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355U -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 - Google Patents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355U
KR20200001355U KR2020180005791U KR20180005791U KR20200001355U KR 20200001355 U KR20200001355 U KR 20200001355U KR 2020180005791 U KR2020180005791 U KR 2020180005791U KR 20180005791 U KR20180005791 U KR 20180005791U KR 20200001355 U KR20200001355 U KR 202000013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bowel
collecting
envelope
envelop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종
Original Assignee
최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종 filed Critical 최인종
Priority to KR2020180005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355U/ko
Publication of KR20200001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상 잇점과 더불어 배변 수거 시 불쾌감을 감소시키고, 분리된 비닐재 봉투 본체의 재활용이 가능한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는,
투명 비닐재가 서로 접혀져서 사용자의 손이 수용되는 포켓 형태를 구비한 봉투 본체(110) ; 및
장방 형태의 펄프 재질로서 서로 마주 보는 양 선단부가 일정 폭(d2)을 갖도록 접혀져서 접힘부(120a)를 구성하고, 이 접힘부를 제외한 배변접촉부(120b)는 일정 폭(d3)을 갖고 반려견의 배변(E)과 접촉하며, 일측면에 상기 봉투 본체(11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배변처리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Collecting envelope for dog's excrement}
본 고안은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생상 잇점과 더불어 배변 수거 시 불쾌감을 감소시키고, 분리된 비닐재 봉투 본체의 재활용이 가능한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앞으로 애완동물 시장의 규모는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즉, 다변화 시대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정신적인 즐거움과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하는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들은 마치 가족구성원의 일부분으로 인식될 만큼 우리들의 삶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 중 특히, 반려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앞으로 반려견시장의 규모는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견을 위한 옷, 집, 껌, 배변 처리 용품 등 다양한 종류의 용품들이 제조, 판매되고 있다.
반려견을 사육하는데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 중의 하나는 배변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기존 가장 애용되고 있는 방법은 일회용 비닐봉투와 휴지를 휴대하고 다니며 반려견이 배설시 견주가 직접 손으로 치우는 방법이다. 이는 비위생적인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특허와 실용신안이 여럿 출원되었지만 실생활에서 적용되기에는 실용적이지 못하여 그 용품들을 시장에서 상용화되지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배변 처리 용품은 반려견을 키우고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필히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필수 용품으로서, 배변 집게, 배변 봉투 등 다양한 종류의 배변 처리 용품이 개발되고 있다.
반려견은 가정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사람과 동행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공원이나 공공시설 등에서 반려견이 보는 배변은 대부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반려견이 야외활동 중에 배설한 배변은 도시 미화나 공원이 환경 미화를 해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사람들에게 불쾌감과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사회적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나 각 자치단체들은 반려견이 배설한 배변을 처리하기 위해 매년 많은 인력과 비용을 소비하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반려견이 배설한 배설물을 수거하기 위하여 대부분 견주가 별다른 도구 없이 비닐봉지와 휴지만을 가지고 다니다가 만일 반려견이 실외에서 배변을 하게 되면, 배설물을 휴지로 잡아 비닐봉지에 넣어 가방이나 호주머니에 보관하고 있다가 쓰레기통에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와 같은 방법은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거 시 상당한 불쾌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배변 집게와 봉투를 하나로 셋트화시켜서 제조 및 판매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배변 집게와 봉투를 동시에 휴대하여 반려견의 변을 즉시 용이하게 처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휴대를 위해서는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별도의 가방에 수납하여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19499호(2009.11.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43589호(2008.07.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24556호(2018.02.02)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위생상 잇점과 더불어 배변 수거 시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리된 비닐재 봉투 본체의 재활용이 가능한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과 더불어 휴대가 간편하며, 비용 소요를 줄일 수 있는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투명 비닐재가 서로 접혀져서 사용자의 손이 수용되는 포켓 형태를 구비한 봉투 본체(110) ; 및 장방 형태의 펄프 재질로서 서로 마주 보는 양 선단부가 일정 폭(d2)을 갖도록 접혀져서 접힘부(120a)를 구성하고, 이 접힘부를 제외한 배변접촉부(120b)는 일정 폭(d3)을 갖고 반려견의 배변(E)과 접촉하며, 일측면에 상기 봉투 본체(11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배변처리부재(120)를 포함하는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봉투 본체(110)는,
