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54U -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 Google Patents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54U
KR20200001754U KR2020190000424U KR20190000424U KR20200001754U KR 20200001754 U KR20200001754 U KR 20200001754U KR 2020190000424 U KR2020190000424 U KR 2020190000424U KR 20190000424 U KR20190000424 U KR 20190000424U KR 20200001754 U KR20200001754 U KR 202000017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mask
fusion
band body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305Y1 (ko
Inventor
김희문
Original Assignee
(주)파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인텍 filed Critical (주)파인텍
Priority to KR2020190000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0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마스크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마스크본체의 일면에 포개진 상태로 부착되는, 마감부재와, 일부가 상기 마감부재와 상기 마스크본체 사이에 내장됨으로써 상기 마스크본체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걸이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밴드는, 소정 길이의 탄성 재질의 줄로 마련된 밴드본체와,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1 융착면이 마련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2 융착면이 마련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융착면과 상기 제2 융착면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녹아서 서로 융착 접합되어, 상기 밴드본체를 고리 형태로 형성한다.

Description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HANGING BAND AND MASK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접합부가 견고하게 접합된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밴드는 고리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신축성 줄의 양단부를 접합할 때,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매듭을 형성하여 연결하였다. 또는 별도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성형물을 이용하여 신축성 줄의 양단부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종래 방식에 의하는 경우 접합부분의 접합 강도가 약해서 머리끈이나 마스크의 걸이밴드 등으로 사용할 때,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매듭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성형물을 이용하여 양단부를 연결하는 경우, 접합부분이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분이 깔끔하면서 견고하게 접합되어 쉽게 끊어지지 않는 밴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밴드본체의 양단부가 접합되어 접합된 부분의 접합력을 높여서 마스크를 사용할 때 접합된 부분이 끊어져서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는, 소정 길이의 탄성 재질의 줄로 마련된 밴드본체와,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1 융착면이 마련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2 융착면이 마련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융착면과 상기 제2 융착면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녹아서 서로 융착 접합되어, 상기 밴드본체를 고리 형태로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마스크본체의 일면에 포개진 상태로 부착되는, 마감부재와, 일부가 상기 마감부재와 상기 마스크본체 사이에 내장됨으로써 상기 마스크본체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걸이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밴드는, 소정 길이의 탄성 재질의 줄로 마련된 밴드본체와,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1 융착면이 마련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2 융착면이 마련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융착면과 상기 제2 융착면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녹아서 서로 융착 접합되어, 상기 밴드본체를 고리 형태로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는 융착에 의해 밴드본체의 양단부가 접합되어 접합된 부분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마스크를 사용할 때 접합된 부분이 끊어져서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밴드본체의 양단부를 융착에 의해 접합하므로 밴드본체의 양단부가 깔끔하게 접합되어 미관상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밴드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인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고안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100)는, 밴드본체(110)와 제1 단부(120) 및 제2 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본체(110)는 소정 길이의 탄성 재질의 줄로 마련된다. 그리고 제1 단부(120)는 밴드본체(11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1 융착면이 마련된다. 제2 단부(130)는 밴드본체(110)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2 융착면이 마련된다.
또한,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는, 제1 융착면과 제2 융착면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녹아서 서로 융착 접합되어, 밴드본체(110)를 고리(R) 형태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100)는 융착에 의해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가 접합되므로 밴드본체(110)의 양단부가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100)는 마스크(10) 등의 다목적으로 사용 시에 접합부분이 끊어져서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밴드본체(110)의 양단부를 융착에 의해 접합하므로 접합부분이 돌출되지 않아서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걸이밴드(100)가 마스크(10)에 적용된 일례를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100)는 마스크(10)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리(R) 형태의 탄성을 가진 밴드가 사용되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10)는 마스크본체(11)와 마감부재(20)와 걸이밴드(100)를 포함한다.
