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515A - 물리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물리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515A
KR20200001515A KR1020190074961A KR20190074961A KR20200001515A KR 20200001515 A KR20200001515 A KR 20200001515A KR 1020190074961 A KR1020190074961 A KR 1020190074961A KR 20190074961 A KR20190074961 A KR 20190074961A KR 20200001515 A KR20200001515 A KR 2020000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ble
physical quantity
terminal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3496B1 (ko
Inventor
유리 스가하라
야스히사 다나카
히로유키 도바
Original Assignee
나가노 게이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노 게이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노 게이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4Multiple part housings with dismountable parts, e.g. for maintenance purposes or for ensuring sterile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61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01L19/0084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3Two par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7Details about the mounting of the sensor to support or cover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8Details about the circuit board integration, e.g. integrated with the diaphragm surface or encaps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바닥부(11) 및 통 형상 본체부(12)를 갖는 외부 케이스(1)와,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 마련된 합성수지제의 내부 케이스(2)와,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부(3)와, 검출부(3)로부터의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단자(6)가 마련된 단자대(4)와, 외부 케이스(1)의 개구부를 덮으며 내부 케이스(2)와는 상이한 경도의 덮개(5)와, 단자(6)에 일단이 접속되는 케이블(C)과, 케이블(C)의 타단측을 취출하며 외부 케이스(1)의 둘레면에 돌출하여 마련된 통 형상의 케이블 취출부(7)를 구비한다. 내부 케이스(2)는, 케이스측 나사부(22)와, 단자대(4)를 설치하는 단자대 설치부(23)를 갖는다. 검출부(3)는, 바닥부(11)에 접속하는 바닥부측 접속부(32)와, 피장착부에 장착하기 위한 이음(33)을 갖고, 덮개(5)는, 단자대 설치부(23)를 덮는 덮개 본체(51)와, 덮개 본체(51)에 마련되며 케이스측 나사부(22)와 나사 결합하는 덮개측 나사부(52)를 갖는다.

Description

물리량 측정 장치{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압력, 그 밖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력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압력계, 그 밖의 물리량 측정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물리량 측정 장치에는, 공업 처리 설비에 있어서의 프로세스를 검지, 측정, 관리 또한 제어하기 위해, 밀폐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타입의 장치의 종래예에는, 통 형상의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본체의 양단부에 맞물리게 되는 스테인리스제의 제 1 및 제 2 커버와, 하우징 본체의 둘레면에 각각 마련된 도관 및 넥(neck)을 구비한 공업 프로세스 트랜스미터가 있다(문헌 1: 일본 특허 제 5716028 호 공보).
문헌 1의 종래예에서는, 하우징 본체는 알루미늄제의 원통 형상의 섀시와 스테인리스제의 원통 형상의 외판이 내외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넥은 부분적으로 센서를 포함하며, 넥을 피측정 유체가 유통하는 배관 등의 피장착부에 고정하여, 공업 프로세스 트랜스미터의 나머지 부분이 구조적으로 지지된다. 도관은 하우징 본체 내의 F 단자 회로를 외부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필드선을 부분적으로 수납한다. 그리고, 섀시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커버를 떼어 내고, 도관으로부터 도입되는 필드선의 일단을 F 단자 회로에 접속하고, 그 후, 커버를 섀시의 단부에 나사 결합한다.
문헌 1의 종래예에서는, 하우징 본체의 둘레면에 넥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넥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버를 하우징 본체로부터 떼어 내거나 또는 장착하게 된다.
필드선을 F 단자 회로에 접속하는 작업에 있어서, 넥이 짧으면, 넥의 근본(根本)에 있는 배관 등이 작업의 방해가 된다.
배관 등이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넥을 길게 하면, 장치의 지지가 안정되지 않는다.
