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435B1 -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 Google Patents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435B1
KR100754435B1 KR1020070059896A KR20070059896A KR100754435B1 KR 100754435 B1 KR100754435 B1 KR 100754435B1 KR 1020070059896 A KR1020070059896 A KR 1020070059896A KR 20070059896 A KR20070059896 A KR 20070059896A KR 100754435 B1 KR100754435 B1 KR 100754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ircuit
coil
cov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환홍
Original Assignee
유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환홍 filed Critical 유환홍
Priority to KR102007005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80)의 내부에 돌출부(81)가 형성되고; 실외전선(21)에 연결되고, 통전시 자화되는 제1코일(31)과, 자화된 제1코일(31)의 인력으로 이동되는 제1통전부재(32)와, 제1통전부재(32)를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 제1릴레이(30); 실외전선(21)의 단전으로 이동된 제1통전부재(32)에 의해 닫히고, 배전함에 설치되는 제1경고등(41)로 이루어진 제1회로(40); 실내전선(22)에 연결되고, 통전시 자화되는 제2코일(51)과, 자화된 제2코일(51)의 인력으로 이동되는 제2통전부재(52)와, 제2통전부재(52)를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53)으로 이루어진 제2릴레이(50); 실내전선(22)의 단전으로 이동된 제2통전부재(52)에 의해 닫히고, 배전함에 설치되는 제2경고등(61)으로 이루어진 제2회로(60); 제1회로(40)와 제2회로(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71a,71b)를 구비한 배터리케이스(71)와, 단자(71a,71b)와 접촉되는 접지단자(72a,72b)를 구비하고 케이스(10)를 폐구하는 커버(80)의 돌출부(81)에 밀려 단자(71a,71b)와 접지단자(72a,72b)가 이격되도록 배터리케이스(71)에 삽입되는 배터리(72)와, 배터리케이스(71) 내에 설치되어 배터리(72)를 탄발지지하는 제3스프링(74)과, 상기 돌출부(81)가 관통하는 개구부(73a)를 가지며 배터리(72)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배터리커버(73)로 이루어진 전원부(70)가 더 포함된 구조로, 배전함에 설치된 제1경고등(41) 및 제2경고등(61)을 확인하여, 정전 요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오인으로 인한 차단기(20)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관리가 용 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Distributing Board of Apartment House Provided With Easy Handl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에 설치된 전원부가 돌출부에 의해 통전되는 것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에 설치된 전원부가 차단된 것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의 설명 *
10:케이스, 11:수용부,
20:차단기, 21:실외전선,
22:실내전선, 30:제1릴레이,
31:제1코일, 32:제1통전부재,
33:제1스프링, 40:제1회로,
41:제1경고등, 50:제2릴레이,
51:제2코일, 52:제2통전부재,
53:제2스프링, 60:제2회로,
61:제2경고등, 70:전원부,
71:배터리케이스, 71a,71b:단자,
72:배터리, 72a,72b:접지단자,
73:배터리커버, 74:제3스프링,
80:커버, 81:돌출부,
ex:기타 제어함.
본 발명은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정전시에도 작동될 수 있도록 충전지를 전원으로 작동되는 램프가 배전함에 내설되어 정전 요인의 확인이 가능해지는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전함은 수용부에 주개폐기, 분기개폐기, 전력량계 및 누전차단기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모아 케이스에 내장하여, 실외전선을 통해 입력되는 220V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각 전기부하로 전원을 분산 공급하며, 과부하 차 단이나 누전방지 등을 위해 세대당 하나씩 주택의 벽면에 설치된다.
한편, 전력공급회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기시설공사등을 이유로 일시적으로 차단되거나, 과부하 또는 누전 등으로 인해 자체 시설에서 갑자기 차단기가 작동되어 전력공급이 중단되면 정전현상이 발생되는데, 전력기기의 사용이 일상화된 현대에 있어서, 정전현상이 발생되면 주택 내 모든 전력기기에 전력공급이 일시에 중단되어 큰 불편을 겪게 된다.
