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67U -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67U
KR20200001667U KR2020190000263U KR20190000263U KR20200001667U KR 20200001667 U KR20200001667 U KR 20200001667U KR 2020190000263 U KR2020190000263 U KR 2020190000263U KR 20190000263 U KR20190000263 U KR 20190000263U KR 20200001667 U KR20200001667 U KR 202000016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ire
cover
cover device
clearance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610Y1 (ko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2020190000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1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21V15/015Device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adjacent lighting devices; End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는,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부 및 하단부 소정의 영역이 상기 중공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에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등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Lighting device Clearance cover device}
본 고안은,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장이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등기구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몸체부를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에 의한 광의 조사 방향이 조절되기 위해서는 몸체부가 틸팅 가능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몸체부가 적어도 일측이 고정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틸팅되기 위해서는 몸체부와 고정부 사이에 일정한 공간(틈새)이 필요하다.
그런데, 등기구가 천장이나 벽체에 매립된 상태에서 등기구의 조작 시 또는 천장 진동 시 상술한 공간을 통해 먼지가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4437호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부와 고정부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는 틈새 커버 장치를 구비하여, 틈새를 통한 먼지의 낙하를 방지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는,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부 및 하단부 소정의 영역이 상기 중공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에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등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대체로 상협하광의 나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평면에 펼친 상태에서 둘레의 일부가 절개된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개된 영역과 인접한 양 단부에는 각각 제1슬릿 및 제2슬릿이 배치되고, 상기 제1슬릿이 형성되는 영역의 표면에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슬릿 및 상기 제2슬릿이 서로 포개지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부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나팔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지지부는 복수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연질의 오링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오링을 통해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의 끝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에 각각 탄력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부를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메쉬 형상의 방진망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는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몸체부와 고정부 사이의 틈새를 커버함으로써 먼지의 낙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가 장착되기 전의 등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장착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가 등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가 등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가 등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가 등기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몸체부의 틸팅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등기구의 몸체부가 배치되는 방향을 상방 또는 상측으로 설명할 수 있고, 몸체부에 대해 고정부가 배치되는 방향 또는 몸체부의 발광부에 의해 대체로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하방 또는 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가 장착되기 전의 등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 장착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가 등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가 등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가 등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가 등기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몸체부(10)의 틸팅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는,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부(20) 및 하단부 소정의 영역이 상기 중공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0)에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몸체부(10)를 포함하는 등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20)와 상기 몸체부(1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70)를 커버하는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몸체부(10)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지 않는 영역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게 배치됨으로써, 몸체부(10)와 고정부(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70)를 커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부의 재질은 메쉬 형상의 방진망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성형이 용이하고, 먼지의 포집에 유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천장 또는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형 등기구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가 장착되는 매립형 등기구는, 상하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대체로 원통 형상의 고정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엘이디(led)등 발광부(50)를 구비하는 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대체로 원통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부(50)는 몸체부(10)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발광부(50)를 포함하는 몸체부(10)의 하단부의 소정의 구간이 고정부(20)의 중공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의 외주면 적어도 일측이 고정부(20)의 중공의 내주면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의 일부 구간이 고정부(20)에 수용된 상태에서, 틸팅됨으로써 발광부(50)에서 조사되는 광의 조사 방향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몸체부(10)의 직경은 고정부(20)의 중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몸체부(10)가 틸팅될 수 있는 틈새(7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틈새(70)는 몸체부(10)의 외주면과 고정부(2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고정부(2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천장 또는 벽체에 대하여 고정부(20)를 탄력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가 반경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매립형 등기구(1)는 다운 라이트(down light) 방식의 등기구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커버부(110)가 상기 몸체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대체로 상협하광의 나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나팔 형상의 커버부(11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조립 및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커버부(110)를 평면으로 펼친 상태에서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커버부(110)는 평면에 펼친 상태에서 둘레의 일부가 절개된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된 영역과 인접한 양 단부에는 각각 제1슬릿(142) 및 제2슬릿(14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슬릿(142) 및 제2슬릿(141)은 각각 양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평면으로 펼쳤을 때, 제1슬릿(142)은 환형의 커버부(110)의 외주로부터 내주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2슬릿(141)은 이와 반대로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3에서와 같이, 제1슬릿(142)과 제2슬릿(141)을 결합시킴으로써 나팔형상이 쉽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슬릿(142)과 단부 사이의 커버부(110) 표면에는 접착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110)는 상기 제1슬릿(142) 및 상기 제2슬릿(141)이 서로 포개지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부(130)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나팔 형상이 고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12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환형 형상의 커버부(110)의 내주를 따라 형성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120)는 복수의 절개부(123)를 포함하여 용이하게 몸체부(10)의 둘레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120)의 내측면에는 우레탄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의 외주면과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 역시 직경이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나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210)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연질의 오링(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10)는 상기 오링(270)을 통해 상기 고정부(20)에 배치되는 결합부재(30)의 끝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쉬형상의 방진망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단부를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연질의 오링(270)으로 잡아줄 수 있다. 또한, 고정부(20)를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부재(30)를 움직이는 경우 결합부재(30)의 끝단에 체결되는 오링(270)에 의해 커버부(210)의 하단부가 결합부재(30)와 함께 움직일 수 있어서, 틈새(70)를 안정적으로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 및 제4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틈새(70) 커버 장치를 설명한다. 제3 및 제4실시예에서는 커버부(310,4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커버부(310,410)의 하단부를 상기 고정부(2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밀착시키는 제2지지부(370,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도 6(a)에서와 같이 제1지지부(320) 및 제2지지부(370)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커버부(310)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상기 몸체부(10) 및 상기 고정부(20)에 각각 탄력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틈새(70)를 더욱 안정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부(310)는 메쉬형상의 방진망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도 6(b)와 같이 몸체부(10)가 틸팅되는 경우에도, 능동적으로 틸팅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부(310)의 일측에는 결합부재(3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41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자바라 구조로 형4성될 수 있다. 다만, 제4 실시예에서는 절곡부의 형성을 위해 커버부(410)를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커버부의 일측에는 결합부재(3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1)의 둘레에 커버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등기구(1)의 몸체부(10)가 틸팅되는 경우에도 몸체부(10)의 움직임에 대해 커버부(410)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틈새(70)를 안정적으로 커버함으로써 먼지가 틈새(70)를 통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0)가 고정부(20)에 대해 틸팅되는 경우, 몸체부(10)의 외주면과 고정부(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틈새(70)가 형성되는데,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가 고정부(20)의 내측에 수용되는 영역보다 위에 제1지지부를 통해 원통 형상의 커버부의 상단부를 밀착시킴으로써 틈새(70)를 통해 먼지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쉬형상의 방진방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의 자바라 구조를 통해 커버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몸체부(10)가 용이하게 틸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단부에 연질의 오링(270)을 배치하여, 커버부의 형태를 고정시키고, 결합부재(30)의 움직임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고정부(2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등기구
10: 몸체부
20: 고정부
30: 결합부재
50: 발광부
70: 틈새
110,210,310,410: 커버부
120,220,320,420: 제1지지부
123: 절개부
130: 접착부
141: 제2슬릿
142: 제1슬릿
270: 오링
370,470: 제2지지부