마스크본체(11)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감부재(20)는 마스크본체(11)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마련되고, 기 마스크본체(11)의 일면에 포개진 상태로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마감부재(20)는 연결부(22)와 부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2)는 마스크본체(11)와 마감부재(20)가 연장되어 연결되는 부분이다. 부착부(23)는 마감부재(20)와 마스크본체(11)가 포개진 상태에서 부착되는 부분이다. 연결부(22)와 부착부(23) 사이에는 걸이밴드(100)가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2)를 형성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고, 일례로 열융착이나 초음파융착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걸이밴드(100)는 일부가 마감부재(20)와 마스크본체(11) 사이에 내장됨으로써 마스크본체(11)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걸림부(101)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부(101)는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이밴드(100)는, 밴드본체(110)와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본체(110)는 소정 길이의 탄성 재질의 줄로 마련된다. 밴드본체(110)는 걸이밴드(100)의 몸체가 되며, 탄성 재질의 줄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마련할 수 있다. 밴드본체(110)의 재질은 나일론과 스판덱스를 직조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밴드본체(110)의 탄성 재질이면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단부(120)는 밴드본체(11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1 융착면이 마련된다. 제2 단부(130)는 밴드본체(110)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2 융착면이 마련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는, 제1 융착면과 제2 융착면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녹아서 서로 융착 접합되어, 밴드본체(110)를 고리(R) 형태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100)는 양단부의 측면이 서로 융착됨으로써 양단부가 접합되어 고리(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융착은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접 열을 가하거나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밴드본체(110)를 녹여서 제1 융착면과 제2 융착면이 접합시킬 수 있다.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의 융착 접합된 부분은 열에 의해 녹아서 융착되어 접합되므로, 밴드본체(1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고 강도가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100)는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가 융착에 의해 접합되므로 양단부가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10)를 사용 시에 걸이밴드(100)의 접합된 단부가 쉽게 끊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융착에 의해 접합되므로 접합부분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융착면과 제2 융착면은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의 끝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본체(110)는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의 끝단을 포함한 영역을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하여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합 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접합부분이 돌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1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1 및 제2 실시예는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의 중첩 형태에 있어 차이가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밴드본체(110)에서 제1 단부(120)의 끝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Ⅰ)이라 하고, 밴드본체(110)에서 제2 단부(130)의 끝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을 제2 방향(Ⅱ)이라 한다.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1 방향(Ⅰ)과 제2 방향(Ⅱ)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융착면과 제2 융착면은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걸이밴드(100)의 양단부를 견고하게 접합함과 동시에, 접합된 부분이 돌출되는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미관상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1 방향(Ⅰ)과 제2 방향(Ⅱ)이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융착면과 제2 융착면은 서로 접합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걸이밴드(100)의 양단부를 견고하게 접합함과 동시에, 걸이밴드(100)를 마스크(10)에 적용 시에 길이 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인출부(102)를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모두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의 끝단까지 융착시켜서 접합할 수 있다.
한편 마감부재(20)는, 마스크본체(11)와의 사이 공간과 연통되게 관통된 요홈(2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걸이밴드(100)는, 요홈(24)을 통해 인출되는 인출부(102)를 더 포함하고, 인출부(102)를 당겨서 걸림부(10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홈(24)은 마감부재(20)를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요홈(24)을 절개 형성할 때 절개된 부분은,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할 때 잡고 안면에 밀착시키는 손잡이부(25)가 될 수 있다.
인출부(102)는 걸림부(101)에 연장되되, 요홈(24)을 통해 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인출부(102)를 당겨서 걸림부(10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마스크본체(11)를 얼굴에 맞게 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출부(102)는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가 접합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가 접합된 부분을 잡고 당겨서 걸림부(10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길이 조절 시에 접합된 부분이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접합된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이 요홈(24)을 통해 인출되는 경우, 사용자가 인출된 부분을 잡고 당길 때 접합된 부분이 끊어질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접합된 부분이 인출부(102)에 포함되게 하여 사용자가 인출된 부분을 잡고 당기게 유도함으로써, 걸림부(101)의 길이 조절 시에 당김 동작에 의해 걸이밴드(100)가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는 융착에 의해 밴드본체의 양단부가 접합되어 접합된 부분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마스크를 사용할 때 접합된 부분이 끊어져서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밴드본체의 양단부를 융착에 의해 접합하므로 밴드본체의 양단부가 깔끔하게 접합되어 미관상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마스크 11: 마스크본체
20: 마감부재 22: 연결부
23: 부착부 24: 요홈
25: 손잡이부 100: 걸이밴드
101: 걸이부 102: 인출부
110: 밴드본체 120: 제1 단부
130: 제2 단부 R: 고리
Ⅰ: 제1 방향 Ⅱ: 제2 방향

