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16U - 절첩식 매대 - Google Patents

절첩식 매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216U
KR20200001216U KR2020180005562U KR20180005562U KR20200001216U KR 20200001216 U KR20200001216 U KR 20200001216U KR 2020180005562 U KR2020180005562 U KR 2020180005562U KR 20180005562 U KR20180005562 U KR 20180005562U KR 20200001216 U KR20200001216 U KR 202000012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late
plate member
lin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904Y1 (ko
Inventor
박태호
Original Assignee
박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호 filed Critical 박태호
Priority to KR2020180005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90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9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이 절첩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절첩식 매대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4개의 모서리부; 상기 모서리부 사이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2개의 고정판부; 및 상기 모서리부에 절첩되고 가운데 부분이 절첩되는 2개의 절첩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첩식 매대{Folding display rack}
본 고안은 칼라 귀 뒤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이 절첩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절첩식 매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판매점에서는 판매되거나 전시되는 물품을 진열하기 위해 판매용 매대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판매용 매대는 매대가 위치하는 공간의 면적을 미리 파악하고 이에 맞도록 주문제작하여 사용되거나, 일반적인 다각 형상의 상판을 갖는 매대를 필요한 공간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4750호(2006.08.18 등록)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품이 진열된 진열대; 및 진열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 메모리부에 연결된 제어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의 조명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주변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주변의 소음 정도를 감지하여 주변 소음 정도에 따라 스피커를 통한 음성 출력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소음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8551호(2004.11.12 등록)는 상품 진열 판매대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바닥판; 상기 바닥판을 일정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받침대; 상기 바닥판의 끝단에 조립되어 바닥판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 세워 설치된 복수개의 측판; 상기 바닥판의 모서리부에서 양쪽 측판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모서리기둥; 상기 측판의 상단 및 하단 외측 모서리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절첩식 매대는, 차지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하거나 이동시키는 경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4750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8551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주보는 2개의 절첩판부가 절첩 가능하도록 한 절첩식 매대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4개의 모서리부; 상기 모서리부 사이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2개의 고정판부; 및 상기 모서리부에 절첩되고 가운데 부분이 절첩되는 2개의 절첩판부를 포함하는 절첩식 매대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절첩판부는, 상기 모서리부와 절첩 가능하게 결합 형성되는 제1 판부재; 다른 모서리부와 절첩 가능하게 결합 형성되는 제2 판부재; 상기 모서리부와 상기 제1 판부재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판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1 절첩부재; 다른 모서리부와 상기 제2 판부재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판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2 절첩부재; 및 상기 제1 판부재의 다른 일단과 상기 제2 판부재의 다른 일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판부재와 상기 제2 판부재 사이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3 절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절첩부재는, 상기 모서리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힌지홈라인; 및 상기 제1 판부재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홈라인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힌지홈라인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제1 끼움돌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절첩부재는, 양쪽에 2개의 홈라인이 일체로 형성되는 제3 힌지홈라인; 상기 제1 판부재의 다른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하나의 홈라인에 삽입되어 상기 홈라인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제3 끼움돌기라인; 및 상기 제2 판부재의 다른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다른 홈라인에 삽입되어, 다른 홈라인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제4 끼움돌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서리부는,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판부재와 상기 제2 판부재가 더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한 걸림턱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모서리부 사이에 절첩판부가 형성되어 내부 방향으로 절첩됨으로써, 두께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보관이 용이하며, 미관을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힌지홈라인에 삽입되는 끼움돌기라인의 회동에 따라 절첩판부를 절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가 절첩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가 절첩된 상태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있는 제1 절첩부재, 제2 절첩부재, 제3 절첩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광고판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에 있는 고정판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칼라 귀 뒤집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절첩식 매대는, 모서리부(100), 고정판부(200, 300), 절첩판부(400, 500)를 포함한다.