사용자의 손을 넣는 과정에서 봉투 본체(110)의 벌림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면(110a)과 밑면(110b) 사이 폭(d1)이 5~15㎜의 간격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반려견의 배변(E)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2겹의 봉투 본체(110)와, 2겹의 배변처리부재(120) 모두 4겹의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100)를 통해 반려견의 배변(E) 처리가 가능하므로, 위생상 잇점과 더불어 배변(E) 수거 시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분리된 비닐재 봉투 본체(110)는 다른 용도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경량과 더불어 휴대가 간편하며, 배변(E) 처리를 위한 별도의 배변 집게등이 불필요하므로, 비용 소요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에 있어서의 봉투 본체가 180도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를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에 있어서의 봉투 본체가 180도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100)는, 봉투 본체(110)와 배변처리부재(1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봉투 본체(110)는 사용자의 손이 완전히 수용되도록 포켓 형태를 갖는 투명 비닐재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일측면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 길이의 약 5/6가 후술하는 배변처리부재(120)에 분리가 용이하게끔 열접착된다.
이때, 봉투 본체(110)는 사용자의 손을 넣는 과정에서 봉투 본체(110)의 벌림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면(110a)과 밑면(110b) 사이 폭(d1)이 약 5~15㎜, 바람직하게는 10㎜ 간격을 갖도록 상면(110a)과 밑면(110b)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변처리부재(120)는 가로, 세로 일정 길이를 갖는 장방 형태의 2겹의 펄프 재질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 면적의 약 2/5가 안쪽으로 접히고, 이 배변처리부재(120)의 일측면에 전술한 봉투 본체(110)의 좌우 전체 길이의 약 5/6가 열접착된다.
이때, 열접착은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100)의 취급 과정에서 봉투 본체(110)가 배변처리부재(120)로부터 분리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변처리부재(120)의 좌우 양 끝단에서 배변처리부재(120)의 내측 방향으로 약 5~10㎜ 간격으로 이격되게끔 열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변처리부재(120)의 서로 마주 보는 양 선단부(전체 면적의 약 1/5)는 일정 폭(d2)을 갖도록 접혀져서 접힘부(120a)를 구성하고, 접힘부(120a)를 제외한 배변접촉부(120b)는 일정 폭(d3)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반려견과 함께 외부 산책을 하다가 반려견이 노상에 배변(E)을 해서 이를 치우고자 할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100)를 가방등에서 인출한 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처리부재(120)의 접힘부(120a)와 봉투 본체(110)의 일부를 상방향으로 180도 젖힌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한손을 봉투 본체(110)의 상면(110a)과 밑면(110b) 사이를 통해 넣는다. 이에 따라 한손과 손목 일부가 봉투 본체(110)에 완전히 수납된다.
이때, 배변(E)과 접촉하는 배변처리부재(120)는 전체 면적의 2/5에 해당하는 배변접촉부(120b)외에 접힘부(120a)(전체 면적의 5/1)이 합쳐져서 도 2의 d2와 d3를 합한 만큼의 면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변접촉부(120b) 및 이에 연설된 접힘부(120a)로 배변을 움켜쥐고, 봉투 본체(110)를 뒤집으면, 배변(E)이 배변처리부재(120)에 싸여진 상태로서 봉투 본체(110)에 수납된다(도 5 참조).
이후, 사용자는 봉투 본체(110)를 흔들어서, 배변처리부재(120)에 싸여진 배변(E)을 봉투 본체(110) 안쪽에 완전히 수납시키고, 봉투 본체(110) 입구를 가볍게 묶어서 가방등에 넣은 후에 근처 공중 화장실 또는 가정의 화장실로 이동한다.
이후, 변기의 직상부에서 봉투 본체(110)의 밑단을 잡고 수차례 흔들면, 배변처리부재(120)에 싸여진 배변(E)은 변기 내부로 낙하하며, 분리된 비닐재 봉투 본체(110)는 다른 용도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반려견의 배변(E)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2겹의 봉투 본체(110)와, 2겹의 배변처리부재(120) 모두 4겹의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100)를 통해 반려견의 배변(E) 처리가 가능하므로, 위생상 잇점과 더불어 배변(E) 수거 시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된 비닐재 봉투 본체(110)는 다른 용도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경량과 더불어 휴대가 간편하며, 배변(E) 처리를 위한 별도의 배변 집게등이 불필요하므로, 비용 소요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 110 : 봉투 본체
110a : 상면 110b : 밑면
120 : 배변처리부재 120a : 접힘부
120b : 배변접촉부

