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09U - 용기 라면 제품 - Google Patents

용기 라면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209U
KR20200001209U KR2020200001902U KR20200001902U KR20200001209U KR 20200001209 U KR20200001209 U KR 20200001209U KR 2020200001902 U KR2020200001902 U KR 2020200001902U KR 20200001902 U KR20200001902 U KR 20200001902U KR 20200001209 U KR20200001209 U KR 202000012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amen
lid
conten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이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용 filed Critical 이상용
Priority to KR2020200001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209U/ko
Publication of KR20200001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6Packaging of substances to which a further ingredient, e.g. water, is to be added in the package by the user for mixing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라면 제품에 관한 것으로, 뚜껑이 개방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담긴 면 및 스프를 포함하는 라면 내용물; 및 상기 용기 및 라면 내용물을 함께 감싸는 포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재는 라면 내용물에 밀착되는 것인, 용기 라면 제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용기 라면 제품{Instant Cup Noodle Product}
본 고안은 용기 라면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가 감소된 용기 라면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용기 라면 제품은 사발 모양, 컵 모양 등의 용기가 있고, 상기 용기 내부에 건조된 라면과 같은 면 그리고 스프 등이 담겨있으며, 그리고 용기 상부에 뚜껑이 구비되어 밀폐되어 포장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용기 라면은 용기 내부에 면 및 스프 등의 내용물 외에 빈 공간이 많이 차지하고 있어, 포장된 용기 라면 제품의 부피는 내용물에 비해 상당히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용기 라면은 휴대하기에는 불편할 정도로 부피가 크며, 특히 다수 개를 휴대하기에는 더욱 그러하다. 또한 이러한 사항은 유통과정에서 물류비용 증가에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특히, 여행시 이러한 종래의 용기 라면은 부피를 많이 차지하므로 원하는 만큼 여행용 가방에 수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 제10-2005-0060572호에는 용기 라면의 용기가 접힐 수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용기 라면 뚜껑이 개방된 채로 포장되어 부피가 감소된 용기 라면 제품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용기 라면 제품의 부피를 크게 감소시켜서 휴대하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통과정에서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견지에 의하면, 뚜껑이 개방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담긴 면 및 스프를 포함하는 라면 내용물; 및 상기 용기 및 라면 내용물을 함께 감싸는 포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재는 라면 내용물에 밀착되는 것인, 용기 라면 제품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용기 라면 제품은 용기의 개방된 부분에 여러 개의 용기 라면 제품을 포갤 수 있어, 여행이나 캠핑 시 특히, 해외 여행 시 여행용 가방에 수납할 경우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용기 라면 제품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용기 라면 제품을 가방에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용기 라면 제품은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므로, 제품을 판매대에 진열 시 많은 수량을 진열할 수 있어, 편의점과 같이 작은 공간에서도 제품을 진열하는 데 유리하며, 또한 유통과정에서도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기 라면 제품의 외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용기 라면 제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외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을 여러 개 포개어 놓은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용기 라면 제품과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을 쌓았을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다른 구현예로서, 뚜껑이 용기 하부에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외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다른 구현예로서, 뚜껑이 용기 하부에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다른 구현예로서, 다수의 용기가 포개어진 형태로 제공되고, 또한 이에 상응하는 다수의 뚜껑이 포개어진 형태로 별도로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용기 라면 제품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용기 라면 제품(도 1 및 도 2)과 달리 용기 라면 제품에 있어서 뚜껑이 개방된 채로 포장되어 부피가 현저히 감소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용기 라면 제품(도 3 및 도 4)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용기 라면 제품을 포갤 수 있어, 종래의 용기 라면 제품에 비해 다량으로 휴대하거나 수송하기에 용이하다.