모서리부(100)는, 제1 모서리부재(101), 제2 모서리부재(102), 제3 모서리부재(103), 제4 모서리부재(104)인 총 4개로 이루어지며, 2개의 고정판부(200, 300)와 2개의 절첩판부(400, 500)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모서리부(100)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단단한 금속재(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등)로 형성되어, 상부에 물건을 진열하기 위해 물건과 진열판을 올려놓을 경우에 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모서리부(100)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지게 형성되어, 충돌 시 긁히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서리부(100)는, 일측에 절첩판부(400, 500)가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 고정판부(200, 300)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판부(200, 300)는, 2개로 구비되며, 제1 모서리부재(101)와 제3 모서리부재(103)의 사이 및 제2 모서리부재(102)와 제4 모서리부재(104)의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판부(200, 300)는, 나사 결합을 통해 제1 모서리부재(101)와 제3 모서리부재(103)의 사이 및 제2 모서리부재(102)와 제4 모서리부재(104)의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판부(200, 300)는, 합판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 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판부(200, 300)는,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절첩판부(400, 500)는, 2개로 구비되며, 제1 모서리부재(101)와 제2 모서리부재(102)의 사이 및 제3 모서리부재(103)와 제4 모서리부재(104)의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운데 부분이 내부 방향으로 절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절첩판부(400)는, 제1 판부재(410), 제2 판부재(420), 제1 절첩부재(430), 제2 절첩부재(440), 제3 절첩부재(45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주보는 절첩판부(500) 역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판부재(410)는, 일단이 제1 모서리부재(101)와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일단이 제3 절첩부재(450)와 결합되어, 절첩 시 내부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2 판부재(420)는, 일단이 제2 모서리부재(102)와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일단이 제3 절첩부재(450)와 결합되어 절첩 시 내부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 절첩부재(430)는, 제1 모서리부재(101)와 제1 판부재(410)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판부재(410)를 회동시킨다.
제2 절첩부재(440)는, 제2 모서리부재(102)와 제2 판부재(420)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제2 판부재(420)를 회동시킨다.
제3 절첩부재(450)는, 제1 판부재(410)의 다른 일단과 제2 판부재(420)의 다른 일단 사이에 형성되어, 제1 판부재(410)와 제2 판부재(420) 사이를 회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절첩식 매대는, 모서리부(100) 사이에 절첩판부(400, 500)가 형성되어 절첩판부(400, 500)가 내부 방향으로 절첩됨으로써, 절첩식 매대의 두께를 감소시켜 보관이 용이하며, 제1 절첩부재(430)와 제2 절첩부재(44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미관을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있는 제1 절첩부재, 제2 절첩부재, 제3 절첩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절첩부재(430)는, 제1 힌지홈라인(431), 제1 끼움돌기라인(432)를 포함하며, 제2 절첩부재(440)는, 제2 힌지홈라인(441), 제2 끼움돌기라인(442)을 포함하며, 제3 절첩부재(450)는, 제3 힌지홈라인(453), 제3 끼움돌기라인(454), 제4 끼움돌기라인(455)을 포함한다.
제1 힌지홈라인(431)은, 제1 모서리부재(101)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끼움돌기라인(432)을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힌지홈라인(431)은, 단면이 ‘C’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 사이로 제1 끼움돌기라인(432)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끼움돌기라인(432)은, 제1 판부재(410)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힌지홈라인(431)에 삽입되어 제1 힌지홈라인(43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끼움돌기라인(432)은, 제1 판부재(410)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각도(예를 들어, 30 ~ 50°)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힌지홈라인(441)은, 제2 모서리부재(102)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끼움돌기라인(442)을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힌지홈라인(441)은, 단면이 ‘C’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 사이로 제2 끼움돌기라인(442)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끼움돌기라인(442)은, 제2 판부재(420)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힌지홈라인(441)에 삽입되어 제2 힌지홈라인(44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끼움돌기라인(442)은, 제2 판부재(420)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각도(예를 들어, 30 ~ 50°)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힌지홈라인(453)은, 양쪽에 2개의 홈라인(451, 452)이 일체로 형성되며, 2개의 홈라인(451, 452)에 각각 제3 끼움돌기라인(454), 제4 끼움돌기라인(455)을 삽입한다.
