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121A - Protecting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Flexible Display - Google Patents

Protecting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Flexibl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121A
KR20200001121A KR1020180073682A KR20180073682A KR20200001121A KR 20200001121 A KR20200001121 A KR 20200001121A KR 1020180073682 A KR1020180073682 A KR 1020180073682A KR 20180073682 A KR20180073682 A KR 20180073682A KR 20200001121 A KR20200001121 A KR 20200001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support
coupled
support mechanism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1992B1 (en
Inventor
김광오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3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992B1/en
Publication of KR2020000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which includes: 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seat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e flexible displa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and having flexibility. The support part supports the flexible display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can be disposed at a protectiv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at in a first direction. The flexible display is disposed in the protective position to limit the distance that a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ttenuates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using flexibility.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Protecting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Flexible Display}Protective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에 설치되어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autonomous vehicle to protect occupants.

차량은 탑승자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전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인구 증가와 함께 차량 밀도의 급진적인 증가로 인해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탑승자에게 안전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Vehicles are being developed to provide passengers with a more comfortable and safe driving environment. However,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vehicle density with the increase in population, traffic accidents increase, and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provide a safe driving environment for occupants.

최근에는 탑승자의 안전 및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안전 제어 시스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탑승자의 조작 없이 목적지까지 자율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Recently, a lot of safety control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enhanc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occupants. In particular, research on autonomous vehicles that can autonomously travel to their destinations without the occupant's manipulatio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는 운행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운행 중에도 디스플레이를 통해 업무 처리를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본체에 설치된 안전벨트로는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Passengers in autonomous vehicles are not involved in driving, so they can carry out various activities such as performing business tasks on the display while driving. Accordingly, the seat belt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afely protect the occupant in the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that can safely protect the occupant in the autonomous vehicle.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는 자율주행차량의 시트에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시트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보호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보호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되, 유연성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에 앉은 탑승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減衰)시킬 수 있다.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coupled to the seat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 flexible display coupled to the support and having flexibility. The support part may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disposed at a protectiv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heet in a first direction. The flexible display may be disposed in the protective position to limit the distance that the occupant sitting on the seat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use a flexibility to attenuate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occupant sitting on the seat. .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탑승자에게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assengers can perform various activities using the flexible display and at the same time to protect the occupants by using the flexibility of the flexible display,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and safety to the occupants in the autonomous vehicle.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도 5를 기준으로 제2지지부재가 제1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도 5의 측단면도를 기준으로 나타낸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회전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회전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승강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승강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회전기구 및 승강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배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회전기구 및 승강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
6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5;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based on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in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rear view of a rotating mechanism in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echanism in the protective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rection toward the flexible display is adjusted in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rear view of the elevating mechanism in the protection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in the protective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rear view of the rotating mechanism and the elevating mechanism in the protection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echanism and the elevating mechanism in the protective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1)[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라 함]는 탑승자(100, 도 2에 도시됨)의 조작 없이 목적지까지 자율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량에 설치되는 것이다.1 and 2, a protective device 1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senger (100, 2) It is installed in an autonomous vehicle that can drive autonomously to the destination without the manipulation of the illustrated.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 및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트(10)에 결합된 지지부(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보호위치(PP)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지지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시트(10)로부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되어서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에 의해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짐으로써, 유연성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減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는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이용하여 운행 중에도 업무 처리를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exible display 2 having flexibility and a support part 3 coupled to the seat 10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support part 3 supports the flexible display 2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heet 10 in a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o limit the distance that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In this case, the flexible display 2 is bent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2 a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thereby allowing the seat 10 to use flexibility. The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occupant 100 sitting on can be attenuated. On the other hand,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may perform various activities such as performing business tasks while driving by using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otectiv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통해 탑승자(100)에게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고 발생 시에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탑승자(100)를 보호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이용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한 탑승자(100)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a variety of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to the occupant 100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on position PP, and at the time of an accident It is implemented to protect the occupant 100 by using the flexibility of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and safety to the occupant 100 in the autonomous vehicle using the flexible display 2.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지지부(3)를 통해 상기 시트(10)에 결합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특성상 상기 시트(10)의 회전을 통해 탑승자(100)가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행방향을 향하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탑승자(100)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에 대한 보호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Second,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2 is coupled to the seat 10 through the support 3.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on position PP even if the occupant 100 does not fac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seat 10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located in front of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may protect the occupant 100. Therefore,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the protection performance for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of the autonomous vehicle.

