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364A -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 Google Patents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364A
KR20200001364A KR1020180074234A KR20180074234A KR20200001364A KR 20200001364 A KR20200001364 A KR 20200001364A KR 1020180074234 A KR1020180074234 A KR 1020180074234A KR 20180074234 A KR20180074234 A KR 20180074234A KR 20200001364 A KR20200001364 A KR 20200001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dical device
fix
body portion
bar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석태
Original Assignee
류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석태 filed Critical 류석태
Priority to KR102018007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364A/ko
Publication of KR20200001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Abstract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는, 신체 조직의 고정을 위한 의료기구에 있어서, 신체에 삽입되며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미늘들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 단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Medical equipment easy to fix}
본 발명은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조직 간의 고정을 위한 의료기구(예컨대, 봉합사 등)에 있어, 수술 후 봉합사에 별도의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비교적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신체 조직의 고정을 위한 다양한 의료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기구들 중, 수술이나 시술 부위의 비매듭 봉합을 목적으로 하거나, 일반적으로 리프팅 시술이라 칭하는 안면거상술(face lift)에서 환자의 얼굴 피부 등을 고정, 당겨주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의료기구가 존재한다. 예컨대, 수술이나 시술 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의료용 실인 봉합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목적 즉, 비매듭 봉합이나 특정 신체 부위의 고정을 위한 특수한 봉합사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수한 봉합사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1)에 미늘(2)이나 돌기(3) 등을 형성하여, 형성된 미늘(2)이나 돌기(3)들이 신체 조직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미늘(2)이나 돌기(3)만으로는 신체 조직 내에 삽입되어 있던 봉합사가 체내 조직 사이에서 고정이 형성되기 전 이탈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어, 사실상 시술 혹은 수술 후 봉합사를 이용해 매듭을 형성하여 봉합사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봉합사는 특히, 눈 안쪽의 결막을 절개하여 눈 밑의 지방을 재배치하는 눈 밑 지방 재배치 수술 중에서도 눈 밑 지방을 내측에서 실(봉합사)로 고정하는 내부 고정 방법을 통한 시술 방법과 같이 수술공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협소한 상황에서는 매듭형성이 더욱 힘들어지게 되어 시술자(의사)의 어려움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체 조직 내에 형성된 봉합사의 매듭으로 인해 환자가 이물감을 느끼거나 통증을 느낄 수도 있고, 이로 인해 자칫 수술 부위의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 조직 간의 고정을 위한 의료기구에 있어, 수술 후 기구 자체(예컨대, 봉합사 등)에 별도의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비교적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 10-2017-0072424, "미늘형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의료기구에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재배치된 눈 밑 지방 등과 같은 신체 조직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는, 신체 조직의 고정을 위한 의료기구에 있어서, 신체에 삽입되며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미늘들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 단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와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일측에 상기 몸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가 만나는 지점에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늘들은, 각각 상기 고정부를 향하는 측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의료기구(예컨대, 봉합사)에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재배치된 눈 밑 지방 등과 같은 신체 조직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수술 자체가 간편해지는 것은 물론, 매듭으로 인한 환자의 이물감이나 통증 등의 불편함까지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봉합사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는 인체에 삽입되며,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미늘들(111)이 형성된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일 단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체 조직의 고정을 위한 의료기구로 봉합사 등과 같은 다양한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기구들 중, 비매듭 봉합을 목적으로 하거나, 일반적으로 리프팅 시술이라 칭하는 안면거상술(face lift)에서 환자의 얼굴 피부 등을 고정, 당겨주기 위한 목적으로 봉합사가 주로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비매듭 봉합이나 고정을 위한 특수한 봉합사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봉합사들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몸체부에 미늘이나 돌기 등을 형성하여, 형성된 미늘이나 돌기들이 신체 조직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미늘이나 돌기만으로는 신체 조직 내에 삽입되어 있던 봉합사가 체내 조직 사이에서 고정이 형성되기 전 이탈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어, 사실상 시술 혹은 수술 후 봉합사에 매듭을 형성하여 봉합사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봉합사는 특히, 눈 안쪽의 결막을 절개하여 눈 밑의 지방을 재배치하는 눈 밑 지방 재배치 수술 중에서도 눈 밑 지방을 내측에서 실(봉합사)로 고정하는 내부 고정 방법을 통한 시술 방법과 같이 