제3 끼움돌기라인(454)은, 제1 판부재(410)의 다른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나의 홈라인(451)에 삽입되어, 홈라인(45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제4 끼움돌기라인(455)은, 제2 판부재(420)의 다른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홈라인(452)에 삽입되어, 다른 홈라인(452)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즉, 절첩식 매대의 사용이 완료되어, 절첩식 매대를 보관하거나 이동하기 위해서 제1 판부재(410) 또는 제2 판부재(420)를 안쪽으로 밀어주면, 제1 절첩부재(430), 제2 절첩부재(440), 제3 절첩부재(440)에 의해 제1 판부재(410)와 제2 판부재(420)가 안쪽으로 회동하면서 절첩되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절첩식 매대는, 걸림턱라인(110), 제1 걸림수단(411), 제2 걸림수단(4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라인(110)은, 제1 모서리부재(101), 제2 모서리부재(102), 제3 모서리부재(103), 제4 모서리부재(104)의 일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제1 판부재(410)와 제2 판부재(420)가 펼쳐지는 경우에 제1 판부재(410)와 제2 판부재(420)가 90°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막아주어 안정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라인(110)은, 제1 모서리부재(101), 제2 모서리부재(102), 제3 모서리부재(103), 제4 모서리부재(104)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수단(411)은, 제1 판부재(410)의 일단에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 판부재(410)가 펼쳐지는 경우에 걸림턱라인(110)에 걸린다.
제2 걸림수단(421)은, 제2 판부재(420)의 일단에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 판부재(420)가 펼쳐지는 경우에 걸림턱라인(110)에 걸린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제3 절첩부재(450)는, 회동방지라인(456), 제3 걸림수단(412), 제4 걸림수단(4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방지라인(456)은, 제3 힌지홈라인(453)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 판부재(410)와 제2 판부재(420)가 절첩되는 경우에 90°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막아주어 안정적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걸림수단(412)은, 제1 판부재(410)의 다른 일단에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 판부재(410)가 절첩되는 경우에 회동방지라인(456)에 걸린다.
제4 걸림수단(422)는, 제2 판부재(420)의 다른 일단에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 판부재(420)가 절첩되는 경우에 회동방지라인(456)에 걸린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절첩식 매대는, 제1 힌지홈라인(431)에 삽입되는 제1 끼움돌기라인(432), 제2 힌지홈라인(441)에 삽입되는 제2 끼움돌기라인(442), 제3 힌지홈라인(453)에 삽입되는 제3 끼움돌기라인(454), 제4 끼움돌기라인(455)의 회동에 따라 제1 판부재(410)와 제2 판부재(420)를 용이하게 절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절첩식 매대는, 모서리부(100), 고정판부(200, 300), 절첩판부(400, 500), 자석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서리부(100), 고정판부(200, 300), 절첩판부(400, 500)는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자석부(600)는, 걸림턱라인(110)과 제1 걸림수단(411)의 내측에 각각 N극과 S극의 자석으로 형성되며, 자석의 인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판부재(410)가 절첩되면서 걸림턱라인(110)과 제1 걸림수단(411)이 일정 거리 내에 위치되면, 자석부(600)의 인력에 의해 서로 달라붙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석부(600)는, 제1 자석부재(610), 제2 자석부재(6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자석부재(610)는, 걸림턱라인(110)의 내측에 삽입 형성되어, 제2 자석부재(620)와 인력이 작용된다.