Claims (8)

  1. 소정 길이의 탄성 재질의 줄로 마련된 밴드본체;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1 융착면이 마련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2 융착면이 마련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융착면과 상기 제2 융착면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녹아서 서로 융착 접합되어, 상기 밴드본체를 고리 형태로 형성하는, 걸이밴드.
  2.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마스크본체의 일면에 포개진 상태로 부착되는, 마감부재;
    일부가 상기 마감부재와 상기 마스크본체 사이에 내장됨으로써 상기 마스크본체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걸이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밴드는,
    소정 길이의 탄성 재질의 줄로 마련된 밴드본체;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1 융착면이 마련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측면 중 일부에 제2 융착면이 마련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융착면과 상기 제2 융착면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녹아서 서로 융착 접합되어, 상기 밴드본체를 고리 형태로 형성하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융착면과 상기 제2 융착면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의 끝단까지 연장되는, 마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에서 상기 제1 단부의 끝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밴드본체에서 상기 제2 단부의 끝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융착면과 상기 제2 융착면은 서로 접합되는, 마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에서 상기 제1 단부의 끝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밴드본체에서 상기 제2 단부의 끝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융착면과 상기 제2 융착면은 서로 접합되는, 마스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융착면과 상기 제2 융착면은, 열융착 또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마스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마스크본체와의 사이 공간과 연통되게 관통된 요홈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밴드는, 상기 요홈을 통해 인출되는 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를 당겨서 상기 걸림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가 접합된 부분을 포함하는, 마스크.
KR2020190000424U 2019-01-29 2019-01-29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200494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24U KR200494305Y1 (ko) 2019-01-29 2019-01-29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24U KR200494305Y1 (ko) 2019-01-29 2019-01-29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54U true KR20200001754U (ko) 2020-08-06
KR200494305Y1 KR200494305Y1 (ko) 2021-09-13

Family

ID=7203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24U KR200494305Y1 (ko) 2019-01-29 2019-01-29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145A (ko) 2020-10-22 2022-04-29 다나제약 주식회사 다용도 마스크 스트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10Y1 (ko) * 2009-02-05 2009-10-08 주식회사 해밀유역 탄성 필름을 이용한 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
KR101893781B1 (ko) * 2017-10-23 2018-08-31 이상호 끈 조절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10Y1 (ko) * 2009-02-05 2009-10-08 주식회사 해밀유역 탄성 필름을 이용한 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
KR101893781B1 (ko) * 2017-10-23 2018-08-31 이상호 끈 조절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145A (ko) 2020-10-22 2022-04-29 다나제약 주식회사 다용도 마스크 스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305Y1 (ko)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6688B2 (ja) バッグの提げ手の構造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101131866B1 (ko) 마스크
EP2484235A1 (en) Mask
KR20200001754U (ko) 걸이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20170119999A (ko) 걸이끈과 마스크의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조립되는 마스크
JP2006509112A (ja) ブラジャー
KR102318968B1 (ko) 마스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KR200494077Y1 (ko) 탄성밴드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20190083896A (ko) 입체 마스크
JP6512524B2 (ja) 密着包部を備える3面折り畳み式マスクの製造方法
JP3117487U (ja) 使い捨てマスク
JP5074746B2 (ja) 使い捨て衛生マスク
JP2013176680A (ja) 衛生マスク
KR102323618B1 (ko) 마스크의 걸이끈 조절 기구
KR20110072612A (ko) 마스크
KR20130081693A (ko) 부착식 넥타이
KR100923305B1 (ko) 붙임머리
WO2019176394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CN206812031U (zh) 收纳壳
JP5901899B2 (ja) マスク
JPH0436647Y2 (ko)
KR102554259B1 (ko) 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CN212938042U (zh) 口罩挂绳的长度可调节结构及口罩
JP3243472U (ja) 装飾用の蝶結び
CN217436498U (zh) 一种礼品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