그런데, 전기시설공사등의 이유로 인한 정전인지, 차단기가 턴온 작동되어 발생되는 정전인지 그 요인을 알 수 없어 세대 내에서는 정전이 발생되면, 우선 차단기로 인한 정전으로 오인하여 차단기를 턴오프 시키곤 하였다. 게다가, 일반인은 차단기의 턴온과 턴오프 상태의 스위치 방향을 잘 몰라서, 몇 번이고 턴온과 턴오프를 반복하게 되는데, 이는 민감한 차단기가 손상되어 추후 누전 또는 과부하가 발생되어도,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정전시에도 작동될 수 있도록 충전지를 전원으로 작동되는 램프가 배전함에 내설되어 정전 요인의 확인이 가능해지는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와, 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전기가 유입되는 실외전선과 전기를 실내로 분전하는 실내전선이 연결되고 실내전선에 과전류 발생시 실외 전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수용부에 탑재되는 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전함에 있어서, 커버의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실외전선에 연결되고, 통전시 자화되는 제1코일과, 자화된 제1코일의 인력으로 이동되는 제1통전부재와, 제1통전부재를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1릴레이; 실외전선의 단전으로 이동된 제1통전부재에 의해 닫히고, 배전함에 설치되는 제1경고등로 이루어진 제1회로; 실내전선에 연결되고, 통전시 자화되는 제2코일과, 자화된 제2코일의 인력으로 이동되는 제2통전부재와, 제2통전부재를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2릴레이; 실내전선의 단전으로 이동된 제2통전부재에 의해 닫히고, 배전함에 설치되는 제2경고등으로 이루어진 제2회로; 제1회로와 제2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를 구비한 배터리케이스와, 단자와 접촉되는 접지단자를 구비하고 케이스를 폐구하는 커버의 돌출부에 밀려 단자와 접지단자가 이격되도록 배터리케이스에 삽입되는 배터리와, 배터리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탄발지지하는 제3스프링과,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배터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배터리커버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의 간략한 구성도이 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의 통전 및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수용부(11)를 갖는 케이스(10)와, 수용부(11)를 개폐하는 커버(80)와, 전기가 유입되는 실외전선(21)과 전기를 실내로 분전하는 실내전선(22)이 연결되고 실내전선(22)에 과전류 발생시 실외 전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수용부(11)에 탑재되는 차단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전함에 있어서, 커버(80)의 내부에 돌출부(81)가 형성되고; 실외전선(21)에 연결되고, 통전시 자화되는 제1코일(31)과, 자화된 제1코일(31)의 인력으로 이동되는 제1통전부재(32)와, 제1통전부재(32)를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 제1릴레이(30); 실외전선(21)의 단전으로 이동된 제1통전부재(32)에 의해 닫히고, 배전함에 설치되는 제1경고등(41)로 이루어진 제1회로(40); 실내전선(22)에 연결되고, 통전시 자화되는 제2코일(51)과, 자화된 제2코일(51)의 인력으로 이동되는 제2통전부재(52)와, 제2통전부재(52)를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53)으로 이루어진 제2릴레이(50); 실내전선(22)의 단전으로 이동된 제2통전부재(52)에 의해 닫히고, 배전함에 설치되는 제2경고등(61)으로 이루어진 제2회로(60); 제1회로(40)와 제2회로(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71a,71b)를 구비한 배터리케이스(71)와, 단자(71a,71b)와 접촉되는 접지단자(72a,72b)를 구비하고 케이스(10)를 폐구하는 커버(80)의 돌출부(81)에 밀려 단자(71a,71b)와 접지단자(72a,72b)가 이격되도록 배터리케이스(71)에 삽입되는 배터리(72)와, 배터리케이스(71) 내에 설치되어 배터리(72)를 탄발지지하는 제3스프링(74)과, 상기 돌출부(81)가 관통하는 개구부(73a)를 가지며 배터리(72)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배터리커버(73)로 이루어진 구 조이다.