이하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 및 상기 지지부(3)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exible display 2 and the support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유연성을 갖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유연성을 이용하여 휘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탑승자(100)가 관성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탑승자(100)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휘어짐으로써 상기 탑승자(100)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탑승자(100)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1 to 3, the flexible display 2 is implemented to have flexibility. According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2,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bent using flexibility. For example, when the occupant 100 moves toward the flexible display 2 due to an inertia as an accident occurs, the flexible display 2 is bent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occupant 100 so that the occupant 100 Can attenuate external forces.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may alleviate the shock applied to the occupant 100.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보호위치(PP)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시트(10)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이용하여 탑승자(10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함과 아울러 유연성을 이용하여 탑승자(100)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시킴으로써, 탑승자(10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시트(10)의 전방 쪽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의 전방을 가리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탑승자(100)의 전방을 통해 주변에 위치한 물체가 탑승자(10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에 대한 보호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트(10)가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차량본체(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시트(10)의 회전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시트(10)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시트(10)의 전방 쪽을 가리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를 보호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3 to be positioned at the protection position PP.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heet 10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Therefore,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mits the distance that the occupant 100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using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on position PP. In addition, by using the flexibility to attenuate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occupant 100,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occupant 100. The first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FD arrow) refers to the front side of the sheet 10.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is implemented to cover the front of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may block the movement of the objects located near the passenger 100 through the front of the occupant 100. Therefore,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the protection performance for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of the autonomous vehicle. In this case, if the seat 10 is rotatably installed in a vehicle body (not shown)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at 10. have.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is implemented to cover the front side of the seat 10 regardless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at 10, thereby protecting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have.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영상(2a, 도 3에 도시됨)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이용하여 탑승자(100)에게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탑승자(100)를 보호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한 탑승자(100)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출력 가능한 영상(2a)의 크기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터치 조작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춘 것일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2 may output an image 2a (shown in FIG. 3).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protect the occupant 100 while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assenger 100 can perform various activities using the flexible display 2. Therefore,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and safety to the occupant 100 in the autonomous vehicle. The flexible display 2 may have a larger size than the size of the outputable image 2a. The flexible display 2 may have a touch screen function capable of touch manipulation.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제1세로변(21), 제2세로변(22), 제1가로변(23), 및 제2가로변(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세로변(21) 및 상기 제2세로변(22)은 상기 시트(2)의 폭방향(X축 방향)[이하, '폭방향(X축 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對向)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가로변(23) 및 상기 제2가로변(24)은 상기 시트(2)의 높이방향(Z축 방향)[이하, '높이방향(Z축 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 및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제1가로변(23)은 상기 제1세로변(21)의 상단 및 상기 제2세로변(2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로변(24)은 상기 제1세로변(21)의 하단 및 상기 제2세로변(2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로변(23) 및 상기 제2가로변(24)은 각각 상기 제1세로변(23) 및 상기 제2가로변(24) 각각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긴 길이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영상(2a)을 출력함과 아울러 탑승자(100)를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이면, 원형, 타원형, 오각 이상의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flexible display 2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edge 21, a second vertical edge 22, a first horizontal edge 23, and a second horizontal edge 24. . The first vertical side 21 and the second vertical side 22 are mutually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heet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y are arranged oppositely. The first horizontal edge 23 and the second horizontal edge 24 face each other based on a height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sheet 2. It is deployed.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are axia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irst horizontal side 23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ide 21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ide 22. The second horizontal side 24 may b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ide 21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ide 22. In this case,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first side edge 23 and the second side edge 24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each of the first side edge 23 and the second side edge 24,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long length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polygon having a pentagon or the like, as long as the flexible display 2 outputs the image 2a and protects the occupant 100.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3)는 상기 시트(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3)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3)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지지할 수 있다.1 to 4, the support 3 is coupled to the sheet 10.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3. Accordingly, the support part 3 may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2. The support 3 may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2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상기 지지부(3)는 제1지지기구(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3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chanism 31.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시트(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시트(2)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시트(2)에 앉은 탑승자(100)에게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시트(2)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coupled to the seat 2.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located outside of the sheet 2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coupled to the seat 2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2.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에 탑승자(100)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유연성 및 상기 제1지지기구(31)의 길이 가변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시키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탑승자(100)에 대한 보호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가해지는 외력이 소멸하면,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길이가 감소되어서 원래의 길이로 복원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variable in length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100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by the occupant 100,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is the flexible display 100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he length can be increas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attenuate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herefore, the protectiv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lexibility of the flexible display 2 and the variabl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to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It is implemented to damp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enhance the protection performance for the occupant 100.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is extinguished,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reduced in length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length.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제1지지부재(311), 제2지지부재(312), 및 탄성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311, a second support member 312, and an elastic member 313.

상기 제1지지부재(311)는 상기 시트(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11)의 일측은 상기 시트(2)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312)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311 may be coupled to the sheet 2.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may be coupled to the sheet 2,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상기 제2지지부재(312)는 상기 제1지지부재(3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지지부재(312)는 상기 제1지지부재(311)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3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지지부재(312)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지지기구(31)의 길이는 증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312)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지지기구(31)의 길이는 감소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may protrude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I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when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is increased. Can increase. In this state, when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SD arrow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decrease. Can be.

