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461Y1 - 헬리데크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헬리데크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461Y1
KR200488461Y1 KR2020170000409U KR20170000409U KR200488461Y1 KR 200488461 Y1 KR200488461 Y1 KR 200488461Y1 KR 2020170000409 U KR2020170000409 U KR 2020170000409U KR 20170000409 U KR20170000409 U KR 20170000409U KR 200488461 Y1 KR200488461 Y1 KR 200488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cake
flanks
substructure
reinforcing member
heli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323U (ko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0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46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3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4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헬리데크 설치 구조가 개시된다. 헬리데크 설치 구조는, 서로 연결되어 팬케익 상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랭크; 상기 팬케익 상부 구조물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랭크의 하부에 위치되는 팬케익 하부 구조물; 및 인접된 플랭크들의 사이 공간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팬케익 하부 구조물과 클램프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리데크 설치 구조{Install structure of helideck}
본 고안은 헬리콥터의 이착륙장으로 이용되는 헬리데크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형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 등의 해상 부유체(100)에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할 수 있는 이착륙장으로 기능하는 팬케익(pan cake)(120)을 가지는 헬리데크(Helideck)(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헬리데크(110)는 해상 부유체(1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헬리데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에 해당하는 팬케익(120)과, 팬케익(12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필라(pillar)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팬케익(120)은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판들로 형성된 플랭크(plank)(210)를 서로 연결하여 바닥판 형상을 이루는 팬케익 상부 구조물과, 플랭크(210)의 하단에 결합된 H형 빔(beam) 또는 거더(girder)를 갖는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케익(120)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필라 구조물의 일측(예를 들어 상부)은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인 빔 또는 거더에 연결될 수 있고, 필라 구조물의 타측(예를 들어 하부)는 선체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헬리데크 설치 구조에서 팬케익(120)은 얇은 두께의 플랭크(210)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용접이 아닌 볼팅(bolting)(230)에 의해 고정하고 있고, 이는 헬리콥터의 불시착에 따른 수직 충격하중을 견디도록 설계 지침화되어 있다.
그러나, 급격한 충격 하중이 빈번하게 작용되지만 매우 얇은 두께의 플랭크(210)가 이용되고 있고, 반복 하중에 취약한 볼팅 구조로 고정되어 있어 실제로 해양 프로젝트에서 운용중인 대부분의 팬케익(120)의 대한 파손 사례가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8211호(일체형 배수로를 갖는 헬리데크)
본 고안은 반복적이고 급격한 수직 충격 하중이 발생되더라도 알루미늄 재질인 얇은 두께의 플랭크로 형성되는 팬케익의 파손 및 구조 손상이 예방될 수 있는 헬리데크 설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연결되어 팬케익 상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랭크; 상기 팬케익 상부 구조물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랭크의 하부에 위치되는 팬케익 하부 구조물; 및 인접된 플랭크들의 사이 공간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팬케익 하부 구조물과 클램프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헬리데크 설치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플랭크 각각은, 헬리콥터의 착륙시 바닥면으로 기능하는 상판부; 상기 팬케익 하부 구조물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바닥부;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부와 상기 바닥부를 연결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서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상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접촉부의 하면에 접촉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나사는 일 단부가 상기 팬케익 하부 구조물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 부재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복적이고 급격한 수직 충격 하중이 발생되더라도 알루미늄 재질인 얇은 두께의 플랭크로 형성되는 팬케익의 파손 및 구조 손상이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헬리데크가 설치된 해상 부유체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헬리데크의 설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3 및 도 4 각각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설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 각각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설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헬리데크(110)의 팬케익(pan cake)(120)은 알루미늄 재질의 플랭크(plank)(210)를 서로 연결하여 바닥판 형상을 이루는 팬케익 상부 구조물과, 플랭크(210)의 하단에 결합된 H형 빔(beam) 또는 거더(girder)를 갖는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은 지지체인 필라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하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플랭크(210)는 도 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헬리콥터의 착륙시 바닥면으로 기능하는 상판부(351),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바닥부(355), 상판부(351)와 바닥부(355)에 각각 연결되어 상판부(351)를 지지하는 기둥부(353), 기둥부(353)에서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357), 및 접촉부(357)와 상판부(351)를 연결하는 연결부(3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b)에는 연결부(359)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연결부(359)의 형상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위 크기로 형성된 플랭크(210)는,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인접된 플랭크(210)과 접촉하도록 서로 고정 연결됨으로써 헬리콥터 착륙을 위한 바닥면인 팬케익 상부 구조물을 구성한다.
인접한 플랭크(210)들의 사이 공간 하부에는 보강 부재(310)가 고정 배치되고, 일 단부가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의 일측(예를 들어 H빔의 상면 부재)을 관통하여 보강 부재(31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 나사(clamp screw)(320)를 이용하여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과 보강 부재(310)가 볼팅 구조로 결합된다. 클램프 나사(32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보강 부재(310)에 나사 삽입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클램프 나사(320)를 이용한 볼팅 구조의 결합이 예를 들어 H빔의 세로 부재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도 3의 (a) 참조).
보강 부재(310)는 인접된 플랭크(210)들의 바닥부(355)의 상부면과 접촉부(357)들의 하부면에 끼움 장착되는 판(板) 형상으로 형성(도 4의 (a) 참조)되거나, 인접된 플랭크(210)들의 바닥부(355)의 상부면 및 측면과 접촉부(357)들의 하부면에 끼움 장착되는 판(板) 형상으로 형성(도 4의 (b) 참조)될 수 있다.
즉, 플랭크(210)들의 사이 공간 하부에 고정 배치한 보강 부재(310)와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을 고정함으로써, 수직 하중 발생시 뾰족하게 돌출된 플랭크(210)의 바닥부(355)에 집중되던 하중이 보강 부재(310)에 의해 분산되거나, 보강 부재(310)를 통해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에 면과 면 하중 전달 형태로 전환되어 충분한 구조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과 보강 부재(310) 사이에 볼팅 연결되는 경우 풀림의 우려가 있으나, 이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접근이 용이한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의 상면 부재의 하부에 클램프 나사(320)이 헤드를 위치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문제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너트 결합 구조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설치 편의성을 극대화한 특징도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한 경우 플랭크(210)의 바닥부(355)와 팬케익 하부 구조물(220)간 또는/및 플랭크(210)의 바닥부(355)와 보강 부재(310)간에 볼팅 고정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해상 부유체 110 : 헬리데크
120 : 팬케익 210 : 플랭크
220 : 팬케익 하부 구조물 230 : 볼팅
310 : 보강 부재 320 : 클램프 나사
351 : 상판부 353 : 기둥부
355 : 바닥부 357 : 접촉부
359 : 연결부