상기 차단기(20)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외부전력을 실외전선(21)을 통해 인가받아, 실내의 각 전기부하로 연결된 실내전선(22)을 통해 분산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다른 두 금속을 붙여 놓아 열이 가해질 경우에 열팽창율이 작은 쪽으로 휘는 바이메탈 방식과, 차단기 내부의 전자석에 과다한 전류가 흐를 경우 자기력이 강해지면서 스위치를 열게 되는 전자석 방식이 있는데, 방식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며, 누전 전용의 누전차단기 및 과전류 및 누전차단 겸용의 누전차단기 등 차단기(20)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선을 통해 전력을 분산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다양한 차단기(20)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1릴레이(30)는, 실외전선(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통전시 자화되는 제1코일(31)과, 자화된 제1코일(31)의 인력으로 이동되는 제1통전부재(32)와, 제1통전부재(32)를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33) 및, 철심으로 형성되어 제1코일(31)이 자화되면 자석 성질을 띠는 제1전자석(34)으로 이루어져서, 통전되면 제1코일(31)에 유도전류가 형성되어 제1전자석(34)이 자성을 띠게 된다. 상기 제1통전부재(32)는 일종의 스위치와 같은 역할로서, 제1전자석(34)이 자성을 띠게 되면, 제1통전부재(32)는 자성에 의해 위로 끌어 당겨지게 된다.
상기 제1회로(40)는, 실외전선(21)의 단전되면, 즉, 정전되면 제1릴레이(30)의 제1코일(31)에 유도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1스프링(33)의 탄발력에 의해 끌어당겨진 제1통전부재(32)에 의해 닫히고, 이로 인해 회로에 전력이 공급되어 점등되는 제1경고등(41)이 배전함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릴레이(50)는, 실내전선(22)에 연결되고, 통전시 자화되는 제2코일(51)과, 자화된 제2코일(51)의 인력으로 이동되는 제2통전부재(52)와, 제2통전부재(52)를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53) 및, 철심으로 형성되어 제2코일(51)이 자화되면 자석 성질을 띄는 제2전자석(54)으로 이루어져서, 통전되면 제2코일(51)에 유도전류가 형성되어 제2전자석(54)이 자석 성질을 갖게 된다. 상기 제2통전부재(52)는 일종의 스위치와 같은 역할로서, 제2전자석(54)이 자성을 띄게 되면, 제2통전부재(52)는 자성에 의해 위로 끌어 당겨지게 된다.
상기 제2회로(60)는, 실내전선(22)의 단전으로 이동된 제2통전부재(52)에 의해 닫히고, 배전함에 설치되는 제2경고등(6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로(60)는, 실외전선(22)의 단전되면, 즉, 정전되면 제2릴레이(50)의 제2코일(51)에 유도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2스프링(53)의 탄발력에 의해 끌어당겨진 제2통전부재(52)에 의해 닫히고, 이로 인해 회로에 전력이 공급되어 점등되는 제2경고등(61)이 배전함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70)는, 제1회로(40)와 제2회로(60)에 전력을 공급하며, 단자(71a,71b)들이 설치된 배터리케이스(71)와, 배터리케이스(71)에 삽입되며, 접지단자(72a,72b)들이 형성된 배터리(72)와, 상면의 일부에 개구부(73a)를 갖으며, 단자(71a,71b)들이 설 배터리케이스(71)를 개폐하는 배터리커버(73)와, 배터리케이스(71) 하부에 설치되어 배터리(72)를 탄발지지하는 제3스프링(74)으로 이루어진 전원부(70)가 더 포함되어, 케이스(10)에 커버(80)가 닫히면, 돌출부(81)에 의해 배터리(72)가 하부로 수직이동되어 배터리(72)의 접지단자(72a,72b)들과 배터리케이스(71)의 단자(71a,71b)들이 상호 단전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72)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상용 배터리(72)가 적용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배전함에 설치되는 주개폐기, 분기개폐기 및 전력량계 등 차단기를 제외한 기타 제어회로는 기타 제어함(ex)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배전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의 작동상태를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력의 정상 공급시에는 상기 제1릴레이(30)의 제1코일(31)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하면, 제1전자석(34)이 자성을 갖게 되어 제1통전부재(32)가 제1전자석(34)에 끌려 제1회로(40)는 열린 상태가 되어 제1경고등(41)은 점등되지 않는다. 상기 제2릴레이(50)의 제2코일(51)의해 유도전류가 발생하면, 제2전자석(54)이 자성을 갖게 되어 제2통전부재(52)가 제2전자석(54)에 끌려 제2회로(60) 또한 열린 상태가 되어 제2경고등(61)도 점등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 실외전선(2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제1릴레이(30)의 제1코일(31)을 통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1전자석(34)은 자성을 띄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1통전부재(34)는 제1스프링(33)에 의해 끌려서 제1회로(40)를 닫히게 하고, 배터리(70)로 전력을 공급받아 제1경고등(41)이 점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전선(2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실내전선(22)에도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제2릴레이(50)의 제2코일(51)을 통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지 않아, 제2전자석(54)은 자성을 띄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2통전부재(54)는 제2스프링(53)의 탄발력에 의해 끌어 당겨져서 제2회로(60)를 닫히게 하고, 전원부(7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2경고등(61)도 점등된다. 