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58U -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58U
KR20200001658U KR2020190000253U KR20190000253U KR20200001658U KR 20200001658 U KR20200001658 U KR 20200001658U KR 2020190000253 U KR2020190000253 U KR 2020190000253U KR 20190000253 U KR20190000253 U KR 20190000253U KR 20200001658 U KR20200001658 U KR 202000016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olding door
housing
shaf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784Y1 (ko
Inventor
최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도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도어
Priority to KR2020190000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8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1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8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olding wings, e.g.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단위도어(2)로 이루어진 폴딩도어의 단위도어(2)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3) 일측면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핸들(4); 수직으로 승강하는 상부록크부재(6a) 및 하부록크부재(6b)로 구성되어 도어프레임(3) 내부에 설치되는 록킹수단(6); 핸들(4)과 샤프트(5)로 연결되고, 상하부에 록킹수단(6)이 결합되어, 핸들(4)의 회전 작동을 록킹수단(6)의 승강 작동으로 변환하도록 도어프레임(3)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딩도어 핸들장치에 있어서,
기어박스(10)는, 도어프레임(3)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01); 일단부가 상부록크부재(6a)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래크기어(102a)가 형성되어 하우징(101)의 상부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 상부슬라이더(102); 일단부가 하부록크부재(6b)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래크기어(102a)가 형성되어 하우징(101)의 하부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 하부슬라이더(103); 하우징(101)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양측에 상, 하부슬라이더(103)의 래크기어(102a)가 각각 치합되고, 중심부에는 샤프트(5)가 결합되는 결합공(104a)을 구비한 피니언기어(104); 일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한 샤프트(5)에 압력을 제공하여 샤프트(5)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가압수단(105); 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압수단을 통해 핸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잠금 상태의 설정과 해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핸들의 탄력적인 회전을 통해 우수한 작동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Gearboxes for folding door of handle devices}
본 고안은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수단을 통해 핸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잠금 상태의 설정과 해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핸들의 탄력적인 회전을 통해 우수한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게 한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기존의 회전식 내지는 미닫이식 도어에 비하여 개방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개방감과 시야가 우수하여 전시 기능이 필요한 의류점이나, 내부 공간의 개방성을 고려한 레스토랑 등을 위한 상가 건물에 주로 사용되며, 근래에는 일반 주택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딩도어는 다수의 단위도어가 경첩에 의해 연결되고, 가이드롤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병풍식으로 접혔다 펼치는 방식으로 개폐되게 한 것으로서, 개폐작동의 편의성을 위하여 핸들장치가 구비된다.
핸들장치는 단위도어 내부에 구비된 록킹수단과 연계되어 록킹수단을 조작함과 더불어 단위도어를 이끌어서 움직이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핸들, 단위도어의 잠금 수행을 위한 록킹수단, 핸들과 록킹수단을 연결함으로써 핸들의 작동에 의해 록킹수단이 작동되게 하는 기어박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핸들장치의 핸들을 돌리면,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된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작동에 의해 록킹수단을 구성하는 상부록크부재와 하부록크부재가 직선 이동되어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한다.
그런데 종래의 핸들장치는 기어박스 내부에 핸들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가 없어 핸들을 돌린 후 손을 떼면 핸들이 원상태로 복귀될 우려가 있고, 폴딩도어가 잠금이 해제된 상태 또는 잠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핸들장치는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된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작동 시, 탄력적인 작동감을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 간 유격에 의해 핸들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핸들 회전부의 마모와 잦은 고장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75113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핸들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가 설정되고, 핸들을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잠금 상태의 설정과 해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핸들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가압수단에 의해 핸들이 탄력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작동감이 우수한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는, 다수의 단위도어(2)로 이루어진 폴딩도어의 단위도어(2)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3) 일측면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핸들(4);
수직으로 승강하는 상부록크부재(6a) 및 하부록크부재(6b)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 내부에 설치되는 록킹수단(6);
상기 핸들(4)과 샤프트(5)로 연결되고, 상하부에 록킹수단(6)이 결합되어, 핸들(4)의 회전 작동을 록킹수단(6)의 승강 작동으로 변환하도록 도어프레임(3)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딩도어 핸들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는,
도어프레임(3)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01);
일단부가 상부록크부재(6a)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래크기어(102a)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1)의 상부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 상부슬라이더(102);
일단부가 하부록크부재(6b)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래크기어(102a)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1)의 하부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 하부슬라이더(103);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양측에 상, 하부슬라이더(103)의 래크기어(102a)가 각각 치합되고, 중심부에는 샤프트(5)가 결합되는 결합공(104a)을 구비한 피니언기어(104);
일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한 샤프트(5)에 압력을 제공하여 샤프트(5)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가압수단(105); 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수단(105)은, 상기 상부슬라이더(102)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102b) 내부에 투입된 코일스프링(105b)으로 탄설되는 록킹볼(105a);
상기 설치홈(102b)과 대향하도록 하우징(101) 내부에 상하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볼(105a)이 삽입되는 상, 하부록킹홈(105d); 을 포함한다.
