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557U - 래싱 브리지 - Google Patents

래싱 브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557U
KR20200001557U KR2020190000031U KR20190000031U KR20200001557U KR 20200001557 U KR20200001557 U KR 20200001557U KR 2020190000031 U KR2020190000031 U KR 2020190000031U KR 20190000031 U KR20190000031 U KR 20190000031U KR 20200001557 U KR20200001557 U KR 202000015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hing bridge
hollow portion
columns
present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아
권성철
금교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0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557U/ko
Publication of KR20200001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5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고유 진동수를 간단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으로, 이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추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칼럼; 상기 복수의 칼럼 사이에서 수평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도부; 및 상기 중공부에 소정의 높이로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래싱 브리지 {LASHING BRIDGE}
본 고안은 예컨대 컨테이너선과 같은 선박의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선박으로서, 다량의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해상 운송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컨테이너선은 많은 양의 컨테이너를 실어야 하므로, 선체의 화물창에 컨테이너를 실은 후 해치 커버를 덮고, 해치 커버 상부에도 컨테이너를 복수의 층으로 쌓고 있다.
여기서, 해치 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컨테이너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데, 이들 컨테이너는 풍랑이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컨테이너가 전복될 수 있다. 이러한 전복을 방지하고 적층 단수 및 중량의 분배를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선에는 래싱 브리지를 설치하여 컨테이너를 고박하고 있다.
도 1은 컨테이너선의 사시도로서, 래싱 브리지(1)가 컨테이너선(2)의 갑판(3)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싱 브리지(1)는 컨테이너와 같은 화물을 고박하기 위하여 컨테이너선(2)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래싱 브리지는, 전체적으로 2열의 칼럼들과, 이들 칼럼 사이에 마련되는 보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2열의 칼럼들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면서 배치되고, 칼럼들에는 컨테이너선의 항해 도중 래싱 브리지에 작용하는 가로방향의 힘을 흡수하기 위하여 지지대가 경사지게 사선(斜線)으로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및 경량화로 인하여 래싱 브리지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때, 래싱 브리지는 스틸 구조물로서, 감쇠수단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가늘고 긴 구조물의 특성상 과도한 진동이 발생한다.
특히, 프로펠러를 포함한 동력기관에서 발생하는 기진력과 래싱 브리지의 고유 진동수 간 공진 현상을 모든 구간에서 회피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더욱이, 방진 설계를 통해 공진 가능성을 줄이더라도, 선박 및 래싱 브리지의 제작 공차로 인해 운전시 공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 2014-0065972 A
이에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그 고유 진동수를 간단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래싱 브리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추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칼럼; 상기 복수의 칼럼 사이에서 수평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도부; 및 상기 중공부에 소정의 높이로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용접 등이 필요한 방진용 보강재 없이, 간단히 충전재의 질량 조절을 통해 래싱 브리지의 고유 진동수를 변화시킴으로써 공진 현상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컨테이너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는, 내부에 중공부(11)를 갖추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칼럼(10); 복수의 칼럼 사이에서 수평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도부(20); 및 중공부에 소정의 높이로 채워지는 충전재(30)를 포함하고 있다.
추가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는, 복수의 보도부(20)가 높이차를 두고 구비될 때, 이들 보도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고 내부에 중공부(11)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보조칼럼(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는 기본적으로 2열의 칼럼(10)과 적어도 하나의 보도부(20)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서 컨테이너와 같은 화물을 고박하기 위하여 선박의 갑판 상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2열로 배열된 복수의 칼럼(10)이 선박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상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면서 배열된다.
이러한 칼럼(10)들은 선박의 갑판 상면에서 해치 코밍 상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갑판(3: 도 1 참조)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칼럼(10) 또는 보조칼럼(10')은 그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된 예컨대 사각 파이프나 원형 파이프 등과 같은 파이프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칼럼(10) 또는 보조칼럼(10')의 내부에는 중공부(11)를 적어도 2개의 공간, 즉 상부 공간(12)과 하부 공간(13)을 구획하면서 이들 상부 공간(12)과 하부 공간(13)이 서로에 대해 밀봉되게 하는 플레이트(1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칼럼(1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단순히 중공부(11)의 바닥판으로 작용하는 플레이트(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14)는 칼럼(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고, 중공부(1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레이트는 중공부 내에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충전재(30)는, 칼럼(10) 또는 보조칼럼(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1) 내에, 또는 중공부에서 구획된 공간들 중 상부 공간(12) 내에, 소정의 높이로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충전재(30)로는 고체상의 유동성 물질 또는 액체상의 유동상 물질이 채용될 수 있다.
고체상의 유동성 물질은 예를 들면 금속, 목재, 석재, 토양,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된 입상(粒狀) 형태의 물질이 바람직하다. 액체상의 유동성 물질로는 물과 기름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액체가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충전재(30)가 반드시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질량을 조절할 수 있다면 예컨대 점토 등과 같은 형태의 것도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칼럼(10) 또는 보조칼럼(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1)에 채워지는 충전재(30)의 양 또는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각 칼럼 또는 보조칼럼 내에 수용되는 충전재의 질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칼럼(10) 또는 보조칼럼(10')의 상부에는 중공부(11)를 밀봉하는 마개(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마개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41)와, 이 나사부의 일단에 고정되게 연결된 헤드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40)의 결합을 위해, 마개가 장착되는 중공부(11)의 개구부(15)에 나사홀이 형성됨으로써, 마개의 나사부(41)가 개구부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개구부(15)는 중공부(11) 또는 상부 공간(12)과 외기를 연통되게 하면서 충전재(30)의 주입구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마개(40)의 헤드부(42)와 중공부(11)의 개구부(15)의 사이에는 예컨대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의 실링부재(43)가 개재되어, 마개가 중공부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칼럼(10) 또는 보조칼럼(10')의 중공부(11)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액체상에서 기화된 충전재(30)의 누출을 방지하여 충전재의 손실 없이 충전재의 질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2열로 배열된 칼럼(10)들 사이에 보도부(20)가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보도부가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갑판(3)으로부터 인접한 순서대로 제1보도부(21)와 제2보도부(22) 및 제3보도부(2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보도부(20)는 작업자의 래싱 작업 혹은 통행 등을 위하여 수직한 칼럼(10)들 사이에 수평으로 마련된다. 또한, 이러한 보도부는 래싱 브리지에 작용하는 가로방향의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에는, 이 래싱 브리지에 작용하는 가로방향의 힘을 흡수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선 지지대(25)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에서는 칼럼의 중공부 내에 소정의 높이로 충전재를 채움으로써, 래싱 브리지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강성의 증가로 인하여 래싱 브리지 자체의 고유 진동수를 증가시켜 진동 응답이 감소하게 되므로, 선박의 프로펠러로 인한 변동압력 및 엔진에 의한 진동 등과 같은 주요 기진원과의 공진 회피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용접 등이 필요한 방진용 보강재 없이, 간단히 충전재의 질량 조절을 통해 래싱 브리지의 고유 진동수를 변화시킴으로써 공진 현상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칼럼 10': 보조칼럼
11: 중공부 12: 상부 공간
13: 하부 공간 14: 플레이트
20: 보도부 25: 사선 지지대
30: 충전재 40: 마개
41: 나사부 42: 헤드부
43: 실링부재

