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20A -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20A
KR20200001820A KR1020180074818A KR20180074818A KR20200001820A KR 20200001820 A KR20200001820 A KR 20200001820A KR 1020180074818 A KR1020180074818 A KR 1020180074818A KR 20180074818 A KR20180074818 A KR 20180074818A KR 20200001820 A KR20200001820 A KR 20200001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oor
main body
charging terminal
stor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673B1 (ko
Inventor
조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Priority to KR102018007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6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통과홀(11)이 본체(10)의 하부 좌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본체(10)와:
차단기(181)를 갖추고서, 본체(10)에 설치되는 배전반(180)과:
배전반(180)에 설치되는 돌기(170)와:
통과홀(21)이 도어(20)의 하부 우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와:
본체(10) 또는 도어(20)에 설치되는 누전감지센서(190)와:
본체(10) 또는 도어(20)에 설치되는 경고스피커(200)와:
도어(20)에 설치되고, 공동주택의 오폐수 배관(S)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G1)을 매개로 발전하는 발전기(G)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축전지(30)와:
본체(10)에 설치되어 축전지(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비상등(40)와:
본체(10)에 설치되며 도어(20)의 개폐에 의해 동작되어 축전지(30)로부터 비상등(4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비상등 스위치(50)와:
도어(20)의 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충전단자(60)와: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충전단자(70)와:
축전지(30)의 잔량을 감지하여 잔량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량감지센서(80)와:
축전지(30)로부터 외부 충전단자(70)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와: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의 현재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100) 및:
본체(10)에 설치되어, 충전량감지센서(80)로부터 잔량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잔량 신호와 기 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축전지(3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낮으면,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를 동작하여 축전지(30)에서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디스플레이(100)에 전력사용불가를 표시하고, 축전지(3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를 동작하여 축전지(30)에서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디스플레이(100)에 축전지(30)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한편, 누전감지센서(19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스피커(200)를 작동하는 제어부(110)
로 구성된 배전함(A),
하측이 개구되어 좌우로 형성된 노출홀(121,121')과; 노출홀(121,121')의 상방에 구비되어 노출홀(121,121')과 연통되는 걸림홀(122,122') 및; 측방으로 개구되어 걸림홀(122,122')과 연통되는 고정홀(123,123')을 갖추고서, 본체(10)의 내부 하측 및 도어(20)의 내부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이드기구(120,120')와:
상하로 개구된 삽입부나사홀(131a1,131a1')을 구비하여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걸림홀(122,1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31a,131a')와, 전방으로 개구된 조절체삽입홈(131b1,131b1'), 조절체삽입홈(131b1,131b1')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구비되어 조절체삽입홈(131b1,131b1')과 각각 연통되는 상하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3,131b2',131b3'), 상방으로 개구되고 상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2')과 연통되어 상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2')의 상방에 위치하는 커넥터삽입홈(131b4,131b4')을 구비하여,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상방에 위치하는 접속부(131b,131b')를 갖춘 이동체(131,131')와; 조절체나사홀(132a,132a')이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접속부(131b,131b')의 조절체삽입홈(131b1,131b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체(132,132') 및;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노출홀(121,121'), 이동체(131,131')의 삽입부나사홀(131a1,131a1'), 이동체(131,131')의 상하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3,131b2',131b3') 및 조절체(132,132')의 조절체나사홀(132a,132a')에 나사산 체결되어, 조절체(132,132')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하단이 도어(20) 하측 내면 및 본체(10) 하측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도전재질의 접속볼트(133,133')로 구성된 제1,2접속기구(130,130')와: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고정홀(123,123')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나사산 체결되어, 제1,2접속기구(130,130')를 제1,2가이드기구(120,120')에 고정하는 고정기구(160,160')와;
제1접속기구(130)의 커넥터삽입홈(131b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접속되는 제1커넥터(141)와; 제1커넥터(141)와 연결되어 일단이 본체(10)의 통과홀(11)을 통과하는 제1연결선(142)과; 제1연결선(142)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커넥터(143)와; 제2접속기구(130')의 커넥터삽입홈(131b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접속되는 제3커넥터(144)와; 제3커넥터(144)와 연결되어 일단이 도어(20)의 통과홀(21)을 통과하는 제2연결선(145) 및; 제2연결선(145)의 일단에 설치되어 제2커넥터(14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커넥터(146)를 갖추고서,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기구(140) 및:
본체(10)의 후측 내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속단자(151)와; 접속단자(1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단자(152a)를 갖추며, 본체(10)를 관통하여 접지되는 접지선(152)을 갖춘 접지부재(150)
로 구성된 접지기구(B),
후면에 설치홈(h)이 형성되어, 배전함(A)의 돌기(17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Outlet Case Of Apartment Buildings}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플러그를 꽂아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구이다.