상기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 하부록킹홈(105d) 간에는 상부슬라이더(102)의 설치홈(102b)이 형성된 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경사돌부(106); 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돌부(106)는 가운데 부분의 정점부(106a)가 상부슬라이더(102)의 설치홈(102b)이 형성된 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고, 그 양측에 대칭으로 경사면(106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105)은, 상기 피니언기어(104)의 일측에서 다각형 단면을 가진 샤프트(5)의 측면과 항상 접하게 하우징(101)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07);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폴딩도어의 개폐 시 핸들을 회전시켜,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폴딩도어의 안전성 및 보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의 회전 작동 시, 일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한 샤프트에 압력을 제공하여 샤프트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함으로써 핸들이 회전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핸들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핸들이 반자동으로 회전하는 우수한 작동감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이 회전이 완료되면 가압수단에 의해 샤프트에 소정 압력이 가해지면서 핸들의 임의 회전이나 흔들림이 억제됨으로써 보안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핸들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억제를 통해 핸들의 고장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폴딩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설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해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사돌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설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해제를 나타낸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통상의 폴딩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를 설명함에 있어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를 먼저 설명한다.
폴딩도어용 핸들장치는 핸들(4), 록킹수단(6), 기어박스(1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4)은 다수의 단위도어(2)가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병풍식으로 접혔다 펼치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폴딩도어의 단위도어(2)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3) 일측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내에 위치하는 면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록킹수단(6)은 수직으로 승강하는 상부록크부재(6a) 및 하부록크부재(6b)로 구성되어 단위도어(2)의 잠금을 수행하도록 도어프레임(3)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기어박스(10)는 핸들(4)과 샤프트(5)로 연결되고, 상하부에 록킹수단(6)이 결합되어, 핸들(4)의 회전 작동을 록킹수단(6)의 승강 작동으로 변환하도록 도어프레임(3)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기어박스(10)는 하우징(101), 상부슬라이더(102), 하부슬라이더(103), 피니언기어(104), 가압수단(105)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1)은 도어프레임(3) 외측에서 도어프레임(3) 내측 방향으로 투입되는 체결나사 등에 의해 도어프레임(3)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 하부슬라이더(103)의 승강 작동을 위하여 상하면에는 상, 하부슬라이더(103)의 일단부가 각각 돌출되는 통공부(101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 하부슬라이더(103)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하여 수직안내홈(101b)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1)의 중앙에는 피니언기어(104)의 회전 작동을 위하여 전후면으로 개구되는 설치공(101c)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1)은 분해,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하우징(101)이 전후로 반분되도록 하우징(101)의 가운데 부분을 반분하여 프런트커버(1011`)와 리어커버(101``)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상부슬라이더(102)는 일단부가 상부록크부재(6a)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래크기어(102a)가 형성되어 하우징(101)의 상부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다.
즉, 상부슬라이더(102)의 상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하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상부록크부재(6a)가 분해 조립 가능케 나사 결합되며, 상부슬라이더(102)의 하단부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래크기어(102a)가 형성되어, 하우징(101)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피니언기어(104)의 일측에서 피니언기어(104)와 치합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더(103)는 일단부가 하부록크부재(6b)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래크기어(102a)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1)의 하부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다.
