하여 주입기(102)의 선단에 주입기(102) 방향으로 결합부(105)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부(105) 후미의 원사(101)는 주입기(102)를 1회전이나 2회전 또는 회전 후 결속하는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입기(102)를 시술하고자 하는 위치의 체내 조직으로 삽입시킨 후 주입기(102)의 끝단부 위치를 한 손으로 눌러 절곡부(106)를 잡고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주입기(102)를 체내 조직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결합부(105)에 형성된 다수개의 루프(107,108)는 원형상에서 일자 형태로 펼쳐지듯이 주입되고, 주입기(102)를 이탈시키면, 루프(107,108) 후미에서 주입기(102)와 감은 원사(101)가 삽입부(104)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의 가매듭 또는 매듭을 형성하게 되고, 동시에 원사(101)의 끝단에 형성된 매듭(110)은 체내 조직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105가 체내 조직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루프(107,108)가 원형에서 일자 형태로 변형은 되나 최선단과 최후단에 형성되는 루프에 형성한 매듭(109)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루프(107,108)가 풀어지는 현상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내 조직의 외부로 노출된 원사(101)의 끝단부에 형성한 매듭(110)을 잡고 주입 반대 방향으로 당겨주면 결합부(105)가 느슨한 상태에서 일자형태로 긴장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원사(101)의 탄성에 의하여 루프(107,108)가 일자형태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므로 체내 조직이나 근육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체내 조직이 많은 면적을 가지는 결합부(105)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결합부(105)에 형성되는 많은 수의 루프(107,108)와 루프(107,108) 사이로 조직이 침투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매선용 로프를 구성하는 결합부에 많은 수의 루프를 형성하여 체내 조직으로 주입된 상태에서 결합 및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내에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체내 조직이나 피부 또는 근육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하여 강화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매선용 로프 101; 원사
104; 삽입부 105; 결합부
106; 절곡부 107,108; 루프
109,110; 매듭 111; 원형상
112; 시작부위 113; 끝부위
114; 꼬임 115,116; 돌출부

Claims (3)

  1. 체내 조직에 흡수가 가능한(Absorbable) 재료인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이나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재질로 방사하여 얻어지고 탄성을 가지는 원사를 주입기에 형성되는 로프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주입기의 로프홀 외부에 위치하여 조직 내부에서 피부와 조직 또는 근육과 단단한 결속력을 유지하는 결합부로 구성하고;
    상기 삽입부와 결합부의 경계지점에는 주입기 선단부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절곡부의 후방으로 원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루프를 형성하여 매선용 로프를 구성하고;
    상기 루프는, 원사를 원형상이 되도록 만들고, 원형상의 시작부위에 대하여 원형상의 끝부위가 외측에 위치하면서 연접된 상태에서 원형상의 내측으로 들어가 1회 꼬임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상의 내측으로 들어간 원사를 시작부위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시켜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와 원형상에 걸쳐져 있는 원사를 다시 돌출부 내측으로 삽입시켜 또 다른 돌출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형태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용 로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중 최선측과 최후미에 위치한 루프에는 루프가 주입과정에서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루프 후미에 남는 원사는 주입기를 감아서 체내 조직으로 주입후 주입기를 이탈할 때 삽입부와 가매듭 또는 매듭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원사의 끝단부에는 주입시 걸림되어 외측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주입 후 결합부를 팽팽한 상태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매듭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용 로프.
KR1020130050715A 2013-05-06 2013-05-06 매선용 로프 KR10145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15A KR101453669B1 (ko) 2013-05-06 2013-05-06 매선용 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15A KR101453669B1 (ko) 2013-05-06 2013-05-06 매선용 로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669B1 true KR101453669B1 (ko) 2014-10-22

Family

ID=5199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715A KR101453669B1 (ko) 2013-05-06 2013-05-06 매선용 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6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08B1 (ko) 2016-01-28 2017-12-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20180126403A (ko) * 2017-05-17 2018-11-27 양해생 실 삽입기
KR102229536B1 (ko) 2019-12-20 2021-03-18 정홍우 시술용 가시 매선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618A (ja) 2005-05-20 2006-11-30 Katsuya Takasu 皮膚の引伸し用糸部材
US20080108957A1 (en) * 2005-01-07 2008-05-08 Peter Cumbo Surgical Needle And Suture Used Therewith
US20100234947A1 (en) 2007-07-26 2010-09-16 Yaniv Ben Rubi Implanted medical device especially used in cosmetic surgery
KR101237399B1 (ko) * 2012-05-10 2013-02-27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주름 제거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8957A1 (en) * 2005-01-07 2008-05-08 Peter Cumbo Surgical Needle And Suture Used Therewith
JP2006320618A (ja) 2005-05-20 2006-11-30 Katsuya Takasu 皮膚の引伸し用糸部材
US20100234947A1 (en) 2007-07-26 2010-09-16 Yaniv Ben Rubi Implanted medical device especially used in cosmetic surgery
KR101237399B1 (ko) * 2012-05-10 2013-02-27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주름 제거 임플란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08B1 (ko) 2016-01-28 2017-12-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20180126403A (ko) * 2017-05-17 2018-11-27 양해생 실 삽입기
KR102205020B1 (ko) * 2017-05-17 2021-01-22 양해생 실 삽입기
KR102229536B1 (ko) 2019-12-20 2021-03-18 정홍우 시술용 가시 매선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9734C1 (ru) Хирургическая нить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KR101440224B1 (ko) 매선용 로프
KR101396672B1 (ko) 매선 시술용 로프
KR101631763B1 (ko) 실 삽입기
KR101773774B1 (ko)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101396642B1 (ko) 매선 시술용 로프
KR101453669B1 (ko) 매선용 로프
JP2019521772A (ja) リフティング用縫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21759B1 (ko) 절곡형 미늘 봉합사
CN107890360B (zh) 一种免打结的手术缝合线
KR101425752B1 (ko) 매선용 로프
KR20130137405A (ko) 매선용 탄성실
RU2400162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шов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1326366B1 (ko) 매선 시술용 로프
KR101974330B1 (ko) 시술용 매선
KR20150057125A (ko) 매선용 로프
JP4670037B2 (ja) 手術用縫合糸
KR101344643B1 (ko) 매선용 도구
KR20150039085A (ko) 매선 자입기
RU175016U1 (ru) Шов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KR101746738B1 (ko)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20230126870A (ko) 리프팅 실
JP2002224485A (ja) ル−プ糸付き針
JP7178748B2 (ja) 医療用縫合糸及び医療用縫合糸キット
KR20180134483A (ko) 성형수술용 실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