또한, 배전반은 건물 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서, 내부에는 전로를 개폐하거나 또는 전기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콘센트 및 배전반이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콘센트 및 배전반을 함께 사용할 수 없었다.
한편, 배전반은 접지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배전반의 도어에서 누전이 발생할 시, 도어 표면을 따라 전기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감전될 위험에 노출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전반은 일반적으로 본체와, 이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물의 층층이 설치되거나 지하에 설치되어 공동주택 각 층과 건물의 전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배전반은 도어가 닫혀져 있다.
이러한 배전반은 주변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충전 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아, 작업자가 배전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전기기기 등을 사용할 때 불편함을 겪어왔다.
그리고, 배전반의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위하여 배전반 내부에는 조명등이 설치되고 있는데, 배전반 정전시 또는 정전이 발생하여 건물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 배전반에 구비된 조명등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배전반을 조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164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콘센트와 배전반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의 도어로 누전이 발생할 시, 도어로 새는 전기를 접지함으로써 안전하게 배전반을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전 발생시,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콘센트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저장하고 이와 같이 생산된 전력을 이용해 배전함 비상등을 점등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뿐만 아니라 정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에도 배전함의 점검이나 유지, 보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폐수를 활용해 생산저장된 전력을 배전함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전력을 배전함 외부에서 사용할 시 상기 전력이 기 설정된 값 보다 낮아지면 배전함 외부에서 상기 전력을 사용하지 못하게 차단함으로써, 배전함 외부에서의 상기 전력 사용에 의해 배전함의 비상등 및 내부 충전단자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콘센트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폐수를 활용해 생산저장된 전력의 사용가능 여부를 배전함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비상등 사용을 위해 상기 전력이 차단될 시, 배전함 외부의 전력 사용자가 상기 전력의 차단을 알 수 있어, 상기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전력 사용/충전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콘센트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과홀(11)이 본체(10)의 하부 좌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본체(10)와:
차단기(181)를 갖추고서, 본체(10)에 설치되는 배전반(180)과:
배전반(180)에 설치되는 돌기(170)와:
통과홀(21)이 도어(20)의 하부 우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와:
본체(10) 또는 도어(20)에 설치되는 누전감지센서(190)와:
본체(10) 또는 도어(20)에 설치되는 경고스피커(200)와:
도어(20)에 설치되고, 공동주택의 오폐수 배관(S)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G1)을 매개로 발전하는 발전기(G)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축전지(30)와:
본체(10)에 설치되어 축전지(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비상등(40)와:
본체(10)에 설치되며 도어(20)의 개폐에 의해 동작되어 축전지(30)로부터 비상등(4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비상등 스위치(50)와:
도어(20)의 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충전단자(60)와: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충전단자(70)와:
축전지(30)의 잔량을 감지하여 잔량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량감지센서(80)와:
축전지(30)로부터 외부 충전단자(70)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와: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의 현재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100) 및:
본체(10)에 설치되어, 충전량감지센서(80)로부터 잔량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잔량 신호와 기 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축전지(3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낮으면,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를 동작하여 축전지(30)에서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디스플레이(100)에 전력사용불가를 표시하고, 축전지(3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를 동작하여 축전지(30)에서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디스플레이(100)에 축전지(30)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한편, 누전감지센서(19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스피커(200)를 작동하는 제어부(110)
로 구성된 배전함(A),
하측이 개구되어 좌우로 형성된 노출홀(121,121')과; 노출홀(121,121')의 상방에 구비되어 노출홀(121,121')과 연통되는 걸림홀(122,122') 및; 측방으로 개구되어 걸림홀(122,122')과 연통되는 고정홀(123,123')을 갖추고서, 본체(10)의 내부 하측 및 도어(20)의 내부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이드기구(120,120')와:
상하로 개구된 삽입부나사홀(131a1,131a1')을 구비하여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걸림홀(122,1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31a,131a')와, 전방으로 개구된 조절체삽입홈(131b1,131b1'), 조절체삽입홈(131b1,131b1')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구비되어 조절체삽입홈(131b1,131b1')과 각각 연통되는 상하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3,131b2',131b3'), 상방으로 개구되고 상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2')과 연통되어 상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2')의 상방에 위치하는 커넥터삽입홈(131b4,131b4')을 구비하여,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상방에 위치하는 접속부(131b,131b')를 갖춘 이동체(131,131')와; 조절체나사홀(132a,132a')이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접속부(131b,131b')의 조절체삽입홈(131b1,131b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체(132,132') 및;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노출홀(121,121'), 이동체(131,131')의 삽입부나사홀(131a1,131a1'), 이동체(131,131')의 상하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3,131b2',131b3') 및 조절체(132,132')의 조절체나사홀(132a,132a')에 나사산 체결되어, 조절체(132,132')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하단이 도어(20) 하측 내면 및 본체(10) 하측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도전재질의 접속볼트(133,133')로 구성된 제1,2접속기구(130,130')와: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고정홀(123,123')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나사산 체결되어, 제1,2접속기구(130,130')를 제1,2가이드기구(120,120')에 고정하는 고정기구(160,160')와;
제1접속기구(130)의 커넥터삽입홈(131b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접속되는 제1커넥터(141)와; 제1커넥터(141)와 연결되어 일단이 본체(10)의 통과홀(11)을 통과하는 제1연결선(142)과; 제1연결선(142)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커넥터(143)와; 제2접속기구(130')의 커넥터삽입홈(131b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접속되는 제3커넥터(144)와; 제3커넥터(144)와 연결되어 일단이 도어(20)의 통과홀(21)을 통과하는 제2연결선(145) 및; 제2연결선(145)의 일단에 설치되어 제2커넥터(14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커넥터(146)를 갖추고서,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기구(140) 및:
본체(10)의 후측 내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속단자(151)와; 접속단자(1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단자(152a)를 갖추며, 본체(10)를 관통하여 접지되는 접지선(152)을 갖춘 접지부재(150)
로 구성된 접지기구(B),
후면에 설치홈(h)이 형성되어, 배전함(A)의 돌기(17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센트(C)와 배전반(180)을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함(A)의 본체(10) 또는 도어(20)로 누전이 발생할 시, 누전 전기를 신속하게 대지로 흘려보냄으로써, 배전함(A)의 사용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함(A)의 본체(10) 또는 도어(20)로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외부로 알릴 수 있어, 배전함(A)의 사용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와 도어(20)를 연결기구(14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통전시킴으로써, 하나의 어스를 통해 본체(10) 또는 도어(20)의 누전 모두에 대해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기구(140)의 제1,2연결선(142,145)의 길이변화에 따라 제1,2접속기구(130,1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연결기구(140)의 제2,4커넥터(143,146)의 접속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20)를 열면 비상등(40)이 점등되어, 작업자가 배전함(A) 내부 보수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오폐수를 활용하여 발전을 하고, 이때 생산된 전력을 충전하여 배전함(A)의 비상등(40), 내부 충전단자(60),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공동주택에서의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공동주택은 다세대가 거주하여, 공동주택의 오폐수 배관(S)으로 항상 오폐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오폐수를 이용한 발전 및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오폐수를 활용해 생산저장된 전력을 배전함(A)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전력을 배전함(A) 외부에서 사용할 시 상기 전력이 기 설정된 값 보다 낮아지면 배전함(A) 외부에서 상기 전력을 사용하지 못하게 차단함으로써, 배전함(A) 외부에서의 상기 전력 사용에 의해 배전함(A)의 비상등(40) 및 내부 충전단자(60)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폐수를 활용해 생산저장된 전력의 사용가능 여부를 배전함(A)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비상등(40) 사용을 위해 상기 전력이 차단될 시, 배전함(A) 외부의 전력 사용자가 상기 전력의 차단을 알 수 있어, 상기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전력 사용/충전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조절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접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조절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접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단자함은 배전함(A)과, 접지기구(B)와, 콘센트(C)를 포함한다.
상기 배전함(A)은 본체(10)와, 배전반(180)과, 돌기(170)와, 도어(20)와, 누전감지센서(190)와, 경고스피커(200)와, 축전지(30)와, 비상등(40)과, 비상등 스위치(50)와, 내부 충전단자(60)와, 외부 충전단자(70)와, 충전량감지센서(80)와,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와, 디스플레이(100) 및, 제어부(110)를 갖춘다.
상기 본체(10)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이룬다.
상기 배전반(180)은 차단기(181)를 갖추고서, 본체(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전반(180)에는 배전을 위한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상기 돌기(170)는 배전반(18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170)는 헤드 부분이 구 형상을 이뤄 탄성을 갖는다.
상기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0)를 개폐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190)는 본체(10) 또는 도어(20)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누전감지센서(190)는 도어(120)에 설치된다.
상기 경고스피커(200)는 본체(10) 또는 도어(20)에 설치되어, 본체(10) 또는 도어(20)로 누전이 발생할 시 경고음을 출력한다.
