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750Y1 -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750Y1
KR200424750Y1 KR2020060015685U KR20060015685U KR200424750Y1 KR 200424750 Y1 KR200424750 Y1 KR 200424750Y1 KR 2020060015685 U KR2020060015685 U KR 2020060015685U KR 20060015685 U KR20060015685 U KR 20060015685U KR 200424750 Y1 KR200424750 Y1 KR 200424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device
display
stand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모
Original Assignee
양인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인모 filed Critical 양인모
Priority to KR2020060015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매 시설에서 나타나는 비효율적인 인력 활용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소비자들에게 상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시각적 그리고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판매대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판매대는 상품이 진열된 진열대; 및 진열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 메모리부에 연결된 제어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의 조명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주변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주변의 소음 정도를 감지하여 주변 소음 정도에 따라 스피커를 통한 음성 출력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소음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무인 판매대, 상품 진열대, 접근감지, 모니터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Sale stand provided with display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판매대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판매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은 판매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세하게는 소비자에게 상품 홍보용 동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제공하여 판매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을 포함한 판매 시설은 일정한 공간의 단위 매장 또는 부스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 단위 매장 또는 부스에는 판매할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판매대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각 판매대에는 직원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직원은 제품의 포장 및 계 산 등과 같은 직접적인 판매 행위뿐만 아니라 판매대를 찾아온 소비자들에게 제품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판매대에 배치된 인력을 통해 제품의 홍보나 판매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정확한 제품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지만, 모든 판매대에 전단 직원을 배치함으로써 인력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최근에는 할인점과 같은 판매 매장들이 대부분 24시간 운영하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며, 연중 무휴로 판매대를 운용 과정에서 인건비가 과다하게 지출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신규 직원은 물론 기존 담당 직원에게 판매대에 진열된 상품 및 새로운 제품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시로 교육시켜야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각 매장에서는 계산만을 담당하는 직원들이 있기 때문에 각 판매대별로 제품의 홍보 및 정보 제공만을 위하여 직원을 배치하는 것은 인력의 낭비 및 매장 운영 경비의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은 판매 시설에서 나타나는 비효율적인 인력 활용의 문제점을 개선함과 동시에 소비자들에게 상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시각적 그리고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판매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판매대는 상품이 진열된 진열대; 및 진열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 메모리부에 연결된 제어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의 조명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주변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주변의 소음 정도를 감지하여 주변 소음 정도에 따라 스피커를 통한 음성 출력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소음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판매대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판매대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판매대(200)는 상품이 진열/적재되어 있는 진열대(210) 및 진열대(2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한다.
진열대(210)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효율적으로 배치, 진열할 수 있는 디자인 및 규격을 갖고 있다. 특히,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대(210)의 표면은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진열대(210)의 하부에는 판매 상품을 수납, 보관하는 수납 공간이 제공되며, 상부면 외곽으로는 펜스를 설치함으로써 상품의 수납 효율을 높이고, 적재된 상품이 진열대 밖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판매대(200)의 가장 큰 특징은 상품이 적재, 진열되는 진열대(210)의 일측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장착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이용한 디 스플레이 장치(100)는 개인용 비디오 녹화기(Personal Video Recorder:PVR), DVD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같은 동영상 재생수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에 사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0), 메모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모티터) 및 각종 감지부(61, 62, 63)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0)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피커부(50) 및 스프레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상품 정보 제공 기능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부(20)에는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각종 정보(예를 들어, 제조자, 가격, 제품 구성 및 재료 등)가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 화상으로서, 이하에서는 "동영상"을 예를 들어 설명함)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판매대(200)의 운영 시간 동안, 제어부(10)는 메모리부(20)에 저장된 동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동영상 정보의 디스플레이시, 함께 메모리부(20)에 저장된 음성 정보 역시 스피커부(50)를 통하여 출력됨으로써 소비자는 시각적 그리고 청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부(2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상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 이외에 매장에서 실시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지역 사회 관련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위의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30)의 한 면에서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양면에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한 모니터를 디스플레이부(30)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디스플레이부(30)를 사용할 경우, 구매자는 어느 위치에서도 디스플레이부(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정보 디스플레이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양면 디스플레이부(30; 모니터)의 구성은 그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B. 밝기 조절 기능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광센서(61)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광센서(61)는 판매대(200) 주변의 조명 상태를 감지한다. 만일, 판매대(200)의 주변 조명이 어두울 경우, 광센서(61)는 감지된 조명 정보를 제어부(10)로 전달하며,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부(30)의 밝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은 주변 조명 상태에 따라 그 밝기가 조절되어 최적의 화질을 갖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C. 음향 조절 기능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제어부(10)에 연결된 소음 측정부(63)가 포함되어 있다. 이 소음 측정부(63)는 판매대(200) 주변의 소음 정도를 감지한다. 판매대(200)의 주변에 구매자들이 다수 접근하였을 경우, 소음도가 커지게 되며, 따라서 소비자들은 스피커부(50)에서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정확하게 들을 수 없게 된다.