제2 자석부재(620)는, 제1 걸림수단(411)의 내측에 삽입 형성되며, 제1 자석부재(211)와 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절첩식 매대는, 모서리부(100), 고정판부(200, 300), 절첩판부(400, 500), 광고판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서리부(100), 고정판부(200, 300), 절첩판부(400, 500)는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광고판부(700)는, 고정판부(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광고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광고판부(700)는, 액자 형상의 LED를 이용한 광고판으로서, 고정판부(20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LED 동작에 필요한 전원선이 구비되어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고판부(700)는, 원하는 광고의 시트를 부착하여 소비자들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고판부(700)는, 다른 고정판부(300)에도 형성되어, 양면에 광고판을 결합하여 양면 광고를 할 수 있게 되어, 광고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있는 광고판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고판부(700)는, 개폐프레임부재(710), 개폐부재(720), 고정부재(730), 광고판부재(740)를 포함한다.
개폐프레임부재(710)는, 고정판부(200)의 전면 양측에 각각 2개로 형성된다.
개폐부재(720)는, 개폐프레임부재(7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프레임부재(71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광고판부재(740)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폐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부재(720)는, 일 말단에 실리콘 패드가 구비되어, 광고판부재(740)와 접촉 시 광고판부재(740)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730)는, 개폐프레임부재(710)와 개폐부재(720) 사이에 형성되어, 개폐부재(72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730)는, 홈(731), 돌기(7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홈(731)은, 돌기(732)에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개폐프레임부재(710)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돌기(732)를 삽입하여 개폐부재(7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홈(731)은, 돌기(732)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그 간격에 딱 맞게 끼어질 수 있다
돌기(732)는, 개폐부재(720)의 표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되어, 홈(731)에 삽입되거나 이탈된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732)는, 평상시 홈(73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광고판부재(740)를 탈부착 하기 위해 개폐부재(720)를 회동시키는 경우에 홈(731)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광고판부재(740)는, 개폐부재(720)의 개폐에 따라 고정판부(200)의 전면에 탈부착한다.
즉, 개폐부재(720)를 일 방향으로 회동시켜 개방한 후 개폐부재(720)와 고정판부(200)의 전면 사이에 광고판부재(740)를 위치시키며, 개폐부재(720)를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폐쇄함으로써 광고판부재(7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매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절첩식 매대는, 모서리부(100), 고정판부(200, 300), 절첩판부(400, 500), 고정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서리부(100), 고정판부(200, 300), 절첩판부(400, 500)는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고정부(800)는, 제1 판부재(410)의 다른 일단과 제2 판부재(420)의 다른 일단 사이에 형성되어, 제1 판부재(410)의 다른 일단과 제2 판부재(420)의 다른 일단 사이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800)는, 다른 절첩판부(500)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800)는, 가이드라인(810), 고정바(8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라인(810)은, 제1 판부재(410)의 다른 일단과 제2 판부재(420)의 다른 일단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바(820)를 삽입하여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라인(810)은, 제1 걸림수단(411)과 제2 걸림수단(4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바(820)는, 가이드라인(810)에 삽입되어, 제1 판부재(410)의 다른 일단과 제2 판부재(420)의 다른 일단 사이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바(820)는, 중앙 부분이 관통 형성되어 제3 절첩부재(450)를 관통시키며, 양측이 가이드라인(810)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바(820)는, 상단에 손잡이가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판부재(410)와 제2 판부재(420)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바(820)를 가이드라인(810)에 삽입한 후에는 제1 판부재(410)와 제2 판부재(420)가 고정바(820)에 의해 절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1 판부재(410)와 제2 판부재(420)를 밀어도 고정바(820)에 걸리게 되어 불필요한 절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에 있는 고정판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판부(200)는, 레일부재(210), 제1 슬라이딩판(220), 제2 슬라이딩판(230)을 포함한다.
레일부재(210)는, 상부와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 제1 슬라이딩판(220)과 제2 슬라이딩판(230)을 삽입하여, 제1 슬라이딩판(220)과 제2 슬라이딩판(230)을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 한다.