상기 축전지(30)는 도어(20)에 설치되고, 공동주택의 오폐수 배관(S)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G1)을 매개로 발전하는 발전기(G)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축전지(30)는 도어(20)에 설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본체(10)에도 설치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오폐수 배관(S)에 터빈(G1)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는 유체의 흐름을 통해 터빈(G1)을 회전시키는 주지의 발전 기술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비상등(40)은 본체(10)에 설치되어 축전지(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점등된다. 본 실시예에서 비상등(40)은 본체(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비상등 스위치(50)는 본체(10)에 설치되며 도어(20)의 개폐에 의해 동작되어 축전지(30)로부터 비상등(4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한다.
상기 내부 충전단자(60)는 도어(20)의 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배전반의 유지, 보수를 위해 내부 충전단자(60)에 휴대용 손전등이나 전기적 공구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충전단자(70)는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평상시에 공동주택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이 전력 공급이 필요한 전자기기들을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도어(20)의 전면에는 거치대(71)가 설치되어 외부 충전단자(70)와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거치하거나 도어(20)를 열때 손잡이의 역할도 할 수가 있다.
상기 충전량감지센서(80)는 축전지(30)의 잔량을 감지하여 잔량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량감지센서(80)는 축전지(30)에 설치되어 축전지(30)의 잔량을 감지한다.
상기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는 축전지(30)로부터 외부 충전단자(70)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는 축전지(30)와 외부 충전단자(7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의 현재 잔량 또는 축전지(30) 전력의 사용 가능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량 문구와 충전바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충전량감지센서(80)와,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 및, 디스플레이(100)를 작동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충전량감지센서(80)로부터 잔량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잔량 신호와 기 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축전지(3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낮으면,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를 동작하여 축전지(30)에서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디스플레이(100)에 전력사용불가를 표시하고, 축전지(3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를 동작하여 축전지(30)에서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디스플레이(100)에 축전지(30)의 충전량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배전함(A)의 도어(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누전감지센서(19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스피커(200)를 작동한다.
상기 접지기구(B)는 제1,2가이드기구(120,120')와, 제1,2접속기구(130,130')와, 고정기구(160,160')와, 연결기구(140) 및, 접지부재(150)를 갖춘다.
한편, 일반적으로 본체(10)와 도어(20)를 연결하는 힌지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 접지 기능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의 접지기구(B)를 적용하지만, 절연재질이 아닌 힌지인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2가이드기구(120,120')는 하측이 개구되어 좌우로 형성된 노출홀(121,121')과, 노출홀(121,121')의 상방에 구비되어 노출홀(121,121')과 연통되는 걸림홀(122,122') 및, 측방으로 개구되어 걸림홀(122,122')과 연통되는 고정홀(123,123')을 갖추고서, 본체(10)의 내부 하측 및 도어(20)의 내부 하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2접속기구(130,130')는 이동체(131,131')와, 조절체(132,132')와, 접속볼트(133,133')를 갖추고서, 제1,2가이드기구(120,12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이동체(131,131')는 삽입부(131a,131a')와, 접속부(131b,131b')를 갖춘다.
상기 삽입부(131a,131a')는 상하로 개구된 삽입부나사홀(131a1,131a1')을 구비하여,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걸림홀(122,1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접속부(131b,131b')는 전방으로 개구된 조절체삽입홈(131b1,131b1')과, 조절체삽입홈(131b1,131b1')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구비되어 조절체삽입홈(131b1,131b1')과 각각 연통되는 상하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3,131b2',131b3') 및, 상방으로 개구되고 상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2')과 연통되어 상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2')의 상방에 위치하는 커넥터삽입홈(131b4,131b4')을 구비하여,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조절체(132,132')는, 조절체나사홀(132a,132a')이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접속부(131b,131b')의 조절체삽입홈(131b1,131b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접속볼트(133,133')는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노출홀(121,121'), 이동체(131,131')의 삽입부나사홀(131a1,131a1'), 이동체(131,131')의 상하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3,131b2',131b3') 및 조절체(132,132')의 조절체나사홀(132a,132a')에 나사산 체결되어, 조절체(132,132')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하단이 도어(20) 하측 내면 및 본체(10) 하측 내면에 각각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볼트(133,133')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기구(160,160')는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고정홀(123,123')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제1,2접속기구(130,130')를 제1,2가이드기구(120,120')에 고정한다.
상기 연결기구(140)는 제1커넥터(141)와, 제1연결선(142)과, 제2커넥터(143)와, 제3커넥터(144)와, 제2연결선(145) 및, 제4커넥터(146)을 갖추고서,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제1커넥터(141)는 제1접속기구(130)의 커넥터삽입홈(131b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통전가능하게 접속된다.