Claims (8)

  1. 내부에 중공부를 갖추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칼럼;
    상기 복수의 칼럼 사이에서 수평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도부; 및
    상기 중공부에 소정의 높이로 채워지는 충전재
    를 포함하는 래싱 브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보도부가 높이차를 두고 구비될 때, 상기 보도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보조칼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 내에는 상기 중공부를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칼럼은 상기 중공부의 바닥판으로 작용하는 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고체상의 유동성 물질 또는 액체상의 유동상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 또는 상기 보조칼럼의 상부에는 상기 중공부를 밀봉하는 마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일단에 고정되게 연결된 헤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개구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헤드부와 상기 중공부의 개구부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실링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KR2020190000031U 2019-01-03 2019-01-03 래싱 브리지 KR202000015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31U KR20200001557U (ko) 2019-01-03 2019-01-03 래싱 브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31U KR20200001557U (ko) 2019-01-03 2019-01-03 래싱 브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57U true KR20200001557U (ko) 2020-07-13

Family

ID=7152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031U KR20200001557U (ko) 2019-01-03 2019-01-03 래싱 브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55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8756B2 (en) Mounting
RU2302987C2 (ru) Емкость для жидкости из пластмассы
JP6176580B2 (ja) 貨物専用ラッシングブリッジ
US8082867B2 (en) Ship with liquid transport tanks provided with deformation absorbers
JP5746755B2 (ja) 巨大石油タンカー用の石油タンク部構造
KR101252422B1 (ko) 조립식 폰툰
KR102181602B1 (ko) 화물선용 래싱 브리지
KR20130124223A (ko) 컨테이너
CN108883815B (zh) 具有空隙空间的船舶货舱
KR20200001557U (ko) 래싱 브리지
KR102223480B1 (ko) 둥근 철주를 갖는 부유 근해 구조물
KR10125905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87781B1 (ko) 선박의 화물탱크 혼합형 지지장치
KR20130003145U (ko)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
KR100310898B1 (ko) 제수형격벽을구비한유조선
KR200480586Y1 (ko) 액체 화물 탱크용 슬로싱 저감 모듈
KR101454346B1 (ko) 해양 구조물의 상부갑판 구조물
KR102027907B1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US20130213969A1 (en) Fuel tanks
RU2791065C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грузовой контейнер с универсальной виброизолирующей платформой, оснащенной системами регулируемых блок-элементов демпфирующих пружин для тяжелых нагрузок
KR20230031476A (ko)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지는 래싱 브릿지
KR101847015B1 (ko)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20130005890U (ko) 액체 화물 운반선
KR101826681B1 (ko) 유동 차단수단을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EA042418B1 (ru) Кассет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жидкос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