일 구현으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은 뚜껑이 개방된 용기(1); 상기 용기(1) 내부에 담긴 면(3) 및 스프(4)를 포함하는 라면 내용물; 및 상기 용기(1) 및 라면 내용물을 함께 감싸는 포장재(5)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재(5)는 라면 내용물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용기(1)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용기(1)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은 용기(1)가 뚜껑이 개방된 형태이므로 여러 개의 용기 라면 제품을 겹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은 상기 용기(1)를 덮을 수 있는 뚜껑(2)이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1)의 하단에 뚜껑(2)이 함께 포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2)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플라스틱, 종이 호일, 금속 호일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뚜껑(2)이 종이 호일이나 금속 호일과 같이 유연성이 있어서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을 가질 경우, 본 고안의 용기 라면 사용시 상기 용기(1)의 상부 둘레를 따라 뚜껑(2)을 구부려 용기(1)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2)이 상기 용기(1)의 하단에 함께 포장되어 있는 경우,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뚜껑(2)은 상기 용기(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2)의 상부의 직경이 적어도 상기 용기(1)의 중간부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뚜껑(2)의 상부의 직경이 적어도 상기 용기(1)의 중간부의 직경보다 클 경우,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 라면 사용시 상기 뚜껑(2)을 뒤집어 상기 용기(1)의 상부를 덮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된 뜨거운 라면을 덜어먹기 위한 앞접시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뚜껑(2)의 상부의 직경은 상기 용기(1)의 중간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용기(1)의 상부의 직경보다 작다.
즉, 본 고안의 '뚜껑'은 라면 용기의 내부에서 개방된 영역을 밀폐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용기 외부에 걸쳐지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에 있어서 '뚜껑의 상부'는 뚜껑의 개방부가 위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경우의 상부, 즉 개방부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용기(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플라스틱, 종이 호일, 금속 호일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1)가 금속 호일과 같이 열에 강한 재질을 사용할 경우, 별도로 물을 끓여서 상기 용기(1)에 부을 필요 없이 상기 용기(1)에 직접 물을 넣고 가열하여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프(4)는 상기 면(3), 바람직하게는 건조 면(3)과 함께 그대로 포장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4)는 별도로 포장되어 상기 용기(1) 내부에 담겨 포장재로 감싸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1)는 2개 이상과 같이 여러 개의 용기(1)가 포개어진 형태로 다수의 용기(1)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용기(1)의 수에 상응하는 다수의 라면 내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용기(1)를 겹친 다음, 최상부에 위치한 용기(1) 내부에 상기 용기(1)의 수에 상응하는 다수의 라면 내용물을 담고, 이들을 함께 감싸도록 포장하여 세트 형태의 용기 라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용기(1)가 포개어진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이에 상응하는 다수의 뚜껑(2)이 포개어진 형태로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개어진 다수의 뚜껑(2)은 포개어진 다수의 용기(1)의 최상부에 덮이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뚜껑(2)은 용기(1)의 상부의 포장재(예, 비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현을 도 9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세트 형태의 용기 라면 제품은 각각의 용기가 빈틈 없이 포개어질 수 있어, 용기 라면 제품의 부피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제조방법은, 용기 라면용 용기(1)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1)에 면(3) 및 스프(4)를 포함하는 라면 내용물을 담는 단계; 및 상기 용기(1)가 개방된 채로, 상기 용기(1) 및 라면 내용물을 함께 감싸도록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포장시 포장재(5)가 상기 용기(1) 및 라면 내용물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포장하여 최종 용기 라면 제품의 부피가 최대한 감소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용기(1)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제조방법은 상기 용기(1)를 덮을 수 있는 뚜껑(2)을 별도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뚜껑(2)을 상기 용기(1)의 하단에 함께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기(1)에 면(3) 및 스프(4)를 포함하는 라면 내용물을 담는 단계에 후속적으로 상기 용기(1)가 개방된 채로, 상기 용기(1), 라면 내용물 및 뚜껑(2)을 함께 감싸도록 포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2)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플라스틱, 종이 호일, 금속 호일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뚜껑(2)이 상기 용기(1)의 하단에 함께 포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뚜껑(2)은 상기 용기(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2)의 상부의 직경이 적어도 상기 용기(1)의 중간부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뚜껑(2)의 상부의 직경은 상기 용기(1)의 중간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용기(1)의 상부의 직경보다 작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형태의 뚜껑(2)은 용기 라면 사용시 상기 용기(1)의 상부를 덮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된 뜨거운 라면을 덜어먹기 위한 앞접시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용기(1)는 플라스틱, 종이 호일, 금속 호일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스프(4)는 별도로 포장하여 상기 용기(1)에 담거나, 또는 별도의 포장없이 면(3)과 함께 상기 용기(1)에 담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제조방법은 용기 라면용 용기(1)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기(1)는 여러 개 포개어진 형태로 다수의 용기(1)를 더 제공하고, 상기 용기(1)에 면(3) 및 스프(4)를 포함하는 라면 내용물을 담는 단계에서, 상기 면(3) 및 스프(4)를 포함하는 내용물은 상기 용기(1)의 수에 상응하는 다수의 라면 내용물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라면 제품의 제조방법에서, 포장시 포장재(5)가 상기 용기(1) 및 라면 내용물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포장하는 것은, 상기 용기(1)가 개방된 채로, 상기 용기(1) 및 라면 내용물을 포장재(5)로 모두 감싸서 예를 들어, 진공포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1: 용기
2: 뚜껑
3: 면
4: 스프
5: 포장재
6: 라면 국물