상기 제1연결선(142)는, 제1커넥터(141)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일단이 본체(10)의 통과홀(11)을 통과한다.
상기 제2커넥터(143)는 제1연결선(142)의 일단에 통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3커넥터(144)는 제2접속기구(130')의 커넥터삽입홈(131b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통전가능하게 접속된다.
상기 제2연결선(145)은, 제3커넥터(144)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일단이 도어(20)의 통과홀(21)을 통과한다.
상기 제4커넥터(146)는 제2연결선(145)의 일단에 통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커넥터(14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접지부재(150)는 접속단자(151)와, 접지선(152)를 갖춘다.
상기 접속단자(151)는 본체(10)의 후측 내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면과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단자(151)는 본체(10)의 후측 내면과 통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접지선(152)은 접속단자(1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단자(152a)를 갖추며, 본체(10)를 관통하여 접지된다.
상기 콘센트(C)는 후면에 설치홈(h)이 형성되어, 배전함(A)의 돌기(17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콘센트(C)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연결선을 통해 배전반(180)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1,2접속기구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서 경고스피커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도어(20)가 닫힌 상태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20)에 설치된 전기 구성요소에서 도어(20)로 누전이 발생하면, 도어(20)로 누전된 전기는 도어(2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로 흐른다.
그리고, 상기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로 흐른 전기는 연결기구(140)를 통해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로 흐르고,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로 흐른 전기는 본체(10)로 흐른 후, 접지부재(150)의 접지선(152)으로 흐른다.
이후, 상기 접지부재(150)의 접지선(152)으로 흐른 전기는 대지로 흐른다.
또한,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전기 구성요소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본체(10)로 누전된 전기는 본체(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로 흐른 후, 접지부재(150)의 접지선(152)을 통해 대지로 흐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20) 또는 본체(10)에서 누전이 발생할 시, 누전 전기를 신속하게 대지로 흘려보내, 사용자가 누전 상황에서 도어(20) 또는 본체(10)와 접촉할 시, 사용자의 감전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본체(10)와 도어(20)를 연결기구(14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통전시킴으로써, 하나의 어스를 통해 본체(10) 또는 도어(20)의 누전 모두에 대해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연결기구(140)의 제1,2,3,4커넥터(141,143,144,14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손상될 시(예를 들어 제2,4커넥터가 손상될시), 제1,2연결선(142,145)에서 제2,4커넥터(143,146)를 분리한 후, 새로운 제2,4커넥터(143,146)를 제1,2연결선(142,145)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2연결선(142,145)은 새로운 제2,4커넥터(143,146)와의 연결을 위해 일부를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연결선(142,145)이 절단되면, 제2,4커넥터(143,146)의 접속위치가 변하게 되어(예를 들어 본체와 도어의 저면에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됨), 도어(20)를 열고 닫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2연결선(142,145)의 절단이 필요하면, 도 10과 같이 제1,3커넥터(141,144)를 제1,2접속기구(130,130')에서 분리한 후, 제1,2접속기구(130,130')의 조절체(132,132')를 회전시켜, 도 10과 같이 접속볼트(133,133')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2접속기구(130,130')의 접속볼트(133,133')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본체(10)간의 마찰력,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도어(20)간의 마찰력이 사라져, 제1,2접속기구(130,13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후, 도 11과 같이 상기 고정기구(160,160')를 풀고, 도 12와 같이 제1,2접속기구(130,130')를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1,2연결선(142,145)의 절단되더라도 제2,4커넥터(143,146)의 최초 접속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접지가 이루어질 시(또는 접지기구에 이상이 발생하여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을 시), 누전감지센서(190)가 누전을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도 13과 같이 경고스피커(200)을 구동하여, 외부인에게 본체(10) 또는 도어(20)로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린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10)가 디스플레이(100)에 누전 경고 표시를 할 수도 있다.
한편,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상수도를 사용하면 오폐수가 발생하고, 오폐수는 오폐수 배관(S)을 통해 하수도로 배출된다.
이때, 오폐수가 오폐수 배관(S)을 흐르면, 터빈(G1)이 회전하면서 발전기(G)에서 발전이 이루어지고, 발전기(G)에서 생산된 전력은 축전지(30)에서 충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축전지(30)에 충전된 전력은 비상등(40), 내부 충전단자(60), 외부 충전단자(70)로 공급된다.