Claims (9)

  1.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부 및 하단부 소정의 영역이 상기 중공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에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등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대체로 상협하광의 나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평면에 펼친 상태에서 둘레의 일부가 절개된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개된 영역과 인접한 양 단부에는 각각 제1슬릿 및 제2슬릿이 배치되고, 상기 제1슬릿이 형성되는 영역의 표면에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슬릿 및 상기 제2슬릿이 서로 포개지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부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나팔 형상이 형성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복수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연질의 오링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오링을 통해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의 끝단부에 체결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에 각각 탄력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메쉬 형상의 방진망 재질을 포함하는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KR2020190000263U 2019-01-18 2019-01-18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KR200494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63U KR200494610Y1 (ko) 2019-01-18 2019-01-18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63U KR200494610Y1 (ko) 2019-01-18 2019-01-18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67U true KR20200001667U (ko) 2020-07-28
KR200494610Y1 KR200494610Y1 (ko) 2021-11-16

Family

ID=7183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263U KR200494610Y1 (ko) 2019-01-18 2019-01-18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1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437Y1 (ko) 2004-07-14 2004-10-11 김경철 램프 이탈방지 매립 등기구
JP2007239970A (ja) * 2006-03-13 2007-09-20 Somic Ishikawa Inc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KR20130019190A (ko) * 2011-08-16 2013-02-26 주식회사 잉크테크 반사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JP2016126836A (ja) * 2014-12-26 2016-07-1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KR20170116677A (ko) * 2016-04-12 2017-10-20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Led 히트 싱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437Y1 (ko) 2004-07-14 2004-10-11 김경철 램프 이탈방지 매립 등기구
JP2007239970A (ja) * 2006-03-13 2007-09-20 Somic Ishikawa Inc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KR20130019190A (ko) * 2011-08-16 2013-02-26 주식회사 잉크테크 반사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JP2016126836A (ja) * 2014-12-26 2016-07-1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KR20170116677A (ko) * 2016-04-12 2017-10-20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Led 히트 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610Y1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234B1 (en) LED and fiber optic ring pathway light
US8328395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luminous flux control member
JP4655952B2 (ja) 照明器具
US20120140489A1 (en) Illumination Device with a Lamp Cap Capable of Dissipating Heat and Spreading Light
JP3813509B2 (ja) レンズ一体型発光素子及び航空障害灯
WO2004042428A3 (en) Omni-directional imaging and illumination assembly
US9714763B1 (en) Lamp assembly and lamp device having the same
US20110303124A1 (en) Table assembly including an electric illuminating device
KR20200001667U (ko) 등기구 틈새 커버 장치
US9295921B2 (en) Toy and module therefor
KR20200117655A (ko) 조명 장치
JP6344719B2 (ja) 照明器具
CN109716020A (zh) 具有可释放地连接的遮罩的照明装置
WO2019167341A1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6152749B2 (ja) 照明器具、およびグローブ枠
JP6516137B2 (ja) 照明器具
ES2236405T3 (es) Sensor de interiores con adaptador de montaje.
US10895356B2 (en) Downlight apparatus
JP2021082520A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JP6824054B2 (ja) 照明器具
JP2019008891A (ja) Led照明装置
JP4445897B2 (ja) フード付き燭台
US20230254616A1 (en) Speaker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JP5521335B2 (ja) 照明付浴槽装置および照明付浴槽装置の組立方法
JP6613574B2 (ja) 光源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