또한, 문헌 1의 종래예에서는, 복잡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 섀시를 알루미늄제로 하고, 내부식성을 위해, 외판과 커버를 스테인리스제로 하고 있지만, 어느 부품도 금속이기 때문에, 커버를 섀시에 나사 결합할 때에, 긁힘을 일으킬 우려도 있어, 이 점에서도, 배선 작업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을 단자대의 단자에 접속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물리량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물리량 측정 장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외주부에 마련된 통 형상 본체부를 갖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합성수지제의 내부 케이스와,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며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단자가 마련된 단자대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이한 경도의 덮개와, 상기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타단측을 취출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둘레면에 돌출하여 마련된 통 형상의 케이블 취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케이스측 나사부와, 상기 단자대를 설치하는 단자대 설치부를 갖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바닥부에 접속하는 바닥부측 접속부와, 피장착부에 장착하기 위한 이음을 가지며, 상기 덮개는, 상기 단자대 설치부를 덮는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측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덮개측 나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케이스로부터 덮개를 분리한 상태에서, 케이블 취출부에 케이블의 일단을 관통 삽입하고, 그 케이블의 일단을 단자대의 단자에 접속한다. 그 후, 내부 케이스의 케이스측 나사부에 덮개의 덮개측 나사부를 나사 결합한다. 이들 작업에 의해, 케이블의 단자에의 접속 작업이 종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덮개는, 검출부와는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있으므로, 덮개를 떼어 낸 상태에서는, 외부 케이스가 피장착부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케이블의 단자에의 접속 작업을 실행할 때에, 외부 케이스의 개구의 주변에는, 피장착부 등, 작업을 방해하는 것이 없다. 또한, 내부 케이스가 합성수지제이기 때문에, 사출 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 단자대의 위치를 외부 케이스의 개구에 용이하게 가깝게 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케이블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측 나사부를 갖는 내부 케이스가 합성수지제이며, 덮개측 나사부를 갖는 덮개가 내부 케이스와는 경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덮개를 내부 케이스에 나사 결합할 때에, 긁힘이 적다. 그 때문에, 덮개를 폐쇄할 때에 긁힘이 수반하는 불편이 회피되므로, 이 점에서도, 케이블의 단자에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음이 하방이 되며 상기 바닥부측 접속부가 상방이 되도록, 상기 피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취출부는,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아래로 경사지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케이블 취출부가 선단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져 있으므로, 케이블 취출부의 선단 개구로부터 물이 외부 케이스의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외부 케이스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상기 바닥부측 접속부와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둘러싸도록 시일 부재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결로에 의해 생긴 물, 또는 잘못해서 들어온 물이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외부 케이스의 바닥부에 저류되는 일이 있어도, 바닥부에는 연통 구멍을 둘러싸도록 시일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통 구멍으로부터 바닥부측 접속부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연통 구멍에 근접 배치된 환상의 개스킷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바닥부측 접속부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개스킷이라는 간이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을 상기 케이블 취출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단자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케이블을 케이블 취출부로부터 내부로 압입하면, 케이블의 일단이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단자로 보내지므로, 케이블의 단자에의 접속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검출부는, 일단이 상기 바닥부측 접속부에 마련되며 타단이 상기 이음에 마련된 통 형상 케이스와, 상기 이음에 마련되며 상기 이음에 형성된 도입 구멍으로부터 도입되는 피측정 유체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통 형상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받아 상기 단자로 전송하는 회로 기판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이음을 거쳐서 피장착부에 물리량 측정 장치를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피측정 유체가 이음의 도입 구멍을 통하여 센서부에 도입되면, 센서부에서 피측정 유체의 물리량을 검출한다.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물리량의 검출 신호는 회로 기판을 거쳐서 단자로 전송되고, 단자로부터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통 형상 케이스에 이음, 센서부 및 회로 기판을 마련했으므로, 검출부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 상기 케이블 취출부 및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금속제이며, 상기 덮개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O링이 마련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용접으로 접합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 취출부는 용접으로 접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장치 내부가 금속제 부품으로 덮이므로 견고해진다. 덮개와 내부 케이스 사이에 O링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방수 구조가 된다.