수술공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협소한 상황에서는 매듭형성이 더욱 힘들어지게 되어 시술자(의사)의 어려움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체 조직 내에 형성된 봉합사의 매듭으로 인해 환자가 이물감을 느끼거나 통증을 느낄 수도 있고, 이로 인해 자칫 수술 부위의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체 조직 간의 고정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기구에 있어, 수술 후 종래의 봉합사와 같이 별도의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비교적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는 특히 신체 내의 지방의 위치를 재배치하여 고정하는 눈 밑 지방 재배치 수술에 더욱 적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프팅 등과 같이 각종 비매듭 봉합이 필요한 수술에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는 일반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신체 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는 신체 내에서 신체 조직 간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신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고정되는 방식의 수술에서는 봉합사의 제거를 위한 추가 수술이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봉합사의 생분해성 재질 형성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의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늘들(111)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미늘들(111)은 상기 몸체부(110)가 절개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부(110)와 일체로 사출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늘들(1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늘 형상이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돌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복수 개의 미늘들(111)은 상기 몸체부(110) 상에 형성되어 신체 내에 삽입된 이후 신체 조직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늘들(111)은 상기 몸체부(110)에서 상기 고정부(120)를 향하는 측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미늘들(111)은 상기 몸체부(110)에서 상기 고정부(120)와 반대방향을 향하는 쐐기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의 신체 조직 내 삽입은 용이하면서, 삽입되었던 방향으로 다시 몸체부(110)가 되돌아 빠져나가는 것을 상기 미늘들(111)을 통해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몸체부(110) 및/또는 상기 복수 개의 미늘들(11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일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몸체부(110)가 신체 조직 내를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구멍에 상기 고정부(120)가 걸리게 되어, 신체 조직을 고정하면서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와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 즉,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 자체가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재질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구부러지고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이지만, 수술에 사용되기 전 기본 형태에서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고정부(120)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고정부(120)가 이루는 각도는 반드시 정확한 직각이 아니더라도, 소정 범위 내에서 가급적 직각에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몸체부(110)의 삽입으로 신체 조직에 생긴 구멍을 통해 상기 고정부(120)가 빠져나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는 상기 고정부(120)의 지지력을 보강하거나 및/또는 상기 고정부(120)에 의해 고정되는 신체 조직의 고정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한 구성들이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는 상기 고정부(12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21)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121)는 상기 고정부(120) 상에서 상기 몸체부(110)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21)는 필요에 따라 하나에서 복수 개까지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 역시 도면에 도시된 삼각형 단면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신체 조직 내에 견고한 고정에 유리하다면 어떤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고정부(120)가 만나는 지점에 상기 몸체부(110)를 중심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130)는 상기 고정부(120)가 휘거나 꺾일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120)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보강부(130)는 상기 몸체부(110)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시작되어, 상기 고정부(120)를 향해 갈수록 그 너비가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130)를 옆에서 보면 삼각형에 가까운 형상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의 일 단부 즉, 상기 고정부(120)가 형성되는 측의 일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면서 상기 보강부(13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눈 밑 지방 재배치 수술과 같이, 지방 등의 조직을 원래 있던 위치에서 꺼내어 재배치하고 고정하는데 더욱 유용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는 눈 밑 지방 재배치 수술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의 용도가 눈 밑 지방 재배치 수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비매듭 봉합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가 눈 밑 지방 재배치 수술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도면은 눈 밑 지방 재배치 수술의 마지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특히, 눈 밑 지방 재배치 수술 중에서도 눈 안쪽의 결막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결막 절개 시술 방법과, 박리된 눈물고랑 아래 부위에 눈 밑 지방을 내측에서 실로 고정하는 내부 고정 방법이 시행된 경우를 예로 들도록 한다.