Claims (3)

  1. 뚜껑이 개방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담긴 면 및 스프를 포함하는 라면 내용물; 및
    상기 용기 및 라면 내용물을 함께 감싸는 포장재
    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재는 라면 내용물에 밀착되며,
    상기 용기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며, 그리고
    상기 용기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이 상기 용기의 하단에 함께 포장되어 있는, 용기 라면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의 상부의 직경이 적어도 상기 용기의 중간부의 직경보다 큰 것인, 용기 라면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2개 이상과 같이 여러 개의 용기가 포개어진 형태로 다수의 용기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용기의 수에 상응하는 다수의 라면 내용물을 더 포함하는, 용기 라면 제품.
KR2020200001902U 2020-06-02 2020-06-02 용기 라면 제품 KR202000012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902U KR20200001209U (ko) 2020-06-02 2020-06-02 용기 라면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902U KR20200001209U (ko) 2020-06-02 2020-06-02 용기 라면 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530A Division KR20200043744A (ko) 2018-10-18 2018-10-18 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09U true KR20200001209U (ko) 2020-06-10

Family

ID=7107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902U KR20200001209U (ko) 2020-06-02 2020-06-02 용기 라면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20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5286C1 (ru) Упаковочная коробка сжатого типа для лапш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4848579A (en) Food container
RU2402472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5214257A (en) Tub-shaped packaging container for microwave popcorn
JP2004510639A (ja) 多機能キャップ付き消耗品容器
JP320246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AU2008291981B2 (en) Cup including a compartment in the form of an inverted cup
KR20200001209U (ko) 용기 라면 제품
WO2016032061A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200483275Y1 (ko)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KR20200043744A (ko) 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
EP0017276A1 (en) Package
JPH08113273A (ja) インスタント食品用容器
JP2011006108A (ja) 電子レンジ調理用カートン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KR20240017153A (ko) 용기 라면 제품
JP2001158435A (ja) 簡易容器
CN207510904U (zh) 一种一体式食品包装盒
CN211076843U (zh) 一种可盛装多种口味方便面的包装盒
JP3574208B2 (ja) 包装容器
KR200395420Y1 (ko) 즉석식품용 포장용기
JP3178219U (ja) 包装用容器
KR200487369Y1 (ko) 다중 간편식 포장체
JPH0752061Y2 (ja) 伸縮自在な容器
JPH07291343A (ja) 即席食品の多重包装体
KR20090061242A (ko) 일회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