Claims (3)

  1. 서로 연결되어 팬케익 상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랭크;
    상기 팬케익 상부 구조물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랭크의 하부에 위치되는 팬케익 하부 구조물; 및
    인접된 플랭크들의 사이 공간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팬케익 하부 구조물과 클램프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플랭크 각각은,
    헬리콥터의 착륙시 바닥면으로 기능하는 상판부;
    상기 팬케익 하부 구조물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바닥부;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부와 상기 바닥부를 연결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서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상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접촉부의 하측 표면, 상기 기둥부의 측벽과 상기 바닥부의 상측 표면에 접촉되는 판 형상으로 인접된 플랭크들 사이 공간 각각에 고정 배치되거나, 상기 접촉부의 하측 표면, 상기 기둥부의 측벽, 상기 바닥부의 외측 표면 및 상기 펜케익 하부 구조물의 상측 표면에 접촉되는 판 형상으로 인접된 플랭크들 사이 공간 각각에 고정 배치되는, 헬리데크 설치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나사는 일 단부가 상기 팬케익 하부 구조물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 부재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체결되는, 헬리데크 설치 구조.
KR2020170000409U 2017-01-23 2017-01-23 헬리데크 설치 구조 KR200488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09U KR200488461Y1 (ko) 2017-01-23 2017-01-23 헬리데크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09U KR200488461Y1 (ko) 2017-01-23 2017-01-23 헬리데크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323U KR20180002323U (ko) 2018-08-01
KR200488461Y1 true KR200488461Y1 (ko) 2019-02-07

Family

ID=6320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409U KR200488461Y1 (ko) 2017-01-23 2017-01-23 헬리데크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461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434Y1 (ko) * 2010-03-10 2011-12-20 세보테크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용 헬리콥터 데크의 클램프
KR101498211B1 (ko) 2013-03-29 2015-03-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배수로를 갖는 헬리데크
KR20140047062A (ko) * 2014-03-28 2014-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헬리콥터 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323U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287B1 (ko) 래싱 브리지
KR101252422B1 (ko) 조립식 폰툰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KR200488461Y1 (ko) 헬리데크 설치 구조
WO2017056972A1 (ja) 洋上浮体構造物
KR20170113028A (ko) 헬리포트
KR20130129642A (ko) 컨테이너선 상부 스툴의 수직웨브
KR101444283B1 (ko) 횡동요 저감탱크
JP5010570B2 (ja) 船体の耐氷補強構造
KR102065268B1 (ko)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CN108945314B (zh) 一种油料补给船的货舱区结构
KR20120004029U (ko)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KR20130109517A (ko) 연료유 탱크를 구비한 이중 선체
KR102179904B1 (ko) 컨테이너선
US7325503B1 (en) Watercraft lift
JP6973732B2 (ja) ライザー管支持構造
KR102455882B1 (ko) 대상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US20110044764A1 (en) Strake system for submerged or partially submerged structures
KR101589130B1 (ko) 확장 플랫폼을 구비한 헬리데크
KR20140003022U (ko) 선박 및 해양조물용 안전핸드레일
KR101372866B1 (ko) 선박의 래싱 브릿지
KR101808871B1 (ko) 컨테이너선의 보강구조
KR101313177B1 (ko) 레이더의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35527B1 (ko) 중장비의 이동을 위한 폰툰 및 이를 위한 폰툰용 데크 조립체
CN210140807U (zh) 一种多功能中间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