이러한 눈 밑 지방 재배치 수술 과정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지만, 간략하게 요약하면, 전기메스 또는 레이저 등으로 아래 눈꺼풀(5) 안쪽의 결막(6)을 최소한으로 절개하고, 절개된 틈을 통해 눈 밑 지방(7)을 하측으로 끌어당겨 펼치며 움푹 파인 눈물고랑으로 재배치되도록 한 후,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가 연결된 수술용 니들을 절개된 결막(6)을 통해 삽입,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의 양 단이 각각 눈 밑 지방(7)과 피하 조직(9) 내에 걸려있도록 하여 눈 밑 지방(7)의 재배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눈 밑 지방(7)은 원래 있던 위치에서 하측(눈물고랑 측)으로 끌어내어져 당겨진 상태이므로, 고정이 형성되기 전에는 다시 원래 있던 위치로 되도록아 가고자 하는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100)는 이처럼 상기 눈 밑 지방(7)이 되돌아 가려는 것을 상기 피하 조직(9)과 연결된 상태로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복수 개의 미늘들(111)은 상기 피하 조직(9)의 내부에서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눈 밑 지방(7) 내부에서 상기 눈 밑 지방(7)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의료기구(예컨대, 봉합사)에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재배치된 눈 밑 지방(7)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수술 자체가 간편해지는 것은 물론 환자의 이물감이나 통증 등의 불편함까지 해소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신체 조직의 고정을 위한 의료기구에 있어서,
    신체에 삽입되며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미늘들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 단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와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에 상기 몸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가 만나는 지점에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늘들은,
    각각 상기 고정부를 향하는 측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KR1020180074234A 2018-06-27 2018-06-27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KR20200001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34A KR20200001364A (ko) 2018-06-27 2018-06-27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34A KR20200001364A (ko) 2018-06-27 2018-06-27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64A true KR20200001364A (ko) 2020-01-06

Family

ID=6915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234A KR20200001364A (ko) 2018-06-27 2018-06-27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3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093B1 (ko) 전립선 요도를 위한 절개 이식물
JP5496677B2 (ja) 繊細な組織に使用する手術用アクセス器具
US8608650B2 (en) Surgical access instruments for use with delicate tissues
US20050222613A1 (en)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 for vitrectomy
MXPA04007575A (es) Montaje introductor para instrumentos medicos.
US7666190B2 (en) Holder of contact lens for vitreous body operation, and holding part and connection part of contact lens for vitreous body operation
KR20160115163A (ko) 외과용 클립
US2004018635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inimizing the loss of blood through a severed sternum during cardiac and/or thoracic surgery
KR20200043134A (ko) 의료용 실
US5611814A (en) Resorbable surgical appliances and endoscopic soft tissue suspension procedure
KR20180120621A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US20080132944A1 (en) Suture re-tensioning device
KR101825878B1 (ko) 눈밑 지방 재배치 수술용 니들 기구
US20090192529A1 (en) Soft tissue reattachment mechanism
US20110295075A1 (en) Tissue retractor stay
US20230200808A1 (en) Bidirectional barbed suture having needl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01364A (ko) 고정이 용이한 의료기구
JP3868410B2 (ja) 針付縫合糸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JPH07313515A (ja) 手術用マーカー
KR102320419B1 (ko) 다수의 루프를 구비한 엔도 루프
JP2002028165A (ja) トロカール穿刺針
KR20160003529U (ko)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KR20160016225A (ko) 생체 삽입 또는 봉합용 자입 도구
JP2020039531A (ja) 腹腔鏡下手術用腹腔内組織牽引吊り上げ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