여기에서, 용접은 레이저 용접, 전자빔 용접, 티그 용접, 경납땜(brazing), 납땜(soldering) 등의 용접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덮개 본체와 상기 케이블 취출부는 체인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덮개 본체가 케이블 취출부와 체인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덮개 본체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인은,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 취출부에 접속된 체인 본체와, 상기 체인 본체의 타단부에 접속된 제 1 맞물림부와, 상기 제 1 맞물림부에 접속되는 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홈에 맞물림 가능한 탄성의 원호 형상부와, 상기 원호 형상부의 개구단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 1 맞물림부에 맞물림 가능한 제 2 맞물림부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케이블을 단자에 접속하기 위해, 덮개를 일방향으로 돌려 내부 케이스에 장착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돌려 내부 케이스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체인의 타단부의 제 1 맞물림부에 맞물린 링부가 덮개 본체의 정상부가 아닌 둘레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덮개를 손바닥 전체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링부를 구성하는 원호 형상부는, 덮개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덮개를 돌릴 때에, 원호 형상부가 탄성력에 저항하여 홈에 대해 겉돌므로, 체인이 휘감기는 일이 적다. 그 때문에, 덮개의 내부 케이스에의 장착, 분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리량 측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물리량 측정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물리량 측정 장치의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물리량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내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물리량 측정 장치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물리량 측정 장치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물리량 측정 장치는, 외부 케이스(1)와,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 마련된 합성수지제의 내부 케이스(2)와, 외부 케이스(1)에 마련된 검출부(3)와, 내부 케이스(2)의 내부에 마련된 단자대(4)와, 외부 케이스(1)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5)와, 단자대(4)에 마련된 단자(6)와, 단자(6)에 일단이 접속되는 케이블(C)과, 케이블(C)의 타단측을 취출하는 통 형상의 케이블 취출부(7)를 구비하고 있다.
물리량 측정 장치는, 검출부(3)가 아래가 되고 덮개(5)가 위가 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배관 등의 피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1)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이며, 바닥부(11) 및 바닥부(11)의 외주부에 마련된 통 형상 본체부(12)를 갖는다.
바닥부(11)의 중심부에는 연통 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11A)은 내부 케이스(2)의 내부와 검출부(3)의 내부를 연통하는 것이며, 코드(L)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코드(L)는 검출부(3)와 단자(6)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며, 그 일단부에 검출부(3)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L1)와, 그 타단부에 단자(6)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L2)를 갖는다.
통 형상 본체부(12)는, 그 축심이 거의 상하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바닥부(11)에 일체로 형성된 통 형상의 기단부(121)와, 기단부(121)의 개구단에 일체로 형성된 선단부(122)를 갖는다.
기단부(121)는 바닥부(1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구경이 커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121B)를 갖는다.
경사부(121B)는 외부 케이스(1)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2개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중, 일방의 경사부(121B)에는 장착 구멍(121A)(도 4 참조)이 형성되고, 이 장착 구멍(121A)에 케이블 취출부(7)의 기단이 끼워 맞춰져 있다. 케이블 취출부(7)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이며, 기단부(121)와는, 용접은 레이저 용접, 전자빔 용접, 티그 용접, 경납땜, 납땜 등의 용접으로 접합되어 있다.
케이블 취출부(7)는, 기단측을 향하여 오므라든 형상의 기부(71)와, 기부(71)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형 형상이 축방향을 따라서 동일하게 된 선단부(72)를 갖는다.
타방의 경사부(121B)에는 접지용 이음(123)이 마련되어 있다. 접지용 이음(123)은 검출부(3)의 접지를 취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는 물리량 측정 장치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2)는, 케이스 본체(21)와, 케이스 본체(21)의 상단에 형성된 케이스측 나사부(22)와, 케이스 본체(21)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된 단자대 설치부(23)를 갖는다.
케이스 본체(21)의 케이스측 나사부(22)에 근접한 위치에 단차부(21A)가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21)의 단차부(21A)의 하방측과 통 형상 본체부(12)의 내주부 사이에는 O링(O1)이 마련되어 있다. O링(O1)은 외부 케이스(1)와 내부 케이스(2)의 개구단측으로부터 물이 바닥부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케이스 본체(21)의 둘레면에는 케이블 취출부(7)의 기단에 대응한 위치에 개구(21B)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21)와 통 형상 본체부(12)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측 나사부(22)는 수나사이다.
단자대 설치부(23)는 단자대(4)를 설치하는 것이며, 하단이 바닥부(11)에 지지된 지지부(231)와, 지지부(231)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232)를 갖는다.
지지부(231)는, 판부(231A)와, 판부(231A)의 하부에 마련된 복수의 원통 형상의 리브(231B)를 갖는다.
판부(231A)는 바닥부(11)에 형성된 장착부(110)에 볼트(B)로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원통 형상의 리브(231B) 중 일부에는 판부(231A)의 상하 사이의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동시에 물의 유통을 저지하는 벤트 시일(26)이 선단에 마련되며, 나머지의 리브(231B)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터드가 선단에 마련되어 있다(도 5 참조).
판부(231A)와 바닥부(11) 사이에는 연통 구멍(11A)의 개구를 둘러싸도록 시일 부재(25)가 배치된다.
시일 부재(25)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의 개스킷(251)을 구비하고 있다.