즉, 상부슬라이더(102)의 저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하부록크부재(6b)가 분해 조립 가능케 나사 결합되며, 하부슬라이더(103)의 상단부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래크기어(102a)가 형성되어, 하우징(101)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피니언기어(104)의 타측에서 피니언기어(104)와 치합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04)는 하우징(101) 내부에 회전 가능케 하우징(101)의 설치공(101c)에 설치되어 양측에 상, 하부슬라이더(103)의 래크기어(102a)가 각각 치합되고, 중심부에는 샤프트(5)가 결합되는 결합공(104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04a)은 공회전의 억제를 위하여 샤프트(5)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 결합공(104a)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5)의 일단부는 핸들(4)과 결합됨으로써, 핸들(4)을 회전시키면 핸들(4)의 회전력이 샤프트(5)를 통해 피니언기어(104)로 전달됨에 따라 핸들(4)의 회전 각도만큼 피니언기어(104)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압수단(105)은 핸들(4)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한 샤프트(5)에 압력을 제공하여 샤프트(5)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록킹볼(105a), 상부록킹홈(105c), 하부록킹홈(105d)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볼(105a)은 상부슬라이더(102)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102b) 내부에 투입된 코일스프링(105b)에 의해 설치홈(102b) 외측으로 가압되도록 탄설된다.
상기 상, 하부록킹홈(105d)은 상부슬라이더(102)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102b)과 대향하도록 하우징(101) 내부에 상하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록킹볼(105a)은 상부슬라이더(102) 뿐만 아니라 하부슬라이더(103)에도 설치 가능하다.
하부슬라이더(103)의 일면에도 록킹볼(105a)을 설치하는 경우에, 상, 하부록킹홈(105d)은 상부슬라이더(102)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102b)과 대향하도록 하우징(101) 내부 상측에 상하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하부슬라이더(103)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102b)과도 대향하도록 하우징(101) 내부 하측에도 상하 소정 간격으로 한 쌍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설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해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어박스(10)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를 이용하여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기 위하여 핸들(4)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일단부가 핸들(4)에 결합된 샤프트(5)가 핸들(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5)의 타단부에 결합된 피니언기어(104)도 샤프트(5)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피니언기어(104)의 양측에 각각 치합된 상부슬라이더(102)의 래크기어(102a)와 하부슬라이더(103)의 래크기어(102a)에 의해 상부슬라이더(102)는 상방으로 슬라이딩되고, 하부슬라이더(103)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상부슬라이더(102)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된 상부록크부재(6a)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폴딩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도어틀(7)에 형성된 고정공에 상부록크부재(6a)가 삽입되고, 하부슬라이더(103)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 하부록크부재(6b)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폴딩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도어틀(7)에 형성된 또 다른 고정공에 하부록크부재(6b)가 삽입됨에 따라 폴딩도어의 잠금이 설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핸들(4)을 일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슬라이더(102)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부슬라이더(102)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102b)에 탄설된 록킹볼(105a)은 상, 하부록킹홈(105d) 간에 형성된 하우징(101) 내면과 밀착되면서 설치홈(102b) 내부의 코일스프링(105b)은 압축되고, 록킹볼(105a)은 설치홈(102b)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하여 상부슬라이더(102)가 상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여 록킹볼(105a)이 상부록킹홈(105c)에 진입하면, 설치홈(102b) 내부에 삽입된 코일스프링(105b)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볼(105a)이 설치홈(102b)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상부록킹홈(105c)에 완전히 삽입되는 과정이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핸들(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도 상부슬라이더(102)는 코일스프링(105b)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에서 핸들(4)의 회전 각도가 90°라 가정할 때,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핸들(4)을 소정 각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45~50°만큼만 회전시키면, 나머지 40~45°는 코일스프링(105b)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핸들(4)의 탄력적인 회전을 통해 우수한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핸들(4)을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상부슬라이더(102)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되고, 하부슬라이더(103)는 상방으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상부슬라이더(102)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된 상부록크부재(6a)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도어틀(7)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었던 상부록크부재(6a)의 상단부가 고정공에서 배출되고, 하부슬라이더(103)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 하부록크부재(6b)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도어틀(7)에 형성된 또 다른 고정공에 삽입되었던 하부록크부재(6b)의 하단부가 또 다른 고정공에서 배출됨에 따라 폴딩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핸들(4)을 타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슬라이더(102)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부슬라이더(102)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102b)에 탄설된 록킹볼(105a)은 상, 하부록킹홈(105d) 간에 형성된 하우징(101) 내면과 밀착되면서 설치홈(102b) 내부의 코일스프링(105b)은 압축되고, 록킹볼(105a)은 설치홈(102b)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하여 상부슬라이더(102)가 하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여 록킹볼(105a)이 하부록킹홈(105d)에 진입하면, 설치홈(102b) 내부에 삽입된 코일스프링(105b)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볼(105a)이 설치홈(102b)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하부록킹홈(105d)에 완전히 삽입되는 과정이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핸들(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도 상부슬라이더(102)는 코일스프링(105b)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에서 핸들(4)의 회전 각도가 90°라 가정할 때,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핸들(4)을 소정 각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45~50°만큼만 회전시키면, 나머지 40~45°는 코일스프링(105b)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핸들(4)의 탄력적인 회전을 통해 우수한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사돌부(106)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상, 하부록킹홈(105d) 간에는 경사돌부(10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돌부(106)는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 하부록킹홈(105d) 간에 형성되되, 가운데 부분의 정점부(106a)가 상부슬라이더(102)의 설치홈(102b)이 형성된 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고, 그 양측에 대칭으로 경사면(106b)이 형성된다.