제1 슬라이딩판(220)은, 2개의 레일부재(210) 사이에 삽입되어, 레일부재(21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슬라이딩판(220)은, 상단과 하단이 2개의 레일부재(210)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좌, 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슬라이딩판(220)은, 일측에 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홈에 손을 삽입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슬라이딩판(230)은, 제1 슬라이딩판(220)의 일측 방향에 해당하는 2개의 레일부재(210) 사이에 삽입되어, 레일부재(21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슬라이딩판(230)은, 상단과 하단이 2개의 레일부재(210) 사이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좌, 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로 폐쇄하고 있다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슬라이딩판(220)의 후방에 중첩되어 개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슬라이딩판(230)은, 일측에 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홈에 손을 삽입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절첩식 매대는, 하나의 고정판부(200)가 레일부재(210), 제1 슬라이딩판(220), 제2 슬라이딩판(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고정판부(300)도 레일부재(210), 제1 슬라이딩판(220), 제2 슬라이딩판(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둘 다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모서리부
101 : 제1 모서리부재
102 : 제2 모서리부재
103 : 제3 모서리부재
104 : 제4 모서리부재
110 : 걸림턱라인
200, 300 : 고정판부
210 : 레일부재
220 : 제1 슬라이딩판
230 : 제2 슬라이딩판
400, 500 : 절첩판부
410 : 제1 판부재
411 : 제1 걸림수단
412 : 제3 걸림수단
420 : 제2 판부재
421 : 제2 걸림수단
422 : 제4 걸림수단
430 : 제1 절첩부재
431 : 제1 힌지홈라인
432 : 제1 끼움돌기라인
440 : 제2 절첩부재
441 : 제2 힌지홈라인
442 : 제2 끼움돌기라인
450 : 제3 절첩부재
451, 452 : 홈라인
453 : 제3 힌지홈라인
454 : 제3 끼움돌기라인
455 : 제4 끼움돌기라인
456 : 회동방지라인
600 : 자석
610 : 제1 자석부재
620 : 제2 자석부재
700 : 광고판부
710 : 개폐프레임부재
720 : 개폐부재
730 : 고정부재
731 : 홈
732 : 돌기
740 : 광고판부재
800 : 고정부
810 : 가이드라인
820 : 고정바

Claims (5)

  1. 4개의 모서리부;
    상기 모서리부 사이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2개의 고정판부; 및
    상기 모서리부에 절첩되고 가운데 부분이 절첩되는 2개의 절첩판부를 포함하는 절첩식 매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판부는,
    상기 모서리부와 절첩 가능하게 결합 형성되는 제1 판부재;
    다른 모서리부와 절첩 가능하게 결합 형성되는 제2 판부재;
    상기 모서리부와 상기 제1 판부재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판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1 절첩부재;
    다른 모서리부와 상기 제2 판부재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판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2 절첩부재; 및
    상기 제1 판부재의 다른 일단과 상기 제2 판부재의 다른 일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판부재와 상기 제2 판부재 사이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3 절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매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첩부재는,
    상기 모서리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힌지홈라인; 및
    상기 제1 판부재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홈라인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힌지홈라인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제1 끼움돌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매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첩부재는,
    양쪽에 2개의 홈라인이 일체로 형성되는 제3 힌지홈라인;
    상기 제1 판부재의 다른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하나의 홈라인에 삽입되어 상기 홈라인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제3 끼움돌기라인; 및
    상기 제2 판부재의 다른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다른 홈라인에 삽입되어, 다른 홈라인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제4 끼움돌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매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는,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판부재와 상기 제2 판부재가 더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한 걸림턱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매대.