개스킷(251)은, 결로에 의해 케이스 본체(21)의 외주면과 통 형상 본체부(12)의 내주면의 간극(S)에 물이 생겼다고 해도, 후술하는 바닥부측 접속부(32)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개스킷(251)은, 복수의 리브(231B) 각각의 주위를 덮는 링부(252)와, 이들 링부(252)를 접속하는 접속부(253)를 갖는다.
도 1,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단자대(4)는, 지지부(231)에 지지된 판부(41)와, 판부(41)에 마련된 단자대 본체(42)를 갖는다.
판부(41)는 지지부(231)를 거쳐서 바닥부(11)에 형성된 장착부(110)에 볼트(B)로 장착되어 있다.
판부(41)에는 커넥터(L2)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대 본체(42)는 합성수지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차부에 단자(6)가 장착된다.
단자(6)에는 접속용 튜브(61)가 마련되며, 접속용 튜브(61)를 거쳐서 단자(6)와 케이블(C)이 접속되어 있다.
가이드부(232)는 케이블(C)의 일단을 케이블 취출부(7)의 내부로부터 단자(6)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판부이며, 판부(231A)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32)의 하단은 케이블 취출부(7)의 개구 하연에 인접해 있다.
검출부(3)는, 통 형상 케이스(31)와, 통 형상 케이스(31)의 상단에 마련된 링 형상의 바닥부측 접속부(32)와, 통 형상 케이스(31)의 하단에 마련된 이음(33)과, 이음(33)에 형성된 도입 구멍(33A)으로부터 도입되는 피측정 유체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센서부(34)와, 통 형상 케이스(31)의 내부에 마련된 회로 기판(35)과, 회로 기판(35)을 보지하는 홀더(36)를 갖는다.
통 형상 케이스(31)는, 케이스 본체(311)와, 케이스 본체(311)의 하단에 마련된 링 형상부(312)를 갖는다.
통 형상 케이스(31), 바닥부측 접속부(32) 및 이음(33)은 금속제, 예컨대, 스테인리스제이며, 바닥부(11)와 바닥부측 접속부(32)의 사이, 바닥부측 접속부(32)와 통 형상 케이스(31)의 사이, 통 형상 케이스(31)와 이음(33)의 사이는, 각각, 레이저 용접, 전자빔 용접, 티그 용접, 경납땜, 납땜 등의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음(33)은, 축심에 피측정 유체가 도입되는 도입 구멍(33A)이 형성된 축부(331)와, 축부(331)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부(332)를 갖는다.
센서부(34)는, 피측정 유체의 압력에 따라서 변위하는 다이어프램부(341)와, 다이어프램부(341)의 외주부에 접합된 통 형상부(342)를 갖는 것이다. 다이어프램부(341)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트레인 게이지가 마련되어 있으며, 스트레인 게이지로 검출되는 검출 신호는 회로 기판(35)으로 전송된다.
회로 기판(35)은, 1매 또는 2매의 기판 본체(351)와, 기판 본체(351)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전자부품을 갖는다. 기판 본체(351)에는 커넥터(L1)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센서부(34)에서 검출된 압력의 검출 신호는 회로 기판(35), 커넥터(L1), 코드(L) 및 커넥터(L2)를 통하여 단자(6)로 전송된다.
홀더(36)는 회로 기판(35)의 양 측부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보지하는 합성수지제 부재이며, 케이스 본체(311)의 내부에 수납된다.
홀더(36)에는, 회로 기판(35)을 걸림 고정하는 도시하지 않은 걸림 고정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홀더(36)의 하단부는 링 형상부(312)에 지지된다.
덮개(5)는, 단자대(4)를 덮는 평면 원형의 덮개 본체(51)와, 덮개 본체(51)의 외주연에 마련된 덮개측 나사부(52)와, 덮개측 나사부(52)보다 개구단측에 마련된 선단부(53)를 갖는다. 덮개(5)는 금속, 합성수지, 세라믹스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경도(굳기)는 내부 케이스(2)의 경도(굳기)보다 크다.
덮개측 나사부(52)는 케이스측 나사부(22)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이다.
덮개 본체(51)는, 정상부가 상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상부는 평평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덮개 본체(51)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손바닥으로 정상부를 덮을 정도의 크기로 해도 좋다. 선단부(53)의 내주부와 내부 케이스(2)의 케이스 본체(21) 사이에는 O링(O2)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 본체(51)와 케이블 취출부(7)는 체인(8)으로 접속되어 있다.