따라서,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하기 위하여 핸들(4)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슬라이더(102)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될 때, 상부슬라이더(102)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102b)에 탄설된 록킹볼(105a)이 일측 경사면(106b)을 타고 정점부(106a)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코일스프링(105b)이 압축되면서 점차 설치홈(102b) 내부로 투입되다가, 정점부(106a)를 통과하면서 타측 경사면(106b)에 도달하면 코일스프링(105b)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볼(105a)이 설치홈(102b) 외측으로 배출됨으로써, 핸들(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도 상부슬라이더(102)는 코일스프링(105b)의 탄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에서 핸들(4)의 회전 각도가 90°라 가정할 때,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핸들(4)을 소정 각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45~50°만큼만 회전시키면, 나머지 40~45°는 코일스프링(105b)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핸들(4)의 탄력적인 회전을 통해 우수한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107)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설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해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압수단(105)은, 탄성부재(10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07)는 피니언기어(104)의 일측에서 다각형 단면을 가진 샤프트(5)의 측면과 항상 접하게 하우징(101) 내부에 설치된다.
즉, 탄성부재(107)는 샤프트(5)의 측면에서 상하부가 하우징(101) 내부에 형성된 걸림홈(101e)에 끼워져 고정되되, 가운데 부분의 일측면이 샤프트(5)의 측면과 항상 접하게 설치된다.
탄성부재(107)는 판 형태, 띠 형태, 원통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이 가해지면 휘어졌다가, 가해지는 압력이 해소되면, 원상태로 복귀되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 또는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샤프트(5)는 일단부가 핸들(4)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피니언에 결합되되, 다각형 단면, 더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가 설정 또는 해제 상태일 때는 사각형 단면을 가진 샤프트(5)의 평탄한 측면에 탄성부재(107)가 긴밀하게 밀착됨에 따라 탄성부재(107)가 샤프트(5)의 임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샤프트(5)와 결합된 핸들(4)의 임의 회전이나 흔들림이 억제되어 핸들(4)의 회전된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핸들(4)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샤프트(5)의 평탄한 측면에 밀착되어 있던 탄성부재(107)가 핸들(4)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5)가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5)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탄성부재(107)의 가운데 부분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107)가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탄성력이 저장되다가, 샤프트(5)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탄성부재(107)의 가운데 부분을 통과하면 휘어졌던 탄성부재(107)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샤프트(5)의 일측 모서리 부분을 샤프트(5)가 회전 중인 방향으로 밀어냄에 따라, 핸들(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도 탄성부재(107)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4)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에서 핸들(4)의 회전 각도가 90°라 가정할 때, 폴딩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핸들(4)을 소정 각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45~50°만큼만 회전시키면, 나머지 40~45°는 탄성부재(107)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핸들(4)의 탄력적인 회전을 통해 우수한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07)는 샤프트(5)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높이기 위하여 샤프트(5)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폴딩도어 2: 단위도어
3: 도어프레임 4: 핸들
5: 샤프트 6: 록킹수단
6a: 상부록크부재 6b: 하부록크부재
10: 기어박스 101: 하우징
101a: 통공부 101b: 수직안내홈
101c: 설치공 102: 상부슬라이더
102a: 래크기어 102b: 설치홈
103: 하부슬라이더 103a: 래크기어
104: 피니언기어 104a: 결합공
105: 가압수단 105a: 록킹볼
105b: 코일스프링 105c: 상부록킹홈
105d: 하부록킹홈 106: 경사돌부
106a: 정점부 106b: 경사면
107: 탄성부재

Claims (5)

  1. 다수의 단위도어(2)로 이루어진 폴딩도어의 단위도어(2)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3) 일측면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핸들(4);
    수직으로 승강하는 상부록크부재(6a) 및 하부록크부재(6b)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 내부에 설치되는 록킹수단(6);
    상기 핸들(4)과 샤프트(5)로 연결되고, 상하부에 록킹수단(6)이 결합되어, 핸들(4)의 회전 작동을 록킹수단(6)의 승강 작동으로 변환하도록 도어프레임(3)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딩도어 핸들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는,
    도어프레임(3)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01);