KR2020180005562U 2018-12-03 2018-12-03 절첩식 매대 KR200491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62U KR200491904Y1 (ko) 2018-12-03 2018-12-03 절첩식 매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62U KR200491904Y1 (ko) 2018-12-03 2018-12-03 절첩식 매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16U true KR20200001216U (ko) 2020-06-11
KR200491904Y1 KR200491904Y1 (ko) 2020-06-29

Family

ID=7107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562U KR200491904Y1 (ko) 2018-12-03 2018-12-03 절첩식 매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9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598B1 (ko) * 2020-07-23 2020-11-11 주식회사 레어로우 접이식 매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628Y1 (ko) 2020-10-15 2022-07-11 이인석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09Y1 (ko) * 1997-02-21 1999-10-15 김광대 진열장
KR200275632Y1 (ko) * 2002-02-08 2002-05-11 김선일 이동식 진열장
KR200345700Y1 (ko) * 2003-12-29 2004-03-27 강현성 절첩기능을 가진 상품진열대의 결합구조
KR200368551Y1 (ko) 2004-09-02 2004-11-26 주식회사 주신엔터프라이즈 상품 진열 판매대
KR200424750Y1 (ko) 2006-06-12 2006-08-25 양인모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
KR200454880Y1 (ko) * 2009-09-08 2011-08-02 김종철 다중 절첩식 진열판 일체형 상품 진열대
KR20120002979U (ko) * 2010-10-22 2012-05-03 김민수 엘이디 조명광고장치 탈부착 구조의 이동식 상품 판매대
KR200475434Y1 (ko) * 2013-06-12 2014-12-02 오 달 권 테이블 다리의 접철장치
KR200478738Y1 (ko) * 2015-06-29 2015-11-11 주신아이디 주식회사 상품 진열용 스탠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09Y1 (ko) * 1997-02-21 1999-10-15 김광대 진열장
KR200275632Y1 (ko) * 2002-02-08 2002-05-11 김선일 이동식 진열장
KR200345700Y1 (ko) * 2003-12-29 2004-03-27 강현성 절첩기능을 가진 상품진열대의 결합구조
KR200368551Y1 (ko) 2004-09-02 2004-11-26 주식회사 주신엔터프라이즈 상품 진열 판매대
KR200424750Y1 (ko) 2006-06-12 2006-08-25 양인모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
KR200454880Y1 (ko) * 2009-09-08 2011-08-02 김종철 다중 절첩식 진열판 일체형 상품 진열대
KR20120002979U (ko) * 2010-10-22 2012-05-03 김민수 엘이디 조명광고장치 탈부착 구조의 이동식 상품 판매대
KR200475434Y1 (ko) * 2013-06-12 2014-12-02 오 달 권 테이블 다리의 접철장치
KR200478738Y1 (ko) * 2015-06-29 2015-11-11 주신아이디 주식회사 상품 진열용 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598B1 (ko) * 2020-07-23 2020-11-11 주식회사 레어로우 접이식 매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904Y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8832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torage compartment and pivot stand
JP5680806B2 (ja)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のためのカバーおよびパッケージング
USD607034S1 (en) Portable front projection screen
USD609936S1 (en) Storage cabinet
US8833555B2 (en) Case having an interchangeable cover
JP3164812U (ja) フラットタイプ電子製品の保護部材
USD909367S1 (en) Laptop computer
US8659887B2 (en) Prop stand and protective case structure for electronic product
USD573150S1 (en) Laptop stand
KR200491904Y1 (ko) 절첩식 매대
US11974118B2 (en) Portable device accessory
USD608380S1 (en) Data projector with screen
CN104042044A (zh) 药柜
USD592435S1 (en) Gift wrapping storage box with a deployable shelf
USD640871S1 (en) Handbag with interchangeable handbag cover
US20150047993A1 (en) Packaging With Multiple Functions After Opening
CA122500S (en) Combined storage cabinet with tv lift mechanism
USD541348S1 (en) Spherical tape dispenser
US20060070892A1 (en) Storage apparatus
US20060175221A1 (en) Container openable and closable in different ways
USD634327S1 (en) Flexible laptop display slipcover having a transparent front panel and an advertising back panel
JP2007312808A (ja) スタンド付き額縁
KR200462829Y1 (ko) 전면개폐식 게시판
US20090300960A1 (en) Picture storage protection unit
AU2006100021A4 (en) Container openable and closable in different w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