체인(8)은, 일단부가 케이블 취출부(7)의 기단부에 맞물리는 환상 맞물림부(81)와, 환상 맞물림부(81)에 일단이 접속되는 체인 본체(82)와, 체인 본체(82)의 타단부에 접속되는 제 1 맞물림부(83)와, 제 1 맞물림부(83)에 접속되는 링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체인 본체(82)는 복수의 구체를 직렬로 접속한 것이며, 그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구체가 보지부(82A)로 보지되고, 타단부측에 위치하는 구체가 보지부(82B)로 보지된 구성이다. 보지부(82A)는 환상 맞물림부(81)에 맞물림 링체(82C)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제 1 맞물림부(83)는 보지부(82B)에 맞물려 있다. 제 1 맞물림부(83)는 나선 형상으로 감긴 1개의 탄성 선재이며, 축방향으로 인접한 부분이 중첩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 링체(82C)를 제 1 맞물림부(83)와 같이 형성해도 좋다.
링부(84)는, 덮개 본체(5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홈(51A)에 맞물림 가능한 탄성의 원호 형상부(85)와, 원호 형상부(85)의 개구단측에 각각 마련되며 제 1 맞물림부(83)에 맞물림 가능한 제 2 맞물림부(86)를 갖는다. 링부(84)는 1개의 선재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맞물림부(86)는, 원호 형상부(85)의 개구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직선부(861)와, 직선부(861)의 선단에 일체 형성된 원환부(862)를 갖는다.
2개의 원환부(862)는 원호 형상부(8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중첩된 원환부(862)에 제 1 맞물림부(83)가 맞물린다. 제 1 맞물림부(83)를 원환부(862)에 맞물리려면, 제 1 맞물림부(83)의 단부와 이 단부와 중첩되어 있는 부분 사이에 원환부(862)를 압입한다.
[케이블의 접속 방법]
다음에, 물리량 측정 장치에 케이블(C)을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내부 케이스(2)로부터 덮개(5)를 분리해 둔다. 내부 케이스(2)로부터 떼어 낸 덮개(5)는 케이블 취출부(7)와는 체인(8)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분실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케이블(C)의 일단을 케이블 취출부(7)의 내부로 압입한다. 케이블 취출부(7)의 내부에서 압입된 케이블(C)의 일단은 가이드부(232)에 부딪히고, 가이드부(232)의 경사면을 따라서 단자(6)의 근방으로 안내된다.
케이블(C)의 일단이 단자(6)의 근방에 위치하면, 단자대(4)에 마련된 단자(6)에 접속된다.
그 후, O링(O2)을 보지한 내부 케이스(2)에 덮개(5)를 장착하기 위해, 덮개(5)를 손바닥 전체로 파지하고, 시계방향으로 돌려 내부 케이스(2)의 케이스측 나사부(22)에 덮개(5)의 덮개측 나사부(52)를 나사 결합한다.
덮개(5)를 돌리면, 일단부가 케이블 취출부(7)에 접속된 체인(8)에 의해, 덮개(5)를 돌리는 것이 규제되는 경우가 있지만, 체인(8)의 원호 형상부(85)가 홈(51A)에 대해 겉돌게 되므로, 덮개(5)의 회전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보수 점검을 위해, 덮개(5)를 내부 케이스(2)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분리하는 경우가 있다. 덮개(5)를 돌려도, 체인(8)의 원호 형상부(85)가 덮개 본체(51)의 홈(51A)에 대해 미끄러지게 되어, 체인(8)이 외부 케이스(1)에 휘감기는 일이 적다.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덮개(5)는, 검출부(3)와는 외부 케이스(1) 및 내부 케이스(2)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5)를 떼어 낸 상태에서는, 외부 케이스(1)가 피장착부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케이블(C)의 단자(6)에의 접속 작업을 실행할 때에, 외부 케이스(1)의 개구의 주변에는, 피장착부 등, 작업을 방해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케이블(C)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2) 내부 케이스(2)가 합성수지제이기 때문에, 사출 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 단자대(4)의 위치를 외부 케이스(1)의 개구에 가깝게 하도록 내부 케이스(2)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6)와 외부 케이스(1)의 개구가 가까워져, 이 점에서도, 케이블(C)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3) 케이스측 나사부(22)를 갖는 내부 케이스(2)가 합성수지제이며, 덮개측 나사부(52)를 갖는 덮개(5)가 내부 케이스(2)보다 딱딱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5)를 내부 케이스(2)에 나사 결합할 때에, 긁히는 일이 적다. 