상기 탄성부재(313)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312)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지지부재(312)는 상기 제1지지부재(311)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13)를 압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길이가 증가하면서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13)가 상기 제2지지부재(312)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므로,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가해지는 외력을 더 서서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탑승자(100)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더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13)는 상기 제2지지부재(312)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복원력을 갖게 된다.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가해지던 외력이 소멸하면, 상기 탄성부재(313)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312)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길이가 감소되어서 원래의 길이로 복원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313 may elastically press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in the second direction (SD arrow direction). According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The elastic member 313 can be compressed while moving to).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attenuate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while increasing its length.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member 313 is elastically compressed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may be reduced more slowly. . Therefore,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mitig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occupant 100. The elastic member 313 has a restoring force as it is compressed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disappears, the elastic member 313 uses a restoring force to move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in the second direction (SD arrow direction). Can be moved to).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reduced in length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length.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탄성부재(313)는 상기 제2지지부재(312) 및 상기 제1지지부재(311) 각각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재(312) 및 상기 제1지지부재(311)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1 to 7, the elastic member 313 may be supported by each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may be implemented as follows.

우선, 상기 제2지지부재(312)는 삽입부재(312a, 도 7에 도시됨) 및 가압부재(312b,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312a)는 상기 제1지지부재(3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312a)는 제2지지본체(312c)로부터 상기 제1지지부재(311)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지지본체(312c)는 상기 제1지지부재(311)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312a)는 상기 제2지지본체(312c)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12b)는 상기 탄성부재(313)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경우, 상기 가압부재(312b)는 상기 삽입부재(312a)에 대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부재(312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12b)는 상기 삽입부재(312a)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may include an insertion member 312a (shown in FIG. 7) and a pressing member 312b (shown in FIG. 7). The insertion member 312a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The insertion member 312a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support body 312c toward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he second support body 312c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have. In this case, the insertion member 312a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support body 312c in the second direction (SD arrow direction). The pressing member 312b may support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313.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he pressing member 312b is positioned in the second direction (SD arrow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member 312a. ) May be combined. The pressing member 312b may be formed in a larger size than the insertion member 312a.

다음, 상기 제1지지부재(311)는 받침부재(311a, 도 7에 도시됨), 및 삽입공(311b,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311a)는 상기 가압부재(312b)에 대해 대향(對向)되게 배치될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311a)는 상기 탄성부재(313)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경우, 상기 받침부재(311a)는 제1지지본체(311c)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된 측벽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1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313)는 상기 제1지지본체(311c)의 내부에서 일측이 상기 가압부재(312b)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받침부재(311a)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13)는 내측에 상기 삽입부재(312a)가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부재(312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311b)은 상기 받침부재(311a)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311b)에는 상기 삽입부재(312a)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312a)는 상기 삽입공(311b)을 통해 상기 제1지지부재(3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재(312b)는 상기 제1지지부재(311)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부재(313)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12b)는 상기 삽입공(311b)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가압부재(312b)가 상기 삽입공(311b)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상기 가압부재(312b)가 상기 제1지지부재(31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현된다.Next,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311a (shown in FIG. 7) and an insertion hole 311b (shown in FIG. 7). The support member 311a may be disposed to face the pressing member 312b. The support member 311a may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313.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he support member 311a may be a sidewall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in the first support body 311c. The elastic member 313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313 may be disposed such th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body 311c is supported by the pressing member 312b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311a. The elastic member 313 may be coupled to the insertion member 312a such that the insertion member 312a is positioned inside. The insertion hole 311b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member 311a. The insertion member 312a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1b. Accordingly, the insertion member 312a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through the insertion hole 311b. In this case, the pressing member 312b may be disposed to support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313 inside the first supporting member 311. The pressing member 312b may be formed in a larger size than the insertion hole 311b. Accordingly, in the protectiv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sing member 312b cannot pass through the insertion hole 311b, the pressing member 312b moves out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311. It is implemented to prevent departure.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현된 상기 제2지지부재(312), 상기 제1지지부재(311), 및 상기 탄성부재(313)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and the elastic member 313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in the state where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It can work as follows:

우선, 상기 탄성부재(313)의 타측은 상기 받침부재(311a)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313)의 일측은 상기 가압부재(312b)를 탄성적으로 가압한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길이가 감소된 상태이다.Firs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313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311a, and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313 is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312b is elastically pressed.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is in a reduced state.

다음,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지지부재(312)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길이가 증가하면서 상기 외력을 감쇠시킬 수 있다. 상기 외력이 탑승자(100)에 의해 가해진 경우,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외력을 감쇠시킴과 아울러 탑승자(100)에게 가해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재(312b)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313)를 압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12b)에 의해 압축된 탄성부재(313)는, 복원력을 갖게 된다.Nex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is drive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can attenuate the external force while increasing its length.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occupant 100,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attenuate the external force and mitig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occupant 100. In this case, the pressing member 312b may compress the elastic member 313 by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313 com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312b has a restoring force.