소음 측정부(63)에서 측정된 주변 소음 정도가 설정된 범위 이상일 경우, 제어부(10)는 스피커부(50)의 출력의 세기를 높임으로써 주변이 시끄럽더라도 소비자들은 정확한 음성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판매대(200) 주변이 조용할 경우, 제어부(10)는 스피커부(50)의 출력의 세기를 줄이게 되며, 따라서 음성 정보가 과도한 세기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쇼핑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D. 절전 기능
전술한 바와 같이, 24시간 운영되는 판매대(200) 주변에는 항상 소비자들이 있는 것이 아니며, 특히 야간의 경우 판매 물품에 따라 소비자들이 오랜 시간 동안 찾아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도 디스플레이부(30)에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에너지 효율 면에서 불합리하며, 따라서 소비자가 없는 판매대(2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동작 감지부(62; 동작 감지 센서)를 설치하였다. 이 동작 감지부(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제어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만일, 판매대(200) 주변에 장시간 동안 구매자가 찾아오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10분 동안 주변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 동작 감지부(62)는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10)로 전달한다. 제어부(10)는 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하여 동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한다.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매자가 판매대(200)를 찾아올 경우, 동작 감지부(62)는 구매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하여 동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시작한다.
동작 감지부(62)의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구매자들이 없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30)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어 본 고안은 에너지 절약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얻게 된다.
E. 스프레이부(40)의 기능
도 2에 도시된 스프레이부(40)는 내부에 방향제가 담겨진 방향제 디스펜서(dspenser; 도시되지 않음) 및 디스펜서 가동부를 포함한다. 디스펜서 가동부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방향제를 판매대(200) 주변에 분사한다.
육류, 어류, 전골류 등과 같은 식품을 판매하는 매장에는 식품으로부터의 냄 새가 퍼져 있으며, 이러한 냄새는 쾌적한 쇼핑 분위기를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스프레이부(40)를 장착하였다.
제어부(10)는 시간 주기(예를 들어, 30분)마다 제어부(10)는 디스펜서 가동부는 제어하여 방향제를 판매대(200) 주변에 분사한다. 따라서, 판매대(200) 주변의 공기를 원하는 향기로 채움으로써 구매자의 기분을 좋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은 하부에 설치된 클램핑 수단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진열대(210)의 외곽의 펜스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진열대(21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판매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진열대(210)의 외측에 설치된 스탠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디스플레이(100)의 이동 및 재배치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치 높이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구매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시청할 때 신체(목)에 무리를 주지않는 높이, 예를 들어 한국인(성인)의 평균 키에 맞추어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판매대는 판매 상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이미지 및 음성으로 출력하여 구매자들에게 상품 정보를 충실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정보 제공이라는 단순한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 다른 업무에 투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필요할 때마다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메모리부에 다양한 상품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매장 변화(즉, 판매 상품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구매자들에게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전담 직원에 대한 교육 등과 같은 불필요한 요인(시간적인 낭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상품이 진열된 진열대; 및
    진열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판매대.
  2.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
    메모리부에 연결된 제어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판매대.
  3. 제 2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는 양 면에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인 판매대.
  4. 제 2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에 연결되며 주변의 조명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주변 조명 상태에 따라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판매대.
  5. 제 2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에 연결되며 주변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일시 중시시키는 판매대.
  6. 제 2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향제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 가동부로 이루어진 스프레이부를 포함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향제를 주변에 분사하는 판매대.
  7. 제 2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판매대.