그 때문에, 덮개(5)의 내부 케이스(2)에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4) 케이스측 나사부(22)를 수나사로 하고, 덮개측 나사부(52)를 암나사로 했기 때문에, 덮개(5)가 내부 케이스(2)의 외주부를 덮는 구조가 되어, 덮개(5)로부터 내부 케이스(2)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5) 검출부(3)는 덮개(5)가 위이고 이음(33)이 아래가 되도록 상하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케이블 취출부(7)는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아래로 경사지도록 외부 케이스(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취출부(7)의 선단 개구로부터 물이 외부 케이스(1)의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워져, 외부 케이스(1)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6) 내부 케이스(2)와 외부 케이스(1)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며, 내부 케이스(2)와 바닥부(11) 사이에는 연통 구멍(11A)을 둘러싸도록 시일 부재(2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로에 의해 생긴 물, 또는 잘못해서 들어온 물이 간극(S)을 통하여 외부 케이스(1)의 바닥부(11)에 저류된다고 해도, 시일 부재(25)에 의해, 연통 구멍(11A)으로부터 바닥부측 접속부(32)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7) 시일 부재(25)는 연통 구멍(11A)에 근접 배치된 환상의 개스킷(251)을 가지므로, 물의 침입 방지라는 효과를, 개스킷이라는 간이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8) 내부 케이스(2)는 케이블(C)의 일단을 케이블 취출부(7)의 내부로부터 단자(6)로 안내하는 가이드부(232)를 가지므로, 케이블(C)을 케이블 취출부(7)로부터 내부로 압입했을 때에, 케이블(C)의 일단이 가이드부(232)에 안내되어 단자(6)로 보내진다. 그 때문에, 케이블(C)의 일단이 단자(6)에 가까운 위치가 되므로, 케이블(C)의 단자(6)에의 접속 작업이 용이해진다.
(9) 검출부(3)는, 통 형상 케이스(31)와, 이음(33)에 마련된 센서부(34)와, 통 형상 케이스(31)의 내부에 마련되며 센서부(34)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받아 단자(6)로 전송하는 회로 기판(35)을 갖기 때문에, 검출부(3)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10) 외부 케이스(1), 케이블 취출부(7) 및 통 형상 케이스(31)는 금속제이며, 외부 케이스(1)와 통 형상 케이스(31)는 용접으로 접합되고, 외부 케이스(1)와 케이블 취출부(7)는 용접으로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장치 내부가 금속제 부품으로 덮이므로, 장치 외장이 견고한 구조가 된다. 덮개(5)와 내부 케이스(2) 사이에 O링(O2)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방수 구조가 된다.
(11) 덮개 본체(51)와 케이블 취출부(7)는 체인(8)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5)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12) 체인(8)의 타단부의 제 1 맞물림부(83)에 맞물린 링부(84)가 덮개 본체(51)의 둘레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덮개를 손바닥 전체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링부(84)를 구성하는 원호 형상부(85)는 덮개 본체(51)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홈(51A)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덮개(5)를 돌릴 때에, 원호 형상부(85)가 탄성력에 저항하여 홈에 대해 겉돌므로, 체인(8)이 휘감기는 일이 적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전술의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출부(3)는 압력을 검출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의 검출부(3)는 압력 이외의 물리량, 예컨대, 차압, 유량, 온도 등을 검출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이음에 각각의 피측정 유체를 도입하는 2개의 도입 구멍을 형성하고, 검출부를, 이들 도입 구멍에서 도입되는 피측정 유체의 압력의 차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압력의 차를 검출 신호로서 회로 기판에 전송하는 차압 측정 장치로 해도 좋고, 검출부를, 온도를 검지하는 바이메탈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온도 변화를 검출 신호로서 회로 기판에 전송하는 온도 측정 장치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물리량 측정 장치를, 검출부(3)가 아래가 되고 덮개(5)가 위가 되도록, 피장착부에 장착한 구조로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하를 역으로 배치해도 좋고, 비스듬하게 배치해도 좋으며, 수평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케이스측 나사부(22)를 암나사로 하고, 덮개측 나사부(52)를 수나사로 해도 좋다.