이때, 작업자가 배전함(A)을 보수하기 위해 배전함(A)의 도어(20)를 열면, 본체(10)에 구비된 비상등 스위치(50)가 접선 되면서, 비상등(40)이 축전지(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점등되어, 작업자는 신속하게 배전반의 유지, 보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도어(20) 후면에 구비된 내부 충전단자(60)를 통해 축전지(30)에 충전된 전력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비상등(40)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을 대비하여 도 2와 같이 휴대용 손전등을 연결할 수도 있으며, 배전반 작업시 필요한 전기공구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배전함(A)의 도어(20)를 다시 닫으면, 비상등 스위치(50)가 단선 되면서 비상등(40)은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소등된다.
한편, 배전함(A)은 평상시에 도 4와 같이 도어(20)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한 채 공동주택에 층층히 설치되어, 허가된 사람만 도어(20)를 열 수 있다.
따라서, 배전함(A) 주변의 일반인은 전기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의 충전이 급한 상황에서, 배전함(A) 내부 충전단자(60)를 이용하여 전기 단말기를 충전할 수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배전함(A)에 외부 충전단자(70)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100)에 축전지(30)의 충전량이 표시되어, 일반인이 전기 단말기의 충전이 급한 상황에서 외부 충전단자(70)를 활용하여 전기 단말기의 충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외부 충전단자(70)를 이용해 전기 단말기를 충전할 시, 디스플레이(100)에 축전지(30)의 충전량이 표시되지만, 일반인이 이를 무시하고 축전지(30)의 충전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10)가 충전량감지센서(80)로부터 잔량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잔량 신호와 기 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고, 축전지(3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낮으면,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를 동작하여 축전지(30)에서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에 전력사용불가를 표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0)에 전력사용불가를 표시할 시 전력사용불가 문구의 하측에 막대한 형상으로 축전지(30)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충전단자(7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면, 작업자가 배전함(A) 보수를 위해 도어(20)를 열 시 비상등(40)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일반인의 축전지(30) 전력 사용에 의해 비상등(40)이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급하게 내부 충전단자(60)를 사용할 시 축전지(30)의 충전량 부족으로 인해 전기 공구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에 전력사용불가가 표시되면, 전력사용이 불가능한 것을 모른 채로 일반인이 외부 충전단자(90)에 전기 단말기를 연결하는 것을 방지하여, 일반인이 불필요하게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10)는 상기 잔량 신호와 기 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축전지(3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를 동작하여 축전지(30)에서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에 축전지(30)의 충전량을 다시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일반인이 축전지(30)의 충전량을 확인하여 전기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력 사용을 많이 하게 될 시, 내부 충전단자(60) 및 외부 충전단자(70)를 사용하지 않고, 콘센트(C)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자는 콘센트(C)를 배전반(180)로부터 분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콘센트(C)와 배전반(180)을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함(A)의 본체(10) 또는 도어(20)로 누전이 발생할 시, 누전 전기를 신속하게 대지로 흘려보냄으로써, 배전함(A)의 사용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함(A)의 본체(10) 또는 도어(20)로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외부로 알릴 수 있어, 배전함(A)의 사용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와 도어(20)를 연결기구(14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통전시킴으로써, 하나의 어스를 통해 본체(10) 또는 도어(20)의 누전 모두에 대해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기구(140)의 제1,2연결선(142,145)의 길이변화에 따라 제1,2접속기구(130,1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연결기구(140)의 제2,4커넥터(143,146)의 접속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20)를 열면 비상등(40)이 점등되어, 작업자가 배전함(A) 내부 보수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오폐수를 활용하여 발전을 하고, 이때 생산된 전력을 충전하여 배전함(A)의 비상등(40), 내부 충전단자(60),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공동주택에서의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공동주택은 다세대가 거주하여, 공동주택의 오폐수 배관(S)으로 항상 오폐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오폐수를 이용한 발전 및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오폐수를 활용해 생산저장된 전력을 배전함(A)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전력을 배전함(A) 외부에서 사용할 시 상기 전력이 기 설정된 값 보다 낮아지면 배전함(A) 외부에서 상기 전력을 사용하지 못하게 차단함으로써, 배전함(A) 외부에서의 상기 전력 사용에 의해 배전함(A)의 비상등(40) 및 내부 충전단자(60)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폐수를 활용해 생산저장된 전력의 사용가능 여부를 배전함(A)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비상등(40) 사용을 위해 상기 전력이 차단될 시, 배전함(A) 외부의 전력 사용자가 상기 전력의 차단을 알 수 있어, 상기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전력 사용/충전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함 기능을 하면서 배전 기능을 하는 배전함(A)에 단자 기능을 하는 콘센트(C)를 더 포함하여, 콘센트 단자함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콘센트 단자함으로 정의하고, 공동주택에서 사용되고 감전사고 방지기능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으로 정의한다.