즉, 상기 제1경고등(41) 및 제2경고등(61)이 동시에 점등되어, 실외전선(21)을 통해 인입되는 전력 자체로 인한 정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전선(2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정상이나, 누전 또는 과부하 등의 요인으로 차단기(20)에 의해 정전이 되는 경우에는, 제2릴레이(50)의 제2코일(51)을 통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2전자석(54)은 자성을 띄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2통전부재(54)는 제2스프링(53)의 탄발력에 의해 끌어 당겨져서 제2회로(60)를 닫히게 하고, 전원부(70)로 전력을 공급받아 제2경고등(61)만 점등되어, 차단기(20)가 작동되어 발생한 정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차단기(20)를 턴오프 시켜 정전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80)가 폐구 된 경우에는, 돌출부(81)가 배터리(72)에 외력을 가하게 되어 배터리(72)의 단자(72a,72b)와 배터리케이스(71)의 단자(71a,71b)가 이격되어 상호 접촉되지 않으므로, 제1경고등(41) 및 제2경고등(61)은 정전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점등되어 있지 않는다. 그리고,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커버(80)를 열게 되면, 배터리(72)가 돌출부(81)에 의한 외력을 받게 되지 않게 되며, 배터리케이스(71) 내에 설치되어 배터리(72)를 탄발지지하는 제3스프링(74)에 의해 배터리(72)가 이동되어 배터리(72)의 단자(72a,72b)와 배터리케이스(71)의 단자(71a,71b)가 상호 접속되어 통전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 여, 정전이 되어도 제1경고등(41) 및 제2경고등(61)은 배전함의 커버(80)를 여는 경우에만 점등되므로, 배터리(72)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부(70)를 중심으로 제1회로(40) 및 제2회로(60)가 병렬로 연결되었지만, 병렬로 연결하지 않고 필요에 의해 회로별로 전원부(70)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전력을 독립적으로 공급하게 되면, 정전의 요인에 따라 실외전선(21)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에 문제가 발생되어 발생하는 정전에는 제1경고등(41)에만 점등되고, 차단기(20)를 거쳐 실내전선(22)을 통해 실내로 분산되는 전력에 문제가 발생되면 제2경고등(61)만 점등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함에 설치된 제1경고등(41) 및 제2경고등(61)을 확인하여, 정전 요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오인으로 인한 차단기(20)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용부(11)를 갖는 케이스(10)와, 수용부(11)를 개폐하는 커버(80)와, 전기가 유입되는 실외전선(21)과 전기를 실내로 분전하는 실내전선(22)이 연결되고 실내전선(22)에 과전류 발생시 실외 전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수용부(11)에 탑재되는 차단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80)의 내부에 돌출부(81)가 형성되고;
    상기 실외전선(21)에 연결되고, 통전시 자화되는 제1코일(31)과, 자화된 제1코일(31)의 인력으로 이동되는 제1통전부재(32)와, 제1통전부재(32)를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 제1릴레이(30);
    상기 실외전선(21)의 단전으로 이동된 제1통전부재(32)에 의해 닫히고, 배전함에 설치되는 제1경고등(41)로 이루어진 제1회로(40);
    상기 실내전선(22)에 연결되고, 통전시 자화되는 제2코일(51)과, 자화된 제2코일(51)의 인력으로 이동되는 제2통전부재(52)와, 제2통전부재(52)를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53)으로 이루어진 제2릴레이(50);
    상기 실내전선(22)의 단전으로 이동된 제2통전부재(52)에 의해 닫히고, 배전함에 설치되는 제2경고등(61)으로 이루어진 제2회로(60);
    상기 제1회로(40)와 제2회로(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71a,71b)를 구비한 배터리케이스(71)와, 단자(71a,71b)와 접촉되는 접지단자(72a,72b)를 구비하고 케이스(10)를 폐구하는 커버(80)의 돌출부(81)에 밀려 단자(71a,71b)와 접지단자(72a,72b)가 이격되도록 배터리케이스(71)에 삽입되는 배터리(72)와, 배터리케이스(71) 내에 설치되어 배터리(72)를 탄발지지하는 제3스프링(74)과, 상기 돌출부(81)가 관통하는 개구부(73a)를 가지며 배터리(72)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배터리커버(73)로 이루어진 전원부(70)가 더 포함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KR1020070059896A 2007-06-19 2007-06-19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KR10075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896A KR100754435B1 (ko) 2007-06-19 2007-06-19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896A KR100754435B1 (ko) 2007-06-19 2007-06-19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435B1 true KR100754435B1 (ko) 2007-08-31