  8. 제 7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에 연결되며 주변의 소음 정도를 감지하는 소음 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주변 소음 정도에 따라 스피커를 통한 음성 출력의 세기를 제어하는 판매대.
  9.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열대의 외곽 펜스에 장착된 판매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열대의 외측에 스탠드 형태로 설치된 판매대.
KR2020060015685U 2006-06-12 2006-06-12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 KR200424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685U KR200424750Y1 (ko) 2006-06-12 2006-06-12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685U KR200424750Y1 (ko) 2006-06-12 2006-06-12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750Y1 true KR200424750Y1 (ko) 2006-08-25

Family

ID=4177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685U KR200424750Y1 (ko) 2006-06-12 2006-06-12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75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441B1 (ko) * 2011-12-28 2014-08-27 김중현 제한된 음향 공간에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전시대
KR101468864B1 (ko) * 2014-09-23 2014-12-04 (주)엘리비젼 디스플레이의 절전 조절시스템
WO2015190757A1 (ko) * 2014-06-13 2015-12-17 이상엽 자동차 쇼윈도우 전시용 승하강 스탠드
KR20200001216U (ko) 2018-12-03 2020-06-11 박태호 절첩식 매대
KR20200123928A (ko) * 2019-04-23 2020-11-02 주식회사 디엠솔루션 스마트 화장품 진열대
KR102388790B1 (ko) * 2021-04-07 2022-04-20 (주)한국이.디.에스 Pop 미디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진열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441B1 (ko) * 2011-12-28 2014-08-27 김중현 제한된 음향 공간에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전시대
WO2015190757A1 (ko) * 2014-06-13 2015-12-17 이상엽 자동차 쇼윈도우 전시용 승하강 스탠드
KR101468864B1 (ko) * 2014-09-23 2014-12-04 (주)엘리비젼 디스플레이의 절전 조절시스템
WO2016047913A1 (ko) * 2014-09-23 2016-03-31 (주)엘리비전 디스플레이의 절전 조절시스템
KR20200001216U (ko) 2018-12-03 2020-06-11 박태호 절첩식 매대
KR20200123928A (ko) * 2019-04-23 2020-11-02 주식회사 디엠솔루션 스마트 화장품 진열대
KR102198305B1 (ko) 2019-04-23 2021-01-04 주식회사 디엠솔루션 스마트 화장품 진열대
KR102388790B1 (ko) * 2021-04-07 2022-04-20 (주)한국이.디.에스 Pop 미디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진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4750Y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판매대
US7665860B2 (en) Illuminated product display with consumer interaction and product synchronization
US6607275B1 (en) Merchandise display case and system
US11250456B2 (en)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inventory interaction
US20080060241A1 (en) Store security device with attached advertising system
US20090296385A1 (en) Method of Displaying Illuminated Products
US6026987A (en) Aroma dispensing system
US20070080805A1 (en) Point of selection merchandise display system
US4738042A (en) Integral moving message device for merchandising display case
AU2014259806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 lighting control, product display lighting method and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product lighting, and -method for setting product display location lighting
de Wijk et al. Supermarket shopper movements versus sales and the effects of scent, light, and sound
EP2665027A1 (en) Interactive product sample display unit
KR101822552B1 (ko) 소비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품 광고를 출력하고 관리자에게 소비자 정보를 제공하는 진열대 장치
JP6981002B2 (ja) 陳列棚、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陳列棚システム
IT8921943A1 (it) Apparecchiatura composita, per la diffusione di messaggi pubblicitari e/o promozionali, acustici e/o visivi, installabile in punti di vendita e comandata dall'approssimarsi di possibili acquirenti.
KR20050066397A (ko) 소비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품 광고를 출력하는 진열대광고 장치 및 진열대 광고 장치가 구비된 상품 진열대
CN208622209U (zh) 自助收银机
US5671331A (en) Printed publication vending apparatus including programmable announcement capability
KR100616532B1 (ko) 광고 콘텐츠 제공방법
US11503925B1 (en) Product display stand
US20170031230A1 (en) Light transmissive door, window, and/or shield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JPH10171386A (ja) 店舗用広告システム
US11903498B1 (en) Product display system having two product support surfaces that support a plurality of products with at least one LED light strip
JP3070288U (ja) 万引き防止システム
KR20080073960A (ko) 움직임감지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