또한, 덮개(5)는 내부 케이스(2)와는 경도가 상이하면 좋으며, 내부 케이스(2)의 경도가 덮개(5)의 경도보다 큰 것이어도 좋다.
또한, 개스킷(251)의 형상은, 연통 구멍(11A)의 개구를 덮는 구성이면,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단순한 환상 형상이어도 좋다.

Claims (9)

  1.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외주부에 마련된 통 형상 본체부를 갖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합성수지제의 내부 케이스와,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며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단자가 마련된 단자대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내부 케이스와는 상이한 경도의 덮개와, 상기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타단측을 취출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둘레면에 돌출하여 마련된 통 형상의 케이블 취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케이스측 나사부와, 상기 단자대를 설치하는 단자대 설치부를 갖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바닥부에 접속하는 바닥부측 접속부와, 피장착부에 장착하기 위한 이음을 갖고,
    상기 덮개는, 상기 단자대 설치부를 덮는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측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덮개측 나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음이 하방이 되고 상기 바닥부측 접속부가 상방이 되도록, 상기 피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 취출부는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아래로 경사지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상기 바닥부측 접속부와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둘러싸도록 시일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연통 구멍에 근접 배치되는 환상의 개스킷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을 상기 케이블 취출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단자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일단이 상기 바닥부측 접속부에 마련되며 타단이 상기 이음에 마련된 통 형상 케이스와, 상기 이음에 마련되며 상기 이음에 형성된 도입 구멍으로부터 도입되는 피측정 유체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통 형상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받아 상기 단자로 전송하는 회로 기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 상기 케이블 취출부 및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금속제이고, 상기 덮개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O링이 마련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용접으로 접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 취출부는 용접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본체와 상기 케이블 취출부는 체인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 취출부에 접속된 체인 본체와, 상기 체인 본체의 타단부에 접속된 제 1 맞물림부와, 상기 제 1 맞물림부에 접속되는 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홈에 맞물림 가능한 탄성의 원호 형상부와, 상기 원호 형상부의 개구단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 1 맞물림부에 맞물림 가능한 제 2 맞물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
KR1020190074961A 2018-06-27 2019-06-24 물리량 측정 장치 KR102673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22294 2018-06-27
JP2018122294A JP6841795B2 (ja) 2018-06-27 2018-06-27 物理量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15A true KR20200001515A (ko) 2020-01-06
KR102673496B1 KR102673496B1 (ko) 2024-06-07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8044A1 (en) 2020-01-01
JP2020003314A (ja) 2020-01-09
JP6841795B2 (ja) 2021-03-10
CN110646025A (zh) 2020-01-03
EP3588044B1 (en) 2020-06-24
TW202001197A (zh) 2020-01-01
US20200003647A1 (en) 2020-01-02
TWI826468B (zh) 2023-12-21
US11047754B2 (en)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216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mount sensors below a main valve of a fire hydrant
US9550260B2 (en) Ultrasonic liquid level sensing systems
EP3588044B1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ITTO940087A1 (it) Dispositivo capacitivo di rilevazione di prossimita' per ambienti ad atmosfera corrosiva.
KR102191756B1 (ko) 압력센서
US7918133B2 (en) Liquid level sensing apparatus
KR102673496B1 (ko) 물리량 측정 장치
US7426870B2 (en) Torsional fixing device, especially for the housing of a measuring transducer
CN209677176U (zh) 植保机械、智能药箱及其测量组件
CN212275026U (zh) 一种投入式双量程液位变送器
CN208780387U (zh) 一种压力传感器
KR101707553B1 (ko) 탱크 수위 측정용 센서를 위한 센서 브라켓
US6904821B2 (en) Level measuring instrument and procedure for its inserting into a container
US20220244128A1 (en) Liquid Leakage Detector and Method to Detect Liquid Leaking
CN210400529U (zh) 一种液位计安装结构
JP2003322579A (ja) 温圧計とその取付装置
CN219369017U (zh) 水压检测装置
CN210625781U (zh) 可调节液位探测计
CN215832815U (zh) 一种浮球液位感应装置
JP2008215573A (ja) タンクの密封装置およびそのoリングの組付方法
KR20160143187A (ko) 압력 전송장치
US6715350B2 (en) Automatic tank gauge systems
JP2021089184A (ja) 液位計測装置
KR200290588Y1 (ko) 압력게이지
CN114878060A (zh) 潜水型差压远传变送器和测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