Family

ID=3861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896A KR100754435B1 (ko) 2007-06-19 2007-06-19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4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2588A (zh) * 2012-09-25 2012-12-19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及其高压安全防护系统
KR20200001236A (ko)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KR20200001820A (ko) *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KR20200004085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매립형스위치박스 기울기 교정장치
KR102086744B1 (ko) 2019-05-10 2020-03-09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전기의 외벽 배전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7846A (ja) * 1992-09-10 1994-04-08 Asahi Chem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7846A (ja) * 1992-09-10 1994-04-08 Asahi Chem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697846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2588A (zh) * 2012-09-25 2012-12-19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及其高压安全防护系统
CN102832588B (zh) * 2012-09-25 2015-12-16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及其高压安全防护系统
KR20200001236A (ko)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KR102104544B1 (ko) * 2018-06-27 2020-04-27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KR20200001820A (ko) *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KR102070673B1 (ko) * 2018-06-28 2020-01-29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KR20200004085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매립형스위치박스 기울기 교정장치
KR102070674B1 (ko) * 2018-07-03 2020-01-29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매립형스위치박스 기울기 교정장치
KR102086744B1 (ko) 2019-05-10 2020-03-09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전기의 외벽 배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4528B (zh) 直流支路保护装置
KR100754435B1 (ko)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US8279574B2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US20080179958A1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 Monitor Mode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BRPI1011450B1 (pt) contatores elétricos, incluindo de dois polos, e conjunto de contatos móveis
CN104934267B (zh) 塑壳式断路器
KR102086744B1 (ko)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전기의 외벽 배전함
KR20200127612A (ko) 배전반, 무정전 전원장치(ups), 버스덕트의 셀프 냉각 장치
CN108061838B (zh) 一种保证用户正常用电的漏电测试方法
US20080179967A1 (en) Transfer Switch With Generator Runtime Counter
CN108321048B (zh) 用于在费控断路器上加装微型电表的装置
KR102213568B1 (ko) 벽체에 매설되는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분전함
KR100767819B1 (ko) 정전 확인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분전반
AU2010245752B2 (en) Magnetic latching actuator
KR920009353B1 (ko) 전자접촉기를 사용하는 설비의 제어시스템
CN101820164A (zh) 漏电检测模块以及具有漏电检测模块的漏电保护断路器
CN106410741B (zh) 一种万能式断路器的自送电装置
JP2018186654A (ja) 電路遮断装置及び電路遮断装置収納箱
US9705358B2 (en) Panel board emergency lighting system
KR20120077142A (ko) 전자석 엑츄레이터를 탑재한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CN207651433U (zh) 一种智能漏电保护开关
CN211508086U (zh) 一种故障自动保护的智能插座
CN209843606U (zh) 一种双位置继电器的电路结构
KR101020446B1 (ko) 터치 스위치
CN214588642U (zh) 一种智能熔断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