다음,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가해진 외력이 소멸하면, 상기 탄성부재(313)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재(312b)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312)가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길이가 감소된 상태로 된다.Next,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disappears, the elastic member 313 uses a restoring force to move the pressing member 312b in the second direction (SD arrow direction). Can be moved to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member 312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SD arrow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is in a reduced state.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3)는 제2지지기구(32)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support part 3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mechanism 32.

상기 제2지지기구(32)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기구(32)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32)는 상기 제1지지기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일측이 상기 시트(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32)는 상기 제1지지기구(31)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서 상기 제1지지기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지지기구(31)의 일측은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끝단이고, 상기 제1지지기구(31)의 타측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끝단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기구(32)는 상기 제1지지기구(31)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제1지지기구(31)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서 상기 제1지지기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로부터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충분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에게 충분한 시청거리로 이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supports the flexible display 2.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coupled to the seat 10.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is an end positioned in the second direction (SD arrow direction), and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The other side of) is an end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is the first support mechanism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It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mechanism (31). Accordingly, in the protectiv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2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from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be dispos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by a sufficient distance.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flexible display 2 spaced apart by a sufficient viewing distance to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상기 제2지지기구(32)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제1세로변(21, 도 3에 도시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32)는 상기 제1세로변(21)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1세로변(2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기구(32)는 상기 제1세로변(21)이 펴지도록 상기 제1세로변(21)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펴진 상태로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side 21 (shown in FIG. 3) of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vertical side 21 or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vertical side 21.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supports the first vertical edge 21 so that the first vertical edge 21 is extende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2 is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be disposed in the protective position (PP) in the unfolded state with respect to.

여기서, 상기 지지부(3)는 상기 제2지지기구(3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들(32, 32')(도 3에 도시됨)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32)에는 상기 제1세로변(21)이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기구(32')에는 상기 제2세로변(2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32')는 상기 제2세로변(22)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2세로변(22)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기구(32')는 상기 제2세로변(22)이 펴지도록 상기 제2세로변(22)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펴진 상태로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들(32, 32')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세로변(21) 및 상기 제2세로변(22)이 서로 이격된 거리에 대해 대응되는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지지기구들(32, 32')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기구들(32, 32')들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펴진 상태로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3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The second support mechanisms 32 and 32 ′ (shown in FIG. 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irst vertical edge 21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and the second vertical edge 2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vertical edge 22 or a longer length than the second vertical edge 22.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 supports the second vertical edge 22 so that the second vertical edge 22 is extende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2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be disposed in the protective position (PP) in the open s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mechanisms 32 and 32 ′ correspond to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vertical edge 21 and the second vertical edge 22 relative to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to be. That is, the second support mechanisms 32 and 32 ′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lexible display 2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mechanisms 32 and 32 ′ may be implemented to be disposed at the protection position PP with the flexible display 2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

상기 지지부(3)는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들(31, 31')(도 3에 도시됨)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는 상기 제1지지기구들(31, 3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31)에는 상기 제2지지기구(32)가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기구(31')에는 상기 제2지지기구(3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기구들(32, 32')은 상기 제1지지기구들(31, 3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3)는 상기 제1지지기구들(31, 31')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들(31, 31') 각각에 결합된 연동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들(31, 31')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3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mechanisms 31. The first support mechanisms 31 and 31 ′ (shown in FIG. 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chanisms 31 and 31 ′.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and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mechanisms 32 and 32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chanisms 31 and 31'. Although not shown, the support part 3 may include an interlocking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s 31 and 31 'such that the first support mechanisms 31 and 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mechanisms 31 and 31 ′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3)는 회전기구(33,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9, the support 3 may include a rotating mechanism 33 (shown in FIG. 8).

상기 회전기구(33)는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기구(33)는 회전축(33a, 도 8에 도시됨)을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33a)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31)가 상기 회전축(33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지지기구(32)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회전축(33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시트(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rotary mechanism 33 rotates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The rotation mechanism 33 may rotate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about a rotation shaft 33a (shown in FIG. 8). The rotation shaft 33a may b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As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33a,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and the flexible display 2 may rotate about the rotation shaft 33a.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10.

상기 회전기구(33)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31,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331)는 상기 시트(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지지기구(31)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시트(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회전기구(33)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331)는 샤프트(332, 도 8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제1지지기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331)가 상기 샤프트(332)를 회전시키면, 상기 샤프트(332)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기구(33)는 상기 모터(331) 및 상기 샤프트(332)를 연결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모터(331)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332)에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풀리(Pulley) 및 벨트(Bel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스프로킷(Sprocket) 및 체인(Chain)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하나 이상의 기어(Gear)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rotating mechanism 33 may include a motor 331 (shown in FIG. 8)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he motor 331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in the seat 10.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internal space of the seat 10 as a space for installing the rotary mechanism 33,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The motor 33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via a shaft 332 (shown in FIG. 8). When the motor 331 rotates the shaft 332, the shaft 332 may rotate while rotat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Although not shown, the rotation mechanism 33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onnecting the motor 331 and the shaft 332.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331 to the shaft 332.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may include a pulley and a belt.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may include a sprocket and a chain.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may include one or more gears.