A; 배전함 10; 본체
20; 도어 30; 축전지
40; 비상등 50; 비상등 스위치
60; 내부 충전단자 70; 외부 충전단자
80; 충전량감지센서 90;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
100; 디스플레이 110; 제어부
170; 돌기 180; 배전반
190; 누전감지센서 200; 경고스피커
B; 접지기구 120,120'; 제1,2가이드기구
130,130'; 제1,2접속기구 140; 연결기구
150; 접지부재 160,160'; 고정기구
C; 콘센트

Claims (1)

  1. 통과홀(11)이 본체(10)의 하부 좌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본체(10)와:
    차단기(181)를 갖추고서, 본체(10)에 설치되는 배전반(180)과:
    배전반(180)에 설치되는 돌기(170)와:
    통과홀(21)이 도어(20)의 하부 우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와:
    본체(10) 또는 도어(20)에 설치되는 누전감지센서(190)와:
    본체(10) 또는 도어(20)에 설치되는 경고스피커(200)와:
    도어(20)에 설치되고, 공동주택의 오폐수 배관(S)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G1)을 매개로 발전하는 발전기(G)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축전지(30)와:
    본체(10)에 설치되어 축전지(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비상등(40)와:
    본체(10)에 설치되며 도어(20)의 개폐에 의해 동작되어 축전지(30)로부터 비상등(4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비상등 스위치(50)와:
    도어(20)의 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충전단자(60)와: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충전단자(70)와:
    축전지(30)의 잔량을 감지하여 잔량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량감지센서(80)와:
    축전지(30)로부터 외부 충전단자(70)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와: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축전지(30)의 현재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100) 및:
    본체(10)에 설치되어, 충전량감지센서(80)로부터 잔량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잔량 신호와 기 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축전지(3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낮으면,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를 동작하여 축전지(30)에서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디스플레이(100)에 전력사용불가를 표시하고, 축전지(3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외부 충전단자 스위치(90)를 동작하여 축전지(30)에서 외부 충전단자(7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디스플레이(100)에 축전지(30)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한편, 누전감지센서(19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스피커(200)를 작동하는 제어부(110)
    로 구성된 배전함(A),
    하측이 개구되어 좌우로 형성된 노출홀(121,121')과; 노출홀(121,121')의 상방에 구비되어 노출홀(121,121')과 연통되는 걸림홀(122,122') 및; 측방으로 개구되어 걸림홀(122,122')과 연통되는 고정홀(123,123')을 갖추고서, 본체(10)의 내부 하측 및 도어(20)의 내부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이드기구(120,120')와:
    상하로 개구된 삽입부나사홀(131a1,131a1')을 구비하여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걸림홀(122,1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31a,131a')와, 전방으로 개구된 조절체삽입홈(131b1,131b1'), 조절체삽입홈(131b1,131b1')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구비되어 조절체삽입홈(131b1,131b1')과 각각 연통되는 상하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3,131b2',131b3'), 상방으로 개구되고 상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2')과 연통되어 상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2')의 상방에 위치하는 커넥터삽입홈(131b4,131b4')을 구비하여,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상방에 위치하는 접속부(131b,131b')를 갖춘 이동체(131,131')와; 조절체나사홀(132a,132a')이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접속부(131b,131b')의 조절체삽입홈(131b1,131b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체(132,132') 및;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노출홀(121,121'), 이동체(131,131')의 삽입부나사홀(131a1,131a1'), 이동체(131,131')의 상하측접속부나사홀(131b2,131b3,131b2',131b3') 및 조절체(132,132')의 조절체나사홀(132a,132a')에 나사산 체결되어, 조절체(132,132')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하단이 도어(20) 하측 내면 및 본체(10) 하측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도전재질의 접속볼트(133,133')로 구성된 제1,2접속기구(130,130')와:
    제1,2가이드기구(120,120')의 고정홀(123,123')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나사산 체결되어, 제1,2접속기구(130,130')를 제1,2가이드기구(120,120')에 고정하는 고정기구(160,160')와;
    제1접속기구(130)의 커넥터삽입홈(131b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접속되는 제1커넥터(141)와; 제1커넥터(141)와 연결되어 일단이 본체(10)의 통과홀(11)을 통과하는 제1연결선(142)과; 제1연결선(142)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커넥터(143)와; 제2접속기구(130')의 커넥터삽입홈(131b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접속되는 제3커넥터(144)와; 제3커넥터(144)와 연결되어 일단이 도어(20)의 통과홀(21)을 통과하는 제2연결선(145) 및; 제2연결선(145)의 일단에 설치되어 제2커넥터(14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커넥터(146)를 갖추고서, 제1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와 제2접속기구(130')의 접속볼트(133')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기구(140) 및:
    본체(10)의 후측 내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속단자(151)와; 접속단자(1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단자(152a)를 갖추며, 본체(10)를 관통하여 접지되는 접지선(152)을 갖춘 접지부재(150)
    로 구성된 접지기구(B),
    후면에 설치홈(h)이 형성되어, 배전함(A)의 돌기(17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단자함.