    일단부가 상부록크부재(6a)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래크기어(102a)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1)의 상부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 상부슬라이더(102);
    일단부가 하부록크부재(6b)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래크기어(102a)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1)의 하부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 하부슬라이더(103);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양측에 상, 하부슬라이더(103)의 래크기어(102a)가 각각 치합되고, 중심부에는 샤프트(5)가 결합되는 결합공(104a)을 구비한 피니언기어(104);
    일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한 샤프트(5)에 압력을 제공하여 샤프트(5)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가압수단(105); 을 포함하는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105)은,
    상기 상부슬라이더(102)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102b) 내부에 투입된 코일스프링(105b)으로 탄설되는 록킹볼(105a);
    상기 설치홈(102b)과 대향하도록 하우징(101) 내부에 상하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볼(105a)이 삽입되는 상, 하부록킹홈(105d);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 하부록킹홈(105d) 간에는 상부슬라이더(102)의 설치홈(102b)이 형성된 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경사돌부(106); 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부(106)는 가운데 부분의 정점부(106a)가 상부슬라이더(102)의 설치홈(102b)이 형성된 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고, 그 양측에 대칭으로 경사면(106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105)은,
    상기 피니언기어(104)의 일측에서 다각형 단면을 가진 샤프트(5)의 측면과 항상 접하게 하우징(101)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07);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KR2020190000253U 2019-01-17 2019-01-17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KR200493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53U KR200493784Y1 (ko) 2019-01-17 2019-01-17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53U KR200493784Y1 (ko) 2019-01-17 2019-01-17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58U true KR20200001658U (ko) 2020-07-27
KR200493784Y1 KR200493784Y1 (ko) 2021-06-07

Family

ID=7183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253U KR200493784Y1 (ko) 2019-01-17 2019-01-17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8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903Y1 (ko) * 2004-04-20 2004-07-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여닫이창용 키퍼
KR101701336B1 (ko) * 2014-08-01 2017-02-01 방호근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80006213A (ko) * 2016-07-08 2018-01-17 김사관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KR101875113B1 (ko) 2017-12-08 2018-08-02 서유석 폴딩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903Y1 (ko) * 2004-04-20 2004-07-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여닫이창용 키퍼
KR101701336B1 (ko) * 2014-08-01 2017-02-01 방호근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80006213A (ko) * 2016-07-08 2018-01-17 김사관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KR101875113B1 (ko) 2017-12-08 2018-08-02 서유석 폴딩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84Y1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US9702167B2 (en) Electric lock for doors
US9752374B2 (en) Assembly having liftable lid and movable hinge module thereof
KR20180006213A (ko)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WO2013044665A1 (zh) 适用大型容器的锁定系统
US8540288B2 (en) Door lock transmission structure
CN105700633B (zh) 有定位功能的快拆旋转机构及有定位旋转门板的电子装置
CN107661027B (zh) 煎烤机
KR101842834B1 (ko) 폴딩도어 락 잠금장치
CN100374676C (zh) 门锁装置
KR101375776B1 (ko) 푸쉬 앤 풀 열림방식의 도어록
KR101743238B1 (ko) 잠금키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장치
CN108005489B (zh) 一种智能锁
KR20200001658U (ko)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KR20110026835A (ko) 로울러식 방충망의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조립체
KR102141548B1 (ko)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KR20130004749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CN107100455B (zh) 移门用门锁
KR102248737B1 (ko) 손끼임 방지용 텐션부재가 구비된 안전출입문
JP2011528411A (ja) ドア組立体
KR100943543B1 (ko) 안전형 도어록 장치
JP4686213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CN207761426U (zh) 按压式可伸缩和转动的锁舌控制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