상기 회전기구(33)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 및 대기위치(WP, 도 9에 도시됨) 간에 이동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대기위치(WP)는 상기 보호위치(PP)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대기위치(WP)에 배치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시트(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시트(10)의 전방을 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탑승자(100)가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하거나 상기 자율주행차량으로부터 내릴 때 탑승자(100)에게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rotary mechanism 33 may rotate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2 moves between the protective position PP and the standby position WP (shown in FIG. 9). The standby position WP is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rotective position PP.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standby position WP,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heet 10.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does not cover the front of the sheet 10.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occupant 10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ccupant 100 when the occupant 100 gets on or leaves the autonomous vehicle.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기구(33)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동이 걸렸는지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동이 걸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회전기구(33)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탑승자(100)에게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탑승자(10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동이 꺼진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회전기구(33)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대기우치(WP)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하거나 상기 자율주행차량으로부터 내리는 탑승자(100)에게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탑승자(100)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1 to 10, the rotation mechanism 33 may rotate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according to whether the autonomous vehicle is star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nomous vehicle is started, the rotary mechanism 33 may rotate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may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activities can be performed to the occupant 100 and protect the occupant 100. When the start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determined to be turned of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rotate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on the waiting wedge WP.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is not disturbed to the occupant 100 who gets on the autonomous vehicle or gets off from the autonomous vehicle. Therefore,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mfort and safety to the occupant 100 automatically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상기 회전기구(33)는 획득부(4, 도 10에 도시됨)로부터 제공된 시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율주행차량의 시동이 걸렸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시동정보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동상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획득부(4)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동부(20, 도 10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동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시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4)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한 시동정보를 상기 회전기구(33)에 제공할 수 있다.The rotating mechanism 33 may check whether the starting vehicle is started using the star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btaining unit 4 (shown in FIG. 10). The start information relates to a start state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acquiring unit 4 may acquire the starting information by confirming a starting stat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hrough the starting unit 20 (shown in FIG. 10)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he obtaining unit 4 may provide the rotating mechanism 33 with starting information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기구(33)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키는 회전각도(RA, 도 11에 도시됨)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될 때 상기 회전각도(RA)를 0도로 정의함과 아울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대기위치(WP)에 배치될 때 상기 회전각도(RA)를 90도로 정의할 때, 상기 회전기구(33)는 0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 내에서 상기 회전각도(RA)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RA)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서 영상(2a)이 출력되는 면이 향하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기구(32)는 상기 제1지지기구(31)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1지지기구(31)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기구(33)는 상기 회전각도(RA)가 음(-)의 값이 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될 때에 비해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1 to 11, the rotation mechanism 33 rotates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to adju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2 faces (RA, shown in FIG. 11). Can be adjusted. The rotation angle RA is defined as 0 degrees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on position PP, and the rotation angle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standby position WP. When defining RA to 90 degrees, the rotation mechanism 33 may rotate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RA within a range of 0 degrees to 90 degrees. As the rotation angle RA is adjus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on which the image 2a is output from the flexible display 2 is directed may be adjusted.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3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to 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disposed to 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Although not shown, the rotary mechanism 33 may rotate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such that the rotation angle RA becomes a negative value.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when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상기 회전기구(33)는 상기 획득부(4)로부터 제공된 조작정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키는 회전각도(RA)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작정보는 탑승자(100)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조작부(30, 도 10에 도시됨)를 조작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작부(30)는 상기 시트(10) 또는 상기 시트(1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는 상기 회전각도(RA)를 증가시키는 제1조작버튼(미도시) 및 상기 회전각도(RA)를 감소시키는 제2조작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탑승자(100)가 상기 조작부(30)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부(30)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작신호를 상기 획득부(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4)는 상기 조작부(30)로부터 제공된 조작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정보를 생성한 후에 상기 회전기구(33)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3)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탑승자(100)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되도록 구현됨으로써, 탑승자(100)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회전기구(33)에 제공할 수 있다.The rotation mechanism 33 may adjust the rotation angle RA for rotat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2 face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quisition unit 4. have.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relates to a result of the operator 100 manipulating the manipulation unit 30 (shown in FIG. 10) to adju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2 faces. The operation unit 30 may be installed around the sheet 10 or the sheet 10. The operation unit 30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button (not shown) for increasing the rotation angle RA and a second operation button (not shown) for decreasing the rotation angle RA. When the occupant 100 operates the manipulation unit 30, the manipulation unit 30 may provide an operation signal to the acquisition unit 4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The acquiring unit 4 may generate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using the manipul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manipulation unit 30 and provide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to the rotating mechanism 33. The rotation mechanism 33 may adju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2 faces by rotat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2 is adjusted to face the desired direction of the occupant 100,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occupant 100. The manipulation unit 30 may provide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to the rotating mechanism 33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3)는 승강기구(34,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13, the support 3 may include a lifting mechanism 34 (shown in FIG. 12).

상기 승강기구(34)는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승강기구(34)는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에게 적합한 높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제공함으로써, 탑성자(100)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탑승자(100)의 머리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34)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시트(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ifting mechanism 34 raises and lowers the first supporting mechanism 31. The elevating mechanism 34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flexible display 2 by elevat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flexible device 2 having a height suitable for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and safety to the top performer 100. have. In this case, the flexible display 2 may be adjust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ad height of the occupant 100. When the elevating mechanism 34 is provided,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coupled to the seat 10 to be elevated.

상기 승강기구(34)는 상기 시트(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지지기구(31)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시트(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승강기구(34)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lifting mechanism 34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in the seat 10.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internal space of the seat 10 as a space for installing the elevating mechanism 34,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상기 승강기구(34)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41, 도 12에 도시됨), 상기 모터(341)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342, 도 12에 도시됨), 및 변환기구(342)와 상기 제1지지기구(31) 각각에 결합된 승강부재(343,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기구(342)는 볼스크류(Ball Screw)와 볼너트(Ball Nut)를 이용한 볼스크류 방식, 피니언기어(Pinion Gear)와 랙키어(Rack Gear)를 이용한 기어 방식 등을 통해 상기 모터(341)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승강부재(343)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341)는 상기 변환기구(34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변환기구(34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풀리와 벨트를 이용한 벨트 방식, 스프로킷과 체인을 이용한 체인 방식, 및 기어의 치합을 이용한 기어 방식 등을 통해 상기 모터(341)와 상기 변환기구(342)를 연결할 수 있다.The lifting mechanism 34 includes a motor 341 (shown in FIG. 12)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a converter mechanism 342 (shown in FIG. 12)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341 into a linear motion, and a conversion. And a lifting member 343 (shown in FIG. 12) coupled to the mechanism 342 and each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The converter mechanism 342 is the motor 341 through a ball screw method using a ball screw and a ball nut, a gear method using a pinion gear and a rack gear, and the like. The elevating member 343 may be moved up and down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linear motion into a linear motion. The motor 34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verter tool 342 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verter tool 342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may connect the motor 341 and the converter mechanism 342 through a belt method using a pulley and a belt, a chain method using a sprocket and a chain, and a gear method using a gear coupling.

상기 승강기구(34)는 상기 획득부(4)로부터 제공된 탑승정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탑승정보는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의 머리에 대한 높이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34)는 상기 탑승정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의 머리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탑승자(100)에게 적합한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4)는 감지부(40, 도 10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탑승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시트(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루프(Roof)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측정한 후에,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거리값을 상기 획득부(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는 광센서, 레이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4)는 상기 감지부(40)로부터 제공된 거리값을 이용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의 머리에 대한 높이값을 도출한 후에, 도출된 높이값을 이용하여 상기 탑승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4)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정보를 상기 승강기구(34)에 제공할 수 있다.The lifting mechanism 34 may raise and lower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so that the height of the flexible display 2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oard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quisition unit 4. The board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height value for the head of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The elevating mechanism 34 lifts and lowers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according to the boarding information. You can.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provide suitable comfort and safety to the occupant 100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The obtaining unit 4 may obtain the boarding information through the detecting unit 40 (shown in FIG. 10). The sensing unit 40 may be installed in a roof of the autonomous vehicl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eat 10. Accordingly, the detector 40 measures the distance separated from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and then measures the distance value measured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4) can be provided. The sensing unit 40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a laser sensor, and the like. The obtaining unit 4 derives the height value for the head of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seat 10 through the calculation using the distance value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40, and then calculates the derived height value. The board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using the boarding information. The obtaining unit 4 may provide the boarding information to the elevating mechanism 34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상기 승강기구(34)는 상기 획득부(4)로부터 제공된 조작정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승하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조작정보는 탑승자(100)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작부(30)를 조작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작부(3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상승시키는 상승버튼(미도시)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하강시키는 하강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탑승자(100)가 상기 조작부(30)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부(30)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작신호를 상기 획득부(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4)는 상기 조작부(30)로부터 제공된 조작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정보를 생성한 후에 상기 승강기구(3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34)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탑승자(100)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되도록 구현됨으로써, 탑승자(100)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승강기구(34)에 제공할 수 있다.The lifting mechanism 34 may raise and lower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so that the height of the flexible display 2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quisition unit 4.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relates to a result of the occupant 100 operating the manipulation unit 3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lexible display 2. The operation unit 30 may include an up button (not shown) for raising the flexible display 2 and a down button (not shown) for lowering the flexible display 2. When the occupant 100 operates the manipulation unit 30, the manipulation unit 30 may provide an operation signal to the acquisition unit 4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The acquiring unit 4 may generate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using the manipul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manipulation unit 30 and provide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to the lifting mechanism 34. The elevating mechanism 34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flexible display 2 by elevat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2 is adjusted to a desired height of the occupant 100,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occupant 100. The operation unit 30 may provide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elevating mechanism 34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3)는 상기 회전기구(33) 및 상기 승강기구(34)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기구(34)는 상기 회전기구(33)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 도 3에 도시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3)는 상기 승강기구(3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3)의 모터(331)는 상기 승강기구(34)의 승강부재(343)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support 3 may include both the rotation mechanism 33 and the lifting mechanism 34. In this case, the elevating mechanism 34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flexible display 2 (shown in FIG. 3) by elevating the rotating mechanism 33. The rotating mechanism 33 may be coupled to the lifting mechanism 34. The motor 331 of the rotating mechanism 33 may be coupled to the elevating member 343 of the elevating mechanism 34.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기구(33)가 상기 제1지지기구(31)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승강기구(34)는 상기 회전기구(33)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회전기구(33) 및 상기 승강기구(34)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기구(33) 및 상기 승강기구(34)는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상기 대기위치(WP)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5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회전축(3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상기 대기위치(WP)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기구(33) 및 상기 승강기구(34)는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상기 보호위치(PP)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5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기구(31)는 상기 회전축(3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while the rotating mechanism 33 rotates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the lifting mechanism 34 may raise and lower the rotating mechanism 33. That is, the rotating mechanism 33 and the lifting mechanism 34 may operate at the same time. In a state where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PP, the rotating mechanism 33 and the lifting mechanism 34 operate simultaneously to move the flexible display 2 to the standby position WP. Can be deployed.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b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shaft 3a and lowered on the basis of FIG. 15. In a state where the flexible display 2 is disposed in the standby position WP, the rotating mechanism 33 and the lifting mechanism 34 operate simultaneously to move the flexible display 2 to the protective position PP. Can be deployed. In this case, with reference to FIG. 15, the first support mechanism 31 may rise while rotating counterclockwise about the rotation shaft 3a.