KR1020180074818A 2018-06-28 2018-06-28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KR102070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18A KR102070673B1 (ko) 2018-06-28 2018-06-28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18A KR102070673B1 (ko) 2018-06-28 2018-06-28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20A true KR20200001820A (ko) 2020-01-07
KR102070673B1 KR102070673B1 (ko) 2020-01-29

Family

ID=6915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818A KR102070673B1 (ko) 2018-06-28 2018-06-28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6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132B1 (ko) * 2020-06-09 2020-11-11 아카데미정보통신(주) 배터리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관방송시스템
KR102188277B1 (ko) * 2020-05-12 2020-12-09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다수의 근거리 통신망 커넥팅 전용 허브의 커넥팅 어셈블리
CN112510527A (zh) * 2020-12-09 2021-03-16 芜湖金太阳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xl动力配电箱
KR102228409B1 (ko) *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KR102311202B1 (ko) *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CN115085030A (zh) * 2022-06-07 2022-09-20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明县供电公司 一种供电柜柜内环境监控设备
KR102521124B1 (ko) * 2022-03-25 2023-04-13 주식회사 서원전력 지중배전선 손상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접속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1864A (zh) * 2020-02-14 2020-06-19 上海度普新能源科技有限公司 门禁检测方法、装置以及系统
KR102279777B1 (ko) * 2020-11-13 2021-07-20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스위치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35B1 (ko) * 2007-06-19 2007-08-31 유환홍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KR20100032757A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하수 발전장치
KR100981644B1 (ko) 2009-05-20 2010-09-13 쌍용전장 주식회사 수배전반의 조명 구동 장치
KR101135859B1 (ko) * 2011-11-04 2012-04-16 배재환 비상조명을 갖는 가정용 분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35B1 (ko) * 2007-06-19 2007-08-31 유환홍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KR20100032757A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하수 발전장치
KR100981644B1 (ko) 2009-05-20 2010-09-13 쌍용전장 주식회사 수배전반의 조명 구동 장치
KR101135859B1 (ko) * 2011-11-04 2012-04-16 배재환 비상조명을 갖는 가정용 분전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277B1 (ko) * 2020-05-12 2020-12-09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다수의 근거리 통신망 커넥팅 전용 허브의 커넥팅 어셈블리
KR102228409B1 (ko) *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KR102177132B1 (ko) * 2020-06-09 2020-11-11 아카데미정보통신(주) 배터리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관방송시스템
CN112510527A (zh) * 2020-12-09 2021-03-16 芜湖金太阳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xl动力配电箱
KR102311202B1 (ko) *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KR102521124B1 (ko) * 2022-03-25 2023-04-13 주식회사 서원전력 지중배전선 손상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접속형 커넥터
CN115085030A (zh) * 2022-06-07 2022-09-20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明县供电公司 一种供电柜柜内环境监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673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673B1 (ko)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US6169340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auxiliary power
US20050236594A1 (en) Wireless remotely-operable utility flow-control valve and method
US20060037773A1 (en) Weatherproof electrical enclosure
US20100156182A1 (en) Garage door opener with secondary power source
KR101824100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경보시스템
KR102070674B1 (ko) 공동주택용 매립형스위치박스 기울기 교정장치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US6121897A (en) Dedicated transfer switch for a single electrical load, such as a traffic signal
US9413144B1 (en) Portable racking tool for electric equipment replacement
KR102104544B1 (ko)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US8591065B2 (en) Panel illumination system
KR20180061640A (ko) 콘센트형 전기차 충전기
KR101007520B1 (ko) 공동 주택용 배전반
US20090279217A1 (en) Building Service Ground Fault Interrupter
CN105375229A (zh) 配线管道连接装置
KR20190140183A (ko) 공동주택의 배전반 조명용 비상점등장치
KR101917229B1 (ko)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KR101901846B1 (ko) 소비전력 측정장치가 구비된 복합 콘센트 장치
WO2008135961A2 (en) Internal emergency light device and method
KR102056171B1 (ko)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KR20000000613U (ko) 유도등의 점검 스위치
US11309157B2 (en) “SAVUS” a simple, low cost emergency home power connection
JP2005524371A (ja) 分電盤
KR101966873B1 (ko) 매립형 도어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63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2

Effective date: 201912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