Claims (2)

  1. 투명 비닐재가 서로 접혀져서 사용자의 손이 수용되는 포켓 형태를 구비한 봉투 본체(110) ; 및
    장방 형태의 펄프 재질로서 서로 마주 보는 양 선단부가 일정 폭(d2)을 갖도록 접혀져서 접힘부(120a)를 구성하고, 이 접힘부를 제외한 배변접촉부(120b)는 일정 폭(d3)을 갖고 반려견의 배변(E)과 접촉하며, 일측면에 상기 봉투 본체(11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배변처리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110)는,
    사용자의 손을 넣는 과정에서 봉투 본체(110)의 벌림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면(110a)과 밑면(110b) 사이 폭(d1)이 5~15㎜의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



KR2020180005791U 2018-12-13 2018-12-13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 KR202000013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791U KR20200001355U (ko) 2018-12-13 2018-12-13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791U KR20200001355U (ko) 2018-12-13 2018-12-13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55U true KR20200001355U (ko) 2020-06-24

Family

ID=7112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791U KR20200001355U (ko) 2018-12-13 2018-12-13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355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89B1 (ko) 2007-03-22 2008-07-03 이기철 애완동물의 배변 수거장치
KR20090119499A (ko) 2008-05-16 2009-11-19 정운희 애견용 배변 봉투
KR101824556B1 (ko) 2016-05-25 2018-02-02 정춘란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89B1 (ko) 2007-03-22 2008-07-03 이기철 애완동물의 배변 수거장치
KR20090119499A (ko) 2008-05-16 2009-11-19 정운희 애견용 배변 봉투
KR101824556B1 (ko) 2016-05-25 2018-02-02 정춘란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15349A1 (en) Animal Waste Disposal System
KR20200001355U (ko) 반려견 배변 수거용 봉투
KR200421795Y1 (ko) 휴대용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기
KR101609829B1 (ko)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 봉투
ES2392864B1 (es) Recogedor de excrementos de animales y procedimiento de plegado.
JP3116937U (ja) ペットの排泄物処理容器及び補助具
KR102483041B1 (ko) 애완동물용 일회용 분변 케이스
KR20090027881A (ko) 애완동물용 오물 수거기
KR200331637Y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용 위생봉투
KR200420527Y1 (ko) 애완동물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조립식 용기
EP3701792A1 (en) Bag for removing and cleaning up dog excrement
ES1296681U (es) Recogedor de excrementos caninos
KR20230017487A (ko) 반려동물 배설물 수집기
CN106351164B (zh) 拾便器
JP3043332U (ja) 愛玩動物用糞取り具
CA1082251A (en) Disposable litter container
KR200325970Y1 (ko) 오물수거포대
JP3006105U (ja) 路上の糞を回収する袋
JP4778759B2 (ja) ペットの糞の回収用具
JP3046990U (ja) 愛犬用携帯便器
JP3063483U (ja) 犬のフン取りナイスキャッチ
JPH0525410Y2 (ko)
JP3059137U (ja) ペット用使い捨て糞回収具
JP3093465U (ja) ペット用糞取り用具
ES1075144U (es) Recogedor de excrementos de animales de compañ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