도 2, 도 3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획득부(4)로부터 제공된 탑승정보에 따라 영상(2a)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탑승정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 및 상기 시트(10)에 앉은 탑승자(100)의 머리가 서로 이격된 거리에 대한 이격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4)가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격값이 포함된 탑승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제공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상기 탑승정보에 포함된 이격값에 따라 영상(2a)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탑승자(100)에게 적합한 크기의 영상(2a)을 출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탑승자(100)에 대한 편의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획득부(4)는 상기 감지부(40)로부터 제공된 이격값을 이용하여 상기 탑승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시트(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루프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이격값을 획득할 수 있다.2, 3, and 10, the flexible display 2 may adjust and output the size of the image 2a according to the board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quisition unit 4. In this case, the board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spacing value for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s of the occupant 100 sitting on the flexible display 2 and the seat 10. When the acquisition unit 4 provides boar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paration value to the flexible display 2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the flexible display 2 is included in the boarding information. The size of the image 2a may be adjust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separation value. Accordingly, the pro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automatically output an image 2a of a suitable size to the occupant 100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it can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for the occupant 100. . The obtaining unit 4 may obtain the boarding information by using the separation value provided from the detecting unit 40. The sensing unit 40 may be installed in a loop of the autonomous vehicl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eat 10 to obtain the separation valu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2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3 : 지지부
4 : 획득부 2a : 영상
31 : 제1지지기구 32 : 제2지지기구
33 : 회전기구 34 : 승강기구
311 : 제1지지부재 312 : 제2지지부재
313 : 탄성부재 10 : 시트
2: flexible display 3: support
4: acquisition unit 2a: video
31: first support mechanism 32: second support mechanism
33: rotating mechanism 34: lifting mechanism
311: first support member 312: second support member
313: elastic member 10: sheet

Claims (15)

자율주행차량의 시트에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시트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보호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보호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되, 유연성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에 앉은 탑승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減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A support coupled to the seat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 flexible display coupled to the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having flexibility;
The support part supports the flexible display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disposed at a protectiv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heet in a first direction.
The flexible display is disposed in the protective position to limit the distance that the occupant sitting on the seat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but using the flexibility to attenuate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occupant sitting on the seat. Self-driving vehicle protective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지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기구는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보호위치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키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위치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던 외력이 소멸하면,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the seat,
The first support mechanism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sheet, a second support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the second support membe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to compress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member is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disposed in the protective position is extinguishe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using a restoring forc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에 결합되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에 대해 대향(對向)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삽입공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support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pressing member coupled to the insertion member to support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member disposed to face the pressing member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an insertion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member.
The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pressing member is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arger size than the insertion hole so as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지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기구는 상기 보호위치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는 외력이 감쇠(減衰)되도록 상기 보호위치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the seat,
The first support mechanism is variable in length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such tha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disposed at the protected position is attenuated. Protection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지지기구,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제2지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기구는 일측이 상기 시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기구는 상기 제1지지기구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제1지지기구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서 상기 제1지지기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the seat, and a second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the flexible display.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is coupled to the sheet,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chanism at a position where a distance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is shorter than a distance spaced from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 Self-driving vehicle pro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지지기구,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제2지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지지기구에 결합된 제1세로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기구는 상기 제1세로변이 펴지도록 상기 제1세로변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1세로변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the seat, and a second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the flexible display.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 first vertical sid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The second support mechanism is a protective device for a self-driving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vertical side or longer than the first vertical side so that the first vertical side is exte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지지기구, 및 상기 제1지지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보호위치 및 상기 보호위치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 간에 이동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the sheet, and a rotation mechanism for rotat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And the rotating mechanism rotates the first support mechanism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moves between the protected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rotect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동상태에 관한 시동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시동정보로부터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동이 걸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보호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를 회전시키고, 상기 시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동이 꺼진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대기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startup information regarding a startup state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rotating mechanism rotates the first support mechanism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disposed at the protective pos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nomous vehicle is started from the starting information, and starts the autonomous vehicle using the starting information. Is turned off, the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the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disposed in the standby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지지기구, 및 상기 제1지지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the sheet, and a rotation mechanism for rotat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The rotating mechanism is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to rotate the first support mechanism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directed.
제9항에 있어서
탑승자에 의한 조작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를 상기 조작정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9
It includes a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by the occupant,
And a rotation angle of rotat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to adjust the rotation mechanism so that a direction toward the flexible displa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회전기구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9,
The support unit is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rotating mechanism so that the height of the flexible display is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지지기구, 및 상기 제1지지기구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the seat, and a lift mechanism for lifting up and down the first support mechanism,
The elevating mechanism is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so that the height of the flexible display is adjus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앉은 탑승자에 대한 탑승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탑승정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It includes a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the boarding information for the occupant sitting on the seat,
The rotating mechanism is a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first support mechanism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lexible display in accordance with the board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앉은 탑승자에 대한 탑승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탑승정보에 따라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ncludes a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the boarding information for the occupant sitting on the seat,
The flexible display is a protective device for a self-driving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board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트의 양측 각각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지지기구, 및 상기 제1지지기구들 각각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2지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기구들은 상기 시트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시트에 결합되되, 상기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상기 제1지지기구들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기구들은 상기 시트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들 각각에 결합되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펴지도록 상기 시트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mechanisms coupled to each of both sides of the sheet,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mechanisms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s.
The first support mechanisms are coupled to the sea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 the occupant sitting on the sea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chanisms,
The second support mechanisms ar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upport mechanism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and the lengths of the flexible display ar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extended. Protective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a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KR1020180073682A 2018-06-27 2018-06-27 Protecting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Flexible Display KR102381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82A KR102381992B1 (en) 2018-06-27 2018-06-27 Protecting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Flexibl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82A KR102381992B1 (en) 2018-06-27 2018-06-27 Protecting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Flexible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21A true KR20200001121A (en) 2020-01-06
KR102381992B1 KR102381992B1 (en) 2022-03-31

Family

ID=6915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682A KR102381992B1 (en) 2018-06-27 2018-06-27 Protecting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Flexible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99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161A (en) * 2004-09-20 2006-03-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Car display device being able to inward car seat
KR20140079436A (en) * 2011-12-28 2014-06-26 도요타 지도샤(주) Vehicle seat
JP2016168931A (en) * 2015-03-12 2016-09-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un viso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161A (en) * 2004-09-20 2006-03-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Car display device being able to inward car seat
KR20140079436A (en) * 2011-12-28 2014-06-26 도요타 지도샤(주) Vehicle seat
JP2016168931A (en) * 2015-03-12 2016-09-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un vis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992B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42907A (en) Robot system
WO2011036849A1 (en) Bed and union method
US20020109389A1 (en) Footrest unit for passenger seat
US11014794B2 (en) Personal lift device
JP6339460B2 (en) Cable inspection device
KR20120004300A (en) An auto cleaner
JP6895293B2 (en) Armrest
KR101372262B1 (en) Motorized lifting device for wheelchair
JP5046710B2 (en) Column body lifting work device
KR102108286B1 (en) Jack robot for disast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00001121A (en) Protecting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Flexible Display
AU2019295892A1 (en) Lift system with a protective screen
US20090105904A1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lift
KR20200072578A (en) Electric Mobility
CN109590985A (en) Mobile robot
EP2986469B1 (en) Lift apparatus for a vehicle
JP5510983B1 (en) Cargo handling vehicle
JPH0649598Y2 (en)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vehicles
JP7447657B2 (en) Vehicle step device
JP6886492B2 (en) Work vehicle
JP6877716B2 (en) Work transfer system
JP3054391B2 (en)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vehicles
KR20130010561A (en) Electric side mirror with built in camera of contruction equipment
JP2020157884A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